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저 개드립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노잼/비교) AI들의 문장 해석 능력

모든 건 영어로 했음, 번역만 내가 해줌

 

각 AI에게 한 질문

 

`Charles Darwin is routinely celebrated as a British hero whose principle of natural selection mirrored society’s industrialisation, but his ideas had older roots. He studied his grandfather’s work closely, and was constantly haunted by this embarrassing ancestor. During the notorious debate at Oxford in 1860, Bishop Wilberforce supposedly taunted Thomas Huxley – Charles Darwin’s ‘bulldog’ – by asking which of his grandparents had descended from an ape, but in his written review of "On the Origin of Species", it was Darwin’s own ‘ingenious grandsire’ Erasmus whom he named, shamed and blamed.`

 

i don't understand the last sentence. who blame erasmus?

 

 

 

 

원하는 뉘앙스

 

오늘날 찰스 다윈은 자연 선택의 법칙을 발견하여 사상의 현대화를 이끈 영웅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그 기반은 더 오래된 뿌리가 있었다. 찰스 다윈은 어려서부터 자신의 할아버지가 제창한 사상을 보강하기 위해 쉼없이 노력했지만, 한편으론 부끄럽게 여기고 괴로워했다. 1860년 옥스퍼드에서의 진화론 v 창조론 논쟁에서 창조론 측 대변인 윌버포스 주교가 진화론 측 대변인이자 찰스 다윈의 사냥개 라는 별명을 가졌던 토마스 헉슬리에게 '그래서 그대의 부계와 모계 중 어느 쪽이 원숭이인가?' 라는 질문을 던졌던 것은 유명한 일화이기도 하지만, 윌버포스 주교는 *종의 기원*의 비평에서 '상상력 넘치는 영감'이라고 비꼬며 찰스 다윈의 이론이 할아버지로부터 내려왔음을 확신하기도 했다.

 

 

 

0. 읽기 전 팩트체크

 

[Wilberforce, Samuel]. 1860. [review of]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By Charles Darwin, M. A., F.R.S. London, 1860. Quarterly Review 108: 255

 

자연주의자이자 박물학자였던 에라스무스 다윈을 '창의력 넘치는 영감'이라 부르며 손자의 사상을 망쳐놨다고 말하는 윌버포스 주교

 

 

 

 

1. 제미니 1.5

 

The sentence is a bit confusing, but here's the breakdown:

  • Darwin felt ashamed and blamed his grandfather Erasmus.
  • The reason for the blame isn't explicitly stated, but it's implied.
  • We can infer that Darwin felt Erasmus's earlier work on evolution might have somehow influenced or anticipated his own theory, making him seem less original.
  • The mention of "shamed and blamed" is likely because Darwin, at the time, was presenting a controversial theory that challenged religious beliefs. Having a