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해전..그 후 이야기들


BGM정보 : 브금저장소 - http://bgmstore.net/view/PpWKg

 

 

 

오늘 연평해전을 보고 왔습니다.


정말..


전쟁영화라고 예상하고 갔는데


너무 슬픈 영화이더군요.


마지막쯤에는 안우는 사람이 없을 정도였습니다.


나이지긋이 드신 분들도 모두 안경을 들고 손수건으로 눈에서 눈물을 훔치느라 바쁘시더군요..


그렇게 영화를 보고 돌아와서


후기가 궁금하여 검색을 해보니


보상금으로 3천만원밖에 못받았다든지, 명예선양이 제대로 안되었다든지 안타까운글이 많아 분개하던차에


그들이 배로 다시 태어나 나라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크게 감동하여 또 울었습니다..

 

윤영하.jpg

 

정장 윤영하

1973.11.24~2002.6.29

북괴군의 기습적 함교 집중포격으로 전사

전사당시 29세

 

 

윤영하함현판.jpg

 

그는 전사 후 10년뒤 그가 생전 지휘하던 참수리보다 더 강력한 배로 다시 태어났다.

 

 

윤영하함 현판을 어루만지는 아버지.jpg

 

윤영하함의 현판을 어루 만지는 고 윤영하 소령의 부모님과 이명박 전 대통령

 

 

물살을 가르는 윤영하.jpg

 물살을 가르며 힘차게 항진하는 윤영하함 711

 

 

 

 

 

2015062611340743727.jpg

 

조타장이었던 한상국 중사.

1975.1.31~2002.6.29

전사당시 27세

 전우들을  형처럼 잘챙기고 인간미 넘쳤던 한상국 중사는 교전중 몸에 총탄을 맞아 생사가 오가는 상황속에서도 배를 남하시키기 위해 자신의 손을 키에 결박시킨후 배와함께 바닷속으로 실종된다.

후일 그를 다시 찾았을때 그는 여전히 키에 자신의 손을 결박시킨채 몸을 포개고 있었다

그의 시신을 찾은것은 전투후 실종 41일만이였다.

한상국중사의 조타실.jpg

 

한상국 중사의 시신이 발견된 조타실의 실제 모습

태극기 6개는 전투중 산화한 6명을 의미한다.

한상국함.jpg

 

한상국 중사 역시 배로 부활하여 나라를 지키고 있다.

 

다만 아쉽게도 한상국 중사의 아내 김한나씨는 전사가 아닌 공무상 순직으로 처리하고 기념식에도 대통령이 한번도 참석하지 않으며 연평해전이 아닌 서해교전으로 그 의미를 축소시키는 국가에 실망하여 2005년 미국으로 이민을 떠났다.

서해교전에서 연평해전으로 이름이 바뀌고 대통령이 직접 기념식에 참석한것은 10년이 지난 이명박 대통령 정권에 이르러서였다.

 

김대중,노무현 정권 당시에는 유가족을 초청하여 식사를 하고 위로한적이 있긴 하나 추모식과 기념식에는 단 한번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한다.

 

 


박경수 중사.jpg

 

박경수 중사


357에서 연평해전을 겪고도 다시 조국을 지키기 위해 천안함에 올랐다가


천안함 폭침사건때 전사했다.

해군부사관 188기

전사당시 나이 29세

1981.2.19~ 2010.3.26




15.jpg

이희완 소령

당시 중위로 부정장이었다. 전투 도중 포탄파편에 직격하여 다리를 잃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소령으로 재직하며 정훈장교로서 활동하고 있다.

 

 

 


 



고정우.jpg


곽진성.jpg

 

고정우,곽진성씨는 전투도중 몸과 마음에 큰 상처를 얻었다.

하지만 다행히 생존하여 현재는 방산업체에서 일하며 여전히 국방관련직에 종사하고 있다.



김택중.png

김택중씨는 당시 일병이었다.

전투도중 얻은 정신적 충격 때문에 외상후스트레스 증후군에 시달렸다.

몸에 얻은 상처보다 마음에 얻은 상처가 더 크다고 토로했다.

 

 

 

 

 

이해용 원사.png


 

이해용씨는 큰 일을 당하고도 여전히 원사로 해군에  근무중이다.

 

 

 

 

권기형.png


 

권기형씨는 고 박동혁 병장과 동기였다.

