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테러가 아닌 이유

 

[상해에서의 천장절 기념식 중 폭탄흉변사건] (1932년 9월)은, 윤봉길 의사의 의거로 죽은 시라카와 요시노리 육군대장의 사망을

보통의 '공무수행 중 사망' 이 아닌, '전사상'으로 취급한다는 일제 측 문서이다.

이 문서는 전사상으로 판정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 1...시라카와 대장은 천장절 축하회장에서 상해를 입었다 할지라도, 본 상해사건은 상해 전장에서
우리 군 수뇌부의 살해를 목적으로 하는 적국 암살단의 활동 중에 발생한 사건이며,

게다가 하수인(*윤봉길 의사)은 일개 조선의 불령한 무리라고 해도, 그들은 중국군 및 항일 암살단과 일맥상통하는 자로서

중국군의 편의대(*사복 차림으로 적 지역에 침투해 후방을 교란하고

적의 상황을 탐지하던 특수공작대)와 동일시해야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건은 만주사변 발생 이래 만주 방면에서 중국 편의대의 저격으로 인하여 살해된 장병의 취급과

동일하게 대우해야 한다고 생각됨.

 

2...게다가 당시는 일본과 중국 양군간 정전교섭 중이며 아직 그 성립을 보지 못했고,

정전교섭은 중국과 우리 양군 간에 수 차례 결렬을 보이는 등 위기에 봉착하여

교섭 성립의 여부는 군사령관의 어깨에 걸려 있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기회에 편승하여 상해군 수뇌부를 죽이고 일본군을 교란시키려는 작전 목적 아래 감행된 본 사건은

그 하수인의 소속국이 어디인지를 불문하고 우리 군에 대한 적대행위로 인하여 감행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단순한 암살행위의 결과로 취급할 수 없다.]

 

 

즉 일본군 수뇌부를 살해한 윤봉길 의사는 중국군의 편의대와 같은 신분으로 간주되어야 하므로,

시라카와 대장의 죽음은 '테러로 인한 공무 중 사망'이 아니라 '전사'라는 것이다.

임종 직전에 남작 작위 및 욱일대훈장을 수여하는 등 극진한 대우를 받았던 시라카와의 죽음을 더욱 '명예'로운 전사로 처리하기 위한 논리였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논리는 윤봉길 의사의 의거가 "미치광이 피해망상 테러범의 개인적 범죄" 따위가 아닌

"독립군 편의대 요원이 일본군에 대해 행한 교전행위" 임을 결과적으로 일제가 스스로 인정한 자승자박이 되고 말았다.

 

1637751890.jpg

- 매헌 윤봉길 의사 기념사업회 저 "윤봉길과 상해의거" 에서

 

 

 

 

일본군이 죽은 장교의 위신을 높이려고 윤봉길 의거를 "민간인에 의한 테러" 에서 "비정규군에 의한 교전"으로 기록함

 

1637751890-1.jpg

"현재 조선은 실력이 없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일본에 반항하여 독립함은 당장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만약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강국피폐(强國疲弊)의 시기가 도래하면 그때야말로 조선은 독립하고야 말 것이다.
현재의 강국도 나뭇잎과 같이 자연 조락의 시기가 꼭 온다는 것은 역사의 필연의 일로서
우리들 독립운동자는 국가성쇠의 순환을 앞당기는 것으로써 그 역할로 삼는다.

 

물론 한두 명의 상급 군인을 살해하는 것만으로는 독립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없다.
따라서 이번 사건 같은 것도 독립에는 당장 직접 효과가 없음을 매우 잘 알고 있지만,
오직 기약하는 바는 이에 의하여 조선인의 각성을 촉구하고
다시 세계로 하여금 조선의 존재를 명료히 알게 하는 데 있다."

 

 

 

- 윤봉길 의사, 의거 후 일제 경찰의 취조에서

 

대한독립만세

5개의 댓글

감사합니다

0
2021.11.28

저 몇 줄로 쓴거 다 꿰뚫어 보셨네

계획 실행 담력 의지 대의 진짜 최고 사나이 아니냐..

1
2021.11.28

쟤들이 그렇다면 그건 정말로 그런 거지ㅋㅋ

0
2021.11.28

고맙읍니다 센세....

0
2021.11.29

"그렇지만 계속 알려줘야지, 우린 계속 싸우고 있다고..."

영화 암살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대사임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459 [기타 지식] 나홀로 세계일주 9년차.ngm 김팽달 0 4 시간 전
12458 [역사] 미중 경쟁의 시대 - 광해군의 중립외교에 관하여 (下) 20 골방철학가 16 1 일 전
12457 [과학] 현직 AI분야 교수님이 말하는 AI 트렌드 근황 32 nesy 23 2 일 전
12456 [호러 괴담] [미제 사건] 집에서 사라졌다? 일본 3대 실종사건 1편. 이시... 1 그그그그 6 3 일 전
12455 [과학] [수학 시리즈] 무한보다 더 큰 무한이 있다? 무한의 크기 비... 22 0년째눈팅중 12 4 일 전
12454 [기타 지식] 일본은 어떻게 위스키 강국이 되었는가? 편 2부 - 바텐더 개... 1 지나가는김개붕 15 4 일 전
12453 [기타 지식] 일본은 어떻게 위스키 강국이 되었는가? 편 1부 - 바텐더 개... 10 지나가는김개붕 11 5 일 전
12452 [과학] [수학 시리즈] 왜 0.999...=1 인가? 수학의 오래된 떡밥에 대... 66 0년째눈팅중 36 5 일 전
12451 [자연] 햄스터에 대한 몇가지 사실들을 알아보자 27 식별불해 7 5 일 전
12450 [자연] 세상에서 가장 빠른 생물을 알아보자 12 식별불해 11 5 일 전
12449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돈을 위해 천륜을 저버리다. 1 그그그그 3 6 일 전
12448 [역사] 미중 경쟁의 시대 - 광해군의 중립외교에 관하여 (上) 31 골방철학가 15 7 일 전
12447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공소시효가 끝나자 살인을 자백한 남성 6 그그그그 11 8 일 전
12446 [기타 지식] 세계 최고 부자가 만드는 술, 꼬냑 헤네시 편 - 바텐더 개붕... 15 지나가는김개붕 13 9 일 전
12445 [유머] 황밸 오지선다 4 Agit 4 11 일 전
12444 [기타 지식] 유럽 안에서 널리 쓰이는 유럽어 45 Overwatch 8 11 일 전
12443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그녀도 날 사랑하는데...카스카베 중국인 부... 4 그그그그 8 12 일 전
12442 [호러 괴담] [살인자 이야기] 언니의 이상한 죽음. 동생은 아버지가 의심... 2 그그그그 5 13 일 전
12441 [기타 지식] 15년전 연애관련글 -----4 2 얀테 1 14 일 전
12440 [기타 지식] 15년전 연애관련 글--------3 얀테 0 14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