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드립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군용 침낭 충전재는 화성솜이 오히려 정상이다.

 

군용침낭.png

 

어떤 의도로 만들어진 비교표인지는 모르겠는데...

 

시중제품이라는 것은 이른바 '아웃도어'상품으로 '밀리터리'물품과는 요구되는 특성이 차이가 있음.

 

 

 

그래도 '따뜻하고' '가벼운' 것이 당연히 더 좋다고 보는게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정상적'인 사고임. 

 

'상식'적으로는 따뜻하고 가벼운 것이 좋은게 맞음.

 

군용침낭.png

 

이 표에서만 놓고보면

 

오리털과 거위털이 비교되었는데, 

 

'보온 강점'과 '경량'이라는 걸로 놓고보는 건 좀 우스운 이야기임. 

 

제품1이나 제품2의 보온력(?)은 아마 같은 수준일 것임. 

 

제품1의 보온력이 100이라고 할 때 제품2의 보온력도 100이라고 하면 차이점은 무게임.

 

오리털 침낭이 보온력 100을 내려고 할 때 1.1kg가 소요된다고 할 때

 

거위털 침낭은 보온력 100을 내기위해 0.8kg만으로 충분하다는 것일 거임. 

 

이 추측은 저 제품의 스펙을 알고 있어서가 아니고

 

대충 오리털과 거위털의 차이가 그래서임.

 

그러니까 동일 보온성을 내는 충전재의 요구량이 거위털이 더 낮으니까 무게가 가벼워지는 거고, 당연히 더 좋은(?)게 되는 것.

 

오리털의 보온 강점이라는 건...사실 거위털이 쬐금만 힘을 내도 압살해버리는 수준임.

 

시중제품2가 가장 비싸고 저중에서 보온성도 좋을 것으로 생각함.

 

 

eider-duck-2020993_960_720.jpg

 

지구상 최고의 보온력을 자랑하는 깃털은 아이더의 솜털임. 

 

대충 보온력 순위를 매긴다면

 

아이더 >거위>오리>인간이 만든 합성솜   정도가 됨.

 

 

인간이 만들어낸 합성솜은 천연깃털(우모)의 보온성을 못 따라감.

 

언젠가는 따라잡거나 뛰어넘을지도 모르지만 아직은 한참 모자람. 

 

 

 

Cap 2019-11-26 00-38-26-865.jpg

 

영하 73도? ...뭐 이런게 요구조건이다? 그러면 그 침낭의 충전재는 최소 거위털임. 

 

 

 

 

 

 

 

 

하지만 이 합성솜도 쓸모가 있음. 

 

일단 가격이 싸고, 생산가공이 쉬움. 

 

그리고 보온성이 뒤떨어지는것이지 없는 수준 정도는 아님.

 

 

image1.jpg

 

M-1949를 통해 이 침낭이 언제 설계되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데...

 

아무튼 이 시절 미군은 침낭에 우모를 넣었었음. 

 

저기서 주목할 부분은 Feather filled   충전재로 깃털 넣었다는 것임. 

 

 

 

아 그리고  Do not dry clean 이 있는데

 

절대 드라이클리닝하지말라는 것.

 

거위털같은게 '고오급' 충전재고 대체로 그런게 들어간 옷들은 비쌈.

 

그래서 '고급'에 걸맞게 돈 들여서 드라이클리닝해야한다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충전재가 우모인 경우에는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안 됨.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할 수록 보온성이 떨어져버림.

 

그냥 물빨래하면 보온성이 꾸준히 유지되는게 우모의 특성임. 

 

충전재가 화성솜인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드라이클리닝하면 안 됨. 

 

'겉감'소재가 드라이클리닝을 요구하는 그런 옷인 경우에는 드라이클리닝을 해야겠지만, 보통 이런 류의 소재는 대부분 드라이클리닝을 멀리해야함.

 

그러니 미군침낭에 드라이클리닝하지말라는 문구가 있는 것임. 보온성이 떨어져버리니까

 

 

아무튼 침낭에 우모를 넣어서 썼었음.

