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지식

카이저라이히 다큐멘터리 E07. 왕관과 초승달

https://www.youtube.com/watch?v=BMp4acQHjlQ

 

(1938년 카이로. 제3차 아랍회의 주최지)
사우드 가문 (네지드-하사) 대표
자발 샴마르 (라시디 아라비아) 대표
이드리스 가문 (리비아) 대표 
이집트 왕국 대표
 
“You have brought a wolf inside our house, Egyptians!
”이집트 양반들, 늑대를 우리 집 안으로 들였군!

Jabal Shammar is a puppet to the Ottoman throne.
자발 샴마르는 오스만 권좌의 꼭두각시요.

This is a farce!
이건 웃음거리요!

An insult to the legacy of the First Arab Rising!”
제1차 아랍 봉기의 유산에 대한 모욕이요!”

 
“Yet still you blame us for old grievances, brother.
“여전히 오래된 불만 때문에 우리를 탓하는군요, 형제여.
 
We are here, are we not?
우리는 여기 있잖습니까?
 
Are we not pledged to your cause!?”
우리도 당신들 대의를 위해 맹세하지 않았습니까?"

 
“Let it be known the houses of Libya too protest making Jabal Shammar a part of this endeavour.
“리비아의 가문들도 자발 샴마르를 이 노력의 일부로 만드는 것에 항의한다는 것 알아주십시오.
 
Having these Ottoman dogs here is a disgrace to the Arab alliance!”
이 오스만의 개들을 이곳에 두는 것은 아랍 동맹의 수치입니다!"

 
“We will never forget your betrayal during the Arab rising of the Great War.
"우리는 대전쟁의 아랍 봉기에서 당신들이 배신한 것을 결코 잊지 않을 거요.
 
Good, Arab fighters were martyred while you groveled at the Ottoman Sultan‘s feet!
당신네가 오스만 술탄의 발 아래 굽실거리는 동안 아랍의 전사들은 순교했소!
 
This shame cannot be undone so easily.”
이 치욕은 쉽게 되돌릴 수 없는 거요."

 
The Sharif of Mecca and his revolt died due to your cowardice!”
"메카의 샤리프와 그의 반란은 당신네 비겁함 때문에 죽었소!"
 
“The Sharif of Mecca died because he fought an unwinnable war.
"메카의 샤리프는 이길 수 없는 전쟁을 치러서 죽었소.
 
The Sharif of Mecca died because he was a fool!”
메카의 샤리프는 멍청이였기 때문에 죽었소!"

 
“SILENCE!
”조용!

 
Do you not see, brothers?
형제들이여, 모르시겠습니까?
 
This is how the foreign imperialists have ruled us for centuries.
이것이 외국 제국주의자들이 수 세기 동안 우리를 지배한 방식입니다.
 
By dividing us. 
우리를 분열시킴으로써.
 
By making us see tribe, house, family, where we should have seen a great Arab nation.
위대한 아랍 국가가 있어야 할 곳에 부족, 가문, 가족을 보게 만들면서 말입니다.
 
Even Egypt suffered British rule when there was no other option.
이집트도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었을 때 영국의 통치를 받았습니다.
 
Now we are freed, The King of Cairo has invited those Arab houses who surrendered in 1919.
이제 우리는 해방되었고 카이로 국왕은 1919년에 항복했던 아랍 가문들을 초대했습니다.
 
It is time we bury these grievances and look together towards the future!
이제 이러한 불만은 묻어두고 미래를 향해 함께 나아갈 때입니다!
 
Long and dark it has been, the winter of imperialism in Arabia.
아라비아에서 제국주의의 겨울은 길고 어두웠습니다.
 
But a new spring has come, brothers.
그러나 형제 여러분, 새로운 봄이 왔습니다.
 
The British Empire has collapsed.
대영제국은 무너졌습니다.
 
Germans and Ottomans squabble over the remains.
독일과 오스만은 그 유해를 두고 다투고 있습니다.
 
In the Caucasus, Turks and Germans fight each other openly.
코카서스에서 튀르크와 독일은 공개적으로 서로 싸우고 있습니다.
 
Their ‘alliance’ is worth less than the paper it is set upon now.
그들의 '동맹'은 지금 종이 위에 적힌 것보다 가치가 떨어집니다.
 
Syndicalists prey upon our enemies‘ borders.
노조주의자들은 우리 적들의 국경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Our foe is distracted, weakened, and the Arab cause has never been stronger.
우리의 적은 산만하고 약해졌고, 아랍의 대의는 그 어느 때보다 강해졌습니다.
 
Today we must stand united.
오늘 우리는 단결해야 합니다.
 
This spear of Arab awakening, we will drive through the black heart of the Sultan!
아랍 각성의 창으로 우리는 술탄의 검은 심장을 뚫을 것입니다!
 
History calls upon you all, brothers.
역사가 형제 여러분 모두를 부릅니다.
 
To fight, not for glory, not for house, but for the freedom of all the peoples of Arabia!
영광을 위해서도 가문을 위해서도 아닌, 아라비아의 모든 민족의 자유를 위해 싸우라고!
 
Berlin is distracted, spread thin, and far away.
베를린의 시야는 산만하고, 흩어져 있고,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This is our day! This is our land!
오늘은 우리의 날이요! 이곳은 우리의 땅이니!
 
The Ottoman Empire will fall without the support… of the Kaiserreich!”
오스만 제국은 카이저라이히의 지원 없이 무너질 것입니다!"
 
-
 
Today, many historians consider the Mediterranean as the birthplace of civilization itself. 
오늘날 많은 역사가들은 지중해를 문명 그 자체의 발상지로 간주한다.
 
When the ancient empires of the Tigris and the Euphrates expanded west, they set in motion an era of societ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hat would span empires and generations.
티그리스와 유프라테스 강 유역의 고대 제국들이 서쪽으로 확장하면서 여러 제국과 세대를 아우르는 사회 및 기술 발전의 시대를 열었기 때문이다.
 
Traders from the Orient sailed the Mediterranean ports, spreading their advanced literature and culture across the seas.
동양의 상인들은 지중해 항구를 항해하며 선진 문물과 문화를 바다에 전파했다.
 
These Levantine and Babylonian civilizations would form the cultural bedrock for the advanced Empires that would later dominate the region.
이러한 레반트와 바빌로니아 문명은 훗날 이 지역을 지배하게 될 선진 제국들의 문화적 토대가 되었다.
 
From the Assyrians and Hittites to the Greeks, and ultimately the Romans, great Empires rose to rule this wealthy land on the Crossroads of Continents.
아시리아와 히타이트, 그리스, 그리고 궁극적으로 로마에 이르기까지 위대한 제국들이 대륙의 교차로에서 이 부유한 땅을 지배하기 위해 일어났다.
 
However, no Empire could last forever.
하지만 어떤 제국도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는 법이다.
 
The Roman Empire would eventually break up and dissolve, surviving only in the East under the Byzantine dynasty.
로마 제국은 결국 분열되고 해체되어 동방에서 비잔틴 왕조로만 살아남았다.
 
The final death blow to these Roman remnants came in the form of a new, rising power from the east –
이 로마의 잔존 세력에게 마지막 치명타를 가한 것은 동쪽에서 떠오르는 새로운 세력이었다.
 
The house of Osman, a Turkish family so powerful their entire empire was named after them: The Ottoman Empire.
튀르크의 오스만 가문은 제국 전체가 그들의 이름을 따서 오스만 제국으로 명명될 정도로 강력한 세력이었다.
 
The fall of Constantinople heralded the beginning of an Ottoman chapter in European history.
콘스탄티노플의 함락은 유럽 역사책에서 오스만이라는 장의 시작을 알렸다.
 
Soon, the Turkish empire spanned from the mountains of the Caucasus to the deep deserts of Africa.
곧 튀르크 제국은 코카서스 산맥에서 아프리카의 깊은 사막까지 뻗어 나갔다.
 
This vast empire claimed the mantle of defender of the Ummah, the global community of Islam.
이 광대한 제국은 전 세계 이슬람 공동체인 움마의 수호자라는 명분을 내세웠다.
 
To bolster their claims, the Osman family took control of the two most holy cities in the faith, Mecca and Medina.
오스만 가문은 자신들의 주장을 강화하기 위해 이슬람에서 가장 성스러운 두 도시인 메카와 메디나를 장악했다.
 
In the end, the Turks would rule much of Europe for the better part of 500 years, before settling into a slow decline.
결국 튀르크는 500년 동안 유럽의 많은 부분을 통치하다가 서서히 쇠퇴하기 시작했다.
 
By the dawn of the Great War, the Ottoman Empire had become a mere shadow of its former self.
대전쟁이 시작될 무렵 오스만 제국은 과거의 그림자에 불과한 존재가 되었다.
 
The birth of the nation-state gave rise to powerful forces of nationalism and identity, a process of awakening which would slowly degrade the lurching multi-ethnic empires of old.
민족국가의 탄생과 함께 강력한 민족주의와 정체성 세력이 생겨났고, 이 각성 과정은 과거의 다민족 제국을 서서히 쇠퇴하게 했다.
 
Now known as ‘The Sick Man of Europe,’ the Ottoman Empire struggled to maintain her once almighty presence.
이제 '유럽의 병자'로 알려진 오스만 제국은 한때 전능했던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Already before the Great War, the Greeks and Bulgarians had reclaimed their sovereignty with support from Russia, while the Arab population simmered with discontent.
대전쟁 이전에 이미 그리스와 불가리아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주권을 되찾은 반면, 아랍인들은 불만이 끓어올랐다.
 
Yet, decline is never a straightforward path in the Crossroads of Continents.
하지만 대륙들의 교차로에서 쇠퇴는 결코 쉬운 길이 아니었다.
 
In the first twenty years of the 19th century, the balance of power here would shift not once, not twice, but thrice.
19세기 초반 20년 동안 이곳의 힘의 균형은 한 번도 아니고 두 번도 아니고 세 번이나 바뀌었다.
 
When the Great war dawned on Europe, battle lines would be drawn deep into the Arabian deserts.
유럽에서 대전쟁이 발발하자 전선은 아라비아 사막 깊숙이 그려지게 된다.
 
Desperate to stave off their ultimate demise, the Ottomans found friends in Berlin, aligning with the Kaiserreich against their eternal enemies in St. Petersburg.
최후를 막기 위해 필사적이었던 오스만은 베를린에서 우군을 찾았고, 영원한 적인 상트페테르부르크를 상대하여 카이저라이히와 동맹을 맺었다.
 
Illustrious commanders would rise up to challenge the odds, both in the Ottoman Empire and in her enemies.
오스만 제국과 적국 모두에 도전하기 위해 저명한 지휘관들이 일어섰다.
 
Soon, the power-hungry Bulgarians, ambitious Arabs and reluctant Greeks would cast their fate into the cauldron of the Weltkrieg as well.
곧이어 권력에 굶주린 불가리아, 야심 찬 아랍인, 주저하는 그리스도 자신들의 운명을 세계대전의 가마솥에 던져 넣었다.
 
In this war to end all wars, The Eastern theatre would see another great clash of civilizations.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이 전쟁에서 동방 전역은 또 다른 문명의 충돌을 목격하게 된다.
 
The nations of the Southern Balkans believed the end of the Ottoman Empire was nigh – a miscalculation that would, in the end, cost them dearly.
남부 발칸 반도의 국가들은 오스만 제국의 종말이 가까워졌다고 믿었지만, 이는 결국 엄청난 대가를 치르게 될 오산이었다.
 
-
 
The Great War in the Near East had a distinctly different character from the trenches of France and Italy, which defined our memory of the war.
근동의 대전쟁은 우리가 전쟁에 대해 기억하는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참호전과는 확연히 다른 성격을 가졌다.
 
While in the West, territorial gains were counted in miles and paid for in thousands of lives, the East would see more dramatic advances and reversals throughout the campaigns there.
서방에서는 영토 확보가 몇 마일 단위로 계산되고 수천 명의 목숨으로 대가를 치른 반면, 동방에서는 전쟁 내내 더 극적인 진전과 반전이 일어났다.
 
This different character was most apparent in the dynamic fighting in the Levant, which swung wildly from Ottoman to British control and back during the war.
전쟁 기간 동안 오스만에서 영국의 지배로, 그리고 다시 오스만으로 격변하는 레반트의 역동적인 전투에서 이러한 다른 성격이 가장 잘 드러났다.
 
Further from the connected railways of Europe, the Great War in the Near East was defined more by supply lines than it was by fortifications.
유럽의 연결된 철도로부터 멀리 떨어진 근동에서의 대전쟁은 요새화보다는 보급선에 의해 결정되었다.
 
In the distant and rough terrain of the Caucasus and the arid sands of the Arab peninsula, the war was constrained by supply points and the few available railways and telegram stations.
코카서스의 멀고 거친 지형과 아라비아 반도의 건조한 모래사막에서 전쟁은 보급 지점과 몇 안 되는 철도 및 전보국 때문에 제약을 받았다.
 
Fighting in the East, then, was not so much about controlling territory as it was about controlling railway junctions and ports.
당시 동방에서의 전투는 영토를 장악하는 것보다는 철도 교차로와 항구를 통제하는 것이 더 중요했다.
 
By May 1916, the situation in the Middle East had improved considerably for the Central powers.
1916년 5월이 되자 중동의 상황은 동맹국 입장에선 상당히 호전되었다.
 
The Bulgarians had scored an easy victory against an unprepared Serbia, and Germany was confidently pushing back Russia in the Eastern theater.
불가리아는 준비되지 않은 세르비아를 상대로 손쉬운 승리를 거두었고, 독일은 동유럽 전역에서 러시아를 자신 있게 밀어내고 있었다.
 
However, not all was well.
하지만 모든 것이 좋았던 것은 아니었다.
 
The Ottomans still faced a difficult war on three fronts.
오스만은 여전히 세 개의 전선에서 어려운 전쟁에 직면해 있었다.
 
In the Caucasus, clashes with Russia unfolded amidst an unforgiving climate, while the British relentlessly pressed upon the Ottoman Levant.
코카서스에서는 험악한 기후 속에서 러시아와의 충돌이 벌어졌고, 영국은 오스만 레반트를 끈질기게 압박했다.
 
Despite these hardships, Ottoman soldiers fiercely defended their territories, and even scored several illustrious wins.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오스만 군인들은 치열하게 영토를 지켜냈고, 몇 차례의 눈부신 승리를 거두기도 했다.
 
For some historians, victories like the one at Gallipoli would be considered the Ottoman‘s very own ‘finest hour’.
일부 역사가들은 갈리폴리에서와 같은 승리를 오스만 '최고의 전성기'로 꼽기도 한다.
 
At Gallipoli, a massive naval landing by Entente forces was pushed back into the sea by determined Turkish defenders.
갈리폴리에서 협상국 군대의 대규모 상륙 작전은 단호한 튀르크 수비대에 의해 바다로 밀려났다.
 
This auspicious victory would shine a spotlight on a rising commander inside the Ottoman Army: a man named Mustafa Kemal.
이 상서로운 승리는 오스만 군대 내에서 떠오르는 지휘관인 무스타파 케말에게 조명을 비추게 된다.
 
Born in 1881 in the Greek-majority city of Salonica, Mustafa Kemal rose quickly through the ranks of the Ottoman Army.
1881년 그리스계가 다수인 살로니카에서 태어난 무스타파 케말은 오스만 군대의 계급을 뚫고 빠르게 올라섰다.
 
The commander became renowned for his strategic genius and determination to the cause of the Empire.
이 사령관은 전략적인 천재성과 제국의 대의를 위한 결단력으로 명성을 얻었다.
 
Kemal‘s loyalty to Ottoman ideals stood in stark contrast to the corrupt regime in Constantinople, and tensions between Kemal and the central government would define much of course of the war.
오스만의 이상에 대한 케말의 충성심은 콘스탄티노플의 부패한 정권과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고, 케말과 중앙 정부 사이의 긴장은 전쟁의 많은 부분을 결정짓게 된다.
 
Despite these victories in the Levant and Western front, the Ottoman state was a fragile one indeed.
레반트와 서부 전선에서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은 참으로 취약한 국가였다.
 
In the Great War, the true danger to Ottoman rule would not come from a foreign aggressor, but from within.
대전쟁에서 오스만 통치에 대한 진정한 위험은 외국 침략자가 아니라 내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By the late 1916‘s Hussein bin Ali, the Sharif of Mecca, conspired with the British to rise up against Ottoman rule.
1916년 후반, 메카의 샤리프였던 후세인 빈 알리는 영국과 공모하여 오스만 통치에 반대하는 봉기를 일으켰다.
 
