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일제시대 조선지원병은 과연 순수 자원이었는가

선 요약

 

1. 일제는 30년대 말까지 조선인에 대한 강한 불신을 가지고 있었고, 초기 '특별지원병' 제도는 엄격한 시험을 거쳐야 했다.

 

2. 그러나 생각보다 엄격한 기준에 맞는 인물들 중에서 지원하는 이들은 예상을 한참 밑도는 수준이었고, 인력이 급한 기준은 점차 완화되었다.

 

3. 대다수의 '지원병'은 가난한 농촌 지역 출신이 상당수였다. 흔히 '친일파'라고 불리는 중상류층은 정작 입으로는 내선일체를 외쳤지, 지원은 거의 안했다.

 

-----------------------

1. 조선지원병이란 무엇인가?

 

조선지원병이란, 말 그대로 지원병이다. 대체로 1938년 시행된 '육군특별지원병제'를 통해 모집된 조선인 군인을 뜻한다. (일본제국 해군은 1943년 부터 지원병을 받았다.)

 

1910년 한일 강제병합 이후 일본은 겉으로는 '내선일체'(내지(일본)와 조선은 한몸)라는 표어를 주창하면서도 조선을 같은 '국민'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이 차별은 근대국가 국민의 의무라 할 수 있는 병역에도 적용되었는데, 지원병제도 이전까지 조선인은 '징병제'에서 제외되었다. 물론 그 이전부터 종종 조선 내 친일파와 일본 내의 수뇌부 사이에서도 종종 조선에 '징병제' 실시를 두고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다.

 

1928년 1월 중추원 회의(조선 총독부의 자문기관. 사실상 친일파들의 집결지였으며 자문 외에 실권은 없었다.)에서 백인기(白寅基)는 의무교육의 실시와 징병제의 시행을 요구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31년, 32년 중추원 회의에서 병역문제가 다루어졌다.

 

일본 내에서도 '조선인 징병'에 대해 이야기가 나오곤 했다. 

 

과연 그것이 조선인과 일본인을 동등한 '국민'으로 대우하기 위함인지, 아니면 '충성 경쟁'의 일환인지에 대해서는 생각해 볼 필요가있겠지만, 어찌되었건 30년대 중반까지 조선인을 대상으로한 '징병'은 없었다. 그러나 1938년,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으로 인해 인력의 부족을 느낀 일본 육군은 병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조치를 시도했고, '육군특별지원병제' 역시 이 일환이었다.

 

2. 조선지원병에 대한 논의

 

1937년 6월, 일본 육군성은 조선인 병역문제에 대해 조선군(조선에 주둔한 일본군을 의미)에게 의견 제출을 요청한다. 이에 조선군사령부는 ‘조선민족의 사상 변천 개요’, ‘日蘇 開戰(일소 개전)에 대한 조선의 관찰’, ‘조선인 경제상태 개관’, ‘조선 아동 취학상황’ 등에 대해 대략 1개월 동안의 조사를 거쳐 7월 2일부로 「조선인지원병제도에 관한 의견」을 제출한다.

 

이때 의견서에서 최소한의 조건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시한다.

 

1. 만 17세 이상 20세 미만의 남자로서 현역에 복무하기를 지원하고 다음의 제 조건을 구비한 자.

 1) 보통학교 졸업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을 가진 부윤, 읍면장이 보증한 자.

 2) 조선총독부에서 시설한 지원병훈련소를 졸업한 자.

 3) 지원병 검사에 합격한 자.

 

2. 채용한 지원병은 대개 다음의 취급을 할 것.

 1) 당분간 보병부대에 배부하는 것을 本則(본칙)으로 하고 일부는 지원을 斟酌(짐작)하여 각 병과 각 부대에 배부한다.

 2) 당분간 조선 내 부대에 배부한다. 3) 재복역 및 하사관 지원을 허가할 것.

 

3. 정부는 조선인에 대한 교육 제 시설 및 그 내용에 대해 다음의 諸件(제건)을 속히 실시할 것.

