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카이저라이히 다큐멘터리 E05. 태양 아래의 자리

https://youtu.be/ELN0jlKTE5Y?si=Osc0UNZ0n4UbmiUv

 

In 1864, the German Empire had been nothing more than a motley collection of squabbling principalities.

1864년 당시, 독일제국은 다툼이 끊이지 않는 공국들의 집합체에 불과했다.

 

When the Iron chancellor, Otto von Bismarck, embarked upon his great mission to unite the fragmented remnants of the Holy Roman Empire, perhaps not even he could have foreseen the outcome of his ambitious project.

철의 재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신성로마제국의 분열된 잔재들을 통합하는 위대한 임무에 착수했을 때, 아마도 그 자신도 이 야심찬 프로젝트의 결과를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The German Empire unified in 1871, initially presenting itself to the world as a keeper of peace.

1871년 통일된 독일제국은 처음에는 평화의 수호자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In Bismarck’s own words, Germany was to be an “honest broker” between nations.

비스마르크 자신의 말을 빌리자면, 독일은 국가 간의 '정직한 중개인'이 되고자 했다.

 

This, however, began to change in in 1890.

하지만 1890년부터는 달라지기 시작했다.

 

The new Kaiser, Wilhelm II, embarked onto an entirely new foreign-political course, in an effort to achieve the same hegemonic ambitions as the long-established European powers of Britain, Russia and France.

새로운 카이저(황제) 빌헬름 2세는 영국, 러시아, 프랑스 등 유럽의 오랜 강대국들과 같은 패권적 야망을 이루기 위해 완전히 새로운 외교-정치 노선을 걷기 시작했다.

 

Germany’s erratic, undiplomatic behavior on the global stage and her massive build-up of both the Navy and the military scared the powers of old.

세계 무대에서 독일의 변덕스럽고 비외교적인 행동과 해군과 육군의 막대한 증강은 기존 강대국들을 겁에 질리게 했다.

 

To challenge Germany, centuries-old rivalries and conflicts were suddenly set aside.

독일에 도전하기 위해 수백 년에 걸친 경쟁과 갈등은 갑자기 제쳐졌다.

 

Instead, France, Great Britain and Russia formed a united front against the young, vigorous, and aspiring Germans.

그 대신 프랑스, 영국, 러시아는 젊고 활기차고 야심찬 독일에 맞서 연합 전선을 형성했다.

 

The Triple Entente.

삼국협상.

 

Bismarck’s famous “nightmare of coalitions” had become a reality.

비스마르크가 우려했던 '연합의 악몽'이 현실이 된 것이다.

 

In many ways, a Great War between these great powers was inevitable.

여러모로 이 강대국들 간의 대전쟁은 피할 수 없었다.

 

What many believed would be a short war, however, became a long and bitter war of attrition.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짧은 전쟁이 될 것이라고 믿었던 전쟁은 길고 참혹한 소모전이 되었다.

 

As a generation of youth was slowly ground to dust in the killing fields of France, the hoped American intervention did not come.

한 세대의 젊은이들이 프랑스의 살처분장에서 서서히 쓰러져 가는 동안, 기대했던 미국의 개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The United States declared their neutrality, Russia faltered, Britain's sued for peace, and the Entente collapsed.

미국은 중립을 선언했고, 러시아는 흔들렸으며, 영국은 평화를 요청했고, 협상국은 무너졌다.

 

In late 1919, Germany and her Central Powers allies emerged victorious from the Great War.

1919년 말, 독일과 동맹국은 대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Their so-called ‘Weltkrieg’.

이른바 '벨트크리크(세계대전)'에서.

 

Against all odds, a country that was barely 50 years old, had asserted itself against France, Britain, and Russia, the dominant powers of the last century, on two fronts.

건국한 지 겨우 50년밖에 되지 않은 나라가 모든 역경을 딛고 지난 세기의 강대국이었던 프랑스, 영국, 러시아에 맞서 두 개의 전선을 구축한 것이다.

 

Unbeknowst to Germany at the time, this watershed victory would become a catalyst for worldwide turmoil.

당시 독일도 몰랐던 이 획기적인 승리는 전 세계 혼란의 기폭제가 될 것이다.

 

From the collapsing French, Russian and British Empires, new ideologies such as Sydicalism would emerge to challenge Germany.

프랑스, 러시아, 대영 제국의 붕괴로 인해 노조주의(생디칼리슴)와 같은 새로운 이념이 등장하여 독일에 도전하게 될 것이다.

 

But they would do so as underdogs, in a world now dominated by the German Empire and her subjects.

하지만 이들은 독일 제국과 그 신민들이 지배하는 세계에서 약자의 입장에 서게 될 것이다.

 

In 1920, Germany has finally found her place in the sun, and the world would witness the age of the Kaiserreich.

1920년, 독일은 마침내 태양 아래서 자신의 자리를 찾았고, 전 세계는 카이저라이히(제국)의 시대를 목격하게 될 것이다.

 

-

 

By 1920, Germany had emerged from the Great War and was now beginning to enjoy the fruits of victory.

1920년, 독일은 대전쟁에서 승리했고 이제 승리의 과실을 누리기 시작했다.

 

Her foes were now utterly beaten.

독일의 적들은 이제 완전히 패배했다.

 

France and Russia found themselves in the midst of leftist Revolutions, and Britain had all but retreated to her island.

프랑스와 러시아는 좌파 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렸고, 영국은 섬으로 후퇴한 상태였다.

 

However, as often, appearances can be quite deceiving.

하지만 종종 겉모습에 속을 수도 있다.

 

Like their defeated enemies, the Central Powers had been pushed to the breaking point.

패배한 적들처럼 동맹국들도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였다.

 

Hunger and poverty were rampant, an entire generation sacrificed to win the war to end all wars.

기아와 빈곤이 만연했고, 모든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한 세대 전체가 희생되었다.

 

Even in victory, the Austro-Hungarians and Ottomans were on uneven footing, barely clinging on to their vast multi-ethnic empires, while the Bulgarians struggled to establish in their now vastly overstretched tsardom.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은 승리에도 불구하고 광대한 다민족 제국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었고, 불가리아 제국은 과확장된 차르의 영토를 설립하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었다.

 

In Germany itself, the situation was not any better.

독일 역시 상황은 그리 나아지지 않았다.

 

Already in September 1918, socialist agitators had tried to launch an uprising in various Northern German cities, though without much success.

이미 1918년 9월에 사회주의 선동가들이 북독일 여러 도시에서 봉기를 일으키려 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These so-called “September Insurrections” only further increased the far-reaching power of the military.

이른바 '9월 반란'으로 불리는 이 사건은 군대의 광범위한 권력을 더욱 강화했을 뿐이다.

 

Over the years, the German Supreme Army Command had concentrated around Paul von Hindenburg and Erich Ludendorff.

수년 동안 독일 최고군사령부는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에리히 루덴도르프에게 집중되어 있었다.

 

In many ways, these two men established an indirect wartime dictatorship over the country.

이 두 사람은 여러 면에서 독일 전역에 간접적인 전시 독재 체제를 구축했다.

 

While all relevant democratic institutions remained in place, the legendary reputation and perceived irreplaceability of the two generals practically gave them a political blank cheque.

모든 관련된 민주적 제도는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두 장군의 전설적인 명성과 대체 불가능하다는 인식은 사실상 이들에게 정치적 백지수표를 제공했다.

 

This enabled this diarchy to enforce the dismissal of unpleasant rivals and the halt of political reform, bending all matters of state towards the needs of the military.

이를 통해 이 양두정은 불쾌한 라이벌을 해임하고 정치 개혁을 중단하여 모든 국가 문제를 군의 필요에 따라 구부릴 수 있었다.

 

After the end of the war, long-boiling tensions between the military leadership and the German people began to surface.

전쟁이 끝난 후, 군부 지도부와 독일 국민 사이에 오랫동안 끓어오르던 긴장이 표면화되기 시작했다.

 

The general populace, represented by their parliament, the Reichstag, and even the Kaiser became openly hostile to the military.

상원의회, 라이히스탁(제국하원의회), 심지어 카이저로 대표되는 일반 대중은 군에 대해 공개적으로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With the economy in shambles and societal upheaval threatening the borders of the empire, the German people headed to the streets to demand political reform and stable foreign relations with France and Russia.

경제가 혼란에 빠지고 사회적 격변이 제국의 국경을 위협하는 상황에서 독일 국민은 정치 개혁과 프랑스 및 러시아와의 안정적인 외교 관계를 요구하며 거리로 나섰다.

 

While Ludendorff opposed any kind of political concessions, he was eventually overruled.

루덴도르프는 어떤 종류의 정치적 양보도 반대했지만, 결국 그의 주장은 묵살당했다.

 

Now that the war was over, the military leadership was not seen as indispensable anymore and thus, Ludendorff had lost his last bargaining chip.

전쟁이 끝나자 군 지도부는 더 이상 필수 불가결한 존재로 여겨지지 않았고, 루덴도르프는 마지막 협상 카드를 잃었다.