With his aspirations for an independent Arab state, the Sharif rallied an army and began attacking Ottoman garrisons and supply lines.
독립 아랍 국가에 대한 열망으로 샤리프는 군대를 모아 오스만 주둔지와 보급선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The revolting Arabs, with the support of British commander T.E. Lawrence, began gaining ground at a rapid pace.
반란을 일으킨 아랍인들은 영국군 사령관 T.E. 로렌스의 지원을 받아 빠른 속도로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Yet, Arab fortunes waned after the Turks mounted an organized resistance, and the revolt failed to achieve the swift victories London had been hoping for.
그러나 튀르크의 조직적인 저항으로 아랍의 운명은 약해졌고, 반란은 런던이 기대했던 빠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In tru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ritish and the willful Arab leaders had been strained from the beginning.
사실 영국과 고집스러운 아랍 지도자들 사이의 관계는 처음부터 삐걱거리고 있었다.
 
The failure of the Sharif to capture the port city of Aqaba almost fully eroded London‘s confidence that the Arabs would offer meaningful assistance in the Levant.
샤리프가 항구 도시 아카바를 점령하지 못하자 아랍인들이 레반트에서 의미 있는 지원을 제공할 것이라는 런던의 신뢰는 거의 완전히 무너졌다.
 
Still, the British continued to supply aid, fearful that if their support ended, the allegiance of Sharif Hussein might shift back to the Sultan in Constantinople.
그럼에도 영국은 지원이 중단되면 샤리프 후세인의 충성심이 콘스탄티노플의 술탄에게로 돌아갈 것을 우려해 계속 원조를 제공했다.
 
By the summer of 1917, the war had ground to a complete standstill.
1917년 여름이 되자 전쟁은 완전히 멈춰섰다.
 
The Arabs were contained, the Russians exhausted, and only the British threat in Egypt and Mesopotamia remained.
아랍은 봉쇄되었고 러시아는 지쳐 있었으며,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의 영국의 위협만 남아있었다.
 
Looking for options, the Entente attempted to open a new front closer to Constantinople, by swaying Greece into joining the war.
선택의 여지가 없던 협상국은 그리스를 전쟁에 참여하도록 유도하여 콘스탄티노플에 가까운 새로운 전선을 개척하려고 시도했다.
 
Greece had long been torn between competing sides.
그리스는 오랫동안 경쟁하는 양측 사이에서 갈등을 겪어왔다.
 
Much of Athenian politics from 1914 onwards had been defined by a simple question: 
1914년 이후 아테네 정치의 대부분은 간단한 질문으로 정의되었다.
 
Should Greece join the war and reclaim Greek territories from the Ottomans, or not?
그리스가 전쟁에 참전하여 오스만으로부터 그리스 영토를 되찾아야 할 것인가, 말 것인가?
 
The government was split in two factions: a pro-war hawk cabinet, and an anti-war dove cabinet.
정부는 친전 매파 내각과 반전 비둘기파 내각으로 나뉘었다.
 
Prime Minister Eleftherios Venizelos, a progressive liberal, ardently supported the Entente, while the conservative German king openly aligned with Berlin.
진보적 자유주의자인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는 협상국을 열렬히 지지한 반면, 보수적인 독일계 국왕은 공개적으로 베를린과 동맹을 맺었다.
 
By 1917, the pro-Entente hawks had seized the government.
1917년, 친협상국 매파가 정부를 장악했다.
 
Venizelos had outmaneuvered the reigning monarch, placed his own son on the throne, and steered Greece towards war with the Central Powers.
베니젤로스는 기존 군주를 제압하고 그의 아들을 왕위에 앉힌 후 그리스를 동맹국과의 전쟁으로 이끌었다.
 
Fueled with the ambition of reclaiming the historic city of Constantinople, Greek forces crossed the border into Ottoman holdings.
역사적인 도시 콘스탄티노플을 되찾겠다는 야망에 불탄 그리스 군대는 국경을 넘어 오스만 영토로 진격했다.
 
Unfortunately, their initial advance was flanked by determined Bulgarian defenders, and Greece simply could not fight two regional powers at once without Allied support.
불행히도 초기 진격은 불가리아의 결사적인 방어에 가로막혔고 그리스는 연합군의 지원 없이는 두 지역 강대국과 동시에 싸울 수 없었다.
 
In the end, the Western front collapsed in the spring of 1919, leading France to sign an armistice on August 12th.
결국 1919년 봄, 서부 전선이 무너지면서 프랑스는 8월 12일 휴전 협정을 체결하게 된다.
 
Greece, now without hopes for reinforcement, decided to end the fight prematurely the next day.
이제 지원군을 기대할 수 없게 된 그리스는 다음 날 전투를 조기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Greece sued for peace, rather than risk the harsh treatment that capitulation would bring.
그리스는 항복이 가져올 가혹한 대우를 감수하는 대신 화평을 청했다.
 
-
 
By 1919, the guns on the Western front would fall silent.
1919년이 되자 서부 전선의 총성이 멎었다.
 
In the Ottoman Empire, however, fighting raged on and even intensified.
그러나 오스만 제국에서는 전투가 계속되고 심지어 격렬해졌다.
 
East of the Adriatic, the final chapters of the Great War would be long and bloody indeed.
아드리아해 동쪽, 대전쟁의 마지막 장은 참으로 길고 피비린내 나는 전쟁이었다.
 
Even after the ceasefire in the West, British armies besieged Ottoman positions in Arabia, Mesopotamia, and the Levant.
서부에서 휴전이 이루어진 후에도 영국군은 아라비아, 메소포타미아, 레반트에서 오스만 진지를 포위했다.
 
In the Caucasus, the Sublime Porte faced a rogue army, ethnic violence, and a proxy war with Germany, once a trusted ally.
코카서스에서 숭고한 관문(오스만 중앙정부의 별칭)은 불량 군대, 인종 폭력, 한때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이었던 독일과의 대리 전쟁에 직면했다.
 
The war in the Caucasus had been defined by treacherous mountain warfare and scarred by ethnic violence.
코카서스 전쟁은 위험한 산악전으로 규정되었고 민족적 폭력으로 상처를 입었다.
 
By 1917, the Russian army had pushed deep into the Ottoman northeast.
1917년 러시아군은 오스만 북동부 깊숙이 밀고 들어갔다.
 
Constantinople blamed their mounting losses on local ethnic minorities, particularly the Armenians.
콘스탄티노플은 늘어나는 손실을 지역 소수 민족, 특히 아르메니아인의 탓으로 돌렸다.
 
Ottoman forces mounted a violent and organized repression, leaving a million civilians dead in their wake.
오스만 군대는 폭력적이고 조직적인 진압에 나섰고, 그 여파로 민간인 100만 명이 사망했다.
 
These actions, combined with mounting ethnic violence in the Holy land, would horrify the Western Great powers and rally them against the Ottoman cause.
이러한 행동은 성지에서 벌어지는 민족적 폭력과 맞물려 서구 열강을 경악하게 만들었고, 오스만 대의에 반대하는 세력을 결집시켰다.
 
Germany, even while signing the Treaty of Versailles, would actually collude with the British Empire to put a stop to ethnic tensions in the Middle-East and contain Ottoman violence.
독일은 베르사유 조약에 서명하면서도 실제로는 대영제국과 공모하여 중동의 민족적 긴장을 멈추고 오스만의 폭력을 억제했다.
 
After 1918, Berlin and Constantinople clashed openly on the diplomatic front, and would even fight each other militarily in several campaigns.
1918년 이후 베를린과 콘스탄티노플은 외교 전선에서 공개적으로 충돌했고, 여러 차례의 장정에서 군사적으로도 서로 싸웠다.
 
To understan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is dramatic shift inside the Central Powers alliance, we must first understand the balance of power in Constantinople itself.
동맹국 내부에서 이러한 극적인 변화의 원동력을 이해하려면 먼저 콘스탄티노플 자체의 힘의 균형을 이해해야 한다.
 
Since 1913, the Ottoman State, the so-called ‘Sublime Porte’ had been under the control of the Young Turks movement.
1913년 이후 오스만 제국은 이른바 '숭고한 관문’으로 불리는 청년 튀르크 운동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The Young Turks were a diverse mixture of intellectuals and statesmen that aimed for the modernization, seculariz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Ottoman Empire.
청년튀르크당은 오스만 제국의 근대화, 세속화, 보존을 목표로 하는 다양한 지식인과 정치가들이 모인 단체였다.
 
The faction that ultimately came to power, however, would represent some of the most radical pan-Turkish ideologues in the party.
그러나 궁극적으로 집권한 세력은 당내에서 가장 급진적인 범튀르크 이념을 표방하는 세력이었다.
 
They organized into the CUP, the Committee of Union and Progress, and ruled the Empire with an iron grip.
이들은 연합진보위원회(CUP)로 조직되어 제국을 철권 통치했다.
 
By 1918, the Ottoman Empire had been stumbling from conflict to conflict ever since the First Balkan War.
1918년까지 오스만 제국은 제1차 발칸 전쟁 이후 분쟁에 분쟁을 거듭하며 비틀거리고 있었다.
 
The chaos in Constantinople was complete.
콘스탄티노플의 혼란은 극에 달했다.
 
Such a regime of constant violence and terror often gives rise to a strongman government, and the Sublime Porte was no exception.
폭력과 공포가 끊이지 않는 정권은 종종 독재 정권을 탄생시키는데, 숭고한 관문도 예외는 아니었다.
 
In the chaos of the war years, three key figures emerged from the CUP that would eventually gain complete control of the Ottoman State.
전쟁의 혼란 속에서 결국 오스만 제국을 완전히 장악하게 되는 세 명의 핵심 인물이 CUP에서 등장한다.
 
This was the start of the Triumvirate chapter in Ottoman History, often referred to as ‘The rule of the three Pasha’s‘.
이것이 오스만 역사에서 흔히 '세 파샤의 통치'라고 불리는 삼두정 시대의 시작이었다.
 
The Triumvirate informally held total control of the Ottoman Empire, but did so more in the style of medieval warlords rather than any notion of modern parliamentary government.
삼두정은 비공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을 완전히 장악했지만, 현대 의회 정부라는 개념보다는 중세 군벌의 스타일에 가까웠다.
 
Nominally, the triumvirate was led by Grand Vizier Talat Pasha.
명목상으로는 탈라트 파샤 대재상이 삼두정을 이끌었다.
 
Due to the never-ending war, however, much of the apparatus of state was invested in the military.
그러나 끝없는 전쟁으로 인해 국가 기구의 대부분이 군대에 투자되었다.
 
These branches were led by the Minister of the Navy, Cemal Pasha, and most prominently, the Minister of war, Enver Pasha.
이 부서들은 해군장관인 제말 파샤가 이끌었고,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전쟁장관 엔베르 파샤였다.
 
Enver Pasha, commander of the Ottoman military, was a key figure in holding the Empire together during the early war years.
오스만군 사령관 엔베르 파샤는 전쟁 초기에 제국을 하나로 묶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었다.
 
His proclivity for violence and repression would only worsen, however.
하지만 그의 폭력과 억압 성향은 점점 더 심해졌다.
 
By the later chapters of the war, Enver Pasha had come to follow a radical pan-Turkish ideology.
전쟁 후반부에 이르러 엔베르 파샤는 급진적인 범튀르크 이데올로기를 따르게 되었다.
 
In the mind of the War Pasha, no method was too dark to ensure the survival of the Turkish state.
전쟁 파샤의 머릿속에는 튀르크 국가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선 그 어떤 방법도 가혹하지 않았다.
 
Many observers now consider Enver Pasha to be, if not outright mad, then at the very least dangerously unstable.
현재 많은 관찰자들은 엔베르 파샤를 완전히 미치지는 않았더라도 최소한 위험할 정도로 불안정했던 인물로 간주한다.
 
Unfortunately, his reign of terror was fully backed by the other Pasha‘s in the Triumvirate.
안타깝게도 그의 공포 통치는 삼두정의 다른 파샤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Under their rule, some of the most heinous acts in the Weltkrieg would be committed.
이들의 통치 아래에서는 세계대전에서 가장 극악무도한 행위가 자행되었다.
 
-
 
The desire of the Young Turk triumvirate to incorporate the Caucasus into its Turkish ethnic Empire drove Ottoman military repression in the region.
코카서스를 튀르크 민족 제국에 통합하려는 청년튀르크 삼두정의 열망은 이 지역에서 오스만의 군사적 탄압을 불러일으켰다.
 
However, the Turks were not the only claimants in the Caucasus.
그러나 튀르크만이 코카서스의 영유권을 주장한 것은 아니었다.
 
Aside from the Georgians, Armenians and Azeris, the Germans also expressed keen interest in the area.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외에도 독일도 이 지역에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Not long before, Germany had secured vast territories from the crumbling Russian Empire, and already diplomats were drawing up plans for new, German-aligned client states in the region.
얼마 전까지만 해도 독일은 무너져가는 러시아 제국으로부터 광대한 영토를 확보하고 있었고, 이미 외교관들은 이 지역에 독일과 동맹을 맺은 새로운 의존국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When the Russians retreated from the Caucasus as well, the Kaiser‘s eye was drawn even further east.
러시아가 코카서스에서도 후퇴하자 카이저의 시선은 더 동쪽으로 향했다.
 
Germany, bolstered by victory in the Weltkrieg, began pursuing an increasingly self-interested diplomatic tract.
세계대전의 승리로 힘을 얻은 독일은 점점 더 이기적인 외교 노선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Faced with unreliable allies in Vienna and Constantinople, Berlin began dreaming of a post-war world where it, and not the Central Powers alliance, would hold all the power.
빈과 콘스탄티노플의 불신뢰에 직면한 베를린은 동맹국이 아닌 자신들이 모든 권력을 장악하는 전후 세계를 꿈꾸기 시작했다.
 
Especially considering the weak performance of Austria-Hungary and the Ottoman Empire in the war, Germany grew resentful of her imperial allies.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오스만 제국이 전쟁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두자 독일은 동맹 제국에 대한 분노가 커졌다.
 
In the minds of the German elite, Germany did not need allies as much as it needed tightly controlled client states.
독일 엘리트들의 생각에 독일은 엄격하게 통제되는 의존국 이상의 동맹이 필요하지 않았다.
 
Such a belt of smaller powers, completely under the sway of Berlin, could be reinforced with economic influence in outlying areas.
베를린의 영향력 아래 있는 작은 강대국들로 이루어진 벨트는 외곽 지역의 경제적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For this plan of a united German ‘Mitteleuropa’, the Caucasus could provide a most useful boon: Oil.
독일의 통일된 '미텔에우로파' 계획에서 코카서스는 가장 유용한 혜택, 바로 석유를 제공할 수 있었다.
 
By 1916, Azerbaijan represented some of the largest and most developed oil fields in Europe.
1916년 아제르바이잔은 유럽에서 가장 크고 가장 발달한 유전을 보유하고 있었다.
 
Oil was rapidly becoming a crucial resource for the world‘s industry, and Germany knew very well that industry was power.
석유는 전 세계 산업의 중요한 자원으로 급부상하고 있었고, 독일은 산업이 곧 힘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Berlin avidly sought to connect the large oil reserves in Azerbaijan to her new holdings in Eastern Europe.
독일은 아제르바이잔의 대규모 석유 매장량을 동유럽의 새로운 보유지와 연결하고자 했다.
 
If added to Germany‘s growing belt of client states, Baku could fuel German dominance for decades to come.
바쿠가 독일의 성장하는 의존국 벨트에 추가되면 향후 수십 년 동안 독일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었다.
 
To link Baku to Ukraine, Germany eagerly sought collaboration with the now-independent Caucasus Republics.
바쿠와 우크라이나를 연결하기 위해 독일은 현재 독립한 코카서스의 공화국들과의 협력을 간절히 원했다.
 
In 1918, Germany and Georgia signed the Treaty of Poti, establishing Georgia as an independent state protected by the Kaiserreich.
1918년 독일과 조지아는 포티 조약을 체결하여 조지아를 카이저라이히의 보호를 받는 독립 국가로 만들었다.
 
In return, the nascent government in Tbilisi awarded generous concessions to German oil companies.
그 대가로 트빌리시의 초기 정부는 독일 석유 회사들에게 관대한 양보를 해주었다.
 
It was becoming evident that Ottoman and German visions for the Caucasus were fundamentally incompatible.
코카서스에 대한 오스만과 독일의 비전이 근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In the chaotic year following the retreat of Russian forces, Constantinople attempted to outmaneuver the Germans by being first into the region.
러시아군이 후퇴한 후 혼란스러운 해에 콘스탄티노플은 이 지역에 가장 먼저 진출하여 독일군을 압도하려 했다.
 
From Constantinople, Enver Pasha commanded his loyalists to lead a campaign into the Caucasus and seize the territory before the Germans could.
콘스탄티노플에서 엔베르 파샤는 충성스러운 부하들에게 독일군보다 먼저 코카서스로 진격하여 영토를 점령하라고 명령했다.
 
Enver‘s half-brother Kiligili was placed at the head of a paramilitary force consisting of Islamic Caucasians, Ottoman forces and other auxiliaries from all parts of the Empire.
엔베르의 이복형 누리 킬리길은 이슬람 코카서스인, 오스만 군대, 그리고 제국 각지에서 온 기타 지원군으로 구성된 준군사 부대의 수장으로 임명되었다.
 
