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 개드립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화산파 23대 장문인은 한국인

Screenshot_20240522_114846_Chrome.jpg

5개의 댓글

12 일 전

화산에 있는 수많은 도교문파중 남천문파의 장문인임

0
12 일 전
@ㅋㅋㅎ

속가 라고 봐야하는게 아닐까

0
12 일 전
@삼성이재용

-화산은 중국의 오악(五嶽) 중에서도 가장 험한 산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저도 한번 가봤는데 해발 2100m의 험한 바위산이더군요. 바위가 대부분 화강암이라 아주 강한 기운이 느껴졌습니다. 곽 선생은 한국인이자 여성의 몸으로 어떻게 화산에 들어가서 도를 닦게 됐습니까?”

 

“한마디로 전생의 인연입니다. 1995년 중국에 처음 갔습니다. 당시 중국에는 살아 있는 신선으로 알려진 왕리핑(王力平) 선생이 유명했습니다. 그런데 한국에서 기공 수련을 하던 수련가들이 왕리핑 선생을 찾아가 공부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보름에서 한달 정도의 단기교습 과정이었죠. 선도의 대가인 왕 선생 밑에서 공부하면 수행의 비전(秘傳)을 접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컸습니다.

 

1995년부터 3년간 수련을 했는데, 당시 왕 선생은 ‘여자는 하단전보다 유계혈(乳鷄穴 : 젖가슴 사이의 혈)에 의식을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셨습니다. 남자는 의식집중을 하단전에 하지만 여자는 유계혈에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왕 선생 문하에서 공부하던 중 우연히 화산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됐습니다. 화산에 가면 여자 도인이 있는데, 적룡을 끊고 중국에서 유일하게 여단도(女丹道)를 성취했다는 거였죠. 제가 여자니까 자연히 여단도에 관심이 갔어요. 그래서 화산을 찾아가게 되었습니다. 그 곳에서 제 사부인 조상정(曺祥貞·82) 선생님을 만났습니다. 이 분이 화산(華山) 남천문파(南天門派) 22대 장문입니다. 남천문은 여자들이 수행하는 문파이기 때문에 여자가 장문인 자리를 이어받습니다. 제가 23대입니다. 항렬을 보면 상(祥), 종(宗), 태(太), 우(宇)로 내려갑니다. 22대는 상, 23대는 종, 24대는 태, 25대는 우자가 들어가죠. 제가 23대니까 법명에 종(宗)자가 들어갑니다.

 

조상정 사부님은 화산의 다상팡(大上方)에서 평생 수도를 하셨습니다. 깎아지른 바위 절벽 중간에 굴을 만들어서 수행처로 삼은 것이죠. 화산의 서봉과 북봉 사이에 있는데, 대대로 여자들이 수행하던 곳입니다. 무협지에서 묘사하는 동굴 수도처와 같아서 경관도 기막히게 좋아요. 다상팡에 올라가는 길은 아주 험합니다. 쇠줄을 붙잡고 60∼70도 경사 진 돌계단을 올라가야 합니다. 해발 1500m의 고지대에 있는 바위 동굴이라서 겨울이면 엄청나게 춥습니다. 이런 곳에서 10대 중반부터 수도를 하신 것이죠. 조상정 사부님 어머니도 화산에서 공부를 하였는데, 어머니를 따라 소녀시절부터 화산에 머물며 출가를 한 것이죠.

 

화산에 있던 도사들은 1960년대말 문화혁명 때 곤욕을 치렀습니다. 홍위병들이 올라와 유서 깊은 도관 수십여 곳과 동굴내부의 조각, 석상, 벽화들을 모조리 망가뜨렸던 거죠. 도사 가운데 일부는 죽고 일부는 강제로 산에서 내려와 공장에서 일을 해야만 했습니다. 강제로 환속하게 된 겁니다.