 

The final nail in Ludendorff’s coffin was the Caesarian betrayal of his longtime ally Hindenburg, who sided with the Kaiser and the government in exchange for protecting the military against reform.

루덴도르프의 관에 박힌 마지막 못은 오랜 동맹이었던 힌덴부르크가 개혁에 반대하는 군부를 보호하는 대가로 카이저와 정부 편을 들어준 카이사르식 배신이었다.

 

In February 1920, Germany’s once widely-feared supposed “dictator” was ousted in the most unspectacular way possible, simply being dismissed by the Kaiser.

1920년 2월, 한때 널리 공포의 대상이 되었던 독일의 '독재자'는 카이저에 의한 해임이라는 가장 비극적인 방법으로 축출되었다.

 

Now, nothing stood in the way of the long-awaited reforms anymore.

이제 오랫동안 기다려온 개혁을 가로막는 장애물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Only a month later, the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the Reichstag, passed a set of progressive constitutional reforms that would finally turn Germany into a parliamentary monarchy in all but name.

불과 한 달 후, 독일 정부는 라이히스탁에 따라 일련의 진보적인 헌법 개혁안을 통과시켰고, 마침내 독일은 명실상부한 의회 군주정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Thanks to Hindenburg's secret deal, the army remained largely untouched by these reforms and continued to enjoy a vast degree of autonomy.

힌덴부르크의 비밀 거래 덕분에 군대는 이러한 개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계속해서 광범위한 자율성을 누릴 수 있었다.

 

It would take some time for Germany to recover both politically and militarily from the effects of the Great War.

독일이 대전쟁의 영향에서 정치적으로나 군사적으로 회복하는 데는 시간이 좀 더 필요했다.

 

Luckily, the Empire was blessed with the appearance of new, talented statesmen to help Germany navigate the difficult post-war years.

다행히도 독일 제국은 새롭고 유능한 정치가들이 등장하여 전후의 어려운 시기를 헤쳐갈 도움을 받는 축복을 받았다.

 

The liberal and internationally respected diplomat Wilhelm Solf was appointed chancellor after Germany's first peacetime election.

자유주의자이자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외교관 빌헬름 솔프가 독일 최초의 평시 선거를 통해 총리로 임명되었다.

 

Immediately, Solf withstood his trial by fire by negotiating Germany away from a new Franco-German war in the Haute-Savoie crisis of May 1920.

곧바로 솔프는 1920년 5월 오트사부아 위기에서 독일을 새로운 독불전쟁에서 벗어날 협상을 통해 시련을 견뎌냈다.

 

Thanks to his cabinet's keen action, peace and stability quickly returned to the European continent, and Germany’s global reputation began to improve again.

내각의 기민한 대처 덕분에 유럽 대륙에 평화와 안정이 빠르게 찾아왔고 독일의 국제적 명성은 다시 높아지기 시작했다.

 

By the first half of the 1920s, it seemed like Germany had finally found her place in the sun.

1920년대 전반이 되자 독일은 마침내 태양 아래서 제자리를 찾은 것처럼 보였다.

 

As the age-old saying goes: To the victor, go the spoils.

옛 속담처럼에서 말하듯, 승자에게 전리품이 돌아간다.

 

Germany's new diplomatic foreign policy was to herald a new era of German hegemony.

독일의 새로운 외교 정책은 독일 패권의 새로운 시대를 예고하는 것이었다.

 

At the start of the 1920's, things began looking less bleak for the victorious Empire.

1920년대 초, 승전한 독일 제국의 앞날은 덜 암울해 보이기 시작했다.

 

Having found a newfound sense of optimism, the political winds were shifting in Berlin.

새로운 낙관론을 찾은 베를린에는 정치적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Bolstered by progressive reform, the city's liberal elite had begun a rapid transformation.

진보적 개혁에 힘을 얻은 베를린의 자유주의 엘리트들은 빠르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With London in decline and Paris in the throes of revolution, the sprawling German metropole saw an enormous influx of foreign artists, dignitaries, writers and intellectuals.

런던이 쇠퇴하고 파리가 혁명의 소용돌이에 휩싸인 가운데, 이 거대한 독일 대도시에는 외국인 예술가, 고위층 인사, 작가, 지식인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New music and art influences raged throughout the German Empire, bringing with them a sense of exoticism and hope.

새로운 음악과 미술의 영향이 독일 제국 전역에 퍼지면서 이국적인 분위기와 희망을 불러일으켰다.

 

Germany was now the center of the world, after all, and her bars and cafes were bustling day and night with all the ambitions of a newly formed European elite.

독일은 이제 세계의 중심이 되었고, 독일의 술집과 카페는 새로이 형성된 유럽 엘리트들의 야망으로 밤낮으로 북적거렸다.

 

While the idea of a German-led Europe was a project of imperialists and technocrats, that did not stop the Empire’s young radicals from dreaming of a new European world order.

독일이 주도하는 유럽이라는 구상은 제국주의자들과 기술주의자들의 프로젝트였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국의 젊은 급진주의자들이 새로운 유럽 세계 질서를 꿈꾸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In their eyes, German victory in the war could be the catalyst for a future where democracy and monarchism went hand in hand.

그들의 눈에는 독일의 전쟁 승리가 민주주의와 군주제가 공존하는 미래를 위한 촉매제가 될 수 있었다.

 

Some spoke of this federation of equals as Mitteleuropa.

어떤 이들은 이 평등의 연맹을 미텔에우로파(중부유럽)라고 불렀다.

 

A wider economic bloc with a common currency at the heart of Europe, and perhaps one day the world.

유럽, 나아가 언젠가는 전 세계의 중심에 공통 통화를 사용하는 더 넓은 경제 블록.

 

-

 

Immediate German post-war politics were defined by a sharp break between old and new.

전후 독일 정치는 신구 세력의 급격한 단절로 정의할 수 있다.

 

The conservative and national liberal old guard suddenly found themselves in the opposition against progressive forces that only a few decades prior had been defamed as enemies of the empire.

보수적이고 민족주의적 자유의 친위대는 불과 수십 년 전까지만 해도 제국의 적으로 비난받던 진보 세력과 갑자기 대척점에 서게 되었다.

 

These progressives were Social liberals, Catholics, and Social Democrats.

이 진보 세력은 사회자유주의파, 가톨릭파, 사회민주주의파였다.

 

The first two post-war cabinets under Chancellor Solf and his successor Erzberger were the first German governments with participation of the Social Democratic Party, SPD and saw a modest shift to the left.

전후 솔프 총리와 그의 후임 에르츠베르거 내각의 첫 두 내각은 독일 최초로 사회민주당이 참여한 정부였으며, 좌파 성향으로 완만하게 이동했다.

 

This progressive government of the German Empire was, unfortunately, not to be long-lived.

이 진보적인 독일 제국 정부는 안타깝게도 오래가지 못했다.

 

Already during the mid-20s, the social democratic SPD was forced to the opposition bench again.

이미 20년대 중반에 사회민주당은 다시 야당으로 밀려났다.

 

Too ambitious social reforms had scared the political establishment and conservative members of the coalition.

지나치게 야심찬 사회 개혁은 정치권과 보수적인 연정 구성원들을 겁에 질리게 했다.

 

To make matters worse, constant squabbles within the cabinet had made even the more progressive parties wonder if the SPD was truly fit to govern the country.

설상가상으로 내각 내 끊임없는 다툼으로 인해 진보적인 정당들조차 사민당이 진정으로 국가를 통치할 자격이 있는지 의문을 품게 되었다.

 

The difficulties faced by the civil government were only exacerbated by the whims of Kaiser Wilhelm.

시민 정부가 직면한 어려움은 카이저 빌헬름의 변덕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

 

Now Europe's first monarch among equals, he was a capricious and incoherent ruler at best, and victory had not made the German Kaiser mild.

유럽 최초의 평등 군주였던 그는 기껏해야 변덕스럽고 일관성 없는 통치자였으며, 승리가 독일 카이저를 온화하게 만들지 못했다.

 

As an old-style ruler, fruitful cooperation between the monarch and the more left-leaning ministers turned out to be quite difficult.

구식 통치자로서 군주와 좌파 성향의 장관들 사이에 유익한 협력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다.

 

Thus, for the rest of the decade, Germany would be ruled by a new broad coalition of Liberals, Catholics and Conservatives, commonly referred to as the “March Coalition.”

따라서 남은 10년 동안 독일은 자유주의파, 가톨릭파, 보수파로 구성된 새로운 광범위한 연립정부가 통치하게 되는데, 이 연립정부는 흔히 "3월 연정"이라고 불린다.

 

This new, more conservative coalition aimed to maintain the accomplishments of the 1920 March Constitution without radical reform.

이 새롭고 보수적인 연정은 급진적인 개혁 없이 1920년 3월 헌법의 성과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This entailed excluding both the left-wing SDP and the far-right from government affairs.

이를 위해서는 좌익 사민당과 극우파를 국정에서 배제하는 것이 수반되었다.