This expedition would become known as the Islamic Army of the Caucasus, or in short, the Army of Islam.
이 원정대는 코카서스 이슬람군, 또는 간단히 이슬람의 군대로 알려졌다.
 
This Army of Islam would go down in infamy, committing atrocious war crimes under the pretense of ‘securing’ the region for Turks and Muslims.
이 이슬람의 군대는 튀르크인과 무슬림을 위해 이 지역을 '보호'한다는 미명 하에 잔혹한 전쟁 범죄를 저지르며 악명을 떨쳤다.
 
The Army of Islam invaded Armenia and Georgia in full force, and began clashing with Georgians and Germans during the summer of 1918.
이슬람의 군대는 1918년 여름 아르메니아와 조지아를 전격적으로 침공하여 조지아군 및 독일군과 충돌하기 시작했다.
 
To many historians, the Georgia Crisis marked the death of the Central Powers Alliance.
많은 역사가들에게 조지아 위기는 동맹국의 종말을 의미했다.
 
Ottoman and German forces began fighting each other openly in the Caucasus.
오스만과 독일군은 코카서스에서 공개적으로 서로 싸우기 시작했다.
 
Deaths on both sides were mounting rapidly, and neither of the supposed allies seemed intent on giving up the region.
양측의 사망자는 빠르게 증가했고, 동맹의 어느 쪽도 이 지역을 포기할 의사가 없어 보였다.
 
Ottoman forces had the advantage however, due to their proximity to Armenia.
그러나 오스만 군대가 아르메니아와 가까워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었다.
 
German forces had been deployed from Ukraine, but were outnumbered by the advancing Army of Islam.
독일군이 우크라이나에서 파병되었지만 진격하는 이슬람의 군대에 비해 수적으로 열세였다.
 
After pushing the Germans back, the Ottomans captured Baku and moved further North – much to Berlin‘s dismay.
독일을 밀어낸 오스만이 바쿠를 점령하고 북쪽으로 더 이동하자 베를린은 크게 당황했다.
 
While the Germans and Ottomans remained allies on paper, the Kaiserreich was forced to react to Enver Pasha‘s brazen war crimes and challenges to Berlin in the Caucasus.
독일과 오스만은 서류상 동맹으로 남아 있었지만, 카이저라이히는 엔베르 파샤의 뻔뻔스러운 전쟁 범죄와 코카서스에서의 베를린에 대한 도전에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
 
Ever the subtle political player, Berlin leveraged Ottoman reliance on German military assistance rather than challenge Constantinople directly.
항상 미묘한 정치 전략을 구사했던 베를린은 콘스탄티노플에 직접 도전하기보다는 오스만의 군사 지원에 대한 독일의 의존도를 활용했다.
 
On October 4th, German agents had persuaded Sultan Mehmed VI to fire Enver Pasha, nominally for his military failures on the Caucasus Front.
10월 4일, 독일 요원들은 명목상으로는 코카서스 전선에서의 군사적 실패를 이유로 술탄 메흐메드 6세를 설득해 엔베르 파샤를 해임하도록 했다.
 
Rather than surrender to this cloak and dagger scheme, however, Enver Pasha fled to the Caucasus to take personal command of the Army of Islam.
그러나 엔베르 파샤는 이러한 계략에 굴복하는 대신 이슬람의 군대를 직접 지휘하기 위해 코카서스로 도망쳤다.
 
Now beyond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Enver Pasha continued his campaign of terror in Armenia.
이제 중앙 정부의 통제를 벗어난 엔베르 파샤는 아르메니아에서 공포의 장정을 계속했다.
 
The War Pasha pushed through the region with the pretension of forming a Great Islamic Turkish Empire, spreading well into Central Asia.
전쟁 파샤는 대이슬람 튀르크 제국을 건설한다는 명분으로 이 지역을 밀어붙였고, 중앙아시아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The Ottomans were now openly fighting not only the Entente, but their German allies, and even themselves.
오스만은 이제 협상국뿐만 아니라 독일 동맹, 심지어 자신들과도 공개적으로 싸우고 있었다.
 
For Enver Pasha, and the Ottoman Empire as a whole, this chapter in history represented the full extent of the Sublime Porte‘s descent into tribalism and lawlessness.
엔베르 파샤와 오스만 제국 전체에 있어 이 역사의 장은 숭고한 관문이 부족주의와 무법천지로 전락한 전모를 보여줬다.
 
-
 
Upon sacking Enver Pasha, the remaining two Pashas clamped down on the Sultan and the restless Ottoman Parliament.
엔베르 파샤가 축출된 후 나머지 두 파샤는 술탄과 불안한 오스만 의회를 단속했다.
 
On March 21st, 1919, they placed the Sultan under house arrest, to the backdrop of politicians fleeing Constantinople.
1919년 3월 21일,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을 탈출한 정치인들을 배경으로 술탄을 가택 연금했다.
 
The Empire had now descended into total chaos.
제국은 이제 완전한 혼란에 빠졌다.
 
One man, however, could still turn the tide.
하지만 한 사람이 전세를 역전시킬 수 있었다.
 
Deep in the trenches of the Southern Front, Mustafa Kemal looked northwards and saw his nation spiral into madness.
남부 전선의 참호 깊숙한 곳에서 무스타파 케말은 북쪽을 바라보며 조국이 광기로 치닫는 것을 목격했다.
 
For the time being, however, he was locked in a life-or-death struggle with the invading British Army.
그러나 당분간 그는 침공한 영국군과 생사를 건 사투를 벌여야 했다.
 
Throughout the Weltkrieg, the British had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dislodge Kemal and punch through to the Ottoman heartland, the Anatolian peninsula.
영국은 세계대전 내내 케말을 몰아내고 오스만 심장부인 아나톨리아 반도까지 진격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To achieve this, London struck at the Sublime Porte from every angle it could: Using a direct military campaign in the Holy Land, as well as leveraging Arab militias and local revolts.
이를 위해 런던은 성지에서 직접 군사 작전을 펼치는 것은 물론 아랍 민병대와 지역 반란을 활용하는 등, 가능한 모든 각도에서 숭고한 관문을 공격했다.
 
The British, of course, did not do so out of any true allegiance to a free Arab world.
물론 영국은 자유 아랍 세계에 대한 진정한 충성심에서 그렇게 한 것은 아니었다.
 
Rather, Great Britain sought to acquire dominion of the Middle-East herself, and place the Arab nations under the crown in Westminster.
오히려 영국은 스스로 중동의 지배권을 획득하고 아랍 국가들을 웨스트민스터의 영국 왕실 아래에 두려고 했다.
 
In many ways, the British continued their fight with the Ottomans after 1919 as a last-ditch effort.
여러 면에서 영국은 1919년 이후에도 오스만과의 전쟁을 최후의 수단으로 계속했다.
 
London had, after all, lost the Weltkrieg in France, and much of her efforts past 1919 were focused on securing at least some gains from a war which had so far been nothing but an unmitigated disaster.
결국 영국은 프랑스에서 세계대전에 패했고, 1919년 이후의 많은 노력은 지금까지 재앙에 불과했던 전쟁에서 최소한의 이득을 확보하는 데 집중되었다.
 
This first Arab revolt, then, would put the Arabs between a rock and a hard place.
이 첫 번째 아랍 반란은 아랍인들을 벼랑 끝으로 내몰았다.
 
On one hand, Arab Revolutionaries fought an Ottoman State which spiraled ever further into ethnic violence.
한편으로 아랍 혁명가들은 오스만 제국과 싸웠고, 이는 인종적 폭력으로 더욱 확대되었다.
 
On the other, the British represented an unreliable partner at best, and a new flavor of imperialist oppressor at worst.
다른 한편으로 영국은 기껏해야 신뢰할 수 없는 파트너였고, 최악의 경우 새로운 제국주의 압제자였다.
 
To the Arabs, it was Perfidious Albion, indeed. 
아랍인들에게는 정말이지 불쾌한 알비온이었다(https://en.wikipedia.org/wiki/Perfidious_Albion).
 
While the Arab Revolt had yielded little territorial gains for the remnants of the Entente, the Sharif still succeeded in distracting and weakening Kemal‘s frontline.
아랍 반란은 협상국의 잔당들에게 영토적 이득을 거의 주지 못했지만, 샤리프는 케말의 주의를 분산시키고 전선을 약화시키는 데는 성공했다.
 
By 1917, the British had broken through Ottoman lines in the Sinai.
1917년 영국은 시나이에서 오스만의 전선을 돌파했다.
 
By the end of the next year, they had occupied much of the Ottoman south.
이듬해 말에는 오스만 남부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Entente forces were pushing north through Palestine and well into Syria, as well as circling around from Southern Mesopotamia.
협상국은 팔레스타인을 거쳐 시리아까지 북상하고 있었고, 메소포타미아 남부에서부터 주변을 포위하고 있었다.
 
Between the British and the heart of the Ottoman Empire stood one man.
영국과 오스만 제국의 심장부 사이에는 한 사람이 서 있었다.
 
Defense of the Southern front fell to Mustafa Kemal, who had risen to prominence after the Battle of Gallipoli.
남부 전선의 방어는 갈리폴리 전투 이후 두각을 나타낸 무스타파 케말에게 넘어갔다.
 
By September of 1918, it was becoming increasingly clear that the Ottoman Empire was flanked from all sides and could not hold the Levant.
1918년 9월이 되자 오스만 제국은 사방이 포위되어 레반트를 점령할 수 없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
 
When Cemal Pasha sent Kemal a stand-or-die order in Syria, Kemal resolutely refused.
제말 파샤가 케말에게 시리아에서 사수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케말은 단호하게 거부했다.
 
To the outrage of the Triumvirate, the commander retreated to a more defensible position in southeastern Anatolia, near the historic city of Alexandretta.
삼두정의 분노를 산 케말 사령관은 아나톨리아 남동부, 역사적인 도시 알렉산드레타 근처의 더 방어하기 쉬운 위치로 후퇴했다.
 
Entente forces had now been allowed to cross into Turkish lands as well, a major blow to Ottoman morale.
이제 협상국 군대도 튀르크 영토로 넘어올 수 있게 되었고, 오스만의 사기에 큰 타격을 입혔다.
 
This strategic gamble would, however, pay dividends for Kemal‘s forces in the end.
하지만 이 전략적 도박은 결국 케말의 군대에게 큰 성과를 가져다주었다.
 
The British, hoping to secure a killing blow against Anatolia, launched a major attack by advancing on the town of Maras.
영국은 아나톨리아에 대한 치명타를 노리고 마라스 마을로 진격해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했다.
 
However, a joint German-Ottoman force managed to hold out and push the British back.
그러나 독일과 오스만 연합군이 버티며 영국군을 밀어내는 데 성공했다.
 
At last, the British Army had been halted at the gates of Anatolia.
마침내, 영국군은 아나톨리아의 관문 앞에서 저지당했다.
 
After this victory, Kemal seemed poised to begin pushing the invaders back.
이 승리 이후 케말은 침략자들을 밀어내기 시작할 준비가 된 듯했다.
 
However, before he could launch a counterattack, Talat Pasha pulled a large section of his troops away from the Southern front to fight against Enver Pasha in the Caucasus.
그러나 반격을 시작하기도 전에 탈랏 파샤는 군대의 상당 부분을 남부 전선에서 철수시켜 코카서스에서 엔베르 파샤와 싸웠다.
 
This move gutted Kemal‘s ability to return Syria to Ottoman control, and seemed like an intentional hamstring on the part of Germany.
이 조치는 케말이 시리아를 오스만의 지배로 되돌리려던 계획을 무산시켰고, 독일 입장에서는 의도적인 방해 행위로 보였다.
 
Even worse, Ottoman intelligence services had begun reporting that the Germans were engaging with British diplomats in secret.
설상가상으로 오스만 정보기관은 독일군이 영국 외교관들과 비밀리에 접촉하고 있다고 보고하기 시작했다.
 
With the Central Powers fighting each other openly in the Caucasus, it was clear Germany had no intention of honoring Ottoman territorial integrity.
동맹국이 코카서스에서 공개적으로 서로 싸우고 있는 상황에서 독일은 오스만의 영토 보전을 존중할 의사가 없음이 분명했다.
 
With British support, the Germans could end the Great War in a peace deal that favored only Berlin, and threw her eastern ally to the wolves.
영국의 지원으로 독일은 베를린에만 유리한 평화 협정으로 대전쟁을 끝내고 동쪽의 동맹을 늑대에게 던져버릴 수도 있었다.
 
This diplomatic betrayal would mark the beginning of Kemal‘s aversion to the German Empire.
이 외교적 배신은 케말이 독일 제국에 대한 혐오의 시작을 알리는 계기가 된다.
 
Still a firm believer of the Ottoman cause, Kemal saw this backroom diplomacy as a great betrayal to the Ottoman people.
여전히 오스만의 대의를 굳게 믿었던 케말은 이 밀실 외교를 오스만 국민에 대한 큰 배신으로 여겼다.
 
In his fury, Kemal turned his attention to Constantinople.
분노에 찬 케말은 콘스탄티노플로 시선을 돌렸다.
 
In the capitol, tensions between the military and the Triumvirate were quickly reaching a boiling point.
수도 콘스탄티노플에서는 군부와 삼두정 사이의 긴장이 빠르게 비등점에 도달하고 있었다.
 
By April 2nd, 1919, Kemal decided he had had enough of the political theatre in the capitol.
1919년 4월 2일, 케말은 수도에서 벌어지는 정치극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다고 판단했다.
 
The dictatorship of Talat and Cemal Pasha was now openly dancing to the Kaiser‘s tune, the Sultan was under house arrest, and the Parliament clamored ever more for an end to the chaos.
탈라트와 제말 파샤의 독재는 이제 공개적으로 카이저의 장단에 맞춰 춤을 추고 있었고, 술탄은 가택 연금 상태였으며, 의회는 혼란을 끝내야 한다고 더욱더 외쳤다.
 
Kemal rallied his popular base against the authoritarian Triumvirate, and called for the military to seize control of the apparatus of state.
케말은 권위주의 삼두정에 반대하는 대중적 기반을 결집하고 군이 국가기구를 장악할 것을 촉구했다.
 
On April 21st, he issued the Alexandretta Proclamation.
4월 21일, 그는 알렉산드레타 선언을 발표했다.
 
From the trenches, Kemal called for the overthrow of the Young Turk dictatorship and an end to the Sultan‘s House Arrest.
참호에서 케말은 청년튀르크 독재 정권의 전복과 술탄의 가택 연금을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
 
The Pasha‘s would attempt to dismiss the commander, but underestimated his popularity with the populace.
파샤들은 사령관을 해임하려 했지만, 그의 대중적 인기를 과소평가했다.
 
Kemal was, after all, the hero of Gallipoli and Alexandretta who had held the British from taking Anatolia.
케말은 결국 영국군의 아나톨리아 점령을 저지한 갈리폴리와 알렉산드레타의 영웅이었기 때문이다.
 
The Pasha‘s, on the other hand, were considered to be corrupt schemers who had brought nothing but ruin to the empire.
반면 파샤들은 제국에 파멸만 가져온 부패한 계략가들로 여겨졌다.
 
When Kemalists rose up in the capitol to carry out his orders, the remnants of the Triumvirate knew their days were numbered.
케말파가 그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수도에서 봉기했을 때, 삼두정의 잔당들은 자신들의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Talat and Cemal Pasha fled the Empire shortly after the Alexandretta declaration, solidifying Kemal as the head of the Ottoman Army, and the new ruling political force within the Empire.
탈라트와 제말 파샤는 알렉산드레타 선언 직후 제국을 탈출했고, 케말은 제국의 새로운 지배 정치 세력인 오스만 군대의 수장으로 확고히 자리 잡았다.
 
-
 
By the time the Young Turk Triumvirate had come crashing down, the British Army was in full retreat from Anatolia.
청년튀르크 삼두정이 무너졌을 때 영국군은 아나톨리아에서 완전히 후퇴하고 있었다.
 
Their earlier advances had vastly overstretched the waning Royal Army, leaving large gaps in their occupation of the Levant.
그들의 초기 진격은 약해진 영국군을 크게 압박했고, 레반트 점령에 큰 공백을 남겼다.
 
Arab insurgents, sensing an opportunity to gain independence, turned their ire on the British.
독립의 기회를 포착한 아랍 반란군은 영국을 향해 분노를 표출했다.
 
This Arab unrest in Syria forced the Royal Army to retreat all the way back to Jerusalem.
시리아의 아랍인 동요로 영국군은 예루살렘까지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On November 6th, 1919 the Weltkrieg finally formally came to an end with the Treaty of Versailles.
1919년 11월 6일, 마침내 베르사유 조약으로 세계대전이 공식적으로 종결되었다.
 
For the Ottomans, this treaty promised an end to never-ending war, but only in theory.
오스만에게 이 조약은 끝없는 전쟁의 종식을 약속했지만 이론상일 뿐이었다.
 