 

사부님도 처음에는 산밑의 약재공장에서 일하다가, 서안(西安)에서 가까운 태백산으로 피신했습니다. 3500m가 넘는 태백산에는 사람이 쉽사리 접근할 수 없는 험난한 곳이 많습니다. 문화혁명 시절 도사 중 일부가 태백산에 숨었다고 합니다. 인적이 드문 곳에서 초근목피하며 수행했던 것이죠. 겨울 태백산은 너무 추워서 발가락이 동상에 걸리는 등 고통을 겪었다고 합니다. 문화혁명이 끝난 후 사부님은 다시 화산으로 돌아왔습니다. 이런 고생을 하면서 도맥을 지켜온 것입니다. 조 사부님은 현재 중국의 8대 도인 중 한 분입니다. 80세가 넘은 고령이지만 도력이 대단합니다. 이 분을 만나려고 많은 사람이 화산에 옵니다.

 

그러나 아무나 선생님을 만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인연이 있어야죠. 그 인연은 꿈으로 예시하는 경우가 많죠. 제가 처음 조상정 선생님을 만나러 갔을 때, 다상팡을 자주 출입하는 여자 신도가 꿈을 꾸었다고 합니다. 꿈에 황룡이 다상팡을 올라가더라는 겁니다. 그래서 깨어난 후 실제로 다상팡에 가서 ‘여기 용띠가 있습니까’ 하고 물었답니다. 그랬더니 조 선생님이 ‘지금 올라오고 있다’고 답변했다고 해요. 그리고 나서 제가 다상팡에 올라간 거죠. 우연의 일치인지는 몰라도 제가 경진(庚辰)생 용띠입니다.

 

저는 전생부터 조 선생님, 화산 다상팡과 인연이 있지 않았나 여겨집니다. 처음 다상팡에 도착했을 때 조 선생님이 대접에 설탕물을 타 놓고 기다리더군요. 올라오느라 피곤할 테니 설탕물을 먹으라는 거였죠. 그리곤 첫마디가 ‘천상에서 같이 있었다’였습니다. 그때부터 제가 다상팡에 머물면서 조 선생님의 지도를 받게 된 겁니다.

 

처음에는 동굴에서 잠을 잤습니다. 전기도 들어오지 않아 깜깜한 동굴 바닥에 걸상 하나 놓고 그 위에다 이불을 깔고 잔 거죠. 해 떨어지면 자고 새벽에 일어났습니다. 보통 새벽 2시30분에 기상해 세면한 후 3시쯤 옥황동이라는 동굴 법당에 올라갑니다. 그리고 아침 7시까지 무릎을 꿇고 ‘옥황경’을 읽었습니다. 몸에 경락이 열리지 않으면 4시간 동안 꿇어앉아 있을 수 없죠. 그런데 저는 처음부터 4시간을 꼼짝 않고 있었습니다. 조 선생님이 그 인내심을 보고 저를 제자로 삼기로 마음먹은 것 같아요.

 

아침 독경이 끝나면 숙소에 내려와서 식사를 했습니다. 식사는 벽곡(?穀 : 곡기를 피하는 법)입니다. 대신 하루에 한번 아침 무렵에 솥에 찐 사과를 먹었습니다. 점심 무렵에는 식사를 하지 않고 수련을 했는데, 이를 오시공(午時功)이라고 하죠. 한밤의 자시와 한낮의 오시가 인체 리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그래서 오시에는 반드시 수련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오후 4시경 식사를 했어요. 이때 먹는 음식은 산에서 나는 더덕, 마(麻), 대추, 약초 등을 솥에 넣고 찐 것입니다. 이게 하루에 먹는 식사의 전부였습니다. 바로 화산파의 벽곡법이지요.

 

중국 화산파(華山派) 여자 장문인 곽종인

곽 선생은 항상 척추를 곧추세우고 앉는다. 아무리 나이가 들었어도 척추 아랫부분인 명문혈을 반듯하게 세워서 앉는 것이 수행자의 도리이기 때문이다.

 

겨울에는 추워서 고생을 좀 했습니다. 난방장치가 없거든요. 화장실도 절벽 끝에 만들어 놓았어요. 물론 수세식이 아니죠. 찬바람이 계곡에서 슁슁 불어와요. 한번 변을 보고 오면 찬바람에 노출되어선지 1시간 가량 배가 아팠습니다. 화산에서 생활한다는 것이 이처럼 쉽지 않습니다.”