 

The champion of this political constellation was Chancellor Ulrich von Brockdorff-Rantzau, who served from 1924 until his death in 1928, and under whose guidance Germany weathered the hardships of the troubled mid-20s.

1924년부터 1928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한 울리히 폰 브록도르프-란차우 총리는 이 정치 구도를 이끈 인물로, 그의 지도 아래 독일은 20대 중반의 어려운 시기를 극복할 수 있었다.

 

After Brockdorff’s passing however, things began to slowly decline.

그러나 브록도르프가 세상을 떠난 후 상황은 서서히 나빠지기 시작했다.

 

Over the following the March Coalition would remain in power, but their popularity began to slowly erode.

이후에도 3월 연합은 권력을 유지했지만, 그들의 인기는 서서히 약화되기 시작했다.

 

Germany’s emerging European order seemed to be more and more challenged by her resurgent neighbors.

독일의 신흥 유럽 질서는 부활하는 이웃 국가들에 의해 점점 더 도전을 받는 것처럼 보였다.

 

The German people feared that the Reichstag's weak foreign policy had gambled away Germany’s had-earned victory for their own interests.

독일 국민들은 라이히스탁의 취약한 외교 정책이 자국의 이익을 위해 독일이 어렵게 얻은 승리를 도박으로 날려버릴까봐 두려워했다.

 

In the years before, nationalists felt Germany had not done enough to contain the defeated powers to the East and West.

이전 몇 년 동안 국가주의자들은 독일이 패전국들을 동서로 봉쇄하는 데 충분한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생각했다.

 

The price of German inaction was yet another dangerous geopolitical encirclement of the German bloc, just like in 1914.

독일의 무대책의 대가는 1914년과 마찬가지로 독일 블록의 또 다른 위험한 지정학적 포위였다.

 

These fears would weaken Germany's moderate cabinets, strengthening the opposition on both the left and the right.

이러한 두려움은 독일의 온건파 내각을 약화시켜 좌파와 우파 모두의 반대 세력을 강화시킬 것이다.

 

The effects would be far-reaching, eventually leading right-wing intellectual Ulrich von Hassell’s nationalist Fatherland Party to gain enormous popularity in the late twenties.

그 영향으로 광범위하게 퍼져 결국 우파 지식인 울리히 폰 하셀의 국가주의 조국당이 20년대 후반에 엄청난 인기를 얻게 된다.

 

Meanwhile, internal leftist agitation was still snaking through the Empire, threatening to tear apart the old constellations of power.

한편, 제국 내부에서는 여전히 좌파의 동요가 제국 내부를 휘젓고 다니며 낡은 권력 구도를 무너뜨릴 위협을 가하고 있었다.

 

This gave momentum to Germany's rising nationalism, seeking a newly assertive foreign policy for a darker age.

이는 암울한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외교 정책을 모색하는 독일의 국가주의 부흥에 탄력을 주었다.

 

In the early 1920's, fearing the rise of Syndicalism, Germany began an attempt to normalize relations with Great Britain.

1920년대 초, 독일은 노조주의의 부상을 두려워하여 영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시도하기 시작했다.

 

With France in the throes of Syndicalist revolution and Russia in tatters, Germany realized a second stabilising monarchy was needed to keep Europe on the right track.

프랑스가 노조주의 혁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고 러시아가 혼란에 빠진 상황에서 독일은 유럽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두 번째 안정된 군주제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Relations between the former Central Powers had cooled, mostly over disputes about former Russian territory, so Germany hoped the British Empire could be a balancing counterweight in the West.

옛 동맹국 간의 관계는 주로 옛 러시아 영토에 대한 분쟁으로 인해 냉각되어 있었기 때문에 독일은 대영제국이 서방에서 균형을 잡아줄 수 있기를 바랐다.

 

These attempts at diplomacy would fail however, as hate across the channel ran deep.

그러나 이러한 외교 시도는 양국 간 증오가 깊어지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Germany could not have relations with Great Britain, London claimed, while at the same time working to undermine the pound as global currency, then Britain's last lifeline for her tattered economy.

런던은 독일이 영국과 관계를 맺을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동시에 당시 영국 경제의 마지막 버팀목이었던 파운드화를 약화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In the end, the proud Germans decided not to pursue further relations, but to focus their attention inward.

결국 자존심이 강한 독일은 더 이상의 관계를 추구하지 않고 내부로 관심을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After all, many of Germany's dependencies still faced post-war turmoil, and the scarlet shadow was still haunting continental Europe.

결국 독일의 많은 종속국들은 여전히 전후 혼란에 직면해 있었고, 붉은 그림자는 여전히 유럽 대륙을 배회히고 있었다.

 

-

 

Apart from internal stabilization, the first order of business for the post-war governments was to re-establish order and rule of law in the newly conquered Eastern European territories.

전후 독일 정부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부 안정화 외에도 새로 정복한 동유럽 영토에서 질서와 법치를 재확립하는 것이었다.

 

In autumn 1921, the final peace treaty between Germany and the Russian Provisional Government was signed, forcing the Russians to recognize the new German order in Eastern Europe, and proving to the German government that their late change in Eastern Policy had paid out.

1921년 가을, 독일과 러시아 임시 정부 간의 최종 평화 조약이 체결되면서 러시아는 동유럽에서 독일의 새로운 질서를 인정하게 되었고, 독일 정부는 뒤늦게 동방 정책을 바꾼 것이 성과를 거두었음을 증명했다.

 

In 1918 and 1919, when the former Russian Empire was still locked in a brutal civil war, the Germans had initially gambled on the victory of the Bolsheviks.

1918년과 1919년, 구 러시아 제국이 여전히 잔혹한 내전에 갇혀 있을 때, 독일은 처음에는 볼셰비키의 승리에 도박을 걸었다.

 

While this was naturally a very controversial decision, the German Foreign Office believed that it would be easier to keep an entirely isolated and unstable Russian socialist regime under German control than a Russia dominated by revanchist White forces.

물론 이는 매우 논란의 여지가 많은 결정이었지만, 독일 외무부는 완전히 고립되고 불안정한 러시아 사회주의 정권을 독일의 통제하에 두는 것이 보복주의 백군이 지배하는 러시아보다 더 쉬울 것이라고 믿었다.

 

Germany would change her approach after the assassination of Lenin.

레닌 암살 이후 독일은 접근 방식을 바꾸게 된다.

 

With the leader of the Revolution dead, and much of the Red Army routed out of Southern Russia, the Bolshevik front began to see major setbacks.

혁명의 지도자가 죽고 붉은 군대의 상당수가 러시아 남부에서 쫓겨나자, 볼셰비키 전선은 큰 차질을 빚기 시작했다.

 

At this point, the war could still tilt either way, but the Bolsheviks emerged as the less reliable and more internally divided partner.

이 시점에서 전쟁은 여전히 어느 쪽으로든 기울 수 있었지만, 볼셰비키는 더 신뢰할 수 없고 내부적으로 더 분열된 파트너로 부상했다.

 

To Berlin, it became apparent that the hidden hand of Germany was needed once again to steer history in the right direction.

베를린으로서는 역사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독일의 숨은 손이 다시 한 번 필요하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The Germans finally adopted a policy of reluctant pro-White support.

독일은 마침내 마지못해 친백군 지원 정책을 채택했다.

 

Via proxies in the east, Germany began supplying weapons to the Russian government.

독일은 동부의 대리인을 통해 러시아 정부에 무기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Ironically, most of these weapons had been captured from the Imperial Russian Army during the Eastern Offensives mere months earlier.

아이러니하게도 이 무기의 대부분은 불과 몇 달 전 동부 공세에서 러시아 제국군으로부터 노획한 것이었다.

 

Now, they were smuggled back into war-torn Russia under this unusual alliance of convenience.

그리고 이 특이한 편의 동맹 하에, 이 무기들은 전쟁으로 폐허가 된 러시아로 다시 밀반입되었다.

 

German support went further inside her own sphere of influence.

독일의 지원은 독일의 영향권 내에서도 이어졌다.

 

In the German-occupied territories in Eastern Europe, selected White-aligned detachments, like the Western Volunteer Army, were built and trained from scratch.

동유럽의 독일 점령지에서는 서부 지원군처럼 백군 중심의 선별된 부대가 창설되어 처음부터 훈련을 받았다.

 

While many Russians despised Germany, the collapse of the Entente and American neutrality meant that White forces had lost precious allies on the world stage.

많은 러시아인들이 독일을 경멸했지만, 협상국의 붕괴와 미국의 중립으로 인해 백군은 세계 무대에서 소중한 동맹을 잃었다.

 

Eventually this alliance of former enemies helped the Whites to push back the red menace successfully, finally leading to the end of the Russian Civil War in 1921.

결국 적대적이었던 이 동맹은 백군이 붉은 위협을 성공적으로 밀어내는 데 도움이 되었고, 마침내 1921년 러시아 내전이 종식되는 데 기여했다.

 

The Bolsheviks were defeated, but it was not to be the end of the red menace for Europe.