While European diplomats toasted to peace in Europe, fighting would continue in the Middle-East and the Levant throughout the winter.
유럽 외교관들이 유럽의 평화를 위해 축배를 드는 동안에도 중동과 레반트에서는 겨울 내내 전투가 계속되었다.
 
The Caucasus theater would only be fully settled with the Caucasus Conference on November 30th.
코카서스 전역은 11월 30일에 열린 코카서스 회의에서야 완전히 해결될 수 있었다.
 
For Germany, gaining unfiltered access to oil-rich Azerbaijan was critical.
독일로서는 석유가 풍부한 아제르바이잔에 여과 없이 접근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Thus, the Kaiserreich resorted to Realpolitik once more, by diverting Ottoman attention in the region.
따라서 카이저라이히는 이 지역에서 오스만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다시 한번 현실정치(Realpolitik)에 의지했다.
 
To secure Georgia and Azerbaijan, the Kaiserreich was more than willing to throw Armenia to the Turks as a gesture of goodwill.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을 확보하기 위해, 카이저라이히는 선의의 제스처로 아르메니아를 튀르크에 기꺼이 넘겨주었다.
 
Initially, Mustafa Kemal, now holding power in Constantinople, was reluctant to accept the settlement.
콘스탄티노플에서 권력을 잡고 있던 무스타파 케말은 처음엔 이 합의를 받아들이기를 꺼려했다.
 
After the Germans had conspired with the Pasha‘s earlier, the Ottoman commander knew better than to trust any deal the Kaiser offered.
독일군이 앞서 파샤의 음모를 꾸민 적이 있었기 때문에, 오스만 사령관은 카이저가 제안하는 어떤 협상도 믿지 않았다.
 
When it came to Kemal‘s Ottoman Empire, the British and Germans seemed more than happy to set aside their differences and carve up the Turkish State.
케말의 오스만 제국에 관해서는 영국과 독일은 서로의 이견을 제쳐두고 튀르크 국가를 분할하는 데 기꺼이 동의하는 것처럼 보였다.
 
Despite his misgivings, public sentiment in Constantinople desired, above all, an end to the war years.
그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콘스탄티노플의 민심은 무엇보다도 전쟁의 종식을 원했다.
 
Betrayed by her allies, the Ottoman Empire reluctantly retreated from Georgia and Azerbaijan, and accepted Armenia as a concession.
동맹들에게 배신당한 오스만 제국은 마지못해 조지아와 아제르바이잔에서 후퇴하고 아르메니아를 양보로 받아들였다.
 
The Armenian government, once promised independence by Germany, was itself thrown to the wolves by yet another European colonial power.
독일로부터 독립을 약속받았던 아르메니아 정부는 또 다른 유럽 식민지 강대국에 의해 늑대에게 던져졌다.
 
What was left of the independent government fled or was jailed, but this betrayal would not soon be forgiven by the Armenians.
독립 정부에 남은 사람들은 도망치거나 투옥되었지만 아르메니아인들은 이 배신을 바로 용서하지 않았다.
 
The sole remaining obstacle to peace in the Caucasus was Enver Pasha‘s army of Islam, which continued to occupy much of Azerbaijan.
코카서스 평화의 유일한 장애물은 아제르바이잔의 대부분을 계속 점령하고 있던 엔베르 파샤의 이슬람의 군대뿐이었다.
 
It would be German-Azeri troops that finally dislodged the mad warlord from the Caucasus.
마침내 이 미친 군벌을 코카서스에서 몰아낸 것은 독일-아제르 군대였다.
 
After being decisively defeated, Enver Pasha took flight.
결정적인 패배를 당한 엔베르 파샤는 도주했다.
 
On September 3rd, 1920, the last of the Pasha‘s fled towards Turkmenistan in pursuit of his ethnic imperial desires, scattering his rogue army to the winds.
1920년 9월 3일, 마지막 남은 파샤는 민족적 제국의 욕망을 좇아 투르크메니스탄을 향해 도주했고, 그의 불량 군대는 바람에 흩어졌다.
 
In the South, the British Army had initially refused to retreat from Palestine and Basra.
남부에서 영국군은 처음엔 팔레스타인과 바스라에서 철수를 거부했다.
 
In the Holy Land, much like in the Caucasus, the Triumvirate regime had represented extreme ethnic violence, and reports of war crimes by Ottoman forces were common.
성지에서도 코카서스와 마찬가지로 삼두정 정권은 극단적인 인종 폭력을 대표했고, 오스만 군대의 전쟁 범죄에 대한 보고는 흔했다.
 
British diplomats presented themselves as the sole protector of the region‘s Jewish population, as the community there had been repeatedly persecuted during the Weltkrieg on direct orders of the Young Turks.
영국 외교관들은 이 지역 유대인 공동체가 청년튀르크의 직접적인 명령에 따라 세계대전 중에 반복적으로 박해를 받았기 때문에 영국이 이 지역 유대인의 유일한 보호자라고 자신을 내세웠다.
 
Sometime earlier, British forces had also begun evacuating Christian Assyrian communities from Northern Iraq to British holdings elsewhere.
얼마 전 영국군은 이라크 북부의 기독교 아시리아 공동체를 다른 곳에 있는 영국군 주둔지로 대피시키기 시작했다.
 
While the British presented themselves as humanitarian protectors, much of their operations in the Middle-east were also inspired by the desire for further colonial influence.
영국은 인도주의적 보호자라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중동에서의 작전 대부분은 식민지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했다.
 
Fighting between the British and Ottomans would continue into the 1920‘s as the two empires settled their borders in the Levant.
영국과 오스만 사이의 싸움은 1920년대까지 계속되었고, 두 제국은 레반트에서 국경을 확정지었다.
 
Here, after all the suffering of the Great War, the last chapter of the Weltkrieg would fade into a cynical colonial squabble.
세계대전의 모든 고통이 끝난 후, 세계대전의 마지막 장은 냉소적인 식민지 다툼으로 사라지게 된다.
 
Ultimately, the British-Ottoman stalemate would be resolved with the Jerusalem Conference in 1920.
결국 영국과 오스만 간의 교착 상태는 1920년 예루살렘 회의로 해결된다.
 
With the support of the German Empire and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the Ottomans agreed on a new peace in the region.
독일 제국과 미국의 지원으로 영국과 오스만은 이 지역의 새로운 평화에 합의했다.
 
Palestine, Basra, and the area around Mt.Lebanon would get a treaty status similar to the pre-war position of Egypt and Cyprus.
팔레스타인, 바스라, 레바논산 주변 지역은 전쟁 전 이집트와 키프로스의 지위와 유사한 조약상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Formally, all these areas would remain part of the Ottoman Empire.
공식적으로 이 모든 지역은 오스만 제국의 일부로 남았다.
 
In practice however, the Ottoman central government, the Sublime Porte, was forced to cede political control of these holdings.
그러나 실제로는 오스만 중앙 정부인 숭고한 관문은 이 지역들에 대한 정치적 통제권을 포기해야만 했다.
 
The holy land was placed under an international mandate, securing them against Ottoman aggression.
이 성지들은 오스만의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국제적 위임 하에 놓이게 되었다.
 
The treaty further specified war reparations to be paid to the Ottoman Empire, a return of seized Ottoman warships, and the official abolition of the Ottoman Debt Council.
이 조약은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전쟁 배상금 지급, 압수된 오스만 군함 반환, 오스만 부채 위원회의 공식 폐지 등을 추가로 명시했다.
 
One final thorn in the Ottoman‘s side was the Arab revolt of Sharif Hussein bin Ali, whose insurgents proved particularly determined fighters, even with little means.
오스만의 마지막 가시는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의 아랍 반란이었는데, 이 반란군은 적은 수단을 가지고도 결사적으로 싸우는 것으로 유명했다.
 
In 1919, the Arabs had taken Medina, where they brutally slaughtered a tenth of the remaining Ottoman Garrison.
1919년, 아랍인들은 메디나를 점령하고 남은 오스만 수비대의 10분의 1을 잔인하게 학살했다.
 
But, with the war ending on all other fronts, the remaining insurgents could not stand alone against the entire mass of the Ottoman Army.
그러나 다른 모든 전선에서 전쟁이 끝났고, 남은 반란군들은 오스만 군대 전체에 맞서 홀로 설 수 없었다.
 
Towards the end of 1920, Ali‘s revolt had been crushed.
1920년 말, 알리의 반란은 진압되었다.
 
The independent Rashidi and Saudi dynasties, which had drifted away from the Sublime Porte during the revolt, now bent the knee once more.
반란 기간 동안 숭고한 관문에서 멀어졌던 독립 라시드 왕조와 사우드 왕조는 이제 다시 한번 무릎을 꿇었다.
 
Despite all odds, the Ottoman Empire had survived to live into the 1920s.
모든 역경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은 살아남아 1920년대까지 존속했다.
 
From the outbreak of the Italo-Turkish War in 1911 to the end of the Arab Revolt in 1920, 9 years of continuous war had reduced the once mighty Empire to a patchwork of feudal dependencies and rogue forces, barely held together by Mustafa Kemal‘s authority.
1911년 이탈리아-튀르크 전쟁 발발부터 1920년 아랍 반란이 끝날 때까지, 9년간 계속된 전쟁은 한때 강대했던 제국을 무스타파 케말의 권위로 겨우 버티고 있는 봉건적 종속 세력과 불량 세력들의 집합체로 전락시켰다.
 
The Ottoman Empire had won every war it had partaken in, but only on paper.
오스만 제국은 참전한 모든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이는 서류상으로만 승리했을 뿐이었다.
 
In truth, Constantinople only navigated an end to her many wars under foreign mediation.
실제로 콘스탄티노플은 외국의 중재로 수많은 전쟁을 끝낼 수 있었을 뿐이었다.
 
The Turks would have peace, but only after being humiliated internationally and betrayed by her former allies.
튀르크는 평화를 얻었지만 국제적으로 굴욕을 당하고 옛 동맹들로부터 배신당한 후에야 비로소 평화를 되찾았다.
 
The once proud empire had been forced to give up territory and authority, and gained only pittances in return.
한때 자랑스러웠던 제국은 영토와 권력을 포기해야 했고, 그 대가로 얻은 것은 극히 미미한 것뿐이었다.
 
In addition, the wounds of a decade of war would not heal easily.
게다가 10년에 걸친 전쟁의 상처는 쉽게 아물지 않았다.
 
Armed tribes roved the Arabian Peninsula, paying little to no mind to Ottoman pretensions of authority.
무장 부족들은 아라비아 반도를 돌아다니며 오스만의 권위에 아랑곳하지 않았다.
 
The Caucasus returned to a status quo that heavily favored Berlin.
코카서스는 베를린을 크게 선호하는 현상 유지로 돌아갔다.
 
The Southern Levant had become a Western colony in all but name.
남부 레반트는 이름뿐인 서부 식민지가 되었다.
 
In truth, the Ottoman Empire had not died a sick man, not truly.
사실 오스만 제국은 진짜로 병들어 죽은 것이 아니었다.
 
The Empire had simply entered a state of suspended animation, and survived despite the failure of all her institutions.
제국은 단지 가사상태에 들어갔을 뿐이며, 모든 제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살아남은 것이다.
 
Western newspapers no longer called the Ottoman Empire ‘the sick man of Europe’.
서구의 신문들은 더 이상 오스만 제국을 '유럽의 병자'라고 부르지도 않았다.
 
Now, the Sublime Porte was simply referred to as ‘The Failed State’
이제 숭고한 관문은 단순히 '실패국가'로 불렸다.
 
-
 
Talya, my flower, my çiçeğim.
탈리아, 나의 꽃, 나의 치체임(꽃).
 
In the end, I sometimes wonder what the Great War really accomplished for us?
결국 대전쟁에서 우리가 정말 무엇을 성취했는지 궁금할 때가 있소.
 
Out in the Levantine Deserts, as we set out daily to police another raided settlement, log another bombed train, I do not believe we have gained much.
레반트 사막에서 매일같이 습격당한 또 다른 정착촌을 치안하고 폭격 당한 또 다른 열차를 기록하기 위해 출발했지만, 우리가 얻은 게 별로 없다고 생각하오.
 
The village calls me a veteran, a hero.
마을 사람들은 날 참전용사, 영웅이라고 부르지.
 
But you know the dark doubts of my heart, çiçeğim.
하지만 당신은 내 마음속의 어두운 의심을 알고 있을 거요, 치체임.
 
My career was not heroism – it was butchery.
내 경력은 영웅이 아니라 학살이었소.
 
I was lucky to have survived the war, when so many better men were left in those desert sands.
더 훌륭한 사람들이 사막의 모래밭에 남겨졌을 때 전쟁에서 살아남은 건 행운이었소.
 
I spend my days with you, but every night I return to the Levant.
나는 당신과 함께 낮을 보내지만 밤에는 레반트로 돌아가지.
 
I see a trail of Turks, Arabs, Greeks, Armenians and Kurds lay behind me – all dead, fighting over an empire that is nothing but a faded relic.
내 뒤에는 튀르크인, 아랍인,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쿠르드인이 모두 죽은채, 빛바랜 유물에 불과한 제국을 놓고 싸운 흔적이 남아있소.
 
I am tired, çiçeğim.
난 지쳤소, 치체임.
 
And tired men look for strong ones to guide them.
그리고 지친 사람은 자신을 이끌어줄 강한 사람을 찾지.
 
I cast our fates now with the Vizier Kemal.
나는 이제 우리 운명을 케말 대재상에게 맡겼소.
 
The one man who held faith, when all others gave up.
모두가 포기할 때 신념을 지킨 한 사람.
 
The man who broke the corrupt Young Turks, and pushed the British from our homeland.
부패한 청년튀르크당을 무너뜨리고 영국을 우리 조국에서 몰아낸 사람.
 
He sends me to the Middle-East, the lands of al-Saud, Egypt, Rashidi.
그는 날 중동, 알 사우드, 이집트, 라시드의 땅으로 보냈지.
 
There are rumblings in the West, çiçeğim.
서방에서 소란이 일고 있소, 치체임.
 
A new ideology, Syndicalism, spreads through our defeated Entente enemies.
새로운 이념인 노조주의가 패배한 협상국 적들을 통해 퍼져나가고 있지.
 
The winds of war blow Eastwards, my love, as they have always done.
전쟁의 바람은 항상 그랬던 것처럼 동쪽으로 불고 있소, 내 사랑.
 
I would tell you I am taking this posting to support the Vizier, to secure our land.
나는 우리 땅을 지키기 위해, 대재상을 지원하기 위해 이 자리를 맡는다고 말하겠소.
 
But we both know I just need… I just need… time.
하지만 우리는 그저… 그저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지.
 
Farewell, çiçeğim.
안녕히, 치체임.
 
I wish I were a stronger man.
내가 좀 더 강한 사람이었으면 좋았을걸.

 
-
 
In the end, the Long War in the East ended in exhaustion, rather than celebration.
결국 동방에서의 긴 전쟁은 축하는커녕 피로감으로 끝났다.
 
For the people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the 1920s would bring no great triumphs or ascending Empires.
동지중해의 사람들에게 1920년대는 위대한 승리나 제국의 부흥을 가져다주지 못했다.
 
The frontlines had instead settled into new, precarious stalemates.
대신 전선은 새롭고 불안정한 교착 상태에 빠졌다.
 
The Ottomans and Bulgarians had won the Weltkrieg, but at great cost.
오스만과 불가리아는 세계대전에서 승리했지만 엄청난 대가를 치렀다.
 
Both suffered from the demilitarization of their economy, and the slow decline of German aid.
두 나라 모두 경제가 비무장화되고 독일 원조가 서서히 감소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While Bulgaria had achieved her territorial ambitions, it had done so at the cost of internal stability – surrendering much of the hinterland to non-state actors.
불가리아는 영토적 야망을 달성했지만, 내적 안정을 희생하고 내륙의 대부분을 비국가 행위자에게 넘겨주는 대가를 치렀다.
 
Already in the 1920‘s, this nominal peace in the region seemed little more than a temporary ceasefire.
1920년대에 이미 이 지역의 명목상 평화는 일시적인 휴전에 불과해 보였다.
 
In the West, the Greeks were turning again to their hawkish politicians, showing no intention of honoring the Treaty of Versailles.
서방에서는 그리스인들이 다시 매파 정치인들로 돌아섰고, 베르사유 조약을 지킬 의사가 전혀 보이지 않았다.
 
In the South, a new Arab leadership emerged that appeared more than willing to continue the long war Hussein had started a decade before.
남쪽에서는 후세인이 10년 전에 시작한 긴 전쟁을 계속할 의지가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새로운 아랍 지도부가 등장했다.
 
Both London and Berlin would keep the lid on these tensions, for now.
런던과 베를린은 당분간 이러한 긴장을 숨기려 했다.
 
While the Ottoman Empire had regained some territory, it had also lost sovereignty over several of her larger holdings.
오스만 제국은 일부 영토를 되찾았지만, 더 큰 영토에 대한 주권을 잃기도 했다.
 
In truth, the costs of this German-dominated peace far outweighed their spoils.
사실 독일이 지배하는 이 평화의 대가는 전리품보다 훨씬 더 컸다.
 