 1) 조선인 아동 전부의 취학을 목표로 하여 소학교를 정비할 것.

 2) 소학교 교원, 교재, 교육법, 가타 제 시설을 쇄신하고 특히 조선 아동에게 일본정신적 교육을 진작 철저히 하여 ‘우리는 황국 일본의 신민이다’라는 강항 신념과 긍지를 堅持(견지)시킬 것.

 3) 지원병훈련소를 설치하고 현역지원자를 수용하여 여기에 6개월 내지 1개년(교육기간에 대해서는 다음에 연구를 요함)의 예비교육을 시행할 것.

 4) 전항 훈련소에는 교육을 위해 필요한 현역장교, 하사관을 배속할 것. 그리고 위의 용원은 소속부대의 정원 외로 한다.

 

4. 제도 시행 후 수년에 걸쳐 예기의 성과를 거둘 수 없을 경우에는 본 제도의 실시를 중지한다.

5. 본 제도 실행에 따라 헌병보제도를 폐지한다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부윤과 읍면장이 보증하고, 지원병훈련소를 졸업한뒤, 지원병 검사에 합격한 자로 한정되어있다. 심지어 이렇게 선발된 이들은 당분간 조선 내의 보병부대에 배치하고 지원에 따라 재복여하거나 하사관으로 진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성과가 없을 경우 실시를 중단한다고 쓰여져있다.

 

1937년, 일제는 중일전쟁을 벌였고, 거대한 중국과 싸우기 위한 병력의 충원이 시급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걸러낸 지원병을 '6개월' 동안 지원병훈련소에서 예비교육을 시킨 뒤, 조선 내에 배치해둔다는 것 자체가 일제가 조선인 동원에 굉장히 '조심스럽게' 접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38년 1월 15일 조선총독 미나미 지로는 '지원병제도'를 실시할 것을 상주했다. 비슷한 시기 일본 육군성 역시 조선인의 징모병을 심의 중이라 발표했다.

 

1938년 2월 1일 육군대신은 '육군특별지원병령안에 관한 건'이라는 이름의 칙령 안을 내각 총리대신에게 제출한다. 척무성(식민지사업 및 남만주철도, 동양척식의 업무감독, 해외이민사업을 주 업무로한 기관) 역시 3월 19일 '菅警秘 제180호 조선총독부 육군특별지원병 훈련소 관제 제정의 건'을 내각총리 대신에게 청원한다.

 

이후 육군대신이 청원한 칙령안은 바로 다음 날인 2월 2일 '칙령 제 95호 육군특별지원병령'으로 제정되고 3월 30일 '육군성령 제11호 육군특별지원병령시행규칙'이 공포되어 4월 3일부터 육군특별지원병제도가 실시된다. 척무성에서 청원한 관제안 역시 3월 29일 '칙령 제156호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관제'로 제정되었다.

 

조선총독부에서는 4월 2일 '부령 제70호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규정'과 '부령 제71호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생도채용규칙' 및 '훈령 제18호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훈련소생도채용수속' 등을 제정하고 4월 3일부로 시행한다.

 

3. 육군특별지원병제의 '지원'은 자발적이었나?

 

육군특별지원병이 되기 위해서는 6개월의 조선총독부육군병지원자 훈련소 과정을 수료 혹은 수료할 전망이 있는 자로서 일본군에 편입하도록 되어있다. 

이 훈련소의 훈련내용은 철저히 일본군 식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정신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

 

지원병은 1938년 에는 406명, 39년에는 613명 이었으나 40년 부터는 3,060명으로 5배가 뛰고 42년에는 4,077명, 43년에는 6,330명으로 증가했다.

