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우주 이야기, 브금, 스압] 지구 최후의 날을 막아라


BGM 정보: http://dnip.co.kr/247304



우주 이야기


01. 가상의 천체들

02. 별들의 이름표, 천체 목록

03. 지구 최후의 날을 막아라 <


*이 글은 사실을 기반으로 작성됐으나 흥미 위주로 구성했기 때문에 깊이 파고들지는 않음





russia meteor.jpg


2013 2 15, 러시아 첼랴빈스크 상공에 커다란 섬광이 일었다.

 

지름 20m의 이 운석은 20km/s의 속도로 대기권에 진입한 뒤 27km상공에서 폭발,

 

1천명이 넘는 사람들을 다치게 하고 한화 기준 약 350억원의 피해를 입혔다.

 

500kt의 폭발력을 낸 이 운석은 유튜브를 통해 생생한 동영상으로 전 세계에 알려졌으며,

 

엄청난 화제를 몰고 왔다.

 

다음해 소치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금메달에 이 운석을 넣은 건 유명한 이야기.

 


2012da14.jpg


하지만 이 운석이 지구에 떨어지고 16시간이 지난 뒤,

 

지름 45m의 소행성 2012DA14가 지구를 스쳐 지나갔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 소행성과 지구의 최근접거리는 3만km,

 

지구와 달 사이 거리의 약 1/10이며, 심지어 정지 궤도 위성보다도 가까운 거리다.

 

 

 

 

운석 충돌, 확률이 아니라 시간이 문제



나사(NASA)는 먼 과거, 운석이 생물 대 멸종을 일으켰듯

 

미래에도 운석이 충돌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으며,

 

그 확률보다는 언제 충돌할 것인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당장 일어날 재앙은 아니지만, 인류가 맞이할 수 있는 위협 중에선 가장 강력한 대재앙임에는 틀림없다.


지구에는 하루에도 수천개의 돌덩이들이 쏟아지지만


그 중 극히 일부만이 지구의 대기를 뚫고 날아와 운석이 된다.



지구에 떨어진 운석은 지름이 수cm에서 수km까지 매우 다양.


작은 운석은 신기한 이벤트에 불과하지만,


수십 수백m짜리 운석은 재앙이 된다.


과학자들은 지름 1km급 운석은 50만년에 한 번, 지름 5km급 운석은 1천만년에 한 번 꼴로


지구를 방문할 것이라고 한다.



toongusca.jpg


사진은 1908 6월 일어났던 퉁구스카 대폭발 현장 사진.

원인은 미스테리였지만, 최근 조사에서 소행성 파편을 발견함에 따라

소행성의 공중 폭발이 원인이라는 설이 힘을 얻고 있음.

 

참고로 영국 사우샘프터대학 피터 앳킨슨 교수팀은

 

100년 이내에 소행성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은 국가 1위로 중국, 17위로 한국을 꼽았다.

 

 

 

 

지구 최후의 날을 막아라


 

defense.jpg


한때 미국이 구상했던 소행성 방어 프로젝트.

예산 문제로 취소됐다고 알려졌으나, 지금은 다른 형태의 소행성 방어 프로젝트를 계획중.

 

이에 대비해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전 세계가 연합,

 

지구 근접 천체를 관측, 감시, 추적하기 시작했다.

 

 

나사는 1998년부터 지구 근접 천체(NEO)를 추적하기 시작,

 

최근엔 지름이 km단위인 NEO 90%가량 발견하는 1차 목표를 달성했다.

 

 

미국 메사추세츠 주에 있는 국제천문연맹(IAU) 산하 국제소행성센터(MPC)

 

전 세계 관측 자료를 수집, 분석해 소행성의 정밀 궤도를 계산하는 허브 역할을 맡았다.

 

 

2009년 말에는 광역적외선우주탐사선(WISE)이 발사,

 

NEO에 대한 정밀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2013년에는 캐나다우주국이 지구 근접 천체 탐사 위성(NEOSsat)을 발사했다.



2015년 6월 30일, 세계는 소행성의 위험성을 환기시키기 위해


퉁구스카 대폭발이 일어났던 이 날을 '소행성의 날'로 지정했고,

 

 

2016년에는 하와이대학 천문연구소에서 '소행성 충돌 경보시스템(ATLAS)'를 가동,

 

두 개의 관측 시설로 하늘 전체를 감시하고, 떨어지는 유성체를 미리 예고할 수 있게 된다.