 

72개 동굴은 수행자들의 요람

 

화산은 도교성지로 유명하다. 다른 명산들은 도교의 도관과 불교의 사찰이 혼재되어 있지만 화산은 유일하게 불교 사찰이 없고 도교 도관만 존재한다. 여기에는 화산에서 수도했던 진희이(陳希夷)와 관련된 일화가 전해진다. 그는 북송(北宋) 초기 120년을 산 도사로 화산의 옥천원(玉泉院)에서 수도했다.

 

그는 수공(睡功)으로 유명했는데, 수공이란 잠을 자면서 도를 닦는 공법이다. 그가 한번 수공에 들어가면 49일간 깨지 않고 계속 누워 있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질 정도다. 그만큼 도력이 높았던 그는 송나라를 세운 조광윤의 존경을 받았다.

 

한번은 황제인 조광윤과 진희이가 화산의 암봉에서 내기바둑을 두었다고 한다. 진희이가 그 바둑에서 이긴 대가로 화산은 정부로부터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었다. 이렇게 세금을 면제받으면서 화산은 도교만의 성지로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후 화산은 중국 북파의 중심지가 됐는데, 북쪽 지역에서 도를 닦는 사람 치고 화산을 거쳐가지 않은 사람이 없다고 한다. 그만큼 화산은 중국의 도사들 사이에서 대표적인 성지다.

 

중국 도교는 크게 남파와 북파로 갈라진다. 남파는 몸을 먼저 닦고 그 다음에 마음을 닦는다는 노선이고(先命後性), 북파는 마음을 먼저 닦은 다음에 몸 공부로 들어가는 노선이다(先性後命). 이 중 북파를 대표하는 그룹이 전진칠자(全眞七子)이다. 전진칠자 가운데 한 사람인 학대통(?大通)으로부터 화산파가 시작됐다.

 

전진칠자라 하면 전진도(全眞道)를 창시한 왕중양(王重陽)의 직계 제자 7명을 가리킨다. 7명은 도를 이룬 뒤에 각기 문파를 창립하여 진인으로 추앙받고 있다. 구처기(邱處機 : 1148~1227), 유처현(劉處玄 : 1147~1203), 담처단(譚處端 : 1123~85), 마옥(馬鈺 : 1123~85), 학대통(?大通 : 1140~1212), 왕처일(王處一 : 1142~1217), 손불이(孫不二 : 1119~82)가 바로 이들이다.

 

화산에는 72개의 동굴이 있는데, 기록에 의하면 이 동굴들은 학대통이 판 것이라 한다. 화산은 암산이라 집을 짓기보다는 동굴수행이 입지조건에 맞았던 셈. 이런 까닭으로 화산에는 동굴이 많다. 학대통은 고층빌딩 유리를 닦는 사람처럼 굵은 밧줄에 매달려 바위 절벽의 중간으로 내려와 동굴을 팠다고 한다. 처음에는 학대통 본인이 수도하기 위해 동굴을 팠으나 완성되면 다른 수도인들이 찾아와 자신이 쓰겠다고 간청했다고 한다. 도량이 넓은 학대통은 자기 동굴을 양보하고 다른 곳으로 가 다시 동굴을 팠다. 이 과정이 반복되다 보니 결국 동굴을 72개나 파게 되었다는 것.

 

화산에는 자연동굴도 많다. 수백 살 먹은 신선이 살았다는 동굴이 여러 개 포진하고 있다. 이름난 동굴은 옥녀석실(玉女石室), 연화동(蓮花洞), 일월암금동천(日月岩金洞天), 삼원동(三元洞), 장춘석실(長春石室), 호공석실(壺公石室), 서현동(西玄洞) 등이다. 이 동굴을 순례하려면 최소한 1주일은 잡아야 한다. 기록에 따르면 서자평(徐子平) 역시 화산의 동굴에서 수행했다고 한다. 사주명리학의 창시자로, 사주명리학의 고전인 ‘연해자평(淵海子平)’을 쓴 서자평 역시 화산파 도사였다.