In addition to territorial losses, the Sublime Porte was left with a devastated economy and an insurgency paralyzing her Arabian holdings.
영토 손실 외에도 숭고한 관문은 경제가 황폐화되고 반란으로 인해 아라비아 영토가 마비되는 피해를 입었다.
 
After a disastrous Caucasian adventure, the fall of the Triumvirate, and a humiliating peace in the Levant, the Empire lurched into the new decade barely clinging to life.
비참한 코카서스 모험, 삼두정의 몰락, 레반트에서의 굴욕적인 평화 이후, 제국은 간신히 명맥을 이어가며 새로운 10년을 맞이했다.
 
And yet, despite it all, there was reason for optimism.
하지만 이 모든 상황에도 불구하고 낙관할 만한 이유가 있었다.
 
Constantinople had not fallen.
콘스탄티노플은 함락되지 않았다.
 
The path towards reform and survival was narrow, but it was still open.
개혁과 생존을 향한 길은 좁았지만 여전히 열려 있었다.
 
The collapse of the Triumvirate in 1919 had shattered the politically entrenched CUP party, shifting power to Mustafa Kemal and the military staff.
1919년 삼두정의 붕괴로 정치적으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한 CUP당이 무너지면서 무스타파 케말과 군부에게 권력이 넘어갔기 때문이다.
 
Now politically ascendant, Kemal attained the position of Minister of War.
이제 정치적으로 승승장구한 케말은 전쟁부 장관의 자리에 올랐다.
 
His appointment by the Sultan represented, in many ways, a last-ditch effort to restore any semblance of authority to the realm.
여러모로 제국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한 최후의 노력으로서, 술탄의 임명을 받은 것이다.
 
Kemal had long dreamt of developing the Ottoman State into a modern republic.
케말은 오랫동안 오스만 제국을 현대 공화국으로 발전시키려는 꿈을 꾸었다.
 
For the time being, however, his efforts were blocked by the willful and authoritarian Sultan Mehmed, who would not soon forget the indignation of being jailed by his own government during the reign of the Pasha‘s.
그러나 당분간 그의 노력은 완고하고 권위주의적인 술탄 메흐메드에 의해 막혔고, 술탄은 파샤 통치 기간 동안 자신의 정부에 의해 투옥된 분노를 곧 잊지 못할 것이었다.
 
The restored Sultan tightened the grip of the monarchy, intervening in the political process to block any whiff of liberal legislation.
복권된 술탄은 군주제의 지배력을 강화하고 정치 과정에 개입하여 자유주의적 입법의 기미를 차단했다.
 
Elections were postponed, and repression against progressive parties was ramped up.
선거가 연기되고 진보 정당에 대한 탄압이 강화되었다.
 
Greeks, Armenians and Arabs, continually dissatisfied with Imperial policies, took to the streets.
제국의 정책에 지속적으로 불만을 품은 그리스인, 아르메니아인, 아랍인들은 거리로 나섰다.
 
Their grievances were further fueled by the lackluster trials following the devastating crimes inflicted upon them during the Weltkrieg.
세계대전 중 이들에게 가해진 끔찍한 범죄에 대한 재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자 이들의 불만은 더욱 커졌다.
 
What the Ottoman Empire lacked in central authority, it attempted to make up for in brutal repression.
오스만 제국은 중앙 권력이 부족한 부분을 잔인한 탄압으로 메우려고 했다.
 
In the hinterlands of the Empire, Ottoman military and police forces battled insurgents of all banners.
제국 내륙에서 오스만 군대와 경찰은 모든 깃발을 든 반란군과 전투를 벌였다.
 
Threats to the Ottoman State, from calls for democracy to separatist minority groups, were increasingly answered with the iron fist of the Sultan.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부터 분리주의 소수 집단에 이르기까지, 오스만 제국에 대한 위협은 점점 더 술탄의 철권 통치로 대응되었다.
 
However, these seemingly dire circumstances bore a silver lining.
그러나 이러한 끔찍해 보이는 상황에도 희망이 있었다.
 
France and Russia had ceased to be relevant powers in the region, as both nations had collapsed into left-wing revolutions in the chaotic post-war years.
프랑스와 러시아는 전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좌파 혁명으로 무너졌고, 이 지역에서 더 이상 강대국이 아니었다.
 
Now freed from foreign influence, Constantinople was able to aggressively nationalize companies and infrastructure once held by foreign owners.
이제 외국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콘스탄티노플은 외국인이 소유하고 있던 기업과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국유화할 수 있었다.
 
As a result, the Anatolian homeland found itself in an economic upswing.
그 결과 아나톨리아 본지는 경제적으로 활기를 되찾았다.
 
With France and Russia in the throes of revolution, and the British Empire in decline, the former hegemons were powerless to protest.
프랑스와 러시아가 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대영제국이 쇠퇴하는 상황에서 이전 패권국들은 항의할 힘이 없었다.
 
In a few feverish years of consolidation, almost all of the Empire‘s railways, ports and power lines were returned to the rule of the Sublime Porte.
몇 년간의 열띤 통합 작업 끝에 대영제국의 거의 모든 철도, 항구, 전력선이 숭고한 관문의 통치하에 반환되었다.
 
Tax revenue from these assets fueled an unprecedented economic boom.
이러한 자산에서 거둬들인 세수는 전례 없는 경제 호황을 불러왔다.
 
Even more enticing was the incredible growth of the Ottoman oil industry, whose Iraqi oil fields fueled Germany‘s economic resurgence after the war.
더욱 매력적인 것은 오스만 석유 산업의 놀라운 성장으로, 이라크 유전은 전쟁 후 독일의 경제 부흥을 이끌었다.
 
-
 
While the Ottoman Empire consolidated her rule at home, a new storm was brewing to the West.
오스만 제국이 국내에서 통치를 공고히 하는 동안 서쪽에서는 새로운 폭풍이 몰아치고 있었다.
 
The Treaty of Versailles had aimed to bring a new order to the Balkans, but failed to meet the defeated nations halfway.
베르사유 조약은 발칸 반도에 새로운 질서를 가져오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패전국들의 반대에 부딪혀 실패했다.
 
German and Austrian influence had once guaranteed the Treaty, but both powers were now increasingly absorbed by their own domestic crises and the rise of Syndicalism abroad.
한때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영향력이 조약을 보장했지만, 두 영향력은 이제 자국 내 위기와 해외에서 노조주의의 부상에 점점 더 흡수되고 있었다.
 
This left the onus of guarding the new balance of power to Bulgaria and the Ottoman Empire, and neither was truly up to the task.
이로 인해 새로운 힘의 균형을 지켜야 할 책임은 불가리아와 오스만 제국에 남겨졌지만, 두 나라 모두 이를 감당할 능력이 없었다.
 
After the Great War, Bulgaria had claimed the mantle of hegemon of the Balkans.
대전쟁 이후 불가리아는 발칸 반도의 패권을 차지했다.
 
With much of Macedonia, Thrace, Serbia and Dobruja under its control, it would be the Bulgarians who would have to guarantee stability in this region.
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세르비아, 도브루자의 대부분을 지배하고 있던 불가리아는 이 지역의 안정을 보장해야 했다.
 
By the end of the war, Bulgaria had demanded, and received, an incredible amount of territory from her neighbors.
전쟁이 끝날 무렵 불가리아는 이웃 국가들에게 엄청난 양의 영토를 요구 및 확보했다.
 
This Bulgarian greed was happily enabled by Germany, who considered Sofia to be a more reliable partner in the Balkans than Constantinople. 
이러한 불가리아의 탐욕은 콘스탄티노플보다 소피아를 발칸 반도에서 더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 여겼던 독일이 기꺼이 도와주었다.
 
Now, the Bulgarian Czar had his Tsardom spanning two seas.
이제, 불가리아의 차르는 두 개의 바다에 걸친 차르국을 가지게 되었다.
 
Yet, it was evident that the czar‘s eyes were bigger than his stomach.
하지만 차르의 눈은 배보다 더 큰 것이 분명했다.
 
Bloated and war-torn, the Sofia government was not able to assert any meaningful authority over her new territories.
비대하고 전쟁으로 피폐해진 소피아 정부는 새로운 영토에 대해 의미 있는 권위를 주장할 수 없었다.
 
Constant uprisings by Serbs, Romanians and Greeks prevented the nation from finding any semblance of normalcy until 1924, when it was finally able to demobilize.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그리스인의 끊임없는 반란으로 인해 1924년 마침내 동원령을 해제할 수 있을 때까지 국가는 정상적인 모습을 찾지 못했다.
 
Economically, the “Prussia of the Balkans” had become completely reliant on German economic aid.
경제적으론 '발칸 반도의 프로이센'은 독일의 경제 원조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었다.
 
In Sofia, governmental collapse and re-elections had become a part of everyday life.
소피아에서는 정부 붕괴와 재선거가 일상의 일부가 되었다.
 
In 6 years, almost a dozen Bulgarian governments had been formed and dissolved, some lasting no more than a month.
6년 동안 거의 12개의 불가리아 정부가 구성되고 해산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한 달을 넘기지 못했다.
 
Even worse, when the nation demobilized, it left hundreds of thousands of soldiers jobless, broke, and bitter.
설상가상으로 국가 동원령 해제로 수십만 명의 군인들이 실직과 파산, 실의에 빠졌다.
 
These veterans turned to the Military League, a far-right organization that openly desired to overthrow Bulgaria‘s fragile democracy.
이 퇴역 군인들은 불가리아의 취약한 민주주의를 전복시키려는 극우 단체인 군사동맹으로 향했다.
 
The Military League projected its power over Bulgaria through the so-called Ohrana, a paramilitary organization that held sway in much of the Tsardom‘s new territories.
군사동맹은 차르정의 새로운 영토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던 준군사 조직인 오흐라나를 통해 불가리아에 자신들의 권력을 투사했다.
 
For all intents and purposes, the government in Sofia controlled only half the country, while the other half was surrendered to the Ohrana shadow state.
모든 의도와 목적에 따라 소피아 정부는 국가의 절반만 통제했고, 나머지 절반은 오흐라나의 그림자 국가에 항복했다.
 
-
 
The real threat to Balkan stability came not from the struggling Bulgarians however, but rather from the vengeful Greeks.
그러나 발칸 반도의 안정에 대한 진정한 위협은 고군분투하는 불가리아가 아니라 복수심에 불타는 그리스였다.
 
Greece had ended the war prematurely, in hopes of finding a more favorable peace.
그리스는 더 유리한 평화를 기대하며 전쟁을 조기에 종결했다.
 
In the end, Greece was forced to cede Thrace to Bulgaria and the Aegean Islands to the Ottoman Empire.
결국 그리스는 트라키아는 불가리아에, 에게해 제도는 오스만 제국에 양도해야 했다.
 
Additionally, the Hellenic State was burdened with the hefty weight of reparations, to be paid to the Central Powers.
또한 헬라스국은 동맹국에에 지불해야 하는 막대한 배상금에 대한 부담을 안게 되었다.
 
All in all, this was a relatively mild outcome compared to the harsh treatment endured by Serbia, Romania, and Russia.
대체로 세르비아, 루마니아, 러시아가 받은 가혹한 대우에 비하면 비교적 온건한 결과였다.
 
Initially, it seemed like the Greeks were likely to settle into an isolationist monarchy.
처음에는 그리스인들이 고립주의 군주제에 안주할 것 같았다.
 
However, the Hellenic state could swing widely between accepting this new status quo, or adopting the ultra-nationalist ambitions of uniting all Greek lands, the so-called Megali Idea.
그러나 그리스는 이 새로운 현상 유지를 받아들일 것인지, 아니면 모든 그리스인 영토를 통합하려는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야망, 이른바 메갈리 이데아를 채택할 것인지 사이에서 크게 흔들렸다.
 
The instability in Athens came to a head during the 1920 Pangalos crisis, which nearly tipped the Balkans into yet another Balkan War.
아테네의 불안정성은 1920년 판갈로스 위기에서 최고조에 달했고, 이는 발칸 반도를 또 다른 발칸 전쟁으로 몰아넣을 뻔했다.
 
That year, the democratic process in Athens was overturned by a putsch led by Theodoros Pangalos.
그해 아테네의 민주화 과정은 테오도로스 판갈로스가 주도한 쿠데타에 의해 뒤집혔다.
 
At first glance, the coup leader subscribed to the idea of the Greater Greek State.
언뜻 보기에 쿠데타 지도자는 대그리스 국가라는 아이디어에 동의했다.
 
Despite his populist streak, he seemed more interested in total control of Greece than he was in foreign policy.
중우주의적인 행보에도 불구하고 그는 외교 정책보다는 그리스에 대한 완전한 통제에 더 관심이 있어 보였다.
 
Not long after his rise, Pangalos seized all Greek institutions, proclaimed the Second Hellenic Republic, and made himself the undisputed dictator of the country.
집권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판갈로스는 그리스의 모든 기관을 장악하고 제2 그리스 공화국을 선포한 후 확실한 독재자로 군림했다.
 
For the Sublime Porte, the ‘mad dictator of Greece’ was a major concern, one that only worsened when Pangalos made his first move.
숭고한 관문에게 '그리스의 미친 독재자'는 주요 걱정거리였고, 판갈로스가 첫 번째 움직임을 보였을 때 더 악화될 뿐이었다.
 
Without second consideration, he demanded the return of all Greek territory from Bulgaria under threat of military action.
그는 두 번째 고려 없이 군사 행동을 위협하며 불가리아에 그리스의 모든 영토를 반환하라고 요구했다.
 
Sofia declined, believing it could call Athens‘ bluff.
소피아는 아테네의 허세일 수 있다고 판단하여 이를 거절했다.
 
By July 1921, skirmishes broke out along the Greek-Bulgarian border, and the world held its breath, fearing yet another Balkan War.
1921년 7월 그리스-불가리아 국경에서 교전이 벌어졌고, 전 세계는 또 다른 발칸 전쟁을 우려하며 숨을 죽였다.
 
The crisis was averted, however, when Pangalos found himself at the short end of a counter-coup.
하지만 판갈로스의 집권은 반쿠데타로 짧은 끝을 맞이하고 전쟁은 회피되었다.
 
The new Greek government quickly deescalated the rising tensions and agreed to abide by the Treaty of Versailles.
새로운 그리스 정부는 빠르게 긴장을 완화하고 베르사유 조약을 준수하기로 합의했다.
 
While the Pangalos crisis was short-lived, the mad dictator would cast a long shadow over Greece.
판갈로스 위기는 단기간에 끝났지만 미친 독재자는 그리스에 긴 그림자를 드리우게 된다.
 
The coup and countercoup would further destabilize Greek political structures, and set the stage for a decade of turmoil in Athens.
쿠데타와 반쿠데타는 그리스 정치 구조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었고, 아테네에서는 10년간의 혼란의 시대가 열린다.
 
-
 
Despite nominally controlling Arabia, embers of the Arab Revolt continued to simmer.
(오스만이) 명목상으로는 아라비아를 지배하고 있었지만 아랍 반란의 불씨는 계속 끓어오르고 있었다.
 
Several Ottoman subjects had filled the void left by waning central authority.
몇몇 오스만 속주들이 중앙 권력의 약화로 인한 공백을 메웠다.
 
The most important among these was Hejaz, which played a large role during the Weltkrieg.
그중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곳이 바로 세계대전 중 큰 역할을 한 헤자즈였다.
 
While still an Ottoman holding, Hejaz was culturally important to the Arab spirit.
헤자즈는 여전히 오스만의 지배를 받고 있었지만 아랍 정신에 있어 문화적으로 중요한 지역이었다.
 
After all, it was the region which contained both of Islam‘s holy cities: Mecca and Medina, the control of which had long been a pillar of Ottoman power.
헤자즈에는 오랫동안 오스만 권력의 기둥이었던 메카와 메디나라는 두 성지가 모두 있는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In Mecca, the Turks could claim to hold the mantle of protector of the Ummah, the global society of Islam.
튀르크는 메카에서 전 세계 이슬람 사회인 움마의 수호자 역할을 자처할 수 있었다.
 
Despite all this, Ottoman influence had been receding from these holy sites, being replaced instead by nascent Arab nationalism.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성지에서 오스만의 영향력은 점점 줄어들고 있었고, 아랍 민족주의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In truth, Ottoman control of her Arab client states was built on quicksand.
사실 오스만의 아랍 의존국에 대한 지배는 유사(流沙)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Arab regions like Hejaz paid lip service to the central government, while never ceasing their efforts to undermine the authority of the Sublime Porte in Arabia.
헤자즈와 같은 아랍 지역은 중앙 정부에 입 발린 말을 하면서도 아라비아에서 숭고한 관문의 권위를 약화시키려는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
 
Hejaz was not the only aspiring Arab force in the region, however.
그러나 헤자즈만이 이 지역의 유일한 아랍 세력은 아니었다.
 