한국도 우주 방어 계획에 적극 동참하기 시작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딥 사우스(DEEP South) 프로젝트를 가동,


칠레, 호주, 남아공에 설치된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을 통해 24시간 하늘을 감시할 계획이며,


현재 시험 가동중에 있다.



문제는 예측만 해서는 큰 의미가 없다는 것.

 

모르는 상태에서 운석에 얻어맞는 것과 아는 상태에서 운석에 얻어맞는 차이일 뿐,

 

결국 본격적인 운석 방어에 신경 쓰지 않는다면 운석에 얻어맞는 것은 똑같다.

 

 

 

 

운석을 막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들

 


* 핵 심기 / 핵미사일 폭격



armageddone.jpg


브루스 윌리스 성님이 즐겨 쓰는 방법.


온갖 우주 재난 영화에 힙입어 일반인들이 떠올리는 가장 일반적인 생각이자


전문가들이 꼽는 가장 위험한 방법.


소행성은 의외로 엄청 튼튼한 놈이라 이것을 박살내려면 몇 개의 핵폭탄이 필요한지 알 수 없으며


커다란 한 개 → 수많은 운석 쪼가리 + 방사능의 융단 폭격이 되는 셈이라


정말 최후의 수단으로서나 가능.



* 태양풍 돛


space sail.jpg


사실 태양계는 그 전체가 태양의 대기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태양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태양은 온갖 입자들로 이뤄진 태양풍을 내뿜는데,


소행성에 돛을 설치하면 이 태양풍 따라 날아가버린다는 아이디어.


참고로 태양풍 돛은 '우주 범선' 등 실제 우주선 건조에 쓰일 수 있는 기술로 연구되고 있다.



* 운석 표면 기화

 

레이저 혹은 태양열을 이용해 소행성 표면에 쏘는 수법이다.

 

소행성이나 혜성엔 단단한 암석뿐만 아니라 얼음 성분도 많은데

 

이것이 녹아 사라지면 소행성의 질량이 변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방향도 바뀔 거라는 내용.



* 우주선 충돌



deep impact.jpg


우주선을 냅다 충돌시켜 소행성의 궤도를 바꾸는 방법.


작은 우주선으로 소행성의 궤도를 살짝 바꾸는 것이다.


바뀌는 궤도는 미세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그 격차가 커져 지구를 비껴간다는 것.


소행성을 일찍 발견하여 충돌 수 년 전에 대처할 수만 있다면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연구되는 방법들도 이 방법, 혹은 이와 비슷한 방법들이다.


2005년 딥 임팩트 호가 템펠-1 혜성을 대상으로 한 충돌 실험에 성공하면서 그 가능성이 더욱 커졌다.

 

 

온갖 가능성과 아이디어가 제시됐지만, 이제부터는

 

실제로 근미래에 개발될 현재 진행형 프로젝트들을 소개한다.

 

 

 

 

프로젝트 센티넬(Project Sentinel)


우주에서 지구를 지키는 수호자



sentinel.jpg


프로젝트 센티넬은 민간 단체인 'B612 재단'에서 계획중인 소행성 탐지 프로젝트다.

 

현재 연구중인 운석 방어 기술은 대부분이 소행성의 궤도를 살짝 트는 방법들.

 

궤도가 살짝만 바뀌어도 나중에는 그 차이가 매우 커지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지만

 

일단 지구에 충돌할 소행성을 최대한 빨리 발견해야 의미가 있다는 전제가 붙는다.



Fragile_oasis_2-2-1.jpg


센티넬 탐사선은 NEO만을 탐사하기 위한 전용 탐사선으로,

 

금성 궤도를 따라 지구에서는 관측하기 힘든 곳을 탐사하며

 

140m NEO를 검출해 6년간 100만개의 소행성을 탐사해 지도를 만들며

 

유사시엔 직접 위협을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볼 에어로 스페이스'사에서 로켓을 만들고 있으며,

 

2019년 발사를 목표로 하고 있긴 한데, 자금 확보가 잘 되지 않는다는 듯.

 




프로젝트 돈키호테(Project Don Quixote)


풍차를 향했던 돈키호테의 무모한 돌진이 이제 우주로 향한다.


프로젝트 돈키호테는 유럽우주기구(ESA)에서 작성한 소행성 궤도 변경 계획이다.

 

소행성에 직접 충돌시킬 '이달고', 그 장면을 관측할 '산초'로 이루어진

 

2개의 우주선을 이용해 소행성의 궤도를 변경시킨다는 내용이다.



donquiote.jpg


이 임무를 위해 유럽우주기구는 'AIDA'로 명명된 국제적 팀을 조성했으며

 

각각 지름 800m, 지름 105m인 돌덩이 2개로 된 이중소행성 디디모스(Didymos)를 목표로 삼았다.