 

‘기도발’ 잘 받는 바위산

 

섬서성(陝西省) 화음현(華陰縣)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은 전체가 백색 화강암으로 이뤄진 대표적인 바위산이다. 오행에서 백색은 금(金) 기운을 상징한다. 쇠처럼 단단한 기운이 바로 금 기운이다. 도사들 가운데 금 기운이 약한 사람은 화산에서 공부하면 효과를 본다고 한다. 금 기운을 보강받을 수 있기 때문. 금 기운은 결단력과 추진력을 상징한다. 이는 수행자에게 요구되는 필수항목이기도 하다. 이게 없으면 사람이 흐물흐물해져서 어떤 결심도 실천하지 못한다. 그런데 화산에는 금 기운이 엄청나게 장축되어 있다는 것이다. 화산파 검법이 유명했던 이유도 산 자체에서 풍겨 나오는 기운과 무관하지 않다.

 

뿐만 아니라 바위산은 ‘기도발’이 잘 받는다. 기도에 대한 응답이 기도발이다. 그렇다면 기도발은 어떤 과정을 통해 발생할까. 인간의 의지, 하늘의 뜻, 땅의 기운(地氣), 세 가지 요인이 상호작용해야 한다. 즉 지기가 뭉쳐 있는 장소에서 간절히 기도하면 하늘이 응답한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도처는 모두 지기가 뭉쳐 있는 곳이다. 그리스의 델포이 신전, 인도의 아잔타 석굴, 모세가 십계를 받았다는 시내산, 미국 애리조나주의 세도나(sedona), 한국의 계룡산 등은 하나같이 지기가 강하게 뭉친 곳이다.

 

지기가 강하게 뭉쳤는지 아닌지는 바위를 보면 안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기도처는 모두 바위산이라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기도발은 바위에서 발생한다. 지구 자체가 하나의 커다란 자석이기 때문에 ‘지자기(地磁氣)’가 계속 방출되고 있다. 이 ‘지자기’는 바위나 암반 속에 들어 있는 광물질을 통해 방출된다. 그래서 인간이 바위산에 앉아 있으면 지자기가 인체에 그대로 전달되는 셈이다. 흥미로운 부분은 인체의 혈액 속에도 철분을 비롯한 광물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는 것이다.

 

중국 화산파(華山派) 여자 장문인 곽종인

바위산은 ‘기도발’이 잘 받는다. 기도발은 인간의 의지, 하늘의 뜻, 땅의 기운(地氣) 세 요인이 상호작용해야 한다. 지기가 뭉쳐 있는 장소에서 간절히 기도하면 하늘이 응답한다. 그래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기도터는 지기가 뭉쳐 있는 곳이다. 화산 역시 이런 조건을 완벽히 갖추고 있다.

 

사람의 피와 바위는 철분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철분을 연결고리 삼아 지자기가 인체 내로 유입된다고 보아야 한다. 예민한 사람들이 바위에 앉아 있으면 몸이 찌릿찌릿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바위의 지자기가 핏속에 들어 있는 철분을 통해서 유입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피는 미세한 혈관을 통해 뇌세포까지 공급되고 바위에서 분출되는 지자기가 뇌세포를 자극하면 신비로운 감응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이 필자가 세계의 바위산을 답사하면서 정리한 ‘기도발이론(祈禱發理論)’의 골자다. 이런 기도발 조건을 가장 완벽하게 갖춘 곳이 바로 화산이다.

 

그러다 보니 화산에는 도를 닦는 사람들이 운집했다. 도사라 하면 일반적으로 불교가 아닌 도교의 수행자를 가리킨다. 도교에선 산을 대단히 중시한다. 왜냐하면 산에서 나오는 기를 받아서 인간이 초능력을 얻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무협지에 자주 등장하는 표현인 ‘운기조식(運氣調息)’ ‘주천화후(周天火候)’ ‘기경팔맥(奇經八脈)’ ‘전음밀입(傳音密入)’ ‘주화입마(走火入魔)’ ‘경신술(輕身術)’ ‘장풍(掌風)’ 등은 모두 도교에서 유래된 표현이다. 남루한 일상에서 벗어나 초인이 되어 명산대천을 유람하며 불로장생하자는 것이 도교의 목표이다. 죽어서 천당 가자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학수대에서 女仙 태어난다’

