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장

(210201) 몇 가지 정보글 공유 / TSLA / EXO-CVX / SLV / 부양책

 

#1. 전세계의 우상향

 - 미선물은 무려 12,700pt 에서 출발해서 최고 13,080pt 까지 찍는 기염을 토하면서 현재 파동 모형을 그리며 14시간째 우상향 중. 코스피 또한 외국인, 기관의 매수에 힘입어서 전 거래일(지난주 금요일) 손실분을 대부분 메우는데(+2.70%) 성공하며 시장 마감. 전방위적으로 강세를 보였으나 특히 셀트리온의 강세가 돋보였음. GME 사태 운동을 하겠다는데 왜 외인, 기관이 더 붙었는지는 이해가 안되지만.

 

 - 외에도 배터리(LG화학, SK이노베이션)을 외국인이 매수, 반도체(SK하이닉스, 삼성전자)와 자동차(현대차, 현대모비스)에서 기관 매수가 돋보였음.

 

 - 또한, 한국은 수출액에서 예상치 9.8%, 발표치 11.4% 라는 큰 어닝을 보이면서 상승. 반면 중국의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는 예상치 52.7을 하회하는 51.5. 이는 7개월만에 최저 수치. 하지만 중단기적인 전망이 가장 좋은 중국이기 때문에 악재로 반영될만한 수치는 아니었음. 유럽의 제조업 지수는 예상치 54.7 과 유사한 수준인 54.8. 금일 00시에 미국의 제조업구매자지수 또한 발표가 되는데 예상치는 60.0 으로 꽤 높은 편. 어닝 서프라이즈 달성을 기도합시다.

 

 - 중국에서는 레포 금리에서 단기적인 스토핑이 발생하며 급등하였는데, 아직까지는 별다른 타격은 없는 것으로 보임.

 

 - 실제로는 중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 전망, 미중갈등에 대한 백악관의 단기적 온건 스탠스, 바이든의 경기 부양책 및 기술적 반등 등이 작용하면서 상승하고 있는 시장이 아닌가 추측해봄. 단기적인 상승/하락에 지나치게 일희일비하지 않기를.

 

 

#2. 바이든의 부양책

https://www.ytn.co.kr/_ln/0104_202102010811470994

 - 바이든의 부양책이 공화당의 반대에 부딪치면서 지지부진한 상황.

 

 - 민주당은 한화로 2,100조원 규모의 부양책을 제안하였으나, 공화당 상원 의원 10명이 해당 부양책을 한화로 670조 정도로 낮추자며 반대를 하고 있는 상황. (2,100조원 규모의 부양책은 재정 적자 부담을 지나치게 가중시키는 정책이라는 지적.)

 

 - 물론 민주당은 상원 블루웨이브를 앞세운 뒤, 공화당의 반대를 묵살하여 부통령인 카멜라 해리스의 의결권을 사용하여 정책을 통과시킬 수 있으나 어쩌면 바이든 정책의 첫 삽이 될 수 도 있는 중요한 사안을 '강압적'으로 하고 싶지 않다는 조심스러운 스탠스를 보이는 중. 공화당 또한 이런 분위기를 노리고 반대하는 상황이며, 이 때문에 통과가 지지부진 하는 중.

 

 - 670조 딜을 승낙하는 경우, 공화당-민주당의 빠른 합일로 스피드한 경기부양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지만 기대 이하의 부양책으로 인한 실망감이 주가에 반영될 가능성이 있음. 

 - 2,100조 딜을 승낙하는 경우, 부양책의 확실성으로 인한 중단기적 주가 상승이 올 수 있지만 민주당이 예산 조정권을 사용하여 강제적인 부양책을 진행해야 하므로 그만큼 속도가 떨어질 것으로 전망.

 

 - 이러나 저러나 경기부양책은 금일 내로 어떻게든 결정이 가시적으로 보일 것으로 보임. 바이든 또한 오늘 내로 결정 내겠다는 강력한 의사를 내비춤.

