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드립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군용 침낭 충전재는 화성솜이 오히려 정상이다.

 

군용침낭.png

 

어떤 의도로 만들어진 비교표인지는 모르겠는데...

 

시중제품이라는 것은 이른바 '아웃도어'상품으로 '밀리터리'물품과는 요구되는 특성이 차이가 있음.

 

 

 

그래도 '따뜻하고' '가벼운' 것이 당연히 더 좋다고 보는게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정상적'인 사고임. 

 

'상식'적으로는 따뜻하고 가벼운 것이 좋은게 맞음.

 

군용침낭.png

 

이 표에서만 놓고보면

 

오리털과 거위털이 비교되었는데, 

 

'보온 강점'과 '경량'이라는 걸로 놓고보는 건 좀 우스운 이야기임. 

 

제품1이나 제품2의 보온력(?)은 아마 같은 수준일 것임. 

 

제품1의 보온력이 100이라고 할 때 제품2의 보온력도 100이라고 하면 차이점은 무게임.

 

오리털 침낭이 보온력 100을 내려고 할 때 1.1kg가 소요된다고 할 때

 

거위털 침낭은 보온력 100을 내기위해 0.8kg만으로 충분하다는 것일 거임. 

 

이 추측은 저 제품의 스펙을 알고 있어서가 아니고

 

대충 오리털과 거위털의 차이가 그래서임.

 

그러니까 동일 보온성을 내는 충전재의 요구량이 거위털이 더 낮으니까 무게가 가벼워지는 거고, 당연히 더 좋은(?)게 되는 것.

 

오리털의 보온 강점이라는 건...사실 거위털이 쬐금만 힘을 내도 압살해버리는 수준임.

 

시중제품2가 가장 비싸고 저중에서 보온성도 좋을 것으로 생각함.

 

 

eider-duck-2020993_960_720.jpg

 

지구상 최고의 보온력을 자랑하는 깃털은 아이더의 솜털임. 

 

대충 보온력 순위를 매긴다면

 

아이더 >거위>오리>인간이 만든 합성솜   정도가 됨.

 

 

인간이 만들어낸 합성솜은 천연깃털(우모)의 보온성을 못 따라감.

 

언젠가는 따라잡거나 뛰어넘을지도 모르지만 아직은 한참 모자람. 

 

 

 

Cap 2019-11-26 00-38-26-865.jpg

 

영하 73도? ...뭐 이런게 요구조건이다? 그러면 그 침낭의 충전재는 최소 거위털임. 

 

 

 

 

 

 

 

 

하지만 이 합성솜도 쓸모가 있음. 

 

일단 가격이 싸고, 생산가공이 쉬움. 

 

그리고 보온성이 뒤떨어지는것이지 없는 수준 정도는 아님.

 

 

image1.jpg

 

M-1949를 통해 이 침낭이 언제 설계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데...

 

아무튼 이 시절 미군은 침낭에 우모를 넣었었음. 

 

저기서 주목할 부분은 Feather filled   충전재로 깃털 넣었다는 것임. 

 

 

 

아 그리고  Do not dry clean 이 있는데

 

절대 드라이클리닝하지말라는 것.

 

거위털같은게 '고오급' 충전재고 대체로 그런게 들어간 옷들은 비쌈.

 

그래서 '고급'에 걸맞게 돈 들여서 드라이클리닝해야한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충전재가 우모인 경우에는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안 됨.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할 수록 보온성이 떨어져버림.

 

그냥 물빨래하면 보온성이 꾸준히 유지되는게 우모의 특성임. 

 

충전재가 화성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드라이클리닝하면 안 됨. 

 

'겉감'소재가 드라이클리닝을 요구하는 그런 옷인 경우에는 드라이클리닝을 해야겠지만, 보통 이런 류의 소재는 대부분 드라이클리닝을 멀리해야함.

 

그러니 미군침낭에 드라이클리닝하지말라는 문구가 있는 것임. 보온성이 떨어져버리니까

 

 

아무튼 침낭에 우모를 넣어서 썼었음.

 

여윽시 미군이다!

 

이럴 수 있음. 당연함. 당시 미국은 군인들에게 따뜻한 침낭을 주려고 우모를 충전재로 썼던 것임. 

 

 

 

modularsleepsystem-300x300.jpg

근데 그 미군이 침낭에서 우모를 빼고 화성솜을 넣기 시작함. 

 

 

앞서 인간이 만들어낸 합성솜은 천연깃털(우모)의 보온성을 못 따라간다고 했는데

 

왜 미군은 침낭에서 우모를 빼고 화성솜을 넣게 된 것일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납품비리 때문에?  군인은 갈아넣어도 된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아서?

 

 

그것은 우모의 단점 때문임. 