Outside of the Ottoman and British spheres were the only Arab states that could claim some independence – the Rashidi-led Emirate of Jabal Shammar to the north, and the Saudi-dominated states of Nejd and Hasa to the south.
오스만과 영국의 영향권 밖에서 독립을 주장한 유일한 아랍 국가는 북쪽의 라시드가 이끄는 자발 샤마르 에미르국과 남쪽의 사우드가 지배하는 네지드-하사였다.
 
While nominally, both were tributary states to the Ottoman Empire, the outlooks of the two feuding countries were very different, indeed.
명목상으로는 두 국가 모두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었지만, 실제로 분쟁 중인 두 국가의 전망은 매우 달랐다.
 
Jabal Shammar closely aligned itself with the Ottoman Empire.
자발 샤마르는 오스만 제국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었다.
 
This client state had remained loyal to the Sublime Porte during the Weltkrieg, and even during the Arab Revolt.
이 의존국은 세계대전 중에도, 심지어 아랍 반란 중에도 숭고한 관문에 대한 충성심을 유지했다.
 
For this loyalty, the Rashidi rulers of the Emirate would see handsome rewards.
이러한 충성심 덕에 에미르국의 라시드 통치자들은 엄청난 보상을 받았다.
 
The Ottoman Empire was keen to keep the Rashidis on their side, as they protected the vulnerable Ottoman South.
오스만 제국은 라시드가 취약한 오스만 남부를 보호해 주었기 때문에 그들을 계속 자기 편에 두고 싶어 했다.
 
Kissing the ring of Constantinople was not without its dangers, however.
하지만 콘스탄티노플의 반지에 입맞추는 데 위험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Their alignment to the Sublime Porte made the Rashidis hated in the Arabian world.
숭고한 관문과 동맹을 맺은 라시드는 아라비아 세계에서 미움을 받았다.
 
Nejd and Hasa, led by the hyper-conservative Saudi dynasty, did not share Rashidi loyalty to the Ottomans.
극도로 보수적인 사우드 왕조가 이끄는 네지드-하사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라시드의 충성심을 공유하지 않았다.
 
Both families would feud over control of the peninsula during the Weltkrieg, but a decisive victory never came.
두 가문은 세계대전 중 반도의 지배권을 놓고 다투었지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The Saudis had hoped for British support in the Arab uprising, but saw the Entente back the rivaling Sharif of Mecca instead.
사우드는 아랍 봉기에서 영국의 지원을 바랐지만 협상국은 대신 경쟁자인 메카의 샤리프를 지원했다.
 
Not wanting to help their nemesis, the Saudis fell into an awkward neutrality during the war.
숙적을 돕고 싶지 않았던 사우드는 전쟁 기간 동안 어색한 중립을 취했다.
 
At times, they would even side with the Ottomans by launching raids into the Entente-aligned Hejaz.
때로는 협상국과 동맹을 맺은 헤자즈에 공습을 감행하여 오스만 제국의 편에 서기도 했다.
 
Still, the Saudi state held no love for their Central Powers associates.
하지만 사우드국은 동맹국에 대한 애정이 전혀 없었다.
 
The end of the Weltkrieg had gained Nejd and Hasa absolutely nothing, save for an even more overbearing Ottoman adversary.
세계대전이 끝나자 네지드-하사는 더 강력한 오스만이라는 적 외에는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This stagnation and turmoil continued to mark the Arabian Peninsula until the balance of power dramatically shifted in 1925.
1925년, 힘의 균형이 극적으로 바뀔 때까지 아라비아 반도에는 이러한 침체와 혼란이 계속되었다.
 
That year would go down in infamy as the start of the British Syndicalist Revolution.
그 해는 영국 노조주의 혁명이 시작된 악명 높은 년도로 기록될 것이다.
 
-
 
This Syndicalist revolution would shatter the delicate post-war balance in the Middle-East.
이 노조주의 혁명은 전후 중동의 미묘한 균형을 무너뜨렸다.
 
The British Empire had long been considered unassailable.
대영제국은 오랫동안 난공불락으로 여겨져 왔다.
 
Even after a humiliating defeat in the Great War, London continued to project strength around the world through her vast holdings and powerful navy and economy.
대전쟁에서 굴욕적인 패배를 당한 후에도, 런던은 광대한 영토와 강력한 해군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전 세계에 힘을 과시했다.
 
London‘s shadow ever loomed over the Levant, where it procured concessions through the Western-administrated Jerusalem accords.
서방이 관리하는 예루살렘 협정을 통해 양보를 얻어낸 레반트에는 런던의 그림자가 항상 드리워져 있었다.
 
This new status quo was not to last.
이 새로운 현상유지는 오래가지 못했다.
 
Ever since the end of the Great War, Germany had been chipping away at British hegemony.
대전쟁이 끝난 이후 독일은 영국의 패권을 조금씩 깎아내리고 있었다.
 
In 1925, the Kaiser would finally get his wish, but perhaps not in the way he would have liked it.
1925년, 카이저는 마침내 소원을 이루게 되지만 아마 그가 원했던 방식은 아니었을 것이다.
 
That year, wildcat labor strikes across Britain quickly turned into a full-scale revolution, funded by French syndicalists.
그해 영국 전역에서 벌어진 비승인 노동자 파업은 프랑스 노조주의자들의 지원을 받아 본격적인 혁명으로 발전했다.
 
The scale and speed at which the British Home Isles fell to revolution baffled observers.
영국 본토가 혁명에 휩쓸린 규모와 속도는 관찰자들을 당황하게 했다.
 
When London was taken by Syndicalist forces, they proclaimed the new Union of Britain, and pushed the imperial elite into exile in Canada.
런던이 노조주의 세력에 의해 점령되자 그들은 새로운 브리튼 연방을 선포하고 제국 엘리트들을 캐나다로 망명시켰다.
 
The loss of the Home Isles effectively cut the British Empire off at the head, and began a process of rapid decline.
대영제도를 잃은 대영제국은 사실상 수뇌부와 단절되었고, 급격한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Over the next few years, London‘s Empire would dissolve until it was nothing more than a squabbling alliance of loyalist remnants.
이후 몇 년 동안 대영제국은 해체되어 충성파 잔당들의 다툼으로 얼룩진 동맹에 지나지 않게 된다.
 
The British Empire, a stabilizing force in the Middle-East for nearly two centuries, seemed to have vanished overnight, leaving a major power vacuum in her wake.
거의 2세기 동안 중동을 안정시켰던 대영제국은 하룻밤 사이에 사라진 것처럼 보였고, 그 여파로 큰 권력 공백이 생겼다.
 
At first, dissolution of British authority brought some relief to the Ottoman cause.
처음에는 대영제국의 해체가 오스만의 대의에 어느 정도 안도감을 가져다주었다.
 
Since the unceremonious retreat of the United Kingdom in the Weltkrieg after 1919, few of the Middle-Eastern States had strong ties with the British as a reliable partner.
1919년 이후 영국이 세계대전에서 무례하게 후퇴한 이후 중동 국가 중 영국과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서 강한 유대 관계를 맺은 국가는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While the global market shock still rocked the Ottomans, Constantinople had long before shifted her economy towards Berlin and Vienna, rather than London.
세계 시장 충격이 여전히 오스만을 흔들고 있었지만 콘스탄티노플은 이미 오래 전부터 런던이 아닌 베를린과 빈으로 경제 중심지를 옮겼다.
 
However, the indirect geopolitical impact of Britain‘s fall was enormous.
그러나 영국의 몰락이 지정학적으로 미친 간접적인 영향은 엄청났다.
 
With central authority dissolving, British holdings in Cyprus, the Persian Gulf, and most notably Egypt became sudden political wildcards.
중앙 정부가 해체되면서 키프로스, 페르시아만, 특히 이집트의 영국 영토는 갑자기 정치적 와일드카드가 되었다.
 
The Suez Canal no longer had an owner.
수에즈 운하는 더 이상 주인이 없었다.
 
The waters of the Mediterranean were no longer protected by the Royal Navy.
지중해 해역은 더 이상 영국 해군에 의해 보호되지 않았다.
 
The fragile balance in the region had been fractured.
지역의 깨지기 쉬운 균형이 깨졌다.
 
Between the encroaching Germans and the collapse of the British Empire, the nations of the Eastern Mediterranean found themselves in a constantly shifting environment, fueling political instability for decades to come.
독일의 잠식과 대영제국의 붕괴 사이에서 동부 지중해의 국가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처하게 되었고, 이는 향후 수십 년 동안 정치적 불안정을 야기했다.
 
-
 
Most prominently, the retreat of Britain‘s hand from the Islamic world guaranteed the independence of Persia and Egypt, forever altering the precarious power balance of the Middle East.
무엇보다도 영국이 이슬람 세계에서 손을 떼면서 페르시아와 이집트의 독립이 보장되었고, 중동의 불안정한 세력 균형이 완전히 바뀌었다.
 
Free from London‘s shackles, the resurgent Egyptian Kingdom was hellbent on eclipsing the Ottomans as the dominant force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런던의 족쇄에서 벗어나 부활한 이집트 왕국은 오스만을 제치고 동부 지중해의 지배 세력으로 부상하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다.
 
Egyptian self-rule would have large ramifications.
이집트의 자치권은 큰 파급력을 가져올 것이었다.
 
The rise of a challenger in Cairo reignited nationalist fervor in Arabia, Armenia, Greece, and even Persia.
카이로에 도전자가 등장하자 아라비아, 아르메니아, 그리스, 심지어 페르시아까지 민족주의 열기에 다시 불이 붙었다.
 
The Arab flag over Cairo became a focal point for all Arabs who opposed the Ottoman Empire, and showed that there was a future for Arabia free from imperialist rule.
카이로의 아랍 국기는 오스만 제국에 반대하는 모든 아랍인의 구심점이 되었고, 제국주의 통치로부터 자유로운 아라비아의 미래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Ottoman Empire now faced a new, post-colonial Middle-east.
오스만 제국은 이제 새로운 탈식민지 중동을 마주하게 되었다.
 
The British foe had now been replaced with a new Egyptian and Persian one.
적 영국은 이제 이집트와 페르시아로 대체되었다.
 
Despite these new challengers, however, the Ottoman Empire too gained much from the end of the British Empire.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도전자에도 불구하고 오스만 제국 역시 대영 제국의 종말을 통해 많은 것을 얻었다.
 
While the British did not control any parts of the Sublime Porte directly, their hated influence was everywhere, from the internationally administered banks and railways to the Western mandate states of the near East.
영국은 숭고한 관문의 어떤 부분도 직접 통제하지 못했지만, 국제적으로 관리되는 은행과 철도부터 근동의 서구 위임 국가에 이르기까지 곳곳에 영국의 영향력이 미쳤었다.
 
Without the Royal Army there to back London‘s claims, most of these holdings returned to direct Ottoman control.
런던의 주장을 뒷받침할 영국군이 없었기에 대부분의 소유지는 오스만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돌아갔다.
 
For the Empire, it would be the start of a chapter of Ottoman Reconstruction.
제국에게 이는 오스만 재건의 시작이 될 것이었다.
 
-
 
In the Caucasus, the Ottomans had learned to capitalize quickly on any opportunity.
코카서스에서 오스만은 어떤 기회라도 빠르게 활용하는 법을 배웠다.
 
This was, after all, an age defined by Realpolitik, and the perfidious Kaiserreich was never far away.
결국 이 시대는 현실정치로 정의되는 시대였고, 잔혹한 카이저라이히는 결코 멀리 있지 않았다.
 
As soon as the Royal army retreated, the Ottomans moved quickly to secure concessions lost in the previous century.
영국군이 퇴각하자마자 오스만은 지난 세기에 잃었던 영토를 확보하기 위해 빠르게 움직였다.
 
Within months, the Ottoman army had secured Cyprus, reintegrated Basra, annexed Kuwait, and moved onto the British Sinai.
몇 달 만에 오스만 군대는 키프로스를 확보하고 바스라를 재통합하고 쿠웨이트를 합병한 후 영국령 시나이로 이동했다.
 
Here, however, they would be contested by the freshly arrived German Fleet, which snatched the Suez canal away from the Sultan‘s grasp.
그러나 이곳에서도 막 도착한 독일 함대가 수에즈 운하를 술탄의 손아귀에서 빼앗아 경쟁을 벌이게 된다.
 
Like Constantinople, Berlin was equally eager to fill the void left by the British Empire.
콘스탄티노플과 마찬가지로 베를린도 대영제국의 공백을 메우고 싶어 했다.
 
Losing the Suez canal to German meddling constituted a loss of prestige – and considerable income – for the Sublime Porte.
독일의 간섭으로 수에즈 운하를 잃은 것은 숭고한 관문의 위신과 상당한 수입을 잃은 것이나 다름없었다.
 
Grievances such as these would further fracture the relations between the former Central Power allies.
이러한 불만은 구 동맹국 국가 간의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
 
In the wake of the colonial scramble, relations between Constantinople and Berlin, already cold after the Caucasus War, became downright adversarial.
식민지 쟁탈전의 여파로 코카서스 전쟁 이후 이미 냉랭했던 콘스탄티노플과 베를린은 완전히 적대적인 관계가 되었다.
 
Despite this, British collapse proved to be beneficial for the Ottomans in the long-term.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붕괴는 장기적으로 오스만에게 유익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Foreign-owned banks were closed, and replaced by the brand-new Ottoman National Honor bank.
외국 소유의 은행은 문을 닫고 새로운 오스만 국영 은행으로 대체되었다.
 
With foreign influence receding, the Ottoman Empire was once again free to grow and develop on its own terms.
외국의 영향력이 사라지면서 오스만 제국은 다시 한번 독자적인 방식으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는 자유를 얻었다.
 
Furthermore, the Sublime State was quickly becoming a global oil exporter.
게다가 숭고한 오스만국은 빠르게 세계적인 석유 수출국이 되었다.
 
This steady flow of black gold would fund many Ottoman reconstruction and modernization efforts, including a sprawling railway network.
이렇게 꾸준히 유입된 검은 황금은 거대한 철도망을 비롯한 오스만 제국의 재건과 현대화를 위한 많은 노력에 자금을 지원했다.
 
Industrialization efforts swept across the region, and it was apparent that a new age had dawned for the Middle-East.
산업화 노력이 중동 전역을 휩쓸면서 중동에 새로운 시대가 도래한 것이 분명해졌다.
 
This economic springtime would bring with it a thaw of the authoritarian Ottoman regime.
이러한 경제적 봄날은 권위주의적인 오스만 정권의 해빙과 함께 찾아왔다.
 
By early 1926, the harsh rule of Sultan Mehmed VI came to an end.
1926년 초, 술탄 메흐메드 6세의 가혹한 통치가 막을 내렸다.
 
The unpopular Sultan was succeeded by his more moderate cousin, Abdülmecid II.
인기 없는 술탄은 온건한 사촌인 압뒬메지트 2세가 뒤를 이었다.
 
The new Sultan proved his more modern points of view by calling for general elections, and lifted the ban on political organizations in 1927.
1927년 새로운 술탄은 총선거를 실시하여 자신의 현대적인 관점을 증명하고 정치 조직에 대한 금지령을 해제했다.
 
Two parties emerged in this widening political landscape.
이렇게 넓어진 정치 지형에서 두 정당이 등장했다.
 
Mustafa Kemal, the decorated war hero, absorbed many remnants of the former Young Turks into his Ottoman Peoples Party, or OPP.
전쟁 영웅으로 훈장을 받은 무스타파 케말은 오스만 인민당(OPP)에 구 청년튀르크당의 잔존 세력을 대거 흡수했다.
 
His growing party was dedicated to secularization, centralization, and modernization.
그의 당은 세속화, 중앙집권화, 현대화에 전념하며 성장했다.
 
His main adversary was the Freedom and Accord Party, or FAP, which staunchly opposed Mustafa Kemal‘s centralization efforts.
그의 주요 정적은 무스타파 케말의 중앙집권화에 완강히 반대하는 자유협정당(FAP)이었다.
 
Its promise of decentralization and a more pluralistic interpretation of the Empire made it an appealing party to the Empire‘s non-Turkish population, which had remained sidelined in recent social and economic reforms.
분권화와 제국에 대한 보다 다원적인 해석을 약속한 이 정당은 최근 사회 및 경제 개혁에서 소외되었던 제국의 비튀르크계 인구에게 매력적인 정당이 되었다.
 
The elections of 1927 would not see a decisive victory for either party.
1927년 선거에서는 어느 당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
 
While a liberal wind did sweep through the Ottoman Empire, issues around centralization and minority rights fragmented public opinion.
자유주의 바람이 오스만 제국을 휩쓸었지만 중앙집권화와 소수민족 권리를 둘러싼 이슈가 여론을 분열시켰기 때문이다.
 
In the end, Mustafa Kemal, as leader of the largest party, was appointed Grand Vizier by the Sultan.
결국 무스타파 케말은 최대 정당의 지도자로서 술탄에 의해 대재상에 임명되었다.
 
Despite lacking a clear electoral majority, Kemal set the Empire onto his path of modernization.
케말은 선거에서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했지만 제국을 현대화의 길로 이끌었다.
 