 

 

#3. 테슬라, 어닝 쇼크에 대한 분석

https://www.reddit.com/r/teslainvestorsclub/comments/la2pgs/sam_and_tasha_from_ark_invest_share_takeaways/

 - 우리에게 돈나무 누나로 유명한 ARK 에서 테슬라의 어닝 쇼크에 대한 원인으로 다양한 분석을 발표.

 

 1) 현재 테슬라가 배터리에 대한 자체 생산을 선언하였으나, 과도한 투자를 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 (2022년 목표치 100기가와트 규모)

 2) FSD(Full Self Driving)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생각보다 부족 (중국 고객 중 1% 이하만이 FSD 패키지를 사용)

 3) 테슬라에게 미국 다음으로 큰 시장인 중국에서의 수요 이동에 대한 불안요소 존재 (FSD가 미국 베이스로 만들어져 중국에서의 운전에 괴리가 존재)

 

 - ARK는 자율주행 플랫폼 시장이 2025년까지 한화로 4,000조 규모까지 확대될 수 있다고 추정하고 있으며, 앞으로 자율주행 시장의 승자가 누가 될 것인가에 대해 큰 기대를 하는 중. 테슬라는 차량 판매 실적도 좋지만 한시라도 빨리 FSD 를 완성시켜서 추격하고 있는 경쟁자들에게 격차를 보여주며 따돌려야한다고 생각.

 

 

#4. 진짜 은도 성공한다고?

 - 레딧에서 은을 좌표 찍었다는 이야기를 저번 주에 간단하게 적었는데, 솔직히 나나 댓글이나 비관적이었는데 그런 생각과는 다르게 은은 현재 3거래일만에 20% 이상 폭등.

 - 이번에도 일부 기관은 좌표가 찍히자마자 폭등하는 거래량에 대해 거래 불가를 선언하며 드르렁 시전 중. 과연 현물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주목.

 

 

#5. FOMC

 - 오늘 오전 4시에 FOMC 위원의 연설이 있을 예정. 정기 일정은 아니라서 주의깊게 챙겨볼 필요는 없음.

 

#6. 쉐브론-엑손모빌 합병? 정유업계 최고의 빅딜

 - 미국의 친환경 정책과 저유가로 인하여 타격을 크게 입은 쉐브론과 엑손 모빌이 합병할 수도 있다는 기사 발표. 성공하게 된다면 엑손 모빌은 아람코 다음으로 가장 거대한 정유 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

 

 - 아람코(사우디): 1.9T (2086조)

 - 엑손 모빌(미국): 시가총액 1,890억 달러 (200조)

 - 쉐브론(미국): 시가총액 1,640억 달러 (170조)

 - 로얄 더치 쉘: 시가총액 1,152억 유로(156조)

 - 페트로차이나: 시가총액 7,035억 위안(122조)

 - BP(영국): 시가총액 550억 파운드 (84조)

 - 가즈 프롬: 시가총액 5조 루블 (74조) 

 - 페트로브라스: 시가총액 3,590억 헤알 (74조)

 

 - 현재 주식 상으로 둘의 덩치는 비슷한 상태이지만, 어떤 방식으로 합병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이 없기 때문에 두 기업 중 어떤 기업이 이득이 될지는 불확실한 상태. 미국 정부가 민주당이라 반독점법 눈치도 봐야하는 상태이고. 이거는 역시 계약서에 도장 찍는 본선에 가봐야 확인이 될 듯함.

 

 

#7. GME

 - FOMC는 GME 사태에 대해서 '개별 주식에 대해 언급할 필요는 없다' 면서 일축. 하지만 사태는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것으로 보임.

 ※ 뉴스에서는 아직도 헤지펀드들의 GME 리스크가 전혀 해소되지 않았다, 매도 리스크는 지속된다고 나와있는데... 지금 수치상으로 보면 이미 청산할 인간들은 다 청산하지 않았나? 지금부터는 그냥 콜기관과 풋기관의 치열한 눈치싸움만이 남아있는 듯 한데.