 

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도를 닦는가. 다분히 타고난 기질, 또는 사주팔자가 작용한다. 곽 선생은 부산 동래의 수안동(壽安洞)에서 태어났다. 수안동에는 학수대(鶴守臺)라는 동산이 있었다고 한다. 풍수가들에 따르면 학수대는 금정산의 정기가 뭉쳐 내려온 지점으로 학의 기운이 어려 있다고 한다. 예부터 학의 기운이 있으면 여자 신선(女仙)이 태어난다고 했다. 곽 선생은 ‘학수대에서 여선 태어난다’는 풍수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 역시 도가 계통 수련에 관심이 많았다. 곽 선생은 아버지가 찬물을 떠놓고 배를 세 번 친 다음 주문을 외우던 모습을 지금도 생생히 기억하고 있다고 한다. 그 주문은 동학에서 자주 외우는 ‘지기금지 원위대강 시천주 조화정 영세불망 만사지’라는 ‘시천주’였다.

 

곽 선생은 현풍 곽씨로 임진왜란 때 홍의장군으로 활약한 망우당 곽재우 장군의 후손이다. 망우당은 도가 수련자로도 유명한데, 그래서인지 현풍 곽씨들은 도가 수련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 이런 집안에서 자란 곽 선생은 20대 중반부터 정신세계에 관심을 가졌다.

 

당시 그는 대학 졸업 후 교사생활을 했고 결혼도 했다. 그런데 시간이 날 때마다 서울 주변의 암산에 올라 ‘자시공(子時功)’을 드렸다. 자시라면 밤 12시 무렵이다. 여자임에도 한밤중에 겁도 없이 산을 오르내렸던 것.

 

자시공을 드리고 내려오면 새벽 4시쯤. 남편은 그때까지 산밑에 차를 대놓고 기다리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남편도 보통남자가 아니다. 이처럼 부인의 도(道) 공부를 헌신적으로 후원했던 남편은 2000년에 작고했다.

 

도 공부를 계속하면서 스승을 찾아 헤맸다. 도가 수련은 스승이 있어야만 난관을 돌파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그 과정에서 문 선생을 만났다. 1980년 어느 날 밤 12시경이었다. 곽 선생을 만나자마자 문 선생은 ‘다 된 밥이 굴러들어 왔구나’고 말했다고 한다. 문 선생은 군복을 물들인 검정 옷을 입었는데, 얼마나 오래 입었는지 소매가 때에 절어 있었다. 그는 평생 염소 수염을 기른 연극배우 같은 모습을 하고 누항(陋巷)에 숨어 지냈다.

 

문 선생은 무당권법(武當拳法)으로 유명한 중국 무당산의 장삼봉(張三峰) 도맥을 이은 인물이었는데, 지도방법이 독특했다. 우선 수도는 도시에서 해야 한다고 했다. 탁한 기운을 먹으면서 도를 닦아야 제대로 단련된다는 것. 공기 좋고 조용한 산에서만 공부하면 도시에 나올 수 없다. 교회나 절, 하천이 없고, 하늘이 잘 보이는 꼭대기의 옥상을 찾아라. 거기에 목욕시설이 있어야 한다. 수련에 들어가기 전 목욕을 해야 한다는 조건이었다. 이런 조건을 갖춘 곳을 찾다 보니 서울 신설동 부근의 어느 호텔 옥탑방이 눈에 띄었다. 호텔의 이불을 보관하는 방이었다. 그 방을 빌려서 수련을 시작했다.

 

수련 도중 정신세계의 여러 가지 체험을 하게 됐는데, 학신(鶴神)이 내려오는 체험이 가장 인상적이었다고 한다. 정신집중을 하고 삼매 상태에 들었을 때 하늘에서 수천 마리의 학이 땅으로 내려오는 장면을 목격했던 것. 그 수천 마리의 학신이 내려오면서 일으키는 바람이 태풍처럼 강해 다리가 부들부들 떨렸다. 만약 그 바람에 놀라 자세를 흐트러뜨리면 수련에 실패할 뿐 아니라 정신이상이 올 수도 있다.