He wasted no time developing his new brand of Turkish Nationalist rule, with a liberal flair.
그는 자유주의적 감각으로 튀르크 민족주의 통치라는 새로운 브랜드를 개발하는 데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다.
 
The economy was nationalized, censorship laws were loosened, and in all dimensions of public life, Kemal separated state and religion.
경제는 국유화되었고 검열법은 완화되었으며 케말은 모든 공공 생활에서 국가와 종교를 분리했다.
 
Kemal‘s feverish secularization would make him many enemies, however.
그러나 케말의 열렬한 세속화는 많은 적을 만들었다.
 
Religious elites, non-Muslim minorities and non-Turkish ethnic groups had little appetite for the changes Mustafa Kemal was enforcing.
종교 엘리트, 비무슬림 소수민족, 비튀르크계 소수민족은 무스타파 케말이 강요하는 변화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His opposition would unite in new parties, endeavoring to oppose Kemal‘s secularization efforts.
그의 반대파는 새로운 정당을 결성하여 케말의 세속화 노력에 반대하기 위해 노력했다.
 
The more conservative opposition united in the Ottoman Defense Party, or ODP.
보다 보수적인 야당은 오스만 국방당(ODP)으로 통합했다.
 
They were joined by the older FAP, and a new more radical Ottoman Party for decentralization.
여기에 더 오래된 FAP와 지방 분권을 주장하는 보다 새롭고 급진적인 오스만당이 합류했다.
 
While each of these opposition parties had strong feelings about how the Empire should function, they agreed to work together to keep Kemal from achieving his total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이들 야당은 제국이 어떻게 운영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각기 강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지만, 케말이 완전한 정교 분리를 달성하지 못하도록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Under Kemal‘s term, the Ottoman Empire experienced a general increase in the standard of living.
케말의 재임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은 전반적으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
 
Imported electronics and an ever-expanding railway network continued to connect Anatolia to the vast outlying territories, which had long been scarred by war and neglect.
수입된 전자제품과 계속 확장되는 철도망은 아나톨리아를 오랫동안 전쟁과 방치로 상처를 입었던 광활한 외곽 지역과 연결해 주었다.
 
Despite these advancements, Kemal‘s aggressive and ruthless centralization did little to abate the unrest in Arab lands.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케말의 공격적이고 무자비한 중앙집권화는 아랍 땅의 불안을 완화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다.
 
This unrest was particularly capitalized upon by the religious OPAD, which actually managed to defeat Kemal‘s OPP in the General Elections of 1931.
이러한 불안은 특히 1931년 총선에서 케말의 인민당을 물리친 종교적 오스만당에 의해 더욱 심화되었다.
 
The new Grand Vizier, Haqqi al-Azm, would not enjoy a stable tenure either.
새로운 대재상인 하크치 알 아즘 역시 안정적인 임기를 누리지는 못했다.
 
His cabinet was formed of a so-called ‘Grand Coalition’, a broad alliance which included the more liberal- minded OPAD and FAP, as well as the conservative OPP.
그의 내각은 이른바 '대연정'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연정에는 보수적인 인민당뿐만 아니라 보다 진보적인 성향의 오스만당과 자유협정당이 포함되었다.
 
These parties were united in their dislike for Kemalist policies, but little beyond that.
이 정당들은 케말주의 정책에 대한 반감으로 뭉쳤지만, 그 이상은 거의 일치하지 않았다.
 
In truth, the squabbling coalition of liberals, non-Muslim minorities and Islamic Fundamentalists was doomed from the start.
사실 자유주의자, 비무슬림 소수자, 이슬람 근본주의자들로 구성된 연립정권은 처음부터 파멸의 운명을 타고난 것이나 다름없었다.
 
Without clear direction, the coalition focused mostly on undermining Kemalist support.
명확한 방향성 없이 연합은 주로 케말주의자들의 지지를 약화시키는 데 집중했다.
 
Such adversarial policies were to the dismay of the liberals in the coalition.
이러한 적대적인 정책은 연정 내 자유주의자들을 실망시켰다.
 
Within a year, the al-Azm administration collapsed. 
1년 만에 알 아즘 정권은 무너졌다.
 
Despite this turmoil, the oil kept flowing, funding a slow resurgence of the Ottoman economy.
이러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석유는 계속 흘러들어와 오스만 경제의 느린 부활에 자금을 지원했다.
 
The Sublime Porte embarked upon a campaign of even more railway expansion, increasing central authority by improving the connections between her far-flung desert holdings.
숭고한 관문은 철도 확장 캠페인에 착수하여 멀리 떨어진 사막 지역 간의 연결을 개선함으로써 중앙 권력을 강화했다.
 
Despite these advancements, Ottoman survival remained far from certain.
이러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오스만의 생존은 여전히 확실하지 않았다.
 
Mustafa Kemal regained his position as Grand Vizier after the Great Coalition fell, but his political mandate was once again shaky.
무스타파 케말은 대연정이 몰락한 후 대재상 자리를 되찾았지만, 그의 정치적 권위는 다시 한 번 흔들렸다.
 
Not only did Kemal have to contend with dissent in Turkish ranks, the Arabs themselves had begun politically organizing as well.
케말은 튀르크 내부의 반대 세력과 싸워야 했을 뿐만 아니라 아랍인 스스로도 정치적으로 조직화하기 시작했다.
 
New Arab nationalist parties had risen in the wake of the failure of the OPAD-administration, eagerly supported by Egyptian agents.
이집트인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는 새로운 아랍 민족주의 정당들이 오스만당 정권의 실패 이후 부상했다.
 
In the Levant, for instance, many turned to Antoun Saadeh‘s Syrian Socialist National Party, which aimed for a Greater Syrian state, free from Ottoman dominance.
예를 들어 레반트에서는 오스만의 지배에서 벗어난 대시리아 국가를 목표로 하는 안툰 사데의 시리아 사회주의 국민당에 많은 사람들이 표를 던졌다.
 
And while the Ottomans struggled to balance the Kemalists and the anti-Kemalists, the Arabs were already drawing new maps in the Middle-East and convening with Egyptian diplomats in secret.
오스만이 케말파와 반케말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 아랍인들은 이미 중동에서 새로운 지도를 그리고 이집트 외교관들과 비밀리에 회동하고 있었다.
 
The Arab tributaries of the Ottoman Sultan had never truly accepted Ottoman rule, and saw the growing divide between Constantinople and her German protectors as an opportunity to strike.
오스만 술탄의 아랍 속주들은 오스만의 통치를 진정으로 받아들인 적이 없었고, 콘스탄티노플과 독일 보호자 사이의 분열이 커지는 것을 공격의 기회로 여겼다.
 
-
 
In the West, at least, the Ottoman frontier had grown more peaceful.
적어도 서쪽에서는 오스만 국경이 더욱 평화로워졌다.
 
Greece settled into a tacit acceptance of the status quo.
그리스는 암묵적으로 현상 유지를 받아들이기로 했다.
 
Bulgaria, meanwhile, was still caught up in Balkan politics, which posed no imminent threat to the Sublime Porte itself.
반면 불가리아는 여전히 발칸 반도의 정치에 휘말려 있었기 때문에 숭고한 관문 자체에 임박한 위협은 없었다.
 
In the 1930‘s, against the backdrop of an ever more present Arab threat, Ottoman concerns revolved primarily around rising tensions with Germany.
1930년대에는 아랍의 위협이 점점 더 커지는 가운데 오스만의 우려는 주로 독일과의 긴장 고조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Throughout the 1920‘s, German-Turkish relations had slowly been relegated to mere theatrics.
1920년대 내내 독일과 튀르크의 관계는 서서히 단순한 연극으로 전락했다.
 
The former Central Powers pretended to be on good terms, but few around the Sublime Porte were truly happy with German encroachment.
구 동맹국들은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척했지만, 숭고한 관문 주변에서 독일의 침략을 진정으로 반기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In truth, Germany had never stopped pursuing their concept of Realpolitik.
사실 독일은 현실정치라는 개념을 추구하는 것을 멈춘 적이 없었다.
 
Berlin leveraged its economic power to exert influence on not just the Ottomans, but all her neighboring states.
베를린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오스만뿐만 아니라 모든 주변 국가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In the Caucasus, and Egypt the Germans had built a strong presence.
코카서스와 이집트에서 독일은 강력한 입지를 구축했다.
 
These German-aligned states were joined by revanchist regional powers such as Iran, forming a diplomatic encirclement of the Ottoman Empire.
독일과 동맹을 맺은 이 국가들은 이란과 같은 보복주의 지역 강국들과 합류하여 오스만 제국의 외교적 포위망을 형성했다.
 
After the chaos of the war years, and the gruesome ethnic violence of the Pasha‘s, most countries trusted the Sublime Porte only as far as they were able to contain it.
전쟁의 혼란과 파샤의 끔찍한 인종적 폭력 이후, 대부분의 국가는 숭고한 관문을 통제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만 신뢰했다.
 
The Caucasus, Iran and Arabia all formed dangerous flashpoints, each of which could easily dissolve the struggling Ottoman Empire.
코카서스, 이란, 아라비아는 모두 고군분투하는 오스만 제국을 쉽게 와해시킬 수 있는 위험한 인화점을 형성했다.
 
All hated the Ottomans, some hated the Germans.
모두가 오스만을 증오했고 일부는 독일을 증오했다.
 
But few – as was the case in Iran, opposed both.
그러나 이란의 경우처럼 둘 모두에 반대하는 나라는 거의 없었다.
 
-
 
After the Weltkrieg, Persia, later recognized internationally as ‘Iran’, grew to be another regional nemesis for the Ottoman Empire.
세계대전 이후 국제적으로 '이란'으로 알려진 페르시아는 오스만 제국의 또 다른 지역적 숙적으로 성장했다.
 
Much of Iran‘s animosity towards imperialist powers was ultimately a matter of national defense.
제국주의 열강에 대한 이란의 적대감의 대부분은 궁극적으로 국가 방어의 문제였다.
 
Iran had after all, long been the target of colonialist machinations by the hands of Britain and Russia.
결국 이란은 오랫동안 영국과 러시아의 식민주의 책략의 표적이었다.
 
For these European powers, Central Asia was a staging ground for 19th century proxy wars between states, tribes and regions.
이 유럽 강대국들에게 중앙아시아는 19세기 국가, 부족, 지역 간의 대리 전쟁의 무대였다.
 
The British and Russians engaged in their cloak and dagger play almost gleefully – playing their so-called ‘Great Game’ at the cost of all independent nations in Central-Asia.
영국과 러시아는 중앙아시아의 모든 독립 국가를 희생시키면서 이른바 '위대한 게임'을 펼치며 거의 즐겁게 첩보전을 벌였다.
 
The age of Russia and Britain was over, however.
하지만 러시아와 영국의 시대는 끝났다.
 
When the Entente collapsed at the end of the Weltkrieg, British nominal occupation of Iran ceased along with it.
세계대전이 끝나고 협상국이 붕괴하면서 영국의 이란에 대한 명목상의 점령도 함께 중단되었다.
 
This newfound independence laid the groundwork for an Iranian republic, though the path to democracy and stability would be long indeed.
새롭게 찾은 독립은 이란 공화국의 토대를 마련했지만, 민주주의와 안정으로 가는 길은 참으로 멀었다.
 
By the early 1920‘s a long-standing feud between the modernists and conservative nobility in Tehran erupted into a civil war.
1920년대 초, 테헤란의 현대파와 보수 귀족 사이의 오랜 불화는 내전으로 번졌다.
 
Two factions squared off to decide the future of the Silk Road Republic: the Shah‘s German-backed Qajar Loyalists and the progressive parliament, the Majlis.
샤의 독일 지원을 받는 카자르 충성파와 진보적 의회인 마즐리파가 비단길 공화국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해 맞붙었다.
 
Berlin and Constantinople, for once, aligned on the need to prevent a strong Iran, and began supporting the Shah‘s Qajar loyalists.
베를린과 콘스탄티노플은 강력한 이란을 막아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고 샤의 카자르 충성파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This bitter civil war engulfed Iranian society during much of the 1920‘s.
이 격렬한 내전은 1920년대 내내 이란 사회를 휩쓸었다.
 
In the end, the population rallied against the Central Powers and her Qajar lackeys, and a unified front pushed these Ottoman-backed satellites to the Western fringes of the country.
결국 국민들은 동맹국과 카자르 부역자들에 대항하여 결집했고, 통일된 전선은 오스만의 지원을 받는 이 위성세력을 서쪽 변방으로 밀어냈다.
 
Despite her victories, Iran was forced to settle or face a direct intervention by Berlin.
이란은 승리에도 불구하고 베를린의 직접적인 개입에 직면하거나 합의할 수밖에 없었다.
 
In the end, the Ottoman Empire secured control of parts of Iranian Azerbaijan and held on to the Arab Sheikhdoms of Khuzestan.
결국 오스만 제국은 이란령 아제르바이잔의 일부를 장악하고 후제스탄 아랍 샤이크국을 설립했다.
 
Like the Arabs, Armenians and Georgians before, such humiliation could never be forgiven.
이전의 아랍, 아르메니아, 조지아처럼 이러한 굴욕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었다.
 
For the new, emergent nations East of the Mediterranean, it was clear that the Central Powers were no hair better than the Entente and their Great Game a century before.
지중해 동쪽의 신생 신흥 국가들에게 동맹국은 한 세기 전의 협상국과 그들의 그레이트 게임보다 한 치도 나아질 것이 없다는 것이 분명했다.
 
In Iran, democratic elections after the war would eventually give rise to a conservative government.
이란에서는 전쟁 후 민주적 선거를 통해 결국 보수적인 정부가 탄생했다.
 
This democratically elected coalition would unfortunately be shattered by a populist coup under Abdolhossein Teymourtash.
민주적으로 선출된 이 연립 정부는 불행히도 압돌호세인 테이무르타쉬의 대중주의 쿠데타로 산산조각이 났다.
 
This revanchist faction leader would later make common cause with other revanchists to the North – Savinkov‘s Motherland party in Russia.
이 반란 세력의 지도자는 나중에 북쪽의 다른 보복주의자들인 러시아 사빈코프의 모국당과 함께 공동의 대의명분을 만들었다.
 
As the Central Powers fought among themselves, their enemies only grew stronger.
동맹국이 서로 싸우면서 적들은 점점 더 강해졌다.
 
By the second half of the 1930‘s, the German world order was beset in the West by revolutionary syndicalists, and in the East by revanchist nationalism.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자 독일의 세계 질서는 서쪽에서는 혁명적 노조주의에 의해, 동쪽에서는 보복적 국가주의에 의해 흔들리고 있었다.
 
While Germany could still claim to hold a strong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advantage over her new rivals, the Ottoman Empire had no such luxuries.
독일은 여전히 새로운 경쟁자들에 비해 강력한 산업적,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주장할 수 있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그런 사치를 누리지 못했다.
 
The Sultan‘s list of mortal enemies was ever growing, and they were outpacing the Sublime Porte’s growth both in military and economy.
술탄의 숙적 목록은 계속 늘어나고 있었고, 그들은 군사력과 경제력 모두에서 숭고한 관문의 성장을 앞지르고 있었다.
 
While each Ottoman neighbour had their own scores to settle with the Sublime Porte, none would challenge the Sultan more openly than the Arab Kingdoms to the South.
오스만의 이웃 국가들은 저마다 숭고한 관문과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었지만, 남쪽의 아랍 왕국만큼 대놓고 술탄에게 도전하는 나라는 없었다.
 
-
 
The Egyptian Kingdom, after gaining independence in 1925, had taken a jingoist stance against the Ottoman Empire.
1925년 독립한 이집트 왕국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Cairo had claimed the mantle of defender of the Ummah, the global Islamic movement.
카이로는 전 세계 이슬람 운동인 움마의 수호자라는 명분을 내세웠다.
 
Germany would mediate these tensions, but only reluctantly.
독일은 이러한 긴장을 중재했지만 마지못해서였을 뿐이다.
 
In truth, the Ottomans could only watch as the Egyptian King built up his forces and began militarizing the Suez area.
사실 오스만은 이집트 국왕이 군대를 증강하고 수에즈 지역을 군사화하기 시작하는 것을 지켜볼 수밖에 없었다.
 
And more worryingly, Egypt‘s Arab alliance.
그리고 더 걱정스러운 것은 이집트의 아랍 동맹이었다.
 
From Riyadh, the seat of Emir Abdualaziz ibn Saud, the Ottomans were watched closely for any sign of weakness.
에미르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가 자리잡은 리야드로부터 오스만 제국은 약화 조짐을 면밀히 주시 받고 있었다.
 
While many weighed their chances against the weak Ottomans, few did as aggressively as the Saudis of Nejd and Hasa.
많은 사람들이 약한 오스만에 대항할 기회를 저울질했지만, 네지드-하사의 사우드만큼 공격적으로 나선 곳은 거의 없었다.
 
