기타 지식

"TV 뭐사야 할까" 를 보고 적어본다

아래 글 읽고 잘 못 된 것들이 좀 있어서 댓글 달려다가

겁나게들 싸우는거 보고 신기해서 몇 자 적어본다. (늬들 다 삼성 LG 다니냐? 왜 싸워?)

 

일단 OLED TV 가 뭔지 먼저 알아라. (아래 글, 댓글 할 것 없이 모르면서 말하는 애들이 좀 있는 것 같다)

 

삼성과 LG 는 일단 OLED Panel 방식이 다르다. 

 

LG 삼성 OLED 비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삼성의 소형 OLED Panel 은 RGB OLED

엘지의 대형 OLED Panel 은 WOLED Back light 

 

진정한 의미의 OLED Panel 은 삼성이 맞다. 왜? 소자 자체에 Color 를 입혀 Pixel 하나 하나 색을 표현하니까

그럼 왜 LG 는 WOLED Back Light 방식을 쓰냐? 

 

간단하다. 삼성방식으로 TV를 만들었다가는 TV 수명이 2년도 못 가니까

 

늬들 삼성 폰 쓰면서 액정 번인 없이 5년 이상 쓸수 있냐? 휴대폰 평균 수명 싸이클이 2년이니까 먹히는거다.

이해 안되면 밑에 짤 보고 이해하면 된다.

 

캡처.PNG

 

삼성이 RGB OLED 로 대형 Panel 만들다가 바로 손절 한게 바로 저 거지 같은 내구성 때문이다.

 

그럼 삼성도 그냥 WOLED 방식으로 TV 를 만들면 되잖아??

 

안만드는게 아니고 못만든다. 왜? LG 가 특허 다 가지고 있으니까

 

그래서 후달려서 만든게 QLED TV 다

qled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구조만 봐도 똑같지 않냐? QLED 는 그냥 LCD TV의 한 종류다.

 

삼성 마케팅 넘들 사기친거 맞다. 근데, 이걸 마냥 욕하기에는 너무 잘치니까 오히려 박수가 나온다. 

엘지는 ㅂㅅ 이 맞다. 왜? 상대를 압도할 카드를 쥐고도 자랑할 줄 모르니까. (LG 마케팅 팀은 진짜 다 잘라야 된다)

 

본론으로 들어가서,

밑 글에서 언급한 고오급 TV의 요구 조건인 화질, 주사율, 내구성, 두께, 가격 을 하나하나 다시 짚어 보자.

난 그냥 간단하게 쓴다.

 

1. 화질

 

색구현 : (왜 아래 글에서 색과 명암을 따로 구분했지???)

당연히 OLED 가 더 좋다. 왜? 명암비가 더 좋으니까. 

그림 보고 색구현에 왜 명암비가 중요한지 이해해라

색 명암비 비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그럼 게임 끝이냐? No 

밤에만 TV를 보는 조건이면 OLED 가 QLED 그냥 발라버린다. 

근데 밤에만 보냐? 불 밝게 켜놓고 보고 낮에도 보지. 그럼 QLED 나 OLED 나 별 차이가 없다. 

 

웃긴건 특정 조건, 주변 밝기가 200nitt 이상이면 오히려 QLED 의 명암비가 더 좋다. (내가 조사한거 아니다)

이건 OLED 가 부족한게 맞다.

 

그럼 QLED 가 더 좋다고 하는거냐? 아니, 밝기만 해결 되면 QLED 는 OLED 발등이나 핥고 있어야 된다.

그리고 1000nitt 까지는 올라와서 QLED 장점이 점점 후달리는 실정이다.

 

 

Pixel 도 언급했는데, Pixel 은 OLED 가 더 유리하다. 왜? 구조가 더 단순하니까. 많이 정교하게 만들거면 만들기 쉬운게 더 낫지

근데 Pixel 이 늘어나면 그만큼 내구성도 보장을 못한다. 

 

2.주사율

이걸 왜 썼지? 주사율은 두 TV 다 훌륭함

이거 구분하면 눈이 기계임. 장단점으로 언급하기 어렵 

늬들 120hz 하고 240hz 가 구분이되냐?

 

3. 내구성

이건 OLED 빼박이지. WOLED 가 아무리 Back Light 방식이라고 해도 Burn in 에서 완전 자유롭다고 말 못한다.