 

여윽시 미군이다!

 

이럴 수 있음. 당연함. 당시 미국은 군인들에게 따뜻한 침낭을 주려고 우모를 충전재로 썼던 것임. 

 

 

 

modularsleepsystem-300x300.jpg

근데 그 미군이 침낭에서 우모를 빼고 화성솜을 넣기 시작함. 

 

 

앞서 인간이 만들어낸 합성솜은 천연깃털(우모)의 보온성을 못 따라간다고 했는데

 

왜 미군은 침낭에서 우모를 빼고 화성솜을 넣게 된 것일까?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납품비리 때문에?  군인은 갈아넣어도 된다는 사실을 뒤늦게 깨달아서?

 

 

그것은 우모의 단점 때문임. 

 

우모의 장점은 어떤 인공섬유도 따라갈 수 없는 보온성인데, 

 

이 보온성이 일단 '젖어'버리면 뚝 떨어지게 됨. 

 

istockphoto-1150147624-612x612.jpg

 

 

Cap 2019-11-26 02-06-42-460.png

 

 

겨울 산행할 때 주의할 부분이 우모패딩을 입은 경우에는 우모패딩이 비나 땀으로 젖지 않게 해야하는 것임. 

 

고어텍스같은 겉감으로 외부 습기를 막고 내부 습기는 땀을 흡수할 내피를 갈아입어서 땀에 패딩이 젖지 않게 해야함. 

 

패딩이 제 기능을 해서 보온층으로 따뜻하게 감싸고 있으면 대부분의 문제는 해결되는데 

 

패딩이 같이 젖어버리면 보온이 안되니까 외부로 체온을 빼앗기게 되는 것.

 

'고급'충전재인 거위털 패딩의 단점이 이런거임. 

 

젖으면 망한다는 것.

 

땀흡수를 잘하는 속옷과 내피를 수시로 갈아입게 되면 우모패딩의 보온력을 유지할 수 있음.

 

그리고 주말에 비오면 산에 안가는건 당연한(?) 일임. 

 

 

 

근데 군인은 사정이 좀 다름.

 

 

a0007296_57273e8b451bb.jpg

 

비맞는 수준이 아니라 그냥 물로 뛰어들어야할 경우도 있음.

 

a0007296_5727110c8dee6.jpg

 

미해병대나 대한민국해병대나 이런식의 전장환경을 염두하고 있음.

 

그런데 우모는 젖으면 끝임.

 

 

 

PRIMALOFT_02.jpg

 

미군이 우모 대신 충전재로 쓰는게 프리마로프트라는 화성솜인데,

 

이 중공식 인공섬유는 구조적으로 젖어도 보온성이 크게 줄지 않음. 그리고 속건성임.

 

절대적인 보온력은 거위털을 따라갈 수 없지만, 

 

젖었을 때 보온력은 거위털보다 우수하다는 것임. 

 

말랐을 때나 젖었을 때나 '마른 상태의 거위털'에는 상대가 안되지만

 

말랐을 때나 젖었을 때나 '마른 상태의 오리털' 수준은 된다고 그럼.  대단함.

 

무게도 거위털은 못 따라잡지만 그렇게 무겁지도 않음. 

 

지들이 그렇다고 함. 

 

 

 

천하의 미군도 군용 침낭에 보온성 최강 우모를 쓰지 않고 화성솜을 씀. 

 

이유는 쫄딱 젖는 상황에서도 작전을 계속해야하기 때문에.

 

그리고 저렴함.

 

Cap 2019-11-26 02-52-06-000.jpg

산악인이나 탐험가는 보온성+휴대성에 몰빵하니까 무적권 거위털로 가는 것이고

 

군인은 보온성+편의성+단가의 밸런스가 중요하니까 합성솜으로 간다 이말임.

 

 

 

 

다른 나라 군대들도 사정이 다르지는 않아서 

Cap 2019-11-26 01-26-12-465.png

British. 영국.

 

영국군도 무게 2.6kg 짜리 화성솜 침낭씀.