Already in 1929, they had taken to raiding Ottoman settlements in Arabia, Mesopotamia and the Levant to undermine Constantinople‘s authority in these holdings.
그들은 이미 1929년에 아라비아, 메소포타미아, 레반트 지역의 오스만 정착촌을 습격하여 콘스탄티노플의 권위를 약화시키기 시작했다.
 
Border clashes had become common, though Constantinople was quick to cover up such regional clashes as policing actions.
국경 충돌은 흔한 일이 되었지만 콘스탄티노플은 이러한 지역적 충돌을 치안 활동으로 재빨리 은폐했다.
 
Even more concerningly, the Syndicalists of Britain and France had begun showing up in the region as well.
더욱 우려스러운 것은 브리튼과 프랑스의 노조주의자들이 이 지역에도 나타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London and Paris saw the Ottoman Empire as the weak underbelly of the imperial establishment, and hoped Ottoman demise would fan the flames of their World Revolution.
런던과 파리는 오스만 제국을 제국 체제의 약한 아랫배로 보고 오스만의 멸망이 세계 혁명의 불길을 부채질하기를 바랐다.
 
French and British actions were more subtle than Germany‘s, but no less damaging.
프랑스와 영국의 행동은 독일보다는 미묘했지만 그 피해는 적지 않았다.
 
In truth, the Syndicalists were not out to convert any of the Arab states to their socialist cause.
사실 노조주의자들은 아랍 국가를 사회주의 대의에 맞게 개종시킬 생각은 없었다.
 
In the Middle-East, the new Internationale instead pursued a policy of anti-colonialism, seeking to actively escalate colonial conflicts to distract the overstretched German Empire.
대신 중동에서 새로운 인터내셔널은 반식민주의 정책을 추구하며 식민지 분쟁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지나치게 팽창한 독일 제국의 주의를 분산시키려고 했다.
 
By the start of the 1930s, most Arab nations had begun openly contesting Ottoman borders.
1930년대 초에는 대부분의 아랍 국가들이 오스만 국경에 대해 공개적으로 분쟁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Unlike during the First Arab Revolt, this uprising was now fully supported by regional Arab powers, with Egypt at the helm.
1차 아랍 봉기 때와는 달리 이 봉기는 이제 이집트를 필두로 지역 아랍 강대국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았다.
 
Ambitious religious leaders called for the formation of a great Arab army, an alliance of so-called Mujahideen.
야심 찬 종교 지도자들은 이른바 무자헤딘으로 불리는 아랍 연합군을 결성할 것을 촉구했다.
 
Germany, long a guarantor of stability in the Arabian hinterlands, was silent.
오랫동안 아라비아 내륙의 안정을 보장해 온 독일은 침묵으로 일관했다.
 
It seemed that, in the Arabian matter, the German Kaiser would not take a side.
아라비아 문제에서 독일 카이저는 어느 한 편을 들지 않을 것 같았다.
 
Austria-Hungary and Bulgaria were absorbed by internal politics, and the British Empire had become a distant memory.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불가리아는 내부 정치에 몰두하고 있었고 대영제국은 먼 옛날의 이야기가 되어 버렸다.
 
In this new world, the Ottoman Empire was alone, and surrounded by enemies.
이 새로운 세계에서 오스만 제국은 외로웠고 적들에게 둘러싸여 있었다.
 
The Second Arab Revolt would come, this much had become undeniable.
제2차 아랍 반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The outstanding questions were simply who would lead the Arab insurrection, and when.
남은 문제는 누가 언제 아랍 반란을 주도할 것인가 하는 것이었다.
 
While all Arab states agreed on the need for Arab liberation, there was much contention as to who would rule these new Arab lands after the dust had settled.
모든 아랍 국가들이 아랍 해방의 필요성에는 동의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누가 새로운 아랍 땅을 통치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었다.
 
Would it be the Wahhabist radicals of Nejd and Hasa?
네지드-하사의 와하브 급진파가 될 것인가?
 
The opportunistic emir of Jabal Shammar?
기회주의적인 자발 샤마르의 에미르가 될 것인가?
 
Or would Egypt reclaim her historic seat at the table of power?
아니면 이집트가 역사적인 권좌를 되찾을 것인가?
 
None played the political game better than The Emir of Nejd.
네지드의 에미르만큼 정치 게임을 잘하는 사람은 없었다.
 
Not only was Nejd geographically isolated from possible partners, but the Arab nation was also tied down by the House of Rashid, a reliable ally of the Ottoman Empire.
네지드는 지리적으로 가능한 파트너로부터 고립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오스만 제국의 든든한 동맹인 라시드 가문에 의해 아랍 국가가 묶여 있었기 때문이다.
 
Feigning loyalty, Nejd continued to pay tribute to Constantinople.
네지드는 충성스러운 척하면서 콘스탄티노플에 계속 조공을 바쳤다.
 
When the Sultan wasn‘t looking, however, the Nejd leader Abdualaziz ibn Saud spread his radical Wahhabist worldviews to Arabian rebels everywhere.
그러나 술탄이 보이지 않을 때 네지드의 지도자 압두알라지즈 이븐 사우드는 급진적인 와하비스트 세계관을 곳곳의 아라비아 반군에게 전파했다.
 
He was not the only Arab leader with ambitions, however.
하지만 야망을 품은 아랍 지도자는 그만이 아니었다.
 
To the north, the Emir of Jabal Shammar weighed his options.
북쪽에는 자발 샤마르의 에미르가 자신의 선택지를 저울질하고 있었다.
 
Their leader Emir Saud bin Abdualaziz al-Rashid was keenly aware of his nations‘ limitations.
그들의 지도자 에미르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 라시드는 자국의 한계를 잘 알고 있었다.
 
Historically, the Rashidis and the Ottomans were close allies.
역사적으로 라시드와 오스만은 가까운 동맹 관계였다.
 
In return for securing the Sublime Porte‘s Southern flanks, they were granted the concession of hosting the thousands of pilgrims who passed to the holy Arab cities on foot.
숭고한 관문의 남쪽 측면을 확보하는 대가로 그들은 걸어서 성스러운 아랍 도시로 향하는 수천 명의 순례자들을 수용하는 양보를 받았다.
 
With the expansion of the Ottoman Railway Network, however, pilgrims circumvented the increasingly isolated desert emirate.
그러나 오스만 철도망이 확장되면서 순례자들은 점점 더 고립된 사막 에미르국을 우회하게 되었다.
 
Jabal Shammar stood at a crossroads.
자발 샤마르는 기로에 서게 되었다.
 
If they supported the Sublime Porte in the coming Arab War, Constantinople might reward them richly.
다가오는 아랍 전쟁에서 숭고한 관문을 지원한다면, 콘스탄티노플은 그들에게 풍성한 보상을 줄지도 모른다.
 
If they rose up however, they stood to gain in a new, Arab-dominated Middle East.
하지만 반란을 일으킨다면 아랍이 지배하는 새로운 중동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었다.
 
In the 1930s, all Arab factions embarked upon a militarization campaign that would prepare their armies for a protracted desert war with the Ottoman Empire.
1930년대에 모든 아랍 세력은 오스만 제국과의 장기적인 사막 전쟁에 대비해 군대를 준비시키는 군사화 장정에 착수했다.
 
During the Weltkrieg, the Ottoman Empire had struggled to hold Arabia against the British and a few scattered Arab revolts.
1차 대전 중 오스만 제국은 영국과 흩어져 있던 아랍 반란 세력에 맞서 아라비아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했다.
 
A unified Arab front, then, was quickly becoming the Sultan‘s worst nightmare.
당시 통일된 아랍 전선은 술탄에게 빠르게 최악의 악몽이 되고 있었다.
 
-
 
Veterans from the long insurgency traveled to the preparing Arab nations.
오랜 반란을 겪은 참전 용사들이 전쟁을 준비하는 아랍 국가로 이동했다.
 
This time, war would come at the Sublime Porte from all sides, both from within and outside her borders.
이번에는 국경 안팎과 사방에서 전쟁이 숭고한 관문을 향해 다가올 것이다.
 
Georgia. Armenia. Iran. Egypt. Greece. Arabia.
조지아. 아르메니아. 이란. 이집트. 그리스. 아라비아.
 
Constantinople was surrounded by an overwhelming number of enemies, each of which had their own reasons to desire the destruction of the Sublime Porte.
콘스탄티노플은 압도적으로 많은 적들에 둘러싸여 있었고, 각 적들은 숭고한 관문의 파괴를 원하는 저마다의 이유를 가지고 있었다.
 
Once, the empire of the Osman family stretched from the Caucasus mountains deep into Africa.
한때 오스만 제국의 제국은 코카서스 산맥에서 아프리카 깊숙한 곳까지 뻗어 있었다.
 
By 1936, it had become a waning network of struggling fiefdoms, barely patched together by the vizier Mustafa Kemal.
1936년 무렵에는 무스타파 케말에 의해 간신히 유지되는 제국은 약화되어 가는 부족들의 네트워크가 되었다.
 
How long still could the Turks hold out against the mauling jaws of history?
과연 튀르크는 역사의 물결에 얼마나 더 버틸 수 있을까?
 
A decade earlier, Constantinople had barely survived the Great War.
10년 전, 콘스탄티노플은 대전쟁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상태였다.
 
It was yet to be seen whether she would survive the Desert War to come…
앞으로 닥칠 사막 전쟁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
 
War is coming to Arabia, brother.
아라비아에 전쟁이 오고 있네, 형제여.
 
And this time, I am not sure the Ottoman Empire can win.
이번엔 오스만 제국이 이길 수 있을지 모르겠네.
 
I write you this letter out of desperation.
절박한 심정으로 이 편지를 자네에게 쓰네.
 
You must convince the parliament, for I fear our time to act is running out fast.
행동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자네가 의회를 설득해 주게나.
 
For too long, Constantinople has not seen Cairo as a credible threat.
너무 오랫동안 콘스탄티노플은 카이로를 진정한 위협으로 보지 않았네.
 
They would rather debate squabbles in the Caucasus or the latest Greek political theatrics, rather than face the real threat.
그들은 진짜 위협에 직면하기보다는 코카서스에서 벌어지는 분쟁이나 최근의 그리스 정치 연극에 대해 토론하기를 원하지.
 
Egypt has declared herself protector of the Arabian people, and Germany is giving her the weapons it needs to empower that claim.
이집트는 스스로를 아라비아 국민의 보호자라고 선언했고, 독일은 그 주장에 힘을 실어주는 데 필요한 무기를 제공하고 있네.
 
The streets of Cairo are not packed with camels, brother, they are packed with German tanks and artillery.
카이로의 거리에는 낙타가 아니라 독일 탱크와 대포가 가득하네, 형제여.
 
The Emir is adept at hiding his buildup of forces, but my department has seen the requisition reports the Egyptian government hides.
에미르는 자신의 병력 증강을 숨기는 데 능숙하지만, 우리 부서는 이집트 정부가 숨기는 요청 보고서를 보았네.
 
Egyptian resources are traded for German cannons, and a third of all the small arms go missing every month.
이집트의 자원은 독일 대포와 거래되고 있고, 매달 소형 무기의 3분의 1이 사라지고 있네.
 
Where do they go?
그것들이 어디로 가겠나?
 
Who is protecting the Southern border of our Empire?
우리 제국의 남쪽 국경은 누가 지키고 있지?
 
Cousin, this is not a foreign enemy.
사촌이여, 이것은 외국 적이 아니네.
 
The agents of Cairo are already inside our own house.
카이로의 요원들은 이미 우리 집 안에 있지.
 
I‘ve recommended a preemptive strike on Cairo.
난 카이로에 대한 선제공격을 건의해왔네.
 
But Constantinople will not move!
하지만 콘스탄티노플은 움직이지 않겠지!
 
When, not if, the Egyptians inevitably invade, their German equipment will make all the difference.
만약 이집트가 불가피하게 침공한다면 독일군의 장비가 모든 차이를 만들 걸세.
 
The Germans won‘t involve themselves directly in the war, so if you ask me, better to strike first!
독일은 전쟁에 직접 개입하지 않을 테니 내 생각에는 차라리 선제공격을 하는 게 낫네!
 
We still hold the air advantage.
우리는 여전히 공중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네.
 
If we move now, we could cripple their railroads connecting the front to the Nile valley.
지금 움직이면 전선과 나일강 계곡을 연결하는 그들의 철도를 무력화시킬 수 있을 걸세.
 
We have a slim chance at victory, but only if we strike.
승리의 가능성은 희박하지만 우리가 공격해야만 가능하네.
 
For the love you bear me brother, heed my words!
내 사랑하는 형제여, 내 말에 귀를 기울여주게!
 
You are in good standing with Vizier Kemal.
자네는 케말 재상과 좋은 관계에 있지.
 
Plead with him to see this threat for what it is.
그에게 이 위협을 있는 그대로 보도록 간청해주게.
 
Your party has defended Anatolia once, let it do so again.
자네 당이 아나톨리아를 한 번 지켜줬으니 이번에도 지켜주게 해주게.
 
Brother, I ask you to back my case in the parliament.
형제여, 의회에서 내 주장을 지지해주시길 부탁하네.
 
If we do not act now, I am not sure-
우리가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어찌 될지-
 
-
 
… Yes, the tip was good.
… 네, 팁은 괜찮았어요.
 
Tell Rousseau that Cairo appreciates his assistance in this matter…
루소에게 카이로가 이 문제를 도와줘서 감사해한다고 전해주세요…
 
It is a simple thing, really.
정말 간단한 일이야.
 
In their arrogants, the Germans play into our hand eagerly.
오만함 속에서 독일인들은 열심히 우리의 손에 놀아나지.
 
That is the problem with imperialists, non?
그게 제국주의자들의 문제야.
 
They spend so long surrounded by smiling yes men, they begin to believe their own infallibility.
그들은 미소 짓는 예스맨들에게 둘러싸여 너무 오랫동안 시간을 보내면서 자신의 무오류성을 믿기 시작했거든.
 
They cannot even consider Egypt plays both sides.
그들은 이집트가 양쪽 편에서 놀고 있다고 생각조차 못하지.
 
A man on a high throne sees only kneelers.
높은 왕좌에 앉은 자에게는 무릎 꿇은 자들만 보일 뿐.
 
Chaos is the fire from which we will have World Revolution.
혼돈은 세계혁명의 불씨가 될테지.
 
Let the scarlet dawn come, camarade.
붉은 새벽이 오게 하자, 동지들이여.
 
Berlin will find this new world is not so kind… to the Kaiserreich.
베를린은 이 새로운 세상이 카이저라이히에게 그리 친절하지 않다는 걸 알게 되리니. 

 

3개의 댓글

2024.03.12

내용 옮겨붙이는데 컴퓨터가 버벅대는 건 또 처음이네;;;

 

마지막 검토로 영상이랑 비교해봐야 하는데 워낙 양이 많아서 그건 포기했음

0
2024.03.14

영상 내용 번역하셔서 올리신거에요?ㄷㄷ...

0
2024.03.14
@밀실심사

영상에서 자막 추출해서 번역기 돌리고 말만 맞춘 거긴 한데 뭐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415 [기타 지식] 중국에서 안드로이드 폰을 사면 안되는 이유? 3 대한민국이탈리아 5 4 시간 전
12414 [역사] English)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1 FishAndMaps 0 8 시간 전
12413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그녀는 왜 일본 최고령 여성 사형수가 되었나 10 그그그그 6 2 일 전
12412 [기타 지식] 최근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국내 항공업계 (수정판) 14 K1A1 23 2 일 전
12411 [역사] 인류의 기원 (3) 3 식별불해 5 3 일 전
12410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재벌 3세의 아내가 사라졌다? 그리고 밝혀지... 그그그그 4 4 일 전
12409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의붓아버지의 컴퓨터에서 발견한 사진 3 그그그그 7 7 일 전
12408 [기타 지식] 도카이촌 방사능 누출사고 실제 영상 21 ASI 2 7 일 전
12407 [역사]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ver2 19 FishAndMaps 15 9 일 전
12406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2부 21 Mtrap 8 7 일 전
12405 [기타 지식] 100년을 시간을 넘어서 유행한 칵테일, 사제락편 - 바텐더 개... 5 지나가는김개붕 1 9 일 전
12404 [기타 지식] 오이...좋아하세요? 오이 칵테일 아이리쉬 메이드편 - 바텐더... 3 지나가는김개붕 2 11 일 전
12403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1부 31 Mtrap 13 10 일 전
12402 [기타 지식] 칵테일의 근본, 올드 패션드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이야기 15 지나가는김개붕 14 11 일 전
12401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2부 22 Mtrap 14 11 일 전
12400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1부 13 Mtrap 20 11 일 전
12399 [역사] 군사첩보 실패의 교과서-욤 키푸르(完) 1 綠象 1 10 일 전
12398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미치도록 잡고 싶었다. 체포되기까지 28년이... 1 그그그그 6 12 일 전
12397 [역사] 아편 전쟁 실제 후기의 후기 3 carrera 13 13 일 전
12396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1 13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