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게이들을 위한 언어학) 3. 야생소녀 지니


     지니가 갓 스무 달을 넘길 무렵, 아버지는 지니가 심각한 정신지체라고 생각했어. 그 때부터 혐오가 시작됐고 지니는 보살핌을 받지 못한 체 지냈지. 아무도 지니에게 말을 걸지 않았어. 아무도 지니와 놀아주지 않았고, 아무도 지니와 만나려 하지 않았지. 그녀가 만나는 사람이란 가끔씩 굳은 표정으로 말없이 끼니를 주러 오는 아버지 뿐. 밥을 먹을 때를 제외하곤 낮에는 변기 위에, 밤에는 침낭 속에 묶인 체, 지니는 외딴 방에 갇혀 방치되고 학대받으며 지냈어. 열세 살이 될 때 까지 말이야.


     지니가 열세 살이 되던 해, 앞을 보지 못해 학대 받는 딸아이를 눈앞에 두고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어머니는, 남편이 집을 비운 사이 극적으로 탈출해 도움을 청하게 되지. 1970년 11월 4일 미국 캘리포니아의 어느 보호소에서, 지니는 그렇게 처음으로 세상과 만났고 지니를 본 세상은 경악했다.


200px-Genie_immediately_after_rescue.jpg

<Genie, 1957 ~ : 원래 이 아이는 이름이 없었다.

지니 라는 이름은 발견된 뒤 사람들이 붙인 것이다.

램프의 요정 지니 처럼, 모든 자유를 속박당한 체

묶인 모습에서 따왔다고 한다>



     지니는 열세 살이라는 나이가 무색할 정도로 지능발달 정도가 유아와 같은 모습을 보였어. 단어 하나 말할 줄 몰랐고 기저귀를 차며 칭얼대기만 했지. 손으로 음식을 집어먹는 것은 물론이고, 아무데나 침을 뱉고 코를 킁킁거리며 냄새를 맡는 모습은 정말인지 동물과 다를 바 없어 보였어.


     1971년 아동학대혐의로 고소된 지니의 아버지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미국 전역의 과학자와 심리학자, 언어학자들이 모였어. 그리고 연구를 시작하게 되지. 그들의 관심사는 하나였어. “어린시절 사회로부터 완벽하게 고립된 상태로 성장한 이 아이가 또래의 아이들과 같은 상태를 회복할 수 있을까”


     결과부터 말하자면 지니는 또래 아이들과 같이 회복될 수 없었어. 연구자들과 교육자들의 끈질긴 도움 끝에 여러 가지 단어를 습득하고 대상의 이름을 말할 수 있을 정도는 되었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기본적인 문법’조차 터득하지 못했어. 때문에 복잡한 문장은 물론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했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발전하는 모습을 보이긴 했지만 여전히 보통 사람들에 비해선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었어. 결국 지니는 죽을 때 까지 자신의 모국어조차 제대로 말하지 못했지.


     지니의 사례로 인해 생득주의자들의 LAD는 심각한 도전을 받게 돼. LAD 이론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언어를 배울 수 있는 능력을 타고 났기 때문에 주변의 인공적인 교육이 없이도 자연스럽게 언어를 터득할 수 있어야 해. 하지만 지니의 경우는 그렇지 못했어.


     그렇다고 이 사례가 행동주의자들에게 도움이 된 것은 아니야. 행동주의 이론에 따르면 언어습득은 외부 환경과 교육으로 만들어지는 것인데, 지니는 비록 늦기는 했지만 열세 살 이후에 환경과 교육을 제공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또래와 같은 발달정도를 회복하지 못했거든. 평생이라는 긴 시간 동안 교육을 받았는데도 말이야.