 

그러나 이런 드라마틱한 변화는 불과 2년 만에 기준이 매우 쉽게 완화되었고, 지원에 대한 어느정도 '강요'가 있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기준 완화는 대체로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1. 수업연한 6년 소학교를 수료 혹은 그와 동등한 학력 소유자  -> 수업연한 4년인 소학교 수료정도

 

2. 신장 160cm 이상 신검결과 체격, 등위가 갑종인 자 -> 신장 150cm 이상 신검결과 체격, 등위가 갑종 혹은 제1을종인 자

 

3. 지원자훈련소입소원, 이력서, 자산 및 소득조서, 증명서, 체력검사표 제출 -> 자산 및 소득조서, 증명서 삭제

 

증명서란 위에서 말한 주소지 혹은 본적지의 부윤, 읍면장의 증명서를 말하는 것으로 지원자의 신원을 증명하는 서류이다.

 

결국 부족한 병력을 늘리기 위해 계속해서 내려간 커트라인으로 인해 지원자 역시 늘었다고 볼 수 있다.

 

심지어 조선 내의 중류층 이상의 가정이나 부유층은 '지원'을 피했다. (어찌보면 당연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들이 뭐가 아쉬워서 '징병'도 아니고 자원해서 일본군에 입대하겠는가)

 

조선군보도부 육군 소좌 가바 카오루는 ‘중상류 계급층은 자신들이 지원병제도와 징병제도의 실시를 요구했음에도불구하고 실시가 되자 자기의 자제나 형제는 지원시키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으며, 조선 총독부는 '지원병이 되어서 '황국신민'으로서 황군의 간부인 하사관이나 장교가 될 수 있다'고 홍보하였으나 중상류 계층의 지원은 거의 없다시피 했다.

 

 

지원에 대한 강요 역시 1939년 12월 1일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 총재의 통첩을 통해 알 수 있다.

 

一. 지원병제도 취지의 보급 철처를 도모하기 위해

 

1) 각 애국반 또는 최하급 연맹에서 본건에 관한 좌담회를 반복해서 개최할 것

2) 다시 상급연맹의 주최로 강연회를 개최할 것

3) 가족 중 특히 주부 및 노인의 인식을 심화할 것

4) 학교 생도, 아동 특히 중등학교 이상의 생도의 인식을 심화할 것

5) 사회적 상당 지위에 있는 가정의 자제로서 졸업 전 응모시켜 대중에게 活模範을 보일 것

6) 일반 청년의 동경심을 함양할 것

7) 포스타, 인쇄물 등을 배포할 것(곧 조선연맹으로부터도 배포할 전망이나 그 도착을 기다리지 말고 다소간의 처치를 강구하기 바람)

 

二. 지원병 응모자의 증가를 도모하기 위해

1) 전선에 걸쳐 각 정 동 리 부락연맹으로부터 최소한도 1인 이상의 지원자를 응모하도록 지도할 것

2) 부 읍 면연맹 이사장은 정 동 리 부락연맹 이사장으로 하여금 항상 적응자를 조사시키고 그 연락을 확보할 것

3) 부 읍 면연맹 이사장은 경찰관서 및 재향군인회, 청년단, 부인회와 제휴 연락하고 적응자의 응모 방법을 권유할 것

4) 상급연맹이 주최하여 하급연맹 이사장 또는 본 건에 진력하고 있는 역원의 협의회를 개최하고 서로 연락 또는 격려할 것

5) 응모 가정에 대한 사회적 존경의 초래 및 그 보호에 관해서는 각지 지원병후원회 기타 단체와도 협력, 그 철저를 계획할 것

6) 소재지의 군부기관과는 가능한 한 밀접한 연락을 취할 것

 

추가로 본 건의 성적 여하는 지원병제도의 장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임으로 이 때 연맹의 조직망을 활용하여 다투어 호성적을 올릴 수 있기를 바람.

 

1941년 18세로 육군특별지원병에 지원한 전라남도 함평 출신 이만수가 인터뷰한 내용을 살펴보면 '강요'에 대해서 어느정도 알 수 있다.

 

NHK戦争証言アーカイブス, 타이틀「貧しさから日本軍へ志願」[証言記録兵士たちの戦争]朝鮮人皇軍兵士 遥かなる祖国, 2010년 3월 27일 방송

3.JPG4.JPG

 

1837년 경기도 용인 출생의 유학자 정관해의 일기(관란재일기)에서도 '강요'에 대해 찾아볼 수 있다.