볼셰비키가 패배가 유럽에 대한 적색 위협의 종말은 아니었다.

 

In the West, other revolutionaries saw more success.

서구에서는 다른 혁명가들이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Germany had allowed the French Syndicalists to claim full control of Continental France, relegating the remaining loyalists to a rump state in Africa.

독일은 프랑스 노조주의자들이 프랑스 대륙을 완전히 장악하도록 허용했고, 남은 충성파들은 아프리카의 변방 국가로 밀려났다.

 

While the German old guard balked at this foreign-political course once again, the government stuck to their pragmatic approach this time.

독일 수구파는 다시 한 번 이러한 외교-정치적 노선을 주저했지만, 정부는 이번에는 실용적인 접근법을 고수했다.

 

It was thought that a socialist, internationally isolated France would have no possibility to ever breach containment, thus remaining firmly in the German sphere of influence.

국제적으로 고립된 사회주의 국가인 프랑스가 봉쇄를 뚫고 나올 가능성은 없을 것이며, 따라서 독일의 영향권 안에 굳건히 남아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The Commune of France, unlike the old Republic, promised to uphold the Treaty of Versailles and cooperate with the German Empire.

프랑스 코뮌은 구 공화국과 달리 베르사유 조약을 지키고 독일 제국과 협력할 것을 약속했다.

 

While the Prussian elites of the Empire did little to hide their contempt for these spineless Frenchmen, it was generally agreed upon that France was no longer a threat to the German bloc.

제국의 프로이센 엘리트들은 이 비열한 프랑스인들에 대한 경멸을 숨기지 않았지만, 프랑스가 더 이상 독일 블록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 데는 대체로 동의했다.

 

If the Revolution could not spread from mighty Russia, it definitely would not spread from puny France.

강력한 러시아에서 혁명이 확산되지 못했다면, 하찮은 프랑스에서 혁명이 확산되지는 않을 것이 분명했다.

 

History would prove otherwise.

역사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증명했다.

 

Two years later, the Kaiser would open his morning papers to discover a Syndicalist revolution had taken several cities in Great Britain.

2년 후, 카이저는 조간신문을 펴고 영국의 여러 도시에서 노조주의 혁명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접하게 된다.

 

Having learned from their own Revolution, the French had been secretly agitating and arming the British Syndicalists as well, forming an effective partisan force to take control of the Isles.

자국의 혁명을 통해 교훈을 얻은 프랑스는 영국 노조주의자들도 비밀리에 선동하고 무장시켜 효과적인 파르티잔을 형성해 영국 제도를 장악했다.

 

The British Syndicalists, later united under Arthur Cook, emerged from the shadows in a coup de grace and claimed full control over the heart of the British Empire, once the vanguard of stability, within less than one and a half years.

이후 아서 쿡의 지휘 아래 통합된 영국 노조주의자들은 최후의 일격으로 음지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1년 반도 채 되지 않아 안정의 선봉이었던 대영제국의 심장부를 완전히 장악했다.

 

As British nobles fled to Canada, shock spread through Germany who saw the supposedly stable British Empire fall to Syndicalism in one fell swoop.

영국 귀족들이 캐나다로 도망치자, 안정적이었던 대영제국이 한순간에 노조주의에 무너지는 것을 목격한 독일 전역에 충격이 퍼졌다.

 

Initially, the British Syndicalist revolution was not seen as a credible threat by German intelligence, and the fall of London came as a surprise.

처음에 독일 정보기관은 영국 노조주의 혁명을 믿을 만한 위협으로 여기지 않았고, 런던 함락은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Facing popular anti-war sentiment, Germany was not able to respond to these new threats in any effective way.

대중의 반전 정서에 직면한 독일은 이러한 새로운 위협에 효과적인 방식으로 대응할 수 없었다.

 

Mere consideration of an intervention was met with overwhelming protests in the streets of Berlin.

개입을 고려하기만 해도 베를린 거리에서 압도적인 시위가 벌어졌다.

 

This led to the Stresemann crisis of 1924 that eventually toppled the government and gave power to the March Coalition.

이로 인해 1924년 슈트레제만 사태가 발생했고, 결국 정부는 무너지고 3월 연합에 권력을 넘겨주었다.

 

It was, as the French said, a fait accompli, a done deal.

프랑스인들이 말했듯이, fait accompli, 이미 결정된 일이었다.

 

With two former Great Powers now under Syndicalist sway, a new ideology began spreading through Europe.

강대국이었던 두 나라가 노조주의 지배를 받게 되자 새로운 이념이 유럽 전역에 퍼지기 시작했다.

 

This new branch of Syndicalism, called Sorelianism, began agitating not for peace with Germany, but for peace under a Syndicalist world order.

소렐주의라고 불리는 이 새로운 노조주의 분파는 독일과의 평화가 아니라 노조주의 세계 질서 하의 평화를 위해 선동하기 시작했다.

 

For the first time ever, Germany understood, and feared, the words ‘World Revolution'.

독일은 사상 처음으로 '세계 혁명'이라는 단어를 이해하고 두려워했다.

 

-

 

When we informed the Reichstag of the British revolution, they scoffed at the idea that our old enemy would ever be able to challenge us again.

우리가 영국 혁명의 소식을 라이히스탁에 알렸을 때, 그들은 우리의 오랜 적이 다시 우리에게 도전할 수 있겠느냐며 비웃었다.

 

Who could blame them?

누가 그들을 비난할 수 있을까?

 

The nobles licking the Kaiser's boots were safe in their manors in Berlin, redrawing the European map.

카이저의 부츠나 핥던 귀족들은 베를린의 저택에서 안전하게 유럽 지도를 다시 그리고 있었으니까.

 

But they were not in London, like we were, when the revolution came.

하지만 그들은 혁명이 일어났을 때 우리처럼 런던에 있지 않았다.

 

I saw early on that these Syndicalists were no disorganised rabble like the Bolsheviks had been.

난 이 노조주의자들이 볼셰비키처럼 무질서한 폭도들이 아니라는 것을 일찍이 알았다.

 

The repression in the Union of Britain was swift, brutal, and deadly.

브리튼 연방의 압박은 신속하고 잔인하며 치명적이었다.

 

In a matter of weeks, the old regime had fled or disappeared from the initial sites of revolution.

불과 몇 주 만에 구 정권은 혁명의 초기 현장에서 도망치거나 사라졌다.

 

I warned Berlin then, but they would not listen.

나는 당시 베를린에 경고했지만 그들은 듣지 않았다.

 

The British Empire would not be able to endure without the guiding hand of London, and no empire dies easily.

대영제국은 런던의 도움 없이는 버틸 수 없었고, 어떤 제국도 쉽게 멸망하지 않는다.

 

It would not have mattered even if we had known.

우리가 알았더라도 상관없었을 거다.

 

The German Empire in 1926 was asleep at the wheel.

1926년 독일 제국은 운전석에서 잠들어 있었다.

 

We had been lulled into a false sense of security by the progressive governments of the early 1920's, by an easy victory in Russia, and by our own illusions of German grandeur.

우리는 1920년대 초의 진보 정부, 러시아에서의 손쉬운 승리, 그리고 독일의 위대함에 대한 우리 자신의 환상 때문에 잘못된 안전감에 빠져 있었다.

 

While we enjoyed our place in the sun, something was growing in the shadows.

우리가 태양 아래의 자리를 즐기고 있는 동안 그림자 속에서 무언가가 자라나고 있었다.

 

In the dark crevices of Europe and in the minds of men everywhere was an idea of revenge.

유럽의 어두운 틈새와 전 세계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복수심이 자리 잡고 있었다.

 

Revenge, not just against our homeland, but against everything Germany represents: the very idea of monarchy and empire.

조국에 대한 복수뿐만 아니라 독일이 대표하는 모든 것, 즉 군주제와 제국이라는 개념에 대한 복수였다.

 

The pillars upon which we had built our Empire were now seen as the rotting relics of a bygone era.

우리가 제국을 건설한 기둥은 이제 지나간 시대의 썩은 유물처럼 여겨졌다.

 

With socialism on the rise, we found ourselves in the position of the Ancient Regimes in the 19th century, and every day we slumbered, the Syndicalists grew in power.

사회주의가 부상하면서 우리는 19세기 옛 정권의 입장에 처하게 되었고, 우리가 잠든 사이 노조주의자들의 세력이 커져갔다.

 

We had defeated the French and British, yes, but gave no consideration to what came after.

우리는 프랑스와 영국을 물리쳤지만 그 이후는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Our politicians would do well to remember that, when you push against history, history will always push back.

우리 정치인들은 역사를 밀어내면 역사는 반드시 반격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

 

Not long after, German fears of encirclement had become a bitter reality.

얼마 지나지 않아 독일의 포위망에 대한 두려움은 쓰라린 현실이 되었다.

 

Years after the fall of Britain, another and perhaps even more concerning development was occurring on Germany's Eastern flank.

영국이 패망한 지 몇 년 후, 독일의 동쪽 측면에서는 또 다른, 어쩌면 더 우려스러운 상황이 벌어지고 있었다.