 

누구나 삼매에 들면 정신세계의 여러 환상과 마주치는데, 사람마다 기질이나 무의식이 다르기 때문에 그 장면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사천왕과 같은 무서운 인물이 나타나거나 무수한 뱀신이 나타날 수 있다. 곽 선생은 다른 장면들이 나타날 때는 전혀 동요하지 않았지만, 유독 학신들이 나타나면서 거세게 불어온 바람은 공포스러울 정도로 힘들었다고 한다. 태생이 학수대와 관련 있어 그런 장면이 나타났는지도 모른다.

 

수경신(守庚申) 공부도 했다. 경신일이 돌아오면 잠을 자지 않고 꼬박 새는 수행법이 바로 수경신이다. 조상들은 경신일에는 우리가 잘 때 몸 안에 있는 삼시충이라고 하는 벌레가 하늘로 올라가 염라대왕에게 우리의 단점을 일러바친다고 믿었다. 그래서 예부터 경신일에는 잠을 자지 않는 관습이 있었다. 곽 선생도 3년 동안 총 18회의 수경신을 지켰다.

 

1980년대 말부터는 경기도 화현면 운악산(雲岳山)의 바위봉우리 밑에 수진선도원(修眞仙道院)을 지어놓고 수련에 집중했다. 운악산도 악산이라 바위가 많고 기가 강해 수련에는 적지였다. 그러다가 1994년 여름에 재난을 만났다. 산에서 큰 바위가 굴러 떨어져 곽 원장이 수도하던 방을 덮쳤던 것. 그 사고로 무릎뼈, 갈비뼈, 대퇴골이 망가지는 중상을 입었다. 보통사람 같았으면 그때 죽었을 거라고 한다. 병원에 옮겨져 10시간이나 걸리는 대수술을 5차례나 받았다.

 

곽 원장은 이 사고를 당한 후 자신의 수행을 되돌아보게 됐다. 그동안 제대로 수행한다고 자부했는데, 진짜 도인이라면 어떻게 이런 사고를 당할 수 있단 말인가. 그 사고는 자신의 한계에 대해 처절하게 자각하는 계기가 됐다.

 

병원 침대에 누워있던 어느 날 비몽사몽간에 ‘중국으로 가라’는 하늘의 음성을 들었다. 그래서 연고도 전혀 없는 중국으로 무작정 떠났고 그곳에서 왕리핑 선생과 화산의 다상팡을 만나게 된 것이다.

 

화산에서 수련하면서 그는 운악산의 부상을 완전히 회복했다. 보통사람이 그 정도 다치면 장애인이 됐겠지만 그는 이미 몸 속에 내단(內丹)을 형성하고 있었기에 원상태로 회복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5번 수술을 하면서 꿰맸던 흉터도 말끔하게 지워졌다. 몸 안에 축적된 기운이 피부를 통과하면 흉터가 저절로 지워졌기 때문이다.

 

곽 선생은 진정한 수행자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이런 사고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사고로 인해 사망하거나 장애인이 된다면 수도할 자격이 모자란 탓이다. 고난과 장애를 극복해야만 프로 수도인의 길로 접어들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필자는 곽 선생과의 대화에서 인상깊게 들은 대목이 있다. 바로 ‘표주(漂周)’다. 표주는 주머니에 돈을 갖지 않은 채 세상을 떠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화산 도사들의 커리큘럼에는 ‘전공필수’ 과목으로 표주가 들어있다고 한다. 대략 3년에서 5년 동안 표주를 경험해야만 한다.

 

그런데 돈 없이 어떻게 여행을 다닌단 말인가. 그러기 위해서는 세 가지 능력을 갖춰야 한다. 첫째는 의약에 관한 기술이고, 둘째는 사주팔자를 보아주는 능력, 셋째는 학문이다. 이를 갖추면 어떤 상황에 처하더라도 굶어죽지는 않는다. 그래서 도사들은 보따리에 침과 약재를 넣고 다닌다. 정처없이 세상을 떠돌다 아픈 사람이 있으면 치료해 주고 사주와 주역으로 인생상담을 해주고 총기 있는 소년들에게 글공부를 가르쳐준다. 이렇게 하면서 천하의 인심이 어떻게 돌아가고 물류의 흐름은 어떻게 되며, 각 지역마다 뿜어져 나오는 기운이 어떠한지를 직접 체험한다.