 

‘大獣将開、故招集軍人、名雖志願兵、実則靱集也。今日於住在所、検査身体、身体若合格、則学術之不足、不関云、可見其人員之少也

〔전쟁이 앞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군인을 소집하는데, 명분은 비록 지원병이지만 실제로는 강제로 모집하는 것이다. 오늘 주재소에서=경찰서에서 신체검사에 합격하면 학력이 부족하더라도 관계없다고 하니 지원하는 사람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1941년 1월 24일)

 

4. 정말 많은 이들이 지원했는가?

6.JPG

 

 

가장 많은 지역은 대체로 농촌 지역임이 보인다. 또한 40년대 조선의 인구 수와 지원자의 수를 보더라도 비율은 극히 낮다. 

 

지원병의 수가 기대에 못미치자, 국민총력조선연맹에서는 1942년도 육군지원병모집을 앞두고 도시지역으로 응모자가 적은 경성, 부산, 평양, 청진, 함흥, 대구의 각 부를 골라 도부연맹과 공동주최로 10월 30일부터 11월5일까지 조선에 거주하는 유명인사의 참석을 요구하여 좌담회를 개최하고, 중앙에서 조선연맹은 물론 조선군사령부, 경찰국, 학무국 훈련소등에서도 특히 관계관이 참석하여 간담하는 등 적극적 방도를 강구하기도 한다.

 

결국 도시의 중상류층은 '내선일체'를 외치고 '황국신민으로서의 의무'를 말하지만 정작 본인들은 나서지 않았음을 또다시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참고자료

 

표영수. (2009). 해군특별지원병제도와 조선인 강제동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9, 283-321.

표영수. (2014). 일제강점기 육군특별지원병제도와 조선인 강제동원. 한국민족운동사연구, 79, 95-138.

 

어쩌다보니 연구자 한 명의 자료만 참고하게 되었음. 만약 틀린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지적바람.

 

 

 

 

사견

 

이하 내용은 내 사견임.

 

결국 육군특별지원병 제도는 사실상 일본제국이 조선인을 '황국신민화' 시키는 데 실패했음을 보여준다고 생각함.

 

일본제국 수뇌부는 '내선일체'를 내세웠으나 이를 위해서라면 조선인과 일본인을 '동등'하게 여길 필요가 있었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에 대한 식민지 정책은 '내선일체'와는 거리가 먼 방향이었고, 일제의 황국신민화가 사실상 실패에 가까움을 보여주는 것이 낮은 비율의 '지원병'이 아닐까 싶음.

 

38년이면 이미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가 된 이후에 태어난 사람이 성인이되고도 남을 시기인데, 일제의 '내선일체' 프로파간다가 잘 먹혔다면 지원병이 훨씬 많았을 것이고, 일본의 '근대화'의 수혜를 받은 중상류층의 자제들 중에서도 지원병이 많았겠지.

 

 

7개의 댓글

2022.05.14

21세기에도 부라쿠민 하면서 차별하는 죶본이

성공에 가까웠다고 믿는 븅신들은 뭐냐 ㅋㅋㅋ

광복절때 패전 어쩌구 하는 사람말 지나치게 믿은건가 싶은데

그땐 어려서 뭣도 몰랐으니 그렇게 느낀거지

현실은 나이먹으면 먹을 수록 이봉창처럼

죶본의 뜨거운맛을 다 느꼈을거다

6
2022.05.14

국가총동원령 부터가... 지원이라는 이름아래 강제징용이었을거 같음

 

1
2022.05.14

아무리 전시라도 자원입대하는 사람들이 많을리가 읎지..