 

A new, populist leader by the name of Boris Savinkov had begun rallying large sections of the Russian populace with a distinct anti-German rhetoric.

보리스 사빈코프라는 새로운 대중주의 지도자가 뚜렷한 반독일 수사로 러시아 국민 상당수를 결집시키기 시작한 것다.

 

Savinkov capitalised on the deep-seated frustration and hatred of the Russian people against their humiliation in the Great War.

사빈코프는 대전쟁의 굴욕에 대한 러시아 국민들의 뿌리 깊은 좌절과 증오를 이용했다.

 

His Motherland party promised a return to the greatness of the Russian Empire, and on the streets of Moscow, it was whispered Savinkov would not just be President, but a leader, a Vozhd, of all Russian people.

그의 모국당은 러시아 제국의 위대함으로의 복귀를 약속했고, 모스크바 거리에서는 사빈코프가 단순한 대통령이 아니라 모든 러시아 국민의 지도자, 즉 보즈드가 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았다.

 

The rising Russian threat not only deeply worried Berlin, but even more so the various German client states in Eastern Europe.

러시아의 위협이 커지자 베를린은 물론이고 동유럽의 여러 독일 의존국들도 크게 우려했다.

 

These so-called “Oststaaten”, or Eastern States, were slowly becoming a central pillar of Germany’s post-war economic order.

이른바 '오스트슈타텐', 즉 동방국가들은 전후 독일 경제 질서의 중심축으로 서서히 부상하고 있었다.

 

This project became known as Mitteleuropa, or the Central-European Bloc.

이 프로젝트는 미텔에우로파, 즉 중부 유럽 블록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This economic alliance had been a political project of a group commonly referred to as the National Liberal Bourgeoisie.

이 경제 동맹은 흔히 국가 자유주의 부르주아지라고 불리는 그룹의 정치적 계획이었다.

 

National, because this faction ultimately sought to expand Germany's power.

국가, 이 세력은 궁극적으로 독일의 세력 확장을 추구했기 때문이다.

 

Liberal, because they did so through economic predominance, rather than aggressive foreign domination.

자유주의, 공격적인 외국 지배가 아닌 경제적 우위를 통해 이를 달성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It didn't hurt, of course, that they consisted mostly of bankers and industrialists, all of whom stood to gain personally from an economic approach to Germany's eastern flank.

물론 이들이 대부분 은행가와 산업가들로 구성되었고, 이들은 모두 독일의 동쪽 측면에 대한 경제적 접근을 통해 개인적으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사람들이라는 점도 나쁘지 않았다.

 

Together, they leveraged their economic power and political influence to vastly expand their holdings in the East.

이들은 경제력과 정치적 영향력을 바탕으로 동방에 대한 지배력을 크게 확대했다.

 

The aim of Mitteleuropa, ultimately, was to secure German economic hegemony over the continent, with heavy protective tariffs for non-member nations.

미텔에우로파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비회원국에 대한 높은 보호 관세를 통해 유럽 대륙에 대한 독일의 경제적 헤게모니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Chief among these treaties was the economically exploitative, Vilnius agreement of 1926.

이러한 조약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경제적으로 착취적인 1926년 빌뉴스 조약이었다.

 

Unequal treaties such as these played no small part in the rise of Russian nationalism, spearheaded by Savinkov.

이와 같은 불평등 조약은 사빈코프가 주도한 러시아 민족주의의 부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The economic bloc had more uplifting goals as well, of course.

물론 경제 블록은 더 고양된 목표도 가지고 있었다.

 

Mitteleuropa fostered far-reaching cooperation between the various bloc members over the years, leading to the establishment of a complex alliance network colloquially referred to as the “Reichspakt”, the Imperial Pact.

미텔에우로파는 수년에 걸쳐 여러 블록 회원국 간의 광범위한 협력을 촉진하여 구어체로 라이히스팍트, 즉 제국조약이라는 복잡한 동맹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었다.

 

To understand the new German order in Eastern Europe however, we must first travel back to 1918, and the last chaotic months of the Great War.

그러나 동유럽의 새로운 독일 질서를 이해하려면 먼저 대전쟁의 마지막 혼란기였던 191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In 1918, the Treaty of Brest-Litovsk had signed away enormous swathes of land in Eastern Europe to Germany.

1918년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동유럽의 막대한 땅이 독일에 넘어갔다.

 

Even during the war, the Germans had sought close cooperation with the budding independence movements in these areas, well-aware that German-aligned client states would have  a greater value than direct annexations.

전쟁 중에도 독일은 독일과 동맹을 맺은 의존국을 만드는 것이 직접 합병하는 것보다 더 큰 가치가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 지역의 신생 독립 운동가들과 긴밀한 협력을 모색했다.

 

In Eastern Europe, Realpolitik, pragmatism and level-headedness would prevail over the far-right’s extreme demands for territory.

동유럽에서는 현실 정치, 실용주의, 냉정함이 극우파의 극단적인 영토 요구보다 우세했다.

 

Nonetheless, the various newly-formed nations would have wildly varying degrees of autonomy.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 형성된 여러 국가들은 매우 다양한 수준의 자치권을 갖게 될 것이었다.

 

While nominally independent, the Kaiserreich ensured strong German ties would influence their national awakening.

명목상 독립국이었지만, 카이저라이히는 독일과의 강력한 유대가 국가적 각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했다.

 

Some of these nations were outright placed under German monarchs, others were controlled more subtly, through advisors and economic policy.

이 국가들 중 일부는 독일 군주 밑에 완전히 배치되었고, 다른 국가들은 고문과 경제 정책을 통해 더 미묘하게 통제되었다.

 

Through these new satellite states in the East, Germany began realizing the concept of a united ‘Mitteleuropa’.

독일은 동부의 새로운 위성 국가들을 통해 통합된 '미텔에우로파'라는 개념을 실현하기 시작했다.

 

Six countries were of special importance for this vision: the United Baltic Duchy, Lithuania, Poland, White Ruthenia, Ukraine, and Finland.

특히 발트 연합 공국, 리투아니아, 폴란드, 백루테니아, 우크라이나, 핀란드 등 6개 국가가 이 비전에 중요했다.

 

-

 

Along the Baltic Sea, two client states protected the Northeastern frontier of the German bloc.

발트해를 따라 두 개의 의존국이 독일 블록의 북동부 국경을 보호했다.

 

The United Baltic Duchy and the Kingdom of Lithuania.

바로 발트 연합 공국과 리투아니아 왕국이다.

 

Of all the Oststaaten, the Duchy was without a doubt the one with the closest ties to Germany, mostly due to the prominence of the local Baltic German elite in the administration.

발트해 연안 지역 독일 엘리트들이 행정부에서 두각을 나타냈기 때문에, 공국은 의심할 여지 없이 모든 오스트슈타텐 중에서 독일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었다.

 

From the beginning however, the region had been plagued by Latvian and Estonian resistance, as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treated like second-class citizens by their German overlords.

그러나 이 지역은 인구의 대다수가 독일 군주로부터 2등 시민 취급을 받았기 때문에, 처음부터 라트비아와 에스토니아의 저항에 시달렸다.

 

The situation was notably different in the Kingdom of Lithuania, however.

그러나 리투아니아 왕국의 상황은 확연히 달랐다.

 

Germany initially had their very own plans for the country, but was overturned by the Lithuanian State Council, which instead elected the German prince  Wilhelm Karl von Urach as their king.

독일은 처음에 리투아니아에 대한 독자적인 계획을 세웠지만, 리투아니아 국무원에서 이를 뒤집고 대신 독일 왕자 빌헬름 카를 폰 우라흐를 국왕으로 선출했다.

 

Von Urach ascended to the throne as Mindaugas II, and despite German protests, became a popular leader.

폰 우라흐는 민다우가스 2세라는 이름으로 왕위에 올랐고 독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인기 있는 지도자가 되었다.

 

While Lithuania enjoyed an economic boom under the adept rule of Mindaugas, the Duke would pass in 1928 and be succeeded by his wildly unpopular son.

리투아니아는 민다우가스의 유능한 통치 아래 경제 호황을 누렸지만, 1928년 민다우가스 공작이 세상을 떠나고 인기 없는 아들이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

 

In both the United Baltic Duchy and Lithuania, growing German influence did not sit well with the middle and labour classes.

발트 연합 공국과 리투아니아 모두에서 독일의 영향력 확대는 중산층과 노동계급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These sections of the population used their limited representative democracy to press against growing German meddling.

이 계층은 제한된 대의제 민주주의를 이용해 독일의 간섭이 커지는 것에 반대했다.

 

Often, the Kaiserreich would find itself having to intervene in matters of state.

종종 카이저라이히가 국가 문제에 개입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했다.

 

These political pressures made it painfully clear to the people of the Baltic States that their independence was only nominally so, and that they may have traded Russian oppression for German technocracy.

이러한 정치적 압력은 발트해 연안국 국민들에게 발트해 연안국의 독립이 명목상의 독립일 뿐이며 러시아의 억압과 독일의 기술주의를 맞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고통스럽게 인식하게 했다.