당시 갑판에서 전투를 하는 도중 손에 총탄을 맞아 손가락과 팔을 잃을 뻔했으나 수술로 잃는것만은 면했다.

하지만 여전히 팔과 손을 제대로 쓸 수 없다.

전투 도중 손을뻗어 탄창을 쥐려고 했는데 안잡혀서 보니 손가락이 없더라고 증언한 장본인이다.

 

김승환.png


김승환씨도 전투에서 기적적으로 생환했다.

 

 

 

 

 

조천형 중사.jpg

조천형 중사

1976.4.16~2002.6.29

전사당시  26세

 

조천형 중사는 당시 딸을 얻은지 얼마안된 초보 아빠였다. 병기장이었는데 교전도중 적탄에 피습되어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계속 사격하다 전사했다.

358정이 와서 유해를 수습하려 보니 시신은 여전히 방아쇠를 쥔채 놓지 않은 상태였다고 한다.

 

조천형 중사 자리.jpg

조천형 중사가 순직한 자리에 총탄 자국이 선명히 남아있다.


조천형함.jpg

 

배로 부활한 조천형 중사.

배의 후미에 조천형이라는 글자가 선명하다.


제복입은 조천형 중사.jpg

 

조천형 중사

전사당시 그의 나이 26세였다.

 

 

 

 

 

 

 

서후원중사.jpg

 

서후원 중사

1980.11.28~2002.6.29

전사당시 22세.

서후원 중사는 내연사로 엔지실에 있어야 했으나 갑판에서 전사했다.

전투가 발생하자 엔진실에서 뛰쳐나와 부상자를 나르고 직접 교전하다 전사한것이다.서후원 중사 사망자리.jpg

 

서후원 중사의 아버님께서 서후원 중사가 죽은 자리에 서서 인터뷰를 하는 모습.

차라리 아들이 엔진실에 그대로 있었다면...이라며 아쉬움을 토했다.

서후원함.jpg


 

서후원 중사 역시 배로 부활했다.

서후원 함의    승조원으로부터 경례를 받으며 승선하는 서후원 중사의 아버지

 

서후원중사 사복.jpg

서후원 중사

1980.11.28~2002.6.29

 

전사당시 22세

 

 

 

 

 

 

 

 


 


황도현중사 사진.jpg

황도현 중사

1980.2.27~2002.6.29

전사당시 21세

 황도현 중사는 부모님 말씀 한번 거스른적이 없는 효자였다. 얼른 돈을 벌어서 부모님 호강시켜드리겠다며 부사관으로 입대해 근무중 전사했다.

전사당시 그의 나이 불과 21세엿다.

전투중 얼굴에 탄을 맞아 신발을 보고서야 황도현 중사임을 알 수 있었다고 한다.황도현중사.jpg

 

황도현 중사의 어머니는 남양주시로 이사해 살고 계신다.

여전히 아들의 방을 하나 만들어 아들을 추억하고 계신다.

황도현함1.jpg


 

황도현 중사 역시 배로 부활하여 나라를 수호하고    있다.

 

황도현함2.jpg


황도현 중사의 이름이 선명하게 새겨진 현판.

 

 

 

 

 

 

 

 

 


2015062611405248530.jpg


당시 상병으로 약통이란 별명을 갖고 있었고 전투시 대원들을 살리기 위해 좁은 갑판을 누비다


온몸에 파편상과 총상을 입고 투병중 떠난 박동혁 병장


 국군수도병원으로 전투후 긴급후송되어 차도가 나아지는등 희망적인 모습도 보였으나 결국 투병생활 83일을 


만에 우리곁을 떠났다.


박동혁 병장의 몸에서는 3kg이 넘는 쇳조각이 나왔다.


의사는 박동혁 병장이 그만큼 오래버틴것조차도 기적이라고 말햇을 정도의 큰 부상이었다.

 

박동혁 병장 투병중 모습.png


2015062611414496339.jpg

 

박동혁 병장은 병사계급임에도 이례적으로 전투함에 이름이 명명되엇다.

 

전투 상황속에서 파편상에 다리가 찟겨져 나가고 피를 흘리면서도 동료들을 헌신적으로 도운 전공을 크게 인정받은것이다.