 

세상 물정 모르면 엉터리 도사

 

표주를 해야만 사람이 겸손해지면서 세사를 간파하게 된다. 수도인이 공부하는 데 필수 지침으로 알려진 ‘학인이십사결(學人二十四訣)’이 있다. 24가지 항목 중 첫 번째 나오는 것이 ‘간파세사(看破世事)’다. 세상사가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세상물정 모르면 영점짜리 도사다. 표주는 간파세사를 하는 데 있어 필수 과정이다. 아울러 표주를 통해서 고향을 떠나는 경험을 한다. 그래야만 인간관계의 구속을 벗어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표주 도중 진사(眞師)를 만나기도 한다. 진사를 만나기 위해 표주를 자청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곽 선생은 표주가 현빈일규(玄牝一竅·단학(丹學) 수련의 경지를 표현한 말. 현빈은 단전(丹田)의 다른 말이며 일규란 호흡수련을 통해 단전에 쌓인 기운이 나아갈 통로를 뜻한다)의 한 부분이라고 설명한다. 선도의 핵심은 현빈일규라는 한 구멍을 찾는 일이다. 이를 찾지 못하면 백날 공부해봐야 도루묵이다.

 

현빈일규는 외규와 내규(內竅)로 나눠진다. 외규는 밖에 있는 것이고 내규는 몸 안에 있다. “현빈일규를 이루면 어떻게 되는가”라고 물었더니 곽 선생은 다음과 같이 대답했다.

 

“수명이 연장되고 병 없이 장수할 수 있죠. 그리고 지능이 개발됩니다. 뇌세포의 능력을 확장시키는 작업이기도 해요. 신선들이 현자(賢者)의 상징으로 등장하는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그리고 인체의 신비를 밝혀낼 수 있습니다. 현대의학은 인체를 아직도 잘 모르고 있습니다. 수련을 해서 세포가 활성화되면 그동안 우리가 몰랐던 인체의 비밀이 상당부분 밝혀지리라 생각합니다.”

1
12 일 전
@ㅋㅋㅎ
0
@ㅋㅋㅎ

본문에 33세에 부부관계를 끊었다는데 남편은 뭐하나 했더니

이런 사정이.... 와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가사때문에 찬반논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일본걸그룹 노래 1 엄복동 0 3 분 전
씹덕)훌쩍훌쩍 주인공 3 웃겨정말 5 5 분 전
바퀴 잡는 영상 4 도봉도봉 3 6 분 전
🐦)망한 새사진모음 ㅋㅋㅋㅋ 5 데바데 3 8 분 전
ㅇㅂ)디아4 초고수의 하드코어 플레이 1 즈큥조큥 4 11 분 전
싱글벙글 프랑스가 본 유럽 요리.jpg 5 덕천가강 4 12 분 전
인간지네 7 데바데 5 13 분 전
훌쩍훌쩍 한때 한국 스마트폰의 왕 SKY 근황.jpg 8 덕천가강 8 14 분 전
집🏠값 올리려다 서울이 소멸💥된다 10 nesy 12 15 분 전
손가락 하트를 처음본 고양이ㅋㅋㅋ 3 데바데 13 17 분 전
청주 레슬링 체육관에 나타난 외노자 실력...GIF 14 그대떠나가도 9 18 분 전
UFC 역대급 역전승 1 underdog 0 18 분 전
재미있는 허수이야기.Phone Eun Jung 5 데바데 2 19 분 전
계단에서 장난치면안되는 이유;; 3 여초딩 2 19 분 전
겨울왕국 엘사 초창기 디자인 설정 6 멍멍몬 5 21 분 전
오늘은 무슨 날일까 3 웃겨정말 3 21 분 전
개드립 유입과정gif 6 데바데 6 27 분 전
이 행성에서 1시간은 지구에서 7년이다 8 에어부산 7 28 분 전
JYP가 비행기 1등석만 타는 이유 5 에어부산 7 28 분 전
QWER 리더는 힘들다... 9 nesy 7 30 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