 

-

 

Surprisingly, Germany would fare better in Poland, of all places.

놀랍게도 독일은 무엇보다도 폴란드에서 더 나은 성과를 거두었다.

 

The Polish question had been one of the Central Powers’ most contentious issues for the duration of the war, as Germany and Austria severely struggled to agree on a common policy in the region.

폴란드 문제는 전쟁 기간 동안 독일과 오스트리아가 이 지역에서 공동의 정책을 합의하는 데 극심한 어려움을 겪으면서 동맹국 사이에서 가장 논쟁적인 문제였다.

 

After years of conflict, it was agreed upon that the former Congress Poland would fall entirely into the German sphere, and that a German Prince would be elected as its sovereign, much to the disdain of Vienna.

수년간의 갈등 끝에 구 의회 폴란드는 전적으로 독일의 영역으로 편입되고, 빈의 경멸 속에 독일 왕자가 군주로 선출되는 데 합의했다.

 

The choice fell on the Kaiser's fourth son, Prince August of Prussia, who ascended to the formerly vacant Polish throne in early 1920.

1920년 초에 공석이었던 폴란드 왕위에 오른 카이저의 넷째 아들인 프로이센의 아우구스트 왕자가 선택되었다.

 

The Prince, however, was challenged by the parliament, the Sejm, an influential institution conceded to the Polish People in exchange for their fealty to the Kaiser.

그러나 왕자는 폴란드 국민들이 카이저에게 충성을 바치는 대가로 양보한 영향력 있는 기관인 세임(의회)의 도전을 받았다.

 

The Sejm found allies in the Polish nobility, and the effeminate and coquettish August was deeply unpopular with his Polish subjects.

세임은 폴란드 귀족들 사이에서 동맹을 찾았고, 여성스럽고 요염한 아우구스트는 폴란드 국민들에게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For now however, the Polish people were ready to let bygones be bygones, and focused on the rebuilding of their nation.

하지만 폴란드 국민은 과거를 잊고 국가 재건에 집중할 준비가 되어있었다.

 

Over the 1920s, Germany progressively let go of her anti-Polish policies in Prussia and relations between the countries normalized.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독일은 프로이센에 대한 반폴란드 정책을 점진적으로 철회하고 양국 관계가 정상화되었다.

 

German capitalists began heavily investing in the East, and the railway boom saw the Polish economy make enormous strides.

독일 자본가들은 동유럽에 막대한 투자를 시작했고, 철도 붐으로 폴란드 경제는 엄청난 발전을 이루었다.

 

This period of relative calm was in stark contrast to the chaos in Western Europe and Russia, and gave Germany hope that a German-led European order was indeed in the making.

상대적으로 평온했던 이 시기는 서유럽과 러시아의 혼란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었고, 독일은 독일이 주도하는 유럽 질서가 실제로 만들어지고 있다는 희망을 갖게 되었다.

 

-

 

This German order would be difficult to sell to some allies, however.

그러나 이러한 독일 주도의 질서는 일부 동맹국들에게 설득력을 얻기 어려웠다.

 

Germany would encounter stiff resistance in the more autonomous frontier of the German sphere, as was the case in White Ruthenia, for example.

예를 들어 백루테니아의 경우처럼 독일은 독일 영향권의 더 자율적인 변경지역에서 거센 저항에 부딪혔다.

 

For most of the war, Belarus, or White Ruthenia as it was known in the West at the time, had not even been a declared German war aim.

전쟁의 대부분 기간 동안 벨라루스, 즉 당시 서방에서 백루테니아로 알려진 곳은 독일이 전쟁 목표로 삼은 곳도 아니었다.

 

This was mostly because the government in Berlin did not understand much of a distinct “Belarusian” culture.

이는 대체로 베를린 정부가 '벨라루스'의 독특한 문화를 잘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The country was arguably the last nation in Eastern Europe to begin its national awakening, and even in 1918, Belarusian national consciousness barely existed outside of the small intelligentsia.

벨라루스는 동유럽에서 가장 늦게 민족적 각성을 시작한 국가였으며, 1918년 당시에도 벨라루스의 민족 의식은 소수의 지식인층을 제외하고는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The population of Belarussians in the Russian Empire was almost completely made up of poor and illiterate peasants, their identity limited to their own villages, only vaguely aware that they were neither Polish, nor Russian, nor Jews.

러시아 제국의 벨라루스 인구는 거의 전적으로 가난하고 문맹인 농민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정체성은 자기 마을에 국한되어 있었고, 폴란드인도 아니고 러시아인도 아니고 유대인도 아니라는 사실을 어렴풋이 알고 있을 뿐이었다.

 

The arrival of German troops on Belarusian soil began to change things.

독일군이 벨라루스 땅에 도착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In March 1918, the Germans advanced up to Minsk to pressure the Bolsheviks into signing a peace agreement, and the Belarusians seized upon that opportunity to proclaim the White Ruthenian Democratic Republic.

1918년 3월, 독일군은 민스크까지 진격하여 볼셰비키가 평화 협정에 서명하도록 압력을 가했고, 벨라루스인들은 그 기회를 놓치지 않고 백루테니아 민주 공화국을 선포했다.

 

The German occupation forces did not bother to recognize the fledgling state at first.

독일 점령군은 처음에는 이 신생 국가를 인정하지 않았다.

 

Soon, however, they began to work with local independence activists against Russia.

그러나 곧 그들은 현지 독립 운동가들과 협력하여 러시아에 대항하기 시작했다.

 

During the final peace treaty with Russia in 1921, Moscow was forced to recognize Belarusian independence on top of the nations already freed by the Brest-Litovsk Treaty.

1921년 러시아와의 마지막 평화 조약에서 모스크바는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이미 해방된 국가들에 더해 벨라루스의 독립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After independence, White Ruthenia found itself with the dubious honour of being the least developed nation in the Mitteleuropean bloc.

독립 후 백루테니아는 미텔에우로파 블록 안에서 최빈국이라는 불명예를 안게 되었다.

 

Left-leaning democratic leaders would be tasked with building a new nation out of the rubble of centuries of Russian neglect.

좌파 성향의 민주주의 지도자들은 수 세기에 걸친 러시아의 외면으로 인한 폐허 속에서 새로운 국가를 건설해야 하는 임무를 맡게 되었다.

 

-

 

While the Belarussian story became one of happenstance, her southern neighbour Ukraine had created quite the myth around her own independence.

벨라루스의 역사는 우연에 불과했지만, 벨라루스의 남쪽 이웃인 우크라이나는 독립을 둘러싼 신화를 만들어냈다.

 

In the streets of Kyiv, it was proudly said that Ukraine was not given independence, but rather that she took it herself.

키예프 거리에서는 우크라이나의 독립은 누가 준 것이 아니라 스스로 쟁취한 것이라는 말이 자랑스럽게 회자되었다.

 

In truth, the Ukrainian revolution of 1917-1918 was indeed successful at driving out the Bolsheviks, but only thanks to massive Austrian and German military aid.

사실 1917~1918년 우크라이나 혁명은 볼셰비키를 몰아내는 데 성공했지만, 이는 오스트리아와 독일의 막대한 군사 원조 덕분이었다.

 

Under the leadership of the determined and widely-respected Cossack hetman Pavlo Skoropadsky, the large country became the most important German-aligned bulwark in the East, enjoying without a doubt the most far-reaching autonomy of all the Oststaaten.

결단력 있고 널리 존경받는 코사크족 지도자 파블로 스코로파드스키의 지도력 아래 이 거대한 국가는 동구권에서 가장 중요한 독일 동맹의 보루가 되었고, 의심할 여지 없이 모든 동구권 국가 중 가장 광범위한 자치권을 누리게 되었다.

 

However, while nominally an independent state, rural Ukraine existed only with massive German economic aid, and the authoritarian leadership of the Hetman slowly turned the peasants and the working  class against him and his German backers.

그러나 명목상 독립 국가였지만 우크라이나 농촌은 독일의 막대한 경제 원조로만 존재했고, 헤트만의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농민과 노동자 계급을 그와 그의 독일 후원자들에게 서서히 등을 돌리게 했다.

 

The poorest of Ukrainian society blamed the Hetmanate for the country's economic woes.

우크라이나 사회의 가장 가난한 사람들은 국가의 경제난을 헤트만 왕조 탓으로 돌렸다.

 

Demagogues conjured exaggerated images of fat German businessmen enriching themselves with Ukraine’s natural resources, bolstering the powerful syndicalist Borotbist faction in the countryside.

선동가들은 우크라이나의 천연자원으로 부를 축적한 독일 사업가들의 과장된 이미지를 떠올리며 시골의 강력한 노조주의 보로트비스트 세력을 강화했다.

 

Looming tensions with bordering Russia would only further increase instability in the Hetmanate.

국경을 맞대고 있는 러시아와의 긴장이 고조되면서 헤트만국의 불안정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

 

-

 

Luckily, the Germans would find a more stable and reliable allies in the far North.