박동혁함 717.png

 

후미에 박동혁 세글자가 선명한 박동혁함


박동혁함717.jpg

 

파도를 가르며 항주중인 717 박동혁함

 

 

 

 

 

박동혁 병장 생전모습.jpg

병장 박동혁


1981.8.25~2002.9.20

 

전사당시 21세

 

 

 

 

 

1.jpg


2.jpg


3.jpg

 

다시 태어나 영해를 수호중인 그들의 모습

 

4.jpg


5.jpg


6.jpg


7.jpg


9.jpg


10.jpg


11.jpg


12.jpg


13.jpg


14.jpg


15.jpg


16.jpg


17.gif


17.jpg

 

영화중 옷걸이에 걸린 고 윤영하 소령의 제복을 안고 흐느끼시던 아버님의 자랑스러워 하시는 모습

18.jpg

 

박동혁 함을 바라보시는 박동혁 병장의 아버님


19.jpg

 

아들에게 손을 흔들듯 손을 흔들어보는 어머님



357.jpg

 

연평해전 후 100일가까이 지나서야 인양되는 357정의 모습

함포는 여전히 적을 향하고 있었다.

함교는 처참히 깨져나가 있고 함체 곳곳에는 총탄구멍이 가득했다.

 


전쟁기념관.jpg


 

현재는 평택2함대에 실물이, 전쟁기념관에 목업이    전시되어 있다.

 

 

 

 




 


 


 

 

 

 


 

88개의 댓글

2015.06.27
@쉬림프
만 나이로 나온거겠지
0
@쉬림프
사망후 2계급 특진 아마 상/병장이었을듯
0
2015.06.27
@쉬림프
ㅇㅇ 추서계급이지
0
2015.06.27
@쉬림프
사망 후 승진
0
2015.06.27
아.....ㅠㅠ 슬프다
0
영화 평점에 대해서 막 조작이다 뭐다 하는 애들 많던데,
솔직히 영화 초반부엔 좀 지루했다...
근데 전투 시작되고, 마지막에 장례식 장면까지.. 안우는 사람이 없었다
나도 슬픈영화 보면서 운적 한번도 없는데 나도 모르게 진짜로 눈물이 흐르더라
0
2015.06.27
@아녕려추추ㅜ투ㅜㅇ
130분짜리던데 전투가 몇분쯤 시작임??
0
2015.06.27
@Eos5DMark2
80분쯤 시작할거임
영화 전투시간이 실제 전투시간과 똑같은 30분으로 해서 만들었다고 하니까
전투끝나고 영상보여주고 하는게 10분정도 된듯
그럼 딱 맞아덜어질겨
0
감사합니다...
0
이런 배를 만들면서 그런 비리를 저지르는 놈들이 인간이냐...
0
2015.06.27
요긴 그래도 김대중 개개끼하는 사람이 없어서 다행이다.

하나 수정하자면 3000만원 보상은 이중배상금지조항때문에 어쩔수 없었고.. 김대중 대통령이 편법으로 우회해서 더 지원하고 조의금도 따로 보냄.
나중에 김-노-이 거치면서 수정
0
2015.06.27
@스리슬쩍
월드컵 보는냐 공사다망하셨던 분이라 개새끼 맞음
0
2015.06.27
@로밍중
3.4위전때 일정 다 취소하고 회의 소집후 추가 상황 없는 거 확인. 승전선언하고 일본감.

북한의 도발 목적 중에 하나가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에 초치려는 건데 거기에 넘어가서 마지막 폐막식에 우리나라가 빠지면 안된다. 라는 주장을 받아들임.
국내에는 국무총리가 남아 상황지휘.

판단은 알아서
0
2015.06.27
@로밍중
추가로 덧붙이면.. 예우나 보상금이나 대한민국 역사상 최대였던건 팩트
0
2015.06.27
@스리슬쩍
월드컵 간거는 뭐 그럴수도 있겠다고 생각한다만

예우와 보상금에 있어서 많은사람들이 지적하는 것과 다르게 역사상 최대 였다는건 무슨 근거야?
0
2015.06.27
@함마유
제2연평해전 유족은 3천100만~8천100만원의 일시금을 받았고, 38~86만원의 유족연금과 61~62만원의 보훈연금을 지급받게 되었다.[32] .... 정부는 우회적인 방안으로 국민성금을 해서 전사한 6명의 장병에게 정부 지원금 포함 해서 도합 3억5천만원의 보상금이 전달되었다.[34]