아무리 쉴드를 쳐도 OLED TV는 내구성이 아직 LCD TV 발도 못 비비빔

 

4. 두께

당연히 OLED가 바르지. 뭐 논쟁할 가치도 없음

 

5. 가격

OLED 가 훨 비싸지 왜? 생산 수율이 40% 안되니까

LG 가 특허 다 쥐고 혼자 만들면서 왜 TV 시장 장악을 못하냐? 물량이 안되니까

지들도 원하는 만큼 생산을 못해

 

아! 하나 빼먹었다.

삼성 Local Dimming

삼성은 Micro Dimming Ultimation 이라고 하던데, 이게 OLED 명암비 비비는 기술이냐?

뭐 반은 맞고 반은 틀려.

 

만약 이걸 모든 QLED TV 다 적용해서 썼으면 OLED 비빈다.

문제는, 지금 OLED 비빌 만큼 좋은 TV 는 Q9 이상의 최상위 모델부터다. 그럼 가격은? OLED 별 차이가 없다. 

그리고 OLED 보다 완벽하지도 않다.

 

결론이 뭐냐??

OLED 가 아직 가야 할 길이 좀 많이 남았다. 내구성, 생산성만 봐도 하루 이틀 고민해서 해결 되는 문제가 아니다.

 

그럼 삼성 QLED 가 더 좋은 TV 냐?

당연히 아니지, 기술적으로 봤을 때는 구식이다.

F-35 랑 F-15 비교하는 거랑 똑같다.

 

근데 현실은 F-35 가 비싼만큼 오래써야 하는데 고장 잘 나고 앞으로 개선할게 겁나 많은 상태인거랑 똑같다.

그래서 아직은 오래 써서 신뢰도 높고 업그레이드도 빵빵하게 된 F-15 사서 쓰는 나라도 많은거다.

 

LG 입장에서는 F-35 만들었는데, 삼성이 F-15 최종 버전 들고와서 "우리 쟤네보다 더 좋은 비행기에요" 라고 떠들고 다니는거랑 똑같다

 

빡치겠니 안 빡치겠니??

아오 빡쳐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33개의 댓글

2019.12.25

나 아몰레드

삼성폰 3년썼는데 괜춘함ㅋㅋㅋ

0
2019.12.25
@멀라

보통 수명을 따지는건 50%미만으로 떨어지는 시기를 따짐.

 

아몰레드 최대밝기로 50%미만으로 나와도 사용하는데 지장 없을 수도 있고.

네가 폰을 많이 안써서 성능이 안떨어졌을 가능성도 있고.

0
2019.12.25

너 lg 다니니??

0
2019.12.25

완성된 기술은 LCD고 아직 발전가능성이 있는건 OLED

모바일 기기는 두께랑 베젤 전력소모가 생명이니깐 OLED 쓰는게

개이득이라 쓰는거고 거치형 기기는 아직 LCD 쓰는게 가성비나 안정성면에서 훨씬 좋음

1
2019.12.25

언젠가 MicroLED 패널 상용화 되면 OLED는 어중간한 패널로 전략될 것

1
2019.12.25

엘지직원

0
2019.12.25

소비자 입장에선 걍 합리적으로 삼성쓰고 말거같은데.. 뭐 대단한 심미안 가진것도 아니고 같은값에 더 큰 화면 주면 장땡이지. 좆쥐에게 통수 여러번 맞아본 경험도 있고...

2
2019.12.25
@마게

소비자를 자기 수준에 맞추면 안되지...돈많은새끼는 OLED나 Q9살거고 돈없으면 QLED사겠지 모든 제품을 가성비나 저가형으로 사는건 아니잖아

0
2019.12.25
@엘리베이터

결과는 판매량만 보면 된다. 사실 삼성의 전략이 합리적이었고 그게 먹힌거임.

0
2019.12.26
@공정한심판

판매량 하나로 모든걸 판단 ㅋㅋㅋㅋ 시작부터 끝까지 이게 무슨 뚱딴지같은 소리지 라는 생각밖에 안나온다 삼성 엘지 새끼들이 허구헌날 광고때리는 컨슈머리포트 평가 최고점이니 판매량 최고니 유럽 선정 최고의 티비 서로 경쟁하듯이 트로피 보여주는거 보고 어떤 개돼지새끼들이 저런거로 낚이나 했는데 여기 하나 있었네

0

주사율 몇시간씩 티비보면 눈아픈거 차이 안나냐?