다행히도 독일은 북쪽에서 더 안정적이고 믿을 만한 동맹국을 찾을 수 있었다.

 

At the northern fringes of the Empire, Finland had gained its independence by using the chaos of the October Revolution and the Civil War to oust the Russians in late 1917.

제국의 북쪽 변방에 있던 핀란드는 10월 혁명과 내전의 혼란을 틈타 1917년 말 러시아를 축출하고 독립을 쟁취했다.

 

The subsequent Finnish Civil War only ended with a decisive defeat of the Bolshevik forces due to Germany’s intervention in March 1918.

이어진 핀란드 내전은 1918년 3월 독일의 개입으로 볼셰비키 세력이 결정적인 패배를 당한 후에야 끝났다.

 

Not long after the end of the civil war, the German Prince Friedrich Karl von Hessen was elected to the Finnish throne by the government in Helsinki.

내전이 끝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헬싱키 정부에 의해 독일 왕자 프리드리히 칼 폰 헤센이 핀란드 왕위에 선출되었다.

 

Thus, when Finland was invited into Mitteleuropa after the war, they were not treated as a semi-autonomous puppet state, but rather, as an allied brother nation.

따라서 전쟁 후 핀란드는 미텔에우로파에 초대되었을 때 반자치적인 괴뢰국이 아니라 동맹국의 형제 국가로 대접받았다.

 

With their strategic position at the Gulf of Finland and their border only kilometres away from Russian Petrograd, the proud Fins would become a stalwart ally in the struggle against Russian influence.

핀란드만의 전략적 위치와 러시아 페트로그라드에서 불과 몇 킬로미터 떨어진 국경 덕분에 핀란드의 자부심은 러시아의 영향력에 대항하는 투쟁에서 든든한 동맹국이 되었다.

 

-

 

Finland, Belarus, Ukraine, the United Baltic Duchy, Lithuania and Poland.

핀란드,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발트 연합 공국, 리투아니아, 폴란드.

 

These six nations formed the core of Germany's ambitions for a new European order.

이 여섯 나라는 새로운 유럽 질서를 향한 독일의 야망의 핵심을 형성했다.

 

Each nation had been built, sometimes from the ground up, with German support.

각 국가는 때로는 처음부터 독일의 지원을 받아 세워졌다.

 

Rather than imperial annexation, German rule promised autonomy and economic collaboration.

독일의 통치는 제국주의적 합병 대신 자율성과 경제 협력을 약속했다.

 

Finally, peace had come to the chaos-torn East.

마침내 혼란에 빠진 동유럽에 평화가 찾아왔다.

 

As Syndicalism ravaged Western Europe and threatened the rule of her conservative governments, patriotic forces in the East stood with Germany to form a united front against outside threats.

노조주의가 서유럽을 황폐화시키고 보수 정부의 통치를 위협하자 동유럽의 애국 세력은 독일과 함께 외부의 위협에 맞서 연합 전선을 형성했다.

 

By the second half of the 1920’s, Germany had found promising, but uneven success in her nation-building efforts.

1920년대 후반이 되자 독일은 국가 건설 노력에서 유망하지만 고르지 않은 성공을 거두었다.

 

The world to her West and South had not stood still, unfortunately.

하지만 안타깝게도 서쪽과 남쪽의 세계는 가만히 있지 않았다.

 

Soon, the Empire was due for a rude awakening from her post-war slumber.

곧 독일 제국은 전후의 잠에서 깨어나기 시작했다.

 

As the German Empire rose, across the channel, another world empire had begun to collapse.

독일 제국이 부상하자 해협 건너편에서는 또 다른 세계 제국이 무너지기 시작했다.

 

-

 

The British Empire had been a defining feature of geopolitics ever since the 17th Century.

대영제국은 17세기 이래로 지정학의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At its height, Great Britain ruled over almost a quarter of the world's population and land mass.

전성기 시절 영국은 전 세계 인구와 국토의 거의 4분의 1을 통치했다.

 

Nobody in the world, not even Germany, would have ever suspected a leviathan of this size and scope to be as vulnerable as the empire turned out to be.

독일을 포함한 전 세계 어느 누구도 대영제국의 규모와 범위가 이토록 취약할 것이라고 의심하지 않았을 것이다.

 

The French Syndicalist revolution of 1919 was not a singular event, but rather became a spark to ignite labour frustration all over the world.

1919년 프랑스 노조주의 혁명은 단발적인 사건이 아니라 전 세계 노동자들의 좌절에 불을 붙이는 도화선이 되었다.

 

While the Kaiserreich would weather the Syndicalist storm, their British counterpart was not so lucky.

카이저라이히는 노조주의의 폭풍을 잘 견뎌냈지만, 영국은 운이 좋지 않았다.

 

With the outbreak of the British Civil War in late 1924, the British Isles, once the central hub for a world-spanning empire, had suddenly gone dark, throwing the delicate network of imperial dependencies into disarray.

1924년 말 영국 내전이 발발하면서 한때 전 세계를 아우르는 제국의 중심지였던 대영 제도는 갑자기 어둠에 빠졌고, 제국의 섬세한 종속 네트워크는 혼란에 빠졌다.

 

With the Royal Navy sailing off into exile in North America, the remaining colonies and territories of Great Britain were effectively cut off.

왕립 해군이 북아메리카로 망명을 떠나면서 영국의 남은 식민지와 영토는 사실상 단절되었다.

 

Her vital ports and canals would fall under foreign control, further isolating the battled dominions.

영국의 중요한 항구와 운하가 외국의 통제하에 들어가면서 전투에 참여한 영토는 더욱 고립되었다.

 

During the early 20s, the German Empire had watched in glee as various independence movements had chipped away at the British Empire.

20년대 초반, 독일 제국은 다양한 독립 운동이 대영제국을 무너뜨리는 것을 기뻐하며 지켜보았다.

 

Some time earlier, Ireland, India and Egypt had already declared independence.

그보다 얼마 전에 아일랜드, 인도, 이집트는 이미 독립을 선언했다.

 

However, now in 1925, the fall of the Home Isles began to turn into a threat for Berlin as well.

그러나 1925년, 대영 제도의 몰락은 베를린에도 위협이 되기 시작했다.

 

With the Home Isles gone, the British African and East Asian possessions were completely cut off from any kind of responsible government.

영국령 아프리카와 동아시아의 영토는 대영 제도가 함락되면서 책임 있는 정부로부터 완전히 단절되었다.

 

In Berlin, this stoked ears of reinvigorated native nationalism that would eventually also spill over to nearby German colonies.

이 소식은 베를린에서 원주민 민족주의에 불을 지폈고, 이는 결국 인근 독일 식민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The news became especially dire when reports turned up about secret Syndicalist meddling in the aforementioned areas.

특히 앞서 언급한 지역에 비밀리에 노조주의자들이 개입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상황은 더욱 심각해졌다.

 

Suddenly, the world found itself at a crossroads.

갑자기 세계는 기로에 서게 되었다.

 

Germany had upended the world order with her victory in the Weltkrieg, but never suspected the results would be this severe.

독일은 벨트크리크의 승리로 세계 질서를 뒤흔들었지만, 그 결과가 이렇게 심각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With Syndicalist powers taking on an increasingly anti-imperial and anti-monarchist stance, Germany found precious few allies on the world stage when managing the fallout of the colonial crisis.

노조주의 세력이 점점 더 반제국주의와 반군주주의 입장을 취하면서 독일은 식민지 위기의 후유증을 극복하는 데 있어 몇 안 되는 소중한 동맹국 밖에 세계 무대에서 찾을 수 없었다.

 

In a macabre twist of fate, it was now British colonial leaders calling on Germany for protection, starting with British Hong Kong in July 1925.

운명의 장난처럼 1925년 7월 영국령 홍콩을 시작으로 영국의 식민지 지도자들이 독일에 보호를 요청했다.

 

To many on the German homefront, globe-spanning German interventions would amount to geopolitical suicide, completely disturbing the global power balance and potentially risking renewed conflict with France and Britain.

독일 본토의 많은 사람들에게 독일이 전 세계에 걸쳐 개입하는 것은 지정학적 자살 행위로, 세계 세력 균형을 완전히 무너뜨리고 프랑스 및 영국과의 새로운 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천만한 일이었다.

 

As international emergency congresses were called, heated debates raged through the Reichstag, with fistfights and bitter rivalries punctuating the vast divides emerging in German politics.

국제 비상 회의가 소집되면서 라이히스탁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고, 주먹다짐과 격렬한 경쟁이 독일 정치에 나타난 거대한 분열을 강조했다.

 

In the end, the combination of fear and greed was too much for the empire to resist, however.

그러나 결국 공포와 탐욕의 결합은 제국이 저항하기에는 너무 큰 것이었다.

 

Germany declared herself the protector of the colonial order, a direct counterweight to the rising Syndicalist powers of the world.

독일은 식민지 질서의 수호자임을 자처하며 떠오르는 세계 노조주의 세력에 정면으로 맞섰다.