0
2022.05.14

1837년생이 1941년까지 살아있었다니

0
2022.05.14

비시프랑스나 네덜란드판무국에서도

지원율 되게 낮았음

0
ery
2022.05.15

1. 그당시는 나름 신분상승의 통로였음

2. 그럼에도 좀 있는 집 입장에선 딱히 매력적이지 않았음

3. 태평양전쟁 전에는 그 자체로 나쁘지 않은 일자리인데다가 모집 인원도 적었기 때문에 경쟁율이 높았음

4. 태평양전쟁 시작하고나서 슬슬 입대강요 분위기가 강해지고 옆에선 징용해대고 하면서 망조가 들었다는걸 다들 직감하고 자원율이 내려갔음.

 

결론: 1920-1930 년대에는 자원율이 높다가 1940 년대 즈음부터 전방위적으로 좆망각 섰다는 분위기가 퍼지며 자원율이 내려가고 강제 징집율이 높아짐.

1
2022.05.16

1. 조선인 징병은 소위 말하는 '자치론자' 내지는 타협주의, 기회주의자들이 1930년대까지 꾸준히 밀던 거였음

특히 이광수 같은 경우 빨리 징병해서 우리도 대일본제국 신민의 권리를 누리자 같은 글을 씀

2. 근데 틀린말은 아님 대부분의 국가에서 징병을 한다는 것은 해당 국가의 국민성을 부여하는 과정임

대체로 국민 국가의 형성에 징병은 결정적인 역할을 함

3. 하지만 조선인 지원병제가 실시하고 나서 군대에서도 차별이 심하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함

이거는 이미 사회에 차별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군대도 어쩔수 없다는 사실

베트남전때 많은 흑인들이 "백인의 군대에 흑인의 자리는 없다"라고 말하는거랑 비슷함

4. 게다가 중일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태평양 전쟁으로 번지면서 전사자가 속출함

점점 전사 소식이 들려오면서 아 군대가면 ㅈ되겠구나를 피부로 느낌

5. 이마저도 1944년쯤 되면 강제징병 시작됨

 

결론적으로 조선인 차별에 대한 개선 의지는 1도 없던 일제가 어영부영 필요에 따라 지원병 모집하고 징병 하다가 개박살난 이야기임

1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413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그녀는 왜 일본 최고령 여성 사형수가 되었나 8 그그그그 5 1 일 전
12412 [기타 지식] 최근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국내 항공업계 (수정판) 14 K1A1 20 2 일 전
12411 [역사] 인류의 기원 (3) 식별불해 4 2 일 전
12410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재벌 3세의 아내가 사라졌다? 그리고 밝혀지... 그그그그 4 4 일 전
12409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의붓아버지의 컴퓨터에서 발견한 사진 3 그그그그 7 6 일 전
12408 [기타 지식] 도카이촌 방사능 누출사고 실제 영상 21 ASI 2 6 일 전
12407 [역사]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ver2 19 FishAndMaps 14 8 일 전
12406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2부 21 Mtrap 8 6 일 전
12405 [기타 지식] 100년을 시간을 넘어서 유행한 칵테일, 사제락편 - 바텐더 개... 5 지나가는김개붕 1 8 일 전
12404 [기타 지식] 오이...좋아하세요? 오이 칵테일 아이리쉬 메이드편 - 바텐더... 3 지나가는김개붕 2 10 일 전
12403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1부 31 Mtrap 13 10 일 전
12402 [기타 지식] 칵테일의 근본, 올드 패션드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이야기 15 지나가는김개붕 14 11 일 전
12401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2부 22 Mtrap 14 10 일 전
12400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1부 13 Mtrap 20 11 일 전
12399 [역사] 군사첩보 실패의 교과서-욤 키푸르(完) 1 綠象 1 9 일 전
12398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미치도록 잡고 싶었다. 체포되기까지 28년이... 1 그그그그 6 11 일 전
12397 [역사] 아편 전쟁 실제 후기의 후기 3 carrera 13 12 일 전
12396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0 12 일 전
12395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두 아내 모두 욕조에서 술을 마시고 익사했... 그그그그 2 15 일 전
12394 [기타 지식] 서부 개척시대에 만들어진 칵테일, 카우보이 그리고 프레리 ... 3 지나가는김개붕 5 15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