 

우모의 장점은 어떤 인공섬유도 따라갈 수 없는 보온성인데, 

 

이 보온성이 일단 '젖어'버리면 뚝 떨어지게 됨. 

 

istockphoto-1150147624-612x612.jpg

 

 

Cap 2019-11-26 02-06-42-460.png

 

 

겨울 산행할 때 주의할 부분이 우모패딩을 입은 경우에는 우모패딩이 비나 땀으로 젖지 않게 해야하는 것임. 

 

고어텍스같은 겉감으로 외부 습기를 막고 내부 습기는 땀을 흡수할 내피를 갈아입어서 땀에 패딩이 젖지 않게 해야함. 

 

패딩이 제 기능을 해서 보온층으로 따뜻하게 감싸고 있으면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되는데 

 

패딩이 같이 젖어버리면 보온이 안되니까 외부로 체온을 빼앗기게 되는 것.

 

'고급'충전재인 거위털 패딩의 단점이 이런거임. 

 

젖으면 망한다는 것.

 

땀흡수를 잘하는 속옷과 내피를 수시로 갈아입게 되면 우모패딩의 보온력을 유지할 수 있음.

 

그리고 주말에 비오면 산에 안가는건 당연한(?) 일임. 

 

 

 

근데 군인은 사정이 좀 다름.

 

 

a0007296_57273e8b451bb.jpg

 

비맞는 수준이 아니라 그냥 물로 뛰어들어야할 경우도 있음.

 

a0007296_5727110c8dee6.jpg

 

미해병대나 대한민국해병대나 이런식의 전장환경을 염두하고 있음.

 

그런데 우모는 젖으면 끝임.

 

 

 

PRIMALOFT_02.jpg

 

미군이 우모 대신 충전재로 쓰는게 프리마로프트라는 화성솜인데,

 

이 중공식 인공섬유는 구조적으로 젖어도 보온성이 크게 줄지 않음. 그리고 속건성임.

 

절대적인 보온력은 거위털을 따라갈 수 없지만, 

 

젖었을 때 보온력은 거위털보다 우수하다는 것임. 

 

말랐을 때나 젖었을 때나 '마른 상태의 거위털'에는 상대가 안되지만

 

말랐을 때나 젖었을 때나 '마른 상태의 오리털' 수준은 된다고 그럼.  대단함.

 

무게도 거위털은 못 따라잡지만 그렇게 무겁지도 않음. 

 

지들이 그렇다고 함. 

 

 

 

천하의 미군도 군용 침낭에 보온성 최강 우모를 쓰지 않고 화성솜을 씀. 

 

이유는 쫄딱 젖는 상황에서도 작전을 계속해야하기 때문에.

 

그리고 저렴함.

 

Cap 2019-11-26 02-52-06-000.jpg

산악인이나 탐험가는 보온성+휴대성에 몰빵하니까 무적권 거위털로 가는 것이고

 

군인은 보온성+편의성+단가의 밸런스가 중요하니까 합성솜으로 간다 이말임.

 

 

 

 

다른 나라 군대들도 사정이 다르지는 않아서 

Cap 2019-11-26 01-26-12-465.png

British. 영국.

 

영국군도 무게 2.6kg 짜리 화성솜 침낭씀.

 

 

Cap 2019-11-26 01-29-06-720.png

 

요거는 '핀란드'

 

추운동네...? 생각나서 핀란드걸 일부러 찾아봄.

 

중간에 보면 G-loft filling 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 역시 프리마로프트같은 기능성화성솜임.

 

무게는 2.8kg

군용침낭.png

 

무게만 놓고 봐도 한국군 침낭이 3kg으로 앞서 나온 미군, 영국군, 핀란드군 침낭에 비해 확실히 손색은 있음.

 

사실은 몇백그램 무거운거보다는 충전재가 화성솜 카테고리에 들어가도 다 같은 화성솜은 아니니까

 

국군 침낭 충전재의 기능성이 대체 어느정도짜리냐가 관건인 부분인데...우리군 침낭 스펙은 나도 잘 모름.

 

아무튼 하고 싶은 이야기는 저 군용/시중 침낭 비교는 부적절하다는 것임.

 

 

3_5_01.jpg

군용침낭이 왜 이렇게 무거운가. 

 

그것은 군용침낭이 기본침낭에 내피, 방수포, 가방 까지 해서 4품목을 구성품으로 하는 방식이기 때문임.

 

이런 모듈러 슬리핑백(modular sleeping bag) 시스템이면 기본이 2kg을 초과해버리는 것임. 

 

외국군 침낭들도 결코 가볍지 않은 무게가 나오는 것도 이 이유임.