김대중 정부는 2002년 6월 30일 서해도발 과정에서 전사 또는 실종된 해군장병 5명에게 일계급 특진과 함께 훈장을 추서했다.[40]

2002년 6월 30일 국군수도병원 합동분향소에는 이한동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과 국회의원, 군 장병 등이 방문했다. 이 총리 등 국무위원 일행 21명은 이날 합동분향소를 방문, 헌화 및 묵념하고 고(故) 윤영하 소령에게 충무무공훈장, 고(故) 조천형 중사등 사망 및 실종 병사 4명에게 화랑무공훈장을 각각 추서했다.

2002년 7월 2일 ...국군수도병원을 방문, 서해교전에서 부상당한 장병들을 위로했다.[44] 7월 23일 김대중은 서해교전에서 전사하거나 실종된 장병 5명의 가족 12명을 청와대로 초청한 자리에서 “북한의 불법적이고 무도한 도발행위로 인해 돌아가신 분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45]

--
이전 정권이랑 비교해보면 차이가 명확한데.. 이렇게 우회적으로나마 보상금을 더 챙겨준 정부는 김대중 정권 이전에 없었고, 대통령이 병문안을 가거나 유가족을 청와대로 초청하거나 따로 조의금을 보내거나 한것도 없었음.

가장 큰 예로 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때의 사망자에게는 저런 우회적인 방법 없이 법대로 주고 끝.
0
2015.06.27
4대 교전수칙 선발포 금지 조항은 김영삼이 만들었는데 유엔 교전수칙때문에 발포하려면 유엔허가 받아야하는데
이래서 전작권 회수 하자는 거다
전작권 있으면 교전수칙 선발포로 바꿀수 있다
0
2015.06.27
보면서 찔금찔금 계속 울음..
0
2015.06.27
아..나중에 다운받아봐야지
0
연평도 포격때도 5분안에 방열준비했는데 8~9분 더 기달렸지아마??

개인적으로 위에서 뒤에서 비리 저지르고 까대는데도 묵묵히 싸우는 젊은이들 멋지다.
지금 한국이란 나라가 저런사람들의 피를 마실자격있을려나?
0
2015.06.27
마음아프다.
0
2015.06.27
언제 죽을지도 모르는 군인들 월급이나 더주지 진짜
0
2015.06.27
하 글보면서도 눈물날뻔햇네..ㅠ
0
2015.06.27
저래도 북한은 친구라는놈들 천안함은 북한의 소행이 아닌 정부의 자작극이라는놈들 다 심장마비 왔으면
0
2015.06.27
난 영화보면서 눈물이 안나오는데 속으론 먹먹하더라 이 글 보니까 배로 다시 태어났다는게 감동적인데 조타장님 일은 좀 안타깝네..
0
2015.06.27
비리 아래에 쌓여가는 젊은이의 시체
0
2015.06.27
와 천안함 타서까지 전사한사람 불쌍하네
0
2015.06.27
여전히 아들의 방을 하나 만들어 아들을 추억하고 계신다.....
0
2015.06.27
방산비리씨발놈들 다 줘팸해서 보상금 드려야하는데
0
2015.06.27
이 영화가 재대로 인정받을려면 방산비리 척결
병역회피자 강력처벌이 이루어져야 한다
0
이렇게 다시금 되새길수 있도록 영화로 나온것이 감사하다 물론 목적은 상업이겠지만.
0
2015.06.27
야, 그럼 저분들 돌아가셨음에도 못쉬고 군복무 계속하는부분이냐..?
0
2015.06.27
싀발 아마겟돈 브금 ㅠㅠ 추천
0
2015.06.27
경의를 표한다..
0
2015.06.27
추천....ㅠㅠ 고맙습니다
0
2015.06.27
방산비리가 뭐 어쨌다고?
0
2015.06.28
ㅠㅠ멋지신 분들이야
0
2015.06.28
작년에 전쟁기념관에서 저 배 타봤는데 쇳덩이들이 다 찌그러져잇고 다 구멍뚫렸더라 죤나 무서움 사람있던 유리창 다 깨져있고 그 안에 누구누구 사망 표지판있고 ㅎㄷㄷ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