0
2019.12.25

주사율 차이 못느끼냐 ?? 120 240차이는 느낄것같은데 티비는 얼마나 차이나 ?? 왜 쓸데없는 비유를 해서 혼동을 주는거지

0
2019.12.25
@letoh2019
[삭제 되었습니다]
2019.12.25
@옥뚜라

옛날 벤큐140 모니터도 되게일찍부터썼는데 그때부터 지겹도록 싸워서 이제 힘들어서 못하겠다 ㅋㅋㅋ 제발 써보고 아가리털었으면 좋겠음

0
2019.12.25
@letoh2019

내말이...

프레임레이트 차이 못느끼면 눈이나 뇌에 장애있는거야 얘들아...제발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지껄이는 우를 범하지 말자...

0
2019.12.25
@깻잎전

항상듣는 레파토리가 '인간의 눈은 몇 hz까지밖에 인식을 못한다 차이가 있다는놈들은 플라시보효과일뿐이다' ㅋㅋㅋ 이런글 쓰는애들특징 140써본적없음

0
2019.12.25
@letoh2019

TV의 경우 영상의 프레임이 24,30,60이 세 가지가 사실 상 전부라..

아닌데! 차이나던데! 하는 애들은 주사율 차이를 느끼는 게 아니라 그 TV에 내장된 칩 및 화상 처리 엔진의 성능의 차이를 느끼는 거임

TV 사서 컴퓨터 연결해서 게임한다는 전제하에 그 TV가 PC 연결의 경우에 60fps 이상을 지원한다면 차이 나겠지

0
2019.12.25

수율 40프로는 어디서 줏어들은 헛소리냐. 수율 40프로 나오는 걸로 양산 들어간다고 하면 사업부 임원한테 리모콘으로 뚝배기 존나 쳐맞음

0
@CHAR

40프로는 모르겠는데 존나 안 나오는 건 맞음

0
2019.12.25
@방구석민폐인생

바이어 어디 기준?

0
2019.12.25

그리고 OLED가 TV가 WOLED 방식을 사용한 건 수명보다 마스크 쳐짐 문제가 가장 큼. 대부분의 양산 가능한 OLED는 유기물을 증착하는 방식으로 만드는데 증착 면적이 커질수록 커다란 마스크를 써야하고 마스크가 크면 가운데 부분이 쳐질수밖에 없기 때문에 증착 오차가 생김. 그래서 WOLED는 마스크 없이 오픈마스크로 유기물을 증착한 뒤에 TFT, 회로, 색깔등을 넣어서 대형 OLED 패널을 만들고 있음. 요즘에는 LG 뿐만이 아니라 BOE나 삼성 등에서 증착 방식이 아니라 잉크젯 방식으로 OLED 패널 만드는 걸 연구하고 있는데 이 방식으로 하면 유기물 픽셀 구성할 때 마스크 때문에 오차가 생길 일은 없음. RGB OLED가 WOLED에 비해 색재현율이 더 뛰어나기 때문에 잉크젯 방식이 보편화되면 대형 패널도 RGB OLED로 만들 가능성이 큼. 그 때가 되면 당연히 청색 소자 수명이 메인 이슈로 떠오르겠지만 TV는 핸드폰과 달리 보상 전압을 강하게 주는게 가능하기 때문에 핸드폰의 청색 소자 번인만큼 큰 이슈가 되지는 않을거임

0
2019.12.25

난 아직은 oled tv는 사는게 아니라고 본다. 번인 10년 이상 보증 해주는거 아님

0

OLED는 과도기적 상품인거같다. 물론 품질은 좋지만 그 한계도 명확하기때문에;; LG의 선택이 걱정됨. 친구중 한명이 LGD다니는데 명퇴자 모집 엄청 많이 한다더라ㅠㅠ

0
@고양이키우고싶으뮤

LGD 위기는 LCD를 중국 BOE한테 먹혀서 그럼

그나마 OLED 덕분에 지금 상태라도 유지하는거임

0
2019.12.25
@가톨릭대이슬람학생회

노노 잘못됨. LCD패널 판매 때문에 OLED가 유지 가능했는데, 불과 1-2년만에 중국에서 엄청나게 찍어내기 시전하면서 폭망함.. OLED 시장의 크지 않은 상황이고 내부적으로 희퇴등 받으면서 고정비 줄이려고 노력하는중.