(미군 침낭도 한 종류가 아니라 여러종류로 1kg짜리도 있고 4kg대도 있음.)

 

위 영국/핀란드 침낭 스펙 온도표시보면 2단계로 나오는데, 기본침낭과 풀셋팅의 차이임. 

 

대부분의 군용 동계침낭은 이러한 모듈러방식임.

 

결국 우리 군도 세계 트렌드를 따라는 갔다는 이야기임. 

(기능면에서 모두 따라잡았다거나 선도한다는 이야기가 아님)

 

mania-done-20171212083004_dfewutkm.jpg

 

한반도는 때때로 익스트림콜드 헤비 슬리핑백 시스템이 필요해서

 

모듈방식을 통해 온도별 상황에 대응해야하고, 이런 문제는 결국 기본침낭의 충전재의 수준이 어느 정도나오는가 관건일 부분임.

 

 

 

 

 

 

 

우리 군과 비교할 만한 외국군의 '베이직 모듈러 슬리핑백'을 놓고 보면 이렇다는 것이고

 

Cap 2019-11-26 01-46-03-694.png

대충 익스트림 같은 수식이 달리는 극한용 모듈러슬리핑백은 막 5kg 넘어가고 그러함. (캐나다군)

 

 

 

 

 

 

 

 

 

 

3줄요약

 

1. 군용침낭에 가장 따뜻하고 가벼운 우모를 충전재로 넣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기능성 화성솜이 더 유리하다.

2. 군용침낭이 대체로 무거운 이유는 모듈식 구성으로 구성품이 많아져서 전체 무게가 늘어난 면이 있다.

3. 우리 군의 침낭 수준이 좋다고할 정도는 아니지만 민간 제품과의 단순비교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163개의 댓글

2019.11.26
@베니베니벤

괜찮아요 지켰으면 된거야요! thank you for your service

0
2019.11.26

아주 박학다식한 양반이구만!

0
2019.11.26

뭐하는 게이인데 상세히 아누

0
2019.11.26

작성자말 다 맞는데 문제는 좆같은 납품가지

합성솜 주제에 납품가가 10만원 중후반대라니...

0
2019.11.26
@MorbidAngel

납품가가 고따구인건 납품 프로세스가 문제일까 사람이 문제일까

 

전자면 규정을 조져야되고 후자면 사람을 조져야할텐데

0
2019.11.26

젖어서 문제면 젖지 않게 하는 기술력은 없는거야? 커다란 지퍼백 같은거에 넣는다거나.

0
2019.11.26
@땎씩

몇날며칠 땀흘리며 행군하고 언제 속옷 갈아입을지도 모를 상황에까지 대비해야하면 외부적 요인으로 젖는것만 방지해선 안될 것 같은디

 

0
2019.11.26
0

재밋다

0
2019.11.26

개추

0
2019.11.26

저는 침낭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랐습니다. 정말 위대합니다 선생!

5
2019.11.26
@아침밥
1
0
2019.11.26

이런 지식은 ㅊㅊ

0
2019.11.26

밀잘알추

0
2019.11.26

기능성만 문제가 되는게 아니고 니말대로 왜 더 저렴한 소재가 들어갔는데 어째서 가격은 더 비싸냐가 관건아님?

0
2019.11.26
@오늘가입했음

얼만데?

0
2019.11.26
@므겡므겡

10군번인데 당시 16만원대였던거로 기억함

0
2019.11.26
@므겡므겡

16~17정도

0
2019.11.26
@오늘가입했음

조따 비싸넹

0
2019.11.26

야한솜이는 어때

1
2019.11.26
@우드왕

걘 처벌받지 않았나

0
2019.11.26
@lIlIlIlIlIlIlIlI

여전히 성방하고있을걸

0
2019.11.26
@우드왕

하기사 국가에서 범죄자님 낙인 받으세여 해줬으니 먹고 살 길이 그런것밖에 없긴하겠다

0
@우드왕

거기만 따뜻해지잖아

0
2019.11.26

K11 유탄 성능테스트 할때도 그렇고 이 나라는 방산비리하는 군대도 병신이지만 감사원도 군대 못지않게 병신인거 같음

0
2019.11.26
@ㅇ益ㅇ

K11 k3 희대의 병신총...

0
2019.11.26
@팜코코

K3는 우리부대에도 쓴건데

0
2019.11.26
@팜코코

다른 결함이 존나게 많아서 병신총이지 유탄 테스트하는건 진짜 가관이였음

유탄 쏴서 농구골대 못 넣는다고 뭐야 이 총 병신이네 하는 수준

0
2019.11.26
@ㅇ益ㅇ

유탄발사기는 정확도가 아니라 수류탄을 멀리 보내기위해서 만들어진거 아니였냐...???