 

 

Cap 2019-11-26 01-29-06-720.png

 

요거는 '핀란드'

 

추운동네...? 생각나서 핀란드걸 일부러 찾아봄.

 

중간에 보면 G-loft filling 이라고 되어 있는데, 이것 역시 프리마로프트같은 기능성화성솜임.

 

무게는 2.8kg

군용침낭.png

 

무게만 놓고 봐도 한국군 침낭이 3kg으로 앞서 나온 미군, 영국군, 핀란드군 침낭에 비해 확실히 손색은 있음.

 

사실은 몇백그램 무거운거보다는 충전재가 화성솜 카테고리에 들어가도 다 같은 화성솜은 아니니까

 

국군 침낭 충전재의 기능성이 대체 어느정도짜리냐가 관건인 부분인데...우리군 침낭 스펙은 나도 잘 모름.

 

아무튼 하고 싶은 이야기는 저 군용/시중 침낭 비교는 부적절하다는 것임.

 

 

3_5_01.jpg

군용침낭이 왜 이렇게 무거운가. 

 

그것은 군용침낭이 기본침낭에 내피, 방수포, 가방 까지 해서 4품목을 구성품으로 하는 방식이기 때문임.

 

이런 모듈러 슬리핑백(modular sleeping bag) 시스템이면 기본이 2kg을 초과해버리는 것임. 

 

외국군 침낭들도 결코 가볍지 않은 무게가 나오는 것도 이 이유임.

(미군 침낭도 한 종류가 아니라 여러종류로 1kg짜리도 있고 4kg대도 있음.)

 

위 영국/핀란드 침낭 스펙 온도표시보면 2단계로 나오는데, 기본침낭과 풀셋팅의 차이임. 

 

대부분의 군용 동계침낭은 이러한 모듈러방식임.

 

결국 우리 군도 세계 트렌드를 따라는 갔다는 이야기임. 

(기능면에서 모두 따라잡았다거나 선도한다는 이야기가 아님)

 

mania-done-20171212083004_dfewutkm.jpg

 

한반도는 때때로 익스트림콜드 헤비 슬리핑백 시스템이 필요해서

 

모듈방식을 통해 온도별 상황에 대응해야하고, 이런 문제는 결국 기본침낭의 충전재의 수준이 어느 정도나오는가 관건일 부분임.

 

 

 

 

 

 

 

우리 군과 비교할 만한 외국군의 '베이직 모듈러 슬리핑백'을 놓고 보면 이렇다는 것이고

 

Cap 2019-11-26 01-46-03-694.png

대충 익스트림 같은 수식이 달리는 극한용 모듈러슬리핑백은 막 5kg 넘어가고 그러함. (캐나다군)

 

 

 

 

 

 

 

 

 

 

3줄요약

 

1. 군용침낭에 가장 따뜻하고 가벼운 우모를 충전재로 넣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기 쉬우나, 기능성 화성솜이 더 유리하다.

2. 군용침낭이 대체로 무거운 이유는 모듈식 구성으로 구성품이 많아져서 전체 무게가 늘어난 면이 있다.

3. 우리 군의 침낭 수준이 좋다고할 정도는 아니지만 민간 제품과의 단순비교를 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163개의 댓글

2019.11.26

니말이 맞다!

0
2019.11.26

이야 이런걸 우째 다 조사했대

0
2019.11.26

군용침낭 온라인에 17만원에 파네 ㄷ

0
2019.11.26
@www.dogdrip.net

와진짜네 침낭피까지 고대로 가져다파네 시발ㅋㅋㅋㅋㅋㅋㅋㅋㅋ

0
2019.11.26

글 잘썼네

0
2019.11.26

새거 꺼내서 써보면 존나 따뜻하고 좋음

내가 살면서 침낭써본게 군대와서 처음이긴 하지만..