     지니의 사례를 두고 골몰하던 학자들은 한 가지 묘한 생각을 하게 돼. “혹시 어린 시절에 습득하지 않으면 평생 습득하지 못하게 되는 것 아닐까”라는 생각. 보통 어린아이들은 스펀지 같다는 말을 많이 하지. 그 만큼 어린아이들은 주변 환경의 자극에 민감하고, 특히 언어의 경우 아이들이 어른들보다 더 빠르게 배우는 경향이 있어. 여기에 주안점을 둔 학자들은 어린시절을 ‘Critical Period (결정적 시기)’라 명명하고 “인간은 시기에 맞는 적절한 자극을 받아야 다음 발달단계로 진보할 수 있다”는 가설을 설립하게 돼. 달리 말하면, 한 번 때를 놓치면 이후에 그 어떤 노력을 해도 다른 아이의 발달정도를 따라갈 수 없게 된다는 거야.



dcc6babc6141c89ccce0a1de491b5c7c.jpg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 : 원어민과 같이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은

7세 이후 하락하다 15세 이후가 되면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여러 사례연구로 조성된 통계를 통해 학자들은 결정적 시기가 사춘기 이전 까지라고 결론지었어. 사춘기가 넘으면 그 이전만큼 온전하게 언어를 습득할 수 없게 된다는 거지. 이는 게이들도 경험적으로 알고 있을 거야. 어렸을 때 잠깐이나마 외국에서 살다온 애들은 영어 발음이나 작문, 발화가 일반 학생들보다 월등히 좋잖아?


     이 Critical Period는 LAD와 묘하게 맞물리게 되는데 학자들은 LAD또한 Critical Period가 지나감과 함께 활동이 둔해지는 것이라는 가설을 내놓게 돼. 하지만 아무도 왜 Critical Period가 있는지, 왜 그 시기가 사춘기 이전으로 못 박혀 있는 건지는 아무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했어. 그냥 통계자료를 두고 이런 식의 경향이 있다 말하고 있을 뿐이지. 생득주의도 행동주의도 설명을 못 하게 된 이 혼란한 상황. 이제 새로운 페러다임을 필요로 하게 된 거야.

12개의 댓글

ING
2015.06.21
흐음 개인적인 생각으로 Critical Period가 왜 있을까에 대해 생각해보면, 당연한 거일 수도 있어

글쓴이도 알겠지만 우리는 범주화 하잖아 근데 태어났을 때는 다 모든 음절에 다 가능하다가 그게 나이가 들면 쇠퇴하잖아..

우리가 소리를 'la'와 'Ra'를 구분 못하는 거처럼?(물론 서양인들은 '살'과 '쌀'을 구분 못한다고 해 ㅋㅋㅋ)

그거랑 같은 이치로 생각해 보면 안될까? 필요없는 범주화가 우리가 구분을 못해지듯이 어렷을 때 언어를 안사용하면 언어도 쇠퇴한다고 말이야..

슬슬 초반부는 끝나가는거 같은데 끝은 어떻게 맺을 생각이야? ㅋㅋ 개인적으론 이중언어자(Bilingual)로 끝내는 거 추천 아님 진짜 아예 언어학 정통으로 가도 좋을꺼 같고
0
sm
2015.06.21
@ING
인간의 모든 지식과 역량이 결정적 시기를 따라 쇠퇴하는 것은 아니야. 가령 달리기와 같은 운동능력을 보면, 사춘기가 시작되면 오히려 더 활발해지고 더 발전해가. 운동능력 뿐만 아니라 수학적 계산능력이나, 요리, 창작 등 다른 분야들은 나이가 너무 많아 노화가 진행되기 전까지는 꾸준히 상승해가지. 유독 언어습득 능력만 사춘기 전후로 급격히 쇠퇴한다는 것은 굉장히 특이한 현상이야.
0
ING
2015.06.21
@sm
조금 잔인한 예지만.. 사춘기까지 한쪽 팔을 못움직이게 몸에 묶어둔다면?? 그러면 그쪽에 대한 운동을 담당하는 대뇌피질이 발전해갈까?

니가 말한 예들은 지금 다 일상생활에서 쓰는 것을 기준으로 말했잖아 쓰니깐 발전해나가는 거지..
0
ING
2015.06.21
@sm
미안 지금 과제중이라 정신없다. 사실 언어에만 결정적 시기가 국한되는 건 아니라고 배웠어..

언어가 고차원적인 사고를 해야되서 놓치면 평균도 못한다는 것 때문에 중요시 여겨지는 거 같고..