 

역시 포방부...

0
2019.11.26

시벌 비닐봉다리 큰거 하나씩 줘서 물에 들어가기전에 씌우는게 낫겠다 튜브도 되고

0
2019.11.26

좋은글이네 정성추

0
2019.11.26

다 좋은데 거위털이나 오리털은 보온력의 차이는 거의 없다고 봐야함 ㅎㅎㅎㅎㅎㅎㅎㅎ

0
2019.11.26
@인생낙천
[삭제 되었습니다]
2019.11.26
@마이쮸

오리털이 더 빳빳하고 삐져으나올때 따갑지않나?

0
@마이쮸

갬성

0
2019.11.26

응 방산비리

0
2019.11.26

납품가만 맞추면 되겠다

글쓴이가 글을 잘 씀

0
2019.11.26

정성추

0

맞는말이지만

우린 전부 알고있다구

비리의 손길에서 결코 벗어난 침낭이 아니라는것

0
2019.11.26

납품가는 어떻게 될까.

 

근데 또 생각해보니 a/s기간이 길테니까 인정되는 부분인가

0
2019.11.26
@비밀번호

보급도 안돼는데 웬 as?

군생활 하는동안 침낭 바뀌는걸 본게 손에 꼽는구만

0
2019.11.26
@체리피

보급 된 애들 선에서 계속 a/s되서 전국 보급 안되는거 아닐까??

 

그 내 생각은 625수통도 지금 쓴다니까 a/s기간이 최서 20년정도로 잡혀있을 것 같아서

0
2019.11.26
@비밀번호

이건뭔 또 신박한 개소리지

0
2019.11.26
@오늘가입했음

군대에서 침낭 a/s 해줌 근데 가끔 바껴서 옴

0
2019.11.26

화성이 아니고 화섬솜임... 화학섬유솜

0
2019.11.27
@존내논

맞습니다. 왜 저렇게 적어놨는지 저도 영문을 모르겠네요. 화섬솜이 맞지요. 큰 실수를 해서 부끄럽네요.

 

변명을 하자면 이거 작성할 때 밤이 깊어서 후딱 올리고 자야겠다고 생각해서 검토를 잘 못했네요. 너무 늦어서 다음날 머리가 아프더라고요. 드립도 막 섞어서 웃기게 적어야하는데 개그를 발휘하지 못 한 것도 아쉽습니다.

0
2019.11.27
@뚱꽁빡뜨리스

실수할 수도 있지요 ㅎㅎ

0
WA
2019.11.26

좋은정보

0

근데 기능을 떠나서 납품가 애미터진건 실화임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구혜선 말투 교정해주는 오은영 18 존냥코털 36 19 분 전
군대에서 봤던 제일 한심한 새끼 59 df2f2f 27 49 분 전
게이가 알려주는 번화가 게이 구분하는 꿀팁 ㄹㅇ 46 나이팅게이 34 1 시간 전
참외 하나에 7천원이라는 요즘 한국 물가 20 준구 37 1 시간 전
'양말에 구멍이 났다'를 '구멍'이라는 ... 88 인터넷을떠돌아다... 66 1 시간 전
'e스포츠도 스포츠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페이커... 38 파랑1 41 1 시간 전
대놓고 ppl했는데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장면 34 엄복동 47 1 시간 전
[단독] 한강서 유흥업소 VIP룸 끌려간 13세 아이들…"말 ... 40 I유 73 1 시간 전
오킹 저격하는 스트리머가 제일 싫어하는 인간 유형.jpg 31 바이든 60 2 시간 전
웹툰 "고수" 작가 신작나옴 57 어린이날가입했습니다 37 2 시간 전
레슬링 경기에서 쓰면 안되는 기술..gif 19 파스타99 44 2 시간 전
의외로 만들어놓고 하나도 못 썼다는 스팟의 표정 28 착한생각올바른생각 42 2 시간 전
곽튜브가 말하는 넷플릭스 위약금 53 sufjan 46 2 시간 전
생활의 달인 따라하던 유튜버 근황 58 facecat 103 2 시간 전
노래방, 코노에서 금영이 사라진 이유.jpg 34 에어부산 66 2 시간 전
작일자 양홍원 vs 이수린 디스전 근황ㅋㅋ 115 젖치기젖치기젖젖젖 55 2 시간 전
12사단 사건을 본 어느 공군갤 디시인.jpg 106 젤다보다미파 104 2 시간 전
침수된 터널을 지나갈수 있다고 생각한 SUV 81 facecat 48 3 시간 전
인간적으로 이해가 안되는 점 34 작은오리 105 3 시간 전
위너즈에 피소당한 오병민씨의 반응.jpg 37 백일2 53 3 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