0
2019.11.26
@하츠네 미쿠

나는 뽀이 스카우트 하면서 침낭 존나 썼었는데 ㅎㅎ

0

오늘도 지식이 늘었다

0
2019.11.26

ㅊㅊ

0

정성추

0
2019.11.26

가장 중요한건 우리나라가 비올때 침낭쓸일이 있냐는거지 제발 눈올때 빆에서 재우려면 좋은침낭좀 줘라

0
2019.11.26
@파라아다이스

눈도 물이야 물

0
2019.11.26
@파라아다이스

눈은 뭐 산소로 만들어졌냐

0
2019.11.26
@팜코코

넌 군생활을 산소로 했냐? 침낭을 눈녹은 물로 흠뻑 적심?

0
2019.11.26
@파라아다이스

숙영 한번도 안 해봐서 모름(육군)

0
2019.11.26
@팜코코

아아 시바..

0
2019.11.26
@파라아다이스

유격도 안 해뵈서 더더욱ㅍ모른다 ㅎㅎ 고생했다

0
2019.11.26

솜이는 음란솜이지

0
2019.11.26

자꾸 '헛소리'하는데 '중점'은 '무겁고 크기도 큰데'도 '따뜻하지가 않다.'는거 아닐까.

0
2019.11.26
@가갸거겨

글쓴이가 하고싶은말은 다른 제품에 비해 무겁고 따뜻하지 않지만 그렇게 만든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는데 뭔헛소리임?

11
2019.11.26
@야옹2

직접 써본사람들은 알지않나 이게 여름용 침낭인지 겨울용 침낭인지

기능성과 범용성 사이에서 고민한 결과가 이거라고? ㅋㅋ어림도 없지.

 

글은 충분히 읽었지만 저건 외국얘기고 국군 침낭이 10월만 되도 추워서 얼어뒤질거같은게 정상은 아니지

영국군 침낭이 -10도에서 컴포트면 우리나라는 산악지형에 기후조건 생각하면 -15도는 써야되는거 아닌가? 근데 10도만 되도 얼어 뒤질거같다?

글고 침낭도 씨발 보면 수십년 굴러먹던 침낭인지 뭔지 정체를 모르겠는데 침낭갖고 국군 실드를 치네 ㅋㅋㅋㅋㅋㅋ

0
2019.11.26
@가갸거겨

말만 곱게 했어도 이렇게까진 안됐을텐데...

0
2019.11.26
@가갸거겨

ㅋㅋㅋ야 쟤가 국군 쉴드치는것같냐?

언론에서 군용과 민간용 특수성 차이를 인지 못하고 그냥 단순 비교를 해서 그 차이점을 설명해주는거지

그리고 트렌드를 따라갔은 뿐이지 기능면에서 선도하거나 하진 않는다고 아예 써놨구만ㅋㅋ

0
2019.11.26
@가갸거겨

한국어도 못하노 ㅋㅋㅋㅋㅋㅋㅋㅋ

0
2019.11.26
@가갸거겨

크기 얘기는 전혀 없는데 '무겁고 크기도 큰데'로 요약한 걸로 봤을때

 

너 글 제대로 안 읽었네

0
@가갸거겨

'글자'를 읽을 수 있다고 '문맹'이 아닌 것은 아니구나 ㅋㅋㅋ

1
2019.11.26
@붕붕드링크300잔

개드립에 난독 진짜 많음 ㅋㅋㅋㅋ

0
2019.11.26
@붕붕드링크300잔

ㅇㅈㅋㅋㅋㅋㅋㅋㅋㅋ

저 새끼 글보고 ㅂㅅ인가? ㅋㅋㅋㅋ 했다

0
@가갸거겨

가갸거겨부터 다시배워

2
2019.11.26
@가갸거겨
0
2019.11.26
@가갸거겨

어휴 난독쉐끼

0
2019.11.26

확실한건 한겨울에 바람송송 통하는 A형텐트안에서 자도 얼어죽진않더라. 근데 존나춥긴하더라.