 

Colonial governors who sought protection would find so under German guidance and were ensured their positions would remain intact.

보호를 받고자 하는 식민지 총독들은 독일의 지도 아래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었고, 그들의 지위가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을 받았다.

 

The rule of empire, was, after all, a right granted by God and Kaiser.

제국의 통치는 결국 신과 카이저가 부여한 권리였다.

 

Facing challenges worldwide, the Kaiserreich became one of the struggling inheritors of a world order that was now slowly unravelling.

전 세계적으로 도전에 직면한 카이저라이히는 이제 서서히 해체되고 있던 세계 질서의 고군분투하는 상속자 중 하나가 되었다.

 

At this moment in history, only time could tell whether Germany would succeed in using her new-found strength to reshape the world in her own image: A vanguard of stability and order against the chaos of world revolution.

역사의 이 순간, 독일이 새로 찾은 힘을 바탕으로 세계를 세계 혁명의 혼란에 맞서는 안정과 질서의 선봉대라는 자신의 이미지 대로 재편하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는 시간만이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cruel irony was that the very victory that had given Germany strength also fundamentally undermined the world order the Empire had sought to establish.

잔인한 아이러니는 독일에 힘을 실어준 바로 그 승리가 독일 제국이 구축하고자 했던 세계 질서를 근본적으로 약화시켰다는 점이다.

 

With Russia in throes, America absent, and France and Britain stoking the fires, Germany stood alone as a wasting rock amid stormy seas.

러시아가 혼란에 빠지고 미국이 부재한 가운데 프랑스와 영국이 불을 지피는 상황에서 독일은 폭풍우 치는 바다에 홀로 버려진 바위처럼 서 있었다.

 

German resolve would be tested as it stepped up to the role of global police force.

독일의 결연한 의지는 세계 경찰의 역할을 맡게 되면서 시험대에 오르게 된다.

 

The old order had found a new champion, and the German Empire would, as they called it, Guard the Balance.

구질서는 새로운 챔피언을 찾았고, 독일 제국은 그 이름처럼 '균형의 수호자'가 될 것이다.

 

The ancient grudges of the Great War and before were never truly forgotten.

대전쟁과 그 이전의 고질적인 원한은 결코 잊히지 않았다.

 

They had been transformed, changed colour and shape, yes.

물론 전쟁의 색깔과 형태가 바뀌긴 했다.

 

But ultimately, the world began waking up to the harsh truth.

하지만 궁극적으로 세계는 냉혹한 진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This armed peace would never last.

이 무력에 의한 평화는 결코 지속될 수 없었다.

 

There would be another World War, another Weltkrieg.

또 다른 세계대전, 또 다른 벨트크리크가 일어날 것이다.

 

And the coming decade would decide where the battle lines would be drawn.

그리고 앞으로의 10년이 전선이 어디로 그어질지 결정할 것이다.

 

-

 

Greed.

탐욕.

 

Greed is such a human emotion, is it not?

탐욕은 인간의 감정이지 않나요?

 

Imagine, if you will, the German noble.

독일 귀족을 상상해 보세요.

 

A fat and decrepit aristocrat, owning so much he does not even know the beginning and end of his own wealth.

뚱뚱하고 쇠퇴한 귀족은 자신의 재산의 시작과 끝도 모를 정도로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있어요.

 

But even that is not enough.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죠.

 

These nobles and old regimes exist only to consume, an eternal cycle of growth and decay.

이 귀족과 낡은 정권은 오직 소비를 위해 존재하며, 성장과 쇠퇴의 영원한 순환을 반복해요.

 

The Empire exists only to serve the Empire, a snake eating its own tail.

제국은 뱀이 제 꼬리를 물어뜯는 것처럼 제국을 위해 존재할 뿐이죠.

 

And then… there was Syndicalism.

그리고... 노조주의가 있었죠.

 

We exist as cracks in the system.

우린 체제의 균열로 존재해요.

 

Vandals in the night, stealing away as the imperial police force breaks down the door to the illegal printing station.

제국 경찰이 불법 인쇄소 문을 부수고 들어올 때 밤에 기물을 파손하고 훔쳐 달아나죠.

 

An idea in the hearts of man, that perhaps it is not right that so few own so much, and so many have so little.

소수가 너무 많이 소유하고 다수가 너무 적게 소유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생각이 인간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어요.

 

An idea that there are millions of us, and few of them.

인간은 수백만 명인데 소수만 소유하고 있다는 생각.

 

That if we would only grasp for it, their power would be for naught.

우리가 그것을 움켜쥐기만 한다면 그들의 힘은 무용지물이 될 거에요.

 

While the Germans drink champagne in Berlin, we sit in grimy worker bars in Saigon, Shanghai, Cape Town, Algiers, Cairo.

독일인들이 베를린에서 샴페인을 마시는 동안 우리는 사이공, 상하이, 케이프타운, 알제, 카이로의 지저분한 노동자 바에 앉아 있죠.

 

We are the unseen hand of history, turning the dials of power back to balance.

우리는 역사의 보이지 않는 손이며, 권력의 다이얼을 다시 균형으로 돌리고 있어요.

 

And there are more of us every day.

그리고 우리는 매일 더 많은 사람들이 있죠.

 

The baker from across the corner, he is now a Syndicalist.

길모퉁이에서 빵을 굽던 제빵사는 이제 노조주의자가 되었죠.

 

The bowing servant, suffering abuse from his noble master, he is now a Syndicalist.

고귀한 주인의 학대에 시달리던 하인은 이제 노조주의자가 됐고요.

 

The doctor's daughter, clutching red literature as she exits the black market, she too, is now a Syndicalist.

붉은 출판물을 움켜쥐고 암시장을 빠져나오는 의사의 딸도 이제 노조주의자에요.

 

This is what the Germans, in their brutish simplicity cannot grasp.

이것이 바로 독일인들의 잔인한 단순함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것이죠.

 

Our real army does not ride tanks and have warships.

우리의 진짜 군대는 탱크를 타거나 군함을 가지고 있지 않아요.

 

Our real power is underground, in their cities, in ours. Hidden behind the smiles of their subjects.

우리의 진짜 힘은 지하, 그들의 도시, 우리의 도시에, 백성들의 미소 뒤에 숨어 있어요.

 

And all we need is a chance, a weakness, an opening.

우리에게 필요한 건 기회, 약점, 틈새뿐이죠.

 

Hmm.

흠...

 

The German empire is overextended, a bloated relic from a bygone era.

독일 제국은 지나치게 확장된, 지나간 시대의 부풀어 오른 유물이에요.

 

But she is also fragile.

하지만 연약하기도 하죠.

 

All I am looking for now, is that one final straw, to break the camel’s back…

내가 지금 찾고 있는 건 낙타의 등을 꺾을 마지막 지푸라기 하나뿐이에요...

 

---

 

대체역사도 역사야!

1개의 댓글

2024.01.23

동서가 바뀐 역사라 재밌네. 나찌같은 놈들이 러시아에서 나오면 더 무서울거 같은데.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417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풀리지 않는 미스테리. 보돔 호수 살인사건 그그그그 0 11 시간 전
12416 [기타 지식] 일본에 의해서 만들어진 칵테일들 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 1 지나가는김개붕 4 16 시간 전
12415 [기타 지식] 중국에서 안드로이드 폰을 사면 안되는 이유? 10 대한민국이탈리아 17 1 일 전
12414 [역사] English)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3 FishAndMaps 4 1 일 전
12413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그녀는 왜 일본 최고령 여성 사형수가 되었나 10 그그그그 8 3 일 전
12412 [기타 지식] 최근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국내 항공업계 (수정판) 15 K1A1 23 4 일 전
12411 [역사] 인류의 기원 (3) 3 식별불해 6 4 일 전
12410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재벌 3세의 아내가 사라졌다? 그리고 밝혀지... 그그그그 4 6 일 전
12409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의붓아버지의 컴퓨터에서 발견한 사진 3 그그그그 7 8 일 전
12408 [기타 지식] 도카이촌 방사능 누출사고 실제 영상 21 ASI 2 8 일 전
12407 [역사]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ver2 19 FishAndMaps 15 10 일 전
12406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2부 21 Mtrap 8 8 일 전
12405 [기타 지식] 100년을 시간을 넘어서 유행한 칵테일, 사제락편 - 바텐더 개... 5 지나가는김개붕 1 10 일 전
12404 [기타 지식] 오이...좋아하세요? 오이 칵테일 아이리쉬 메이드편 - 바텐더... 3 지나가는김개붕 2 12 일 전
12403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1부 31 Mtrap 13 12 일 전
12402 [기타 지식] 칵테일의 근본, 올드 패션드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이야기 15 지나가는김개붕 14 12 일 전
12401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2부 22 Mtrap 14 12 일 전
12400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1부 13 Mtrap 20 12 일 전
12399 [역사] 군사첩보 실패의 교과서-욤 키푸르(完) 1 綠象 1 11 일 전
12398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미치도록 잡고 싶었다. 체포되기까지 28년이... 1 그그그그 7 13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