 

디디모스는 2022년 지구에 1100만km까지 접근하는데,

 

이 때 이달고를 6km/s가 넘는 속도로 들이받게 할 예정.



과거 템펠-1의 혜성 충돌 계획(딥 임팩트 프로젝트)을 성공시킨 바 있기 때문에


들이박는 것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관계자는 말한다.


중요한 것은 소행성의 궤도를 바꿀 수 있느냐 하는 것.

 

최종 목표는 소행성의 속력을 수mm/s만큼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 정도면 유사시 소행성을 지구와 비껴가게 하는 데에는 충분하다고 한다





프로젝트 '시시포스의 승리'(Project Sisyphus Victorious)


신을 기만한 죄로 영원히 바위를 들어올려야 했던 그리스 신화의 시시포스,

21세기의 시시포스는 이제 우주 속 바위를 들어올린다.

 

꽤 작은 크기의 소행성이라면 직접 잡는 것도 괜찮을 거라는

 

미친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바로 우리의 우주똑똑이 집단 나사.



crazy nasa.jpg


나사가 구상한 소행성 포획 장치. 이렇게 잡은 소행성을

 

지구와 달의 라그랑주점(지구, 달의 중력이 평형을 이루는 지점)에 보관한다는 계획.

 

이 미친 계획을 위한 포획 장치는 이미 개발되어 있으며,

 

포획한 소행성을 운반할 이온 로켓도 개발중이라고.

 

 

한편 이 소행성 포획 계획은 민간에서도 시행되고 있다.

 

나사는 우주 개발을 위한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직접 주최한 2014 NIAC의 우승자로

 

'테더스 언리미티드(Tehters Unlimited)'사의 소행성 포집 장치를 선정했다.



space web.jpg


이렇게 생긴 그물로 소행성을 잡아 속력을 감소시키고 회전을 줄인다는 것.

 

이런 생각을 한 똑똑이들에게 나사는 상금 1억원 + 5억원의 연구비를 지급하기로 했다고.

 

의외로 소행성을 잡는 게 소행성에 착륙하는 것보다 쉬울 수도 있다는데,

 

소행성의 자전 같은 건 생각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란다.

 

존나 병신 같은 이 계획은 사실 소행성 방어 뿐만 아니라

 

소행성 탐사, 우주쓰레기 제거 등 다양한 분야에 쓸 만한 유용한 계획이다.

 

과학자들이 미친 생각을 하는 데에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소행성 방향전환 미션(Asteroid Redirect Mission: ARM)


위에서 설명한 소행성 포획 계획과도 통하는 계획.

 

솔직히 지름이 수백 미터 단위를 넘어가는 소행성을 잡는 건 무모하고, 또 그럴 필요도 없다.

 

그래서 고안된 것이 포획한 소행성의 충분한 질량을 이용해, 더 큰 소행성을 막아낸다는 계획.

 

급하다면 포획한 놈을 포켓몬 몸통박치기마냥 던져도 되지만,

 

나사에서 연구중인 방법은 좀 색다르다.

 

바로 소행성을 소행성의 중력으로 견인하는 방법.

 

우주선이 작은 소행성을 들고 큰 놈 앞에서 성가시게 굴면,

 

서로 끌어당기는 중력에 따라 조금씩 이동한다는 것이다.

 

도대체 말이 되는 계획인가 싶지만

 

이미 나사는 이에 대한 시뮬레이션까지 마친 상태다.



crazy nasa2.jpg


지름 540m짜리 소행성 '이토가와'를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돌렸는데,

 

지름 3m짜리 돌을 들고 왔다갔다하자 60일만에 이토가와가 기존 궤도를 이탈했다!

 

이를 이용해 나사는 굳이 멀리서 돌 조각을 구해 올 거 없이, 소행성에서 한 조각 떼다가

 

그걸로 유인하자는 플랜 B를 계획했다.



crazy nasa 3.jpg


우주 돌 수집가 나사가 소행성을 유인할 돌멩이를 고르고 있다.


2020년경에 이토가와나 베누, 2008 EV5같은 커다란 소행성을 대상으로

 

플랜 B를 테스트할 계획이라고.