 

#8. 크게 중요하지는 않지만 알아는 두면 좋을 알쓸신잡

 - 인도에서 비트코인을 규제하겠다는 법안을 제안하였으나, 인도 코인 시장은 그렇게 크지 않아서 타격은 별달리 없을 듯.

 - 글로벌 펀드에서 주식 발행량을 더욱 늘리고 채권 발행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보임. 아직 유동성 파티에서 즐길게 많이 남았다는 전망.

 - 미얀마에서 쿠데타 일어남.

 

#9. 실적 발표

 - 현재 Thermo Fisher Scientific 이라는, 이공계에게 친숙한 기업이 실적 발표. 어닝 서프라이즈 (EPS 7.09/6.52)

 - 외에 NXP, 알리바바, 아마존, 알파벳, 화이자, 엑손모빌, 암젠, EA, 시스코, 치폴레, 할리 데이비슨 등이 실적 발표 예정. 알리바바는 오너 리스크 해소가 얼마나 될지 모르겠으나 아마존과 알파벳은 기존 IT 기업들이 강세를 보인 것으로 보아 좋은 실적을 내지 않을까 추정.

 

https://www.dogdrip.net/304963212 - 1월 30일

https://www.dogdrip.net/304562731 - 1월 29일

https://www.dogdrip.net/304474050 - 1월 28일

https://www.dogdrip.net/304243348 - 1월 27일

2개의 댓글

2021.02.01

매번 고맙다 게이야

0
2021.02.01

진짜 선생님 덕에 개드립 들어오는게 시간낭비라고 생각되질 않습니다.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조회 수
107853 [기타] 간밤에 무슨일이 있었길래 1 진핑이개새끼 1 5 시간 전 406
107852 [국장] 원전 다시날아가냐? 4 년차대출갚는중 0 5 시간 전 205
107851 [미장] 엔비디아 이거 뭐냐? 3 파랑1 0 5 시간 전 567
107850 [미장] 산정호수와서 우리횽들 잘되라고 기도함 4 EPOH 3 7 시간 전 248
107849 [기타] 실시간 충격 실화 11 인간지표 3 7 시간 전 669
107848 [국장] 진짜 잘 모르겠으면 예금이나 해라 4 Erino 0 8 시간 전 421
107847 [기타] 그저께 은퇴한 사람 2 VTI 0 8 시간 전 368
107846 [기타] 9억 갑자기 생기면 어디에 투자하고싶음? 15 오뿌오뿌 0 9 시간 전 618
107845 [기타] 퇴직연금 궁금한게 있는데 8 콩나물두부킬러 0 9 시간 전 169
107844 [기타] 잘 모르겠으면 씨웹이나 사라 8 VTI 1 10 시간 전 314
107843 [기타] 진짜 잘 모르겠으면 s&p500 사라 10 二人で口パク 1 10 시간 전 612
107842 [기타] 세계패권이 중국으로 넘어간다는 주장은 좀 많이 웃김 6 Buffett 0 11 시간 전 374
107841 [기타] 투자 잘 모르면 연저펀 irp isa에서 무지성 snp500 사라는데 15 二人で口パク 2 13 시간 전 615
107840 [국장] 가즈아ㅏㅏ 가보주아ㅏㅏㅏ 8 지토 1 14 시간 전 315
107839 [미장] 베트콩 투자 124일차 5 번익절 0 14 시간 전 465
107838 [미장] 재미가 없네 3 TMF3억 1 16 시간 전 211
107837 [기타] 개붕이들은 존버 손절 선택 어떻게 함? 16 대영닉 0 16 시간 전 300
107836 [국장] 노소영 측 "SK그룹 발전 원해….우호지분으로 남을 것&q... 4 에어부산 4 17 시간 전 496
107835 [미장] 장기채 가냐 5 미장이최고야 0 17 시간 전 213
107834 [미장] 금리 인상할 거 같은데 나만 그런가? 10 명한테고백받음 0 17 시간 전 4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