0
2019.12.25

어쨋든 둘 다 미래에는 QD-LED나 Micro LED로 넘어갈 것 같아서 삼성이 끝까지 승자이지 않을까..

0
2019.12.25

난 WOLED 쓰면서 QLED 뭐라하는거가 좀 이상해 OLED 처음 나올땐 미래에 더 우수한 칼라를 만들기 위함이라고 생각했는데 옛날에 삼성이 OLED 티비 잠깐 팔때 따라한다고 억지로 만든거같음

0
2019.12.25

헬지 마케팅팀 다 잘라야됨 ㄹㅇ

0
2019.12.25

어려운건모르겠고 s설치기산대

 

몇년전에 lg랑 같이 공항에티비 몇백대설치했는데

 

Oled번인 존나생겨서 다갈아치움

 

아무리좋아도내구도 구리면 쓰기가좀그럼

 

500. 1000짜리. 1 ,2년쓰고바꾸긴좀그렇지

 

삼성은 번인 10년무상보증

0
2019.12.26
@monoho

QLED 번인 10년보증이 무슨 의미가 있음? LCD에 번인이 날리가없지ㅋㅋㅋLED인척하는 얍삽한 마케팅임 어짜피 안나는 번인이니까 100년보장해줘도됨

0
@블루베리라떼

번인은 10년 보장하지만 백라이트 균일도 일그러지는 건 1년보장!

0
2019.12.26

현업 종사자로서 OLED LCD는 LG가 기술력이 좋다.

0
2019.12.27

주사율 120 240 구분됨 유툽보면 블라인드 테스트로 구분해내는 영상도 있다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464 [기타 지식] 스압)게임 더 디비전 시리즈 헌터의 정체 6 Mtrap 1 3 시간 전
12463 [기타 지식] 주문하면 바텐더들이 좋아 죽는다는 칵테일, 라모즈 진 피즈 ... 1 지나가는김개붕 1 4 시간 전
12462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귀신이 나온다는 버려진 호텔 3 그그그그 4 1 일 전
12461 [기타 지식] 2024년 방콕 중심지 지도 업데이트 18 쿠릭 23 3 일 전
12460 [호러 괴담] [미제 사건] 살해된 딸, 사라진 가사도우미, 그리고 의심받는... 4 그그그그 11 4 일 전
12459 [기타 지식] 나홀로 세계일주 9년차.ngm 김팽달 5 4 일 전
12458 [역사] 미중 경쟁의 시대 - 광해군의 중립외교에 관하여 (下) 25 골방철학가 26 6 일 전
12457 [과학] 현직 AI분야 교수님이 말하는 AI 트렌드 근황 34 nesy 23 7 일 전
12456 [호러 괴담] [미제 사건] 집에서 사라졌다? 일본 3대 실종사건 1편. 이시... 3 그그그그 7 8 일 전
12455 [과학] [수학 시리즈] 무한보다 더 큰 무한이 있다? 무한의 크기 비... 25 0년째눈팅중 16 8 일 전
12454 [기타 지식] 일본은 어떻게 위스키 강국이 되었는가? 편 2부 - 바텐더 개... 1 지나가는김개붕 15 9 일 전
12453 [기타 지식] 일본은 어떻게 위스키 강국이 되었는가? 편 1부 - 바텐더 개... 10 지나가는김개붕 11 10 일 전
12452 [과학] [수학 시리즈] 왜 0.999...=1 인가? 수학의 오래된 떡밥에 대... 67 0년째눈팅중 37 10 일 전
12451 [자연] 햄스터에 대한 몇가지 사실들을 알아보자 27 식별불해 7 10 일 전
12450 [자연] 세상에서 가장 빠른 생물을 알아보자 12 식별불해 11 10 일 전
12449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돈을 위해 천륜을 저버리다. 1 그그그그 3 11 일 전
12448 [역사] 미중 경쟁의 시대 - 광해군의 중립외교에 관하여 (上) 32 골방철학가 17 11 일 전
12447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공소시효가 끝나자 살인을 자백한 남성 6 그그그그 11 13 일 전
12446 [기타 지식] 세계 최고 부자가 만드는 술, 꼬냑 헤네시 편 - 바텐더 개붕... 15 지나가는김개붕 13 13 일 전
12445 [유머] 황밸 오지선다 4 Agit 4 15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