음... 과제 끝나고 좀더 이야기하자 ㅂㅂ
0
매우 흥미롭구만 ㅊㅊ
0
2015.06.21
초등학교도 못 들어간 애들 혀뿌리를 자르고 하는 짓들의 이론적 기반이 critical period 였을까?
0
ING
2015.06.21
@愛乳
읭??? 아닐껄 정확한 거는 모르겟지만 여기서 말하는 언어는 좀 넓어 듣기만 해도 발달할수있고.. 심지어 수화도 언어로 보고 있어 ㅋㅋ 그래서 귀머거리들도 수화만 critical period에 배우면 언어 습득 햇다고 보거든 감금하고 의사소통 안햇으면 모를까..지니처럼
0
2015.06.21
@ING
영어 잘하려면 어렸을 때부터 해야된다.... 그러니까 영어 어린이집도 보내고 혀뿌리도 끊고 그러잖아
0
ING
2015.06.21
@愛乳
없지 않아 영향이 있다고 봄.. 하지만 현재 어렸을때 배울때랑 성인이 되서 배울때의 장점과 단점이 다 밝혀지고 있는 편이라서

아이의 기질에 맞는 선택을 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추세야

근데 부모마음이 그러하지 않아 문제지.. 좋을 수도 있다면 일단 먹여보고 시작하잖아? 부작용 생각안하고
0
2015.06.21
유학원도 해보고... 해외 교민으로서...

어릴적 해외를 다녀온 아이는 일단 뭐랄까
언어에 대한 사고방식이 다름
문법자체가 열려있다고 해야하나, 언어에 대한 포용력이 넓다고 해야하나 하여튼 그럼.

그리고 내가 만나본 인간들 중, 저런 사고방식이 종특으로 잡혀 있는 곳이 홀란드임.
더치애들이 생각하는 '포린 랑규지' 라는 인식 자체가 우리랑 다른듯 ㅋㅋㅋ 그래서 그런지 언어습득능력은 상상을 초월하지 별다른 교육 없이도 ㅋㅋ

부러울 따름임. 난 3개국어 배운다고 개 똥을 싸면서 공부하는데 말이지.
0
2015.06.22
ㅊㅊ
0
2015.06.22
근데 얘 경우는...

맨 윗줄에 나와있지만, 진짜로 정신지체라서 그런거 아닐까........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63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2 21 일 전
562 [과학] 번역)새들은 왜 알을 많이 낳는가? - 후투티의 형제살해 습성... 7 리보솜 3 2024.03.23
561 [과학] 학계와 AI, 그리고 Bitter Lesson (쓰라린 교훈) 26 elomn 35 2024.02.17
560 [과학] 지구의 속삭임, 골든 레코드의 우주 9 Archaea 10 2024.02.16
559 [과학]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1> 절망의 구덩이 19 개드립하면안됨 37 2024.02.15
558 [과학]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이 땡기는 이유 12 동식 16 2024.02.10
557 [과학] 지능은 모계유전이 아니다. 40 울릉특별자치도 35 2024.01.26
556 [과학] 진화를 생각할 때 고려할 것들 23 날씨가나쁘잖아 12 2024.01.17
555 [과학] 학문적(과학적) 접근과 유사 진화심리"학" 26 날씨가나쁘잖아 19 2024.01.15
554 [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야릇한 은폐된 배란에 대한 남녀 학자의 다... 14 개드립하면안됨 15 2023.12.29
553 [과학]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읽고 느낀 점 (스포있음) 21 장문주의 2 2023.11.28
552 [과학] 제4회 포스텍 SF 어워드 공모전 ( SF 단편소설 / SF 미니픽션 ) 2 따스땅 1 2023.11.25
551 [과학] 펌) CRISPR 유전자 가위 치료제 "최초" 승인 12 리보솜 7 2023.11.25
550 [과학] 러시아는 기술산업을 어떻게 파괴시켰는가(펌) 9 세기노비는역사비... 15 2023.11.18
549 [과학] 고양이에 의한 섬생태계 교란과 생물 종의 절멸 (펌) 2 힘들힘들고 6 2023.11.16
548 [과학] 번역)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12 리보솜 10 2023.11.15
547 [과학] 『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이 왜곡인 이유 (펌) 47 힘들힘들고 10 2023.11.12
546 [과학] 흑수저 문과충 출신 구글 취직하는 파이썬 특강 -1 14 지방흡입기 11 2023.09.27
545 [과학] 국가별 당뇨 유병율 이거 뭐가 바뀐건지 아는사람? 8 LAMBDA 1 2023.09.27
544 [과학] 물샤워 ㅇㅈㄹ 하는 놈들 봐라 171 철동이 48 202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