0

대충 한마디로

전시상황에서 유용한걸 쓴다는 거구만

0
2019.11.26

혹한기때 핫팩 4개 터뜨리고 침낭 안에 넣어놓고 잤더니 몸은 하나도 안추웠음

0
2019.11.26
@weZARD

ㅋㅋ 나도네개넣고잤음 갸꿀

0
@weZARD

면상이 추움

0
2019.11.26

5사단 36연대 08 얼어뒤질정도로 춥진않았음

0
2019.11.26

군생활 때 맨날 저거 왜 쓰나 했는데 이유가 있구나 솜 다 빠진 폐급 침낭만 좀 교체 잘 해주면 좋겟네

0
2019.11.26
@뾰잉

당신의 A급 침낭 치장물자로 대체되었다

0
2019.11.26

이맛에 개드립오지

0
2019.11.26

와 그럼 구스다운 패딩 같은 건 세탁 어케해??

0
@히킁이

패딩 자체가 물세탁 하고 말릴때 펼쳐놓고 팡팡 때림

그럼 숨이 살아나면서 보온성이 살아남

0
2019.11.26
@히킁이

물에 중성세제로 손빨래해야함 드라이클리닝하면 우모겉에 유분이 싹 빠져서 그패딩은 사실상 보온력을 상당부분 손실한다고보면됨

1
2019.11.26

군용침낭에 솜 쓰는 이유가 야전에서 찢어지면 털은 다 날아가는데 솜은 뭉쳐져있어서 날아가지 않잖아

실제로 폐급 침낭 받는 애들은 찢어진거 받은 애들도 꽤 되었거덩

그런 이유도 있겠다 싶네

0
2019.11.26

그래서 너 솜 침낭 17만원 주고 살꺼냐고~~~ ㅋㅋㅋㅋㅋ

0
2019.11.26

지식이 늘었다 좋은글 ㅊㅊ

0
2019.11.26
0
2019.11.26

미군인데, 어제 보급계원 도와준다고 새로운 새끼들꺼 군장 품목있는 대로 싸는데 슬링핑백 두개 대충 쑤셔넣으니까 군장에 꽉차더라...

1
2019.11.26
@베니베니벤

지구를 지켜줘서 고마워요 미군맨!

0
2019.11.26
@연탄바리

예비군이라서 나 지키는것도 못해!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차밖 후기 레전드.jpg 10 파멸적상승 25 2 분 전
사이버펑크의 전설적인 욕설들 ㅋㅋㅋㅋ 11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20 2 분 전
살짝 이상한 신입사원과 약간 병신인 회사 manhwa 2화 5 6월9일이생일임 16 3 분 전
ㅇㅎ)와이프가 되어가는 과정.gif 11 승과 19 3 분 전
소환앞둔 중대장... 불안증세로 심리상담중.jpg 16 뚜비두밥밤바바 23 3 분 전
ㅆㄷ) 각 보이는데 눈치 ㅈ도없는 선배 ㄷㄷ 13 사익 18 3 분 전
'수색은 너무 위험' 호소에 '정상적으로 수색... 5 레모투스 19 3 분 전
미국에서 산삼이 인기가 없는 이유.jpg 13 엄복동 25 4 분 전
<나홀로집에2> 출신 유명한 배우 뇌물혐의 '유죄&... 4 김팽달 17 4 분 전
👁️의외로 외모에서 비중 큰 부분👁️ 16 도봉도봉 19 4 분 전
게임 같이할사람 구함.jpg 12 귀멸의할랄 25 4 분 전
온나나 낮추는 방법 1개 28 새로운모험 16 4 분 전
여군은 군내 사조직을 만들어도 친목모임이라고 쉴드쳐줌 ㅋㅋ 25 데바데 26 5 분 전
ㅆㄷ) 정략결혼으로 팔려온 여자 manhwa 9 세미 20 6 분 전
신한카드를 안 쓰는 이유 62 밥먹고설거지 38 8 분 전
삼각관계를 즐기는 지예은 13 방구를그냥 24 9 분 전
미국 서브웨이 인기순위.jpg 36 번째회귀중 33 9 분 전
남자한테 인기 많다는 7의 여자.gif 37 승과 18 9 분 전
국가별 그림쟁이가 트위터에서 하면 안되는 것 20 질병계 32 9 분 전
민희진 2차 기자회견 예고 ㄷㄷ 29 콜라한잔시원하게 36 10 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