 

 

 

다음엔 상상을 초월하는 신비한 천체들에 대해 ARABOZA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네이버 캐스트, 천문우주지식정보 KASI, NASA, 위키피디아, 사이언스 타임즈

19개의 댓글

2015.09.06
와..씨님 이런거에 관심많으신가보네요
재밌게봤습니다 ㄷㄷ
0
eve
2015.09.06
닥추; 계속연재해주셈
0
2015.09.06
잼따 레알
0
2015.09.06
꿀잼
0
2015.09.06
개 닥추
0
2015.09.06
옛날에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중력유인이랑 충돌에 대해서 본적 있는거같음
0
2015.09.06
3m짜리 돌덩이하나로... 마찰력이 없으면 중력의 영향이 그렇게까지 커지는구나..
0
2015.09.07
@Silvanas
당연하지.. 만약 지구에 대기가 없다고 가정하면 비내리는 순간 우리 머리 다뚤림.
0
2015.09.07
[삭제 되었습니다]
2015.09.07
@라쟁이
전혀 상관 없음. B612가 어린왕자에 나오는 소행성 이름인데, 그게 그냥 여기저기에 쓰이는 것뿐임
0
2015.09.07
재밌게 잘 읽었다 ㅋㅋㅋㅋ
다른 시리즈도 천천히 읽어 봐야겠네 ㅊㅊ
0
2015.09.08
크 똑똑이들은 멍청해보이지만 이유가 있는건가...

근데 그 우주에서 쓸수 있는 볼펜 만들고 나니 연필 쓰면 되는거 아니냐 라는 썰은 사실임?
0
2015.09.08
@길걸
잘못 전해진 말임. 처음엔 미국이든 소련이든 연필을 썼는데
가루가 생기거나 심이 부러지면 조각이 튀거나 하는 문제 때문에 우주 볼펜을 만든거임
0
2015.09.08
@터렛
그렇구나 그냥 연필 가루 날리면 어카지 생각했는데 그냥 아예 잘못된거네..

지금도 그때 만든거 처럼 우주볼펜 쓰는건가?
0
2015.09.09
소행성 방향전환 미션(Asteroid Redirect Mission: ARM)
이게 젤 효율적으로 보인다
0
2015.09.09
브금도 좋고, 내용도 좋고. 닥추 드립니다.
0
2015.09.10
닥추
0
2015.09.10
닉으로 막으면 되자나
0
2015.09.10
걱정 ㄴㄴ 미국이 납치한 외계인 부려서 우ㄴ석 없애줌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63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0 12 일 전
562 [과학] 번역)새들은 왜 알을 많이 낳는가? - 후투티의 형제살해 습성... 7 리보솜 3 2024.03.23
561 [과학] 학계와 AI, 그리고 Bitter Lesson (쓰라린 교훈) 26 elomn 35 2024.02.17
560 [과학] 지구의 속삭임, 골든 레코드의 우주 9 Archaea 10 2024.02.16
559 [과학]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1> 절망의 구덩이 19 개드립하면안됨 37 2024.02.15
558 [과학]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이 땡기는 이유 12 동식 16 2024.02.10
557 [과학] 지능은 모계유전이 아니다. 40 울릉특별자치도 35 2024.01.26
556 [과학] 진화를 생각할 때 고려할 것들 23 날씨가나쁘잖아 12 2024.01.17
555 [과학] 학문적(과학적) 접근과 유사 진화심리"학" 26 날씨가나쁘잖아 19 2024.01.15
554 [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야릇한 은폐된 배란에 대한 남녀 학자의 다... 14 개드립하면안됨 15 2023.12.29
553 [과학]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읽고 느낀 점 (스포있음) 21 장문주의 2 2023.11.28
552 [과학] 제4회 포스텍 SF 어워드 공모전 ( SF 단편소설 / SF 미니픽션 ) 2 따스땅 1 2023.11.25
551 [과학] 펌) CRISPR 유전자 가위 치료제 "최초" 승인 12 리보솜 7 2023.11.25
550 [과학] 러시아는 기술산업을 어떻게 파괴시켰는가(펌) 9 세기노비는역사비... 15 2023.11.18
549 [과학] 고양이에 의한 섬생태계 교란과 생물 종의 절멸 (펌) 2 힘들힘들고 6 2023.11.16
548 [과학] 번역)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12 리보솜 10 2023.11.15
547 [과학] 『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이 왜곡인 이유 (펌) 47 힘들힘들고 10 2023.11.12
546 [과학] 흑수저 문과충 출신 구글 취직하는 파이썬 특강 -1 14 지방흡입기 11 2023.09.27
545 [과학] 국가별 당뇨 유병율 이거 뭐가 바뀐건지 아는사람? 8 LAMBDA 1 2023.09.27
544 [과학] 물샤워 ㅇㅈㄹ 하는 놈들 봐라 171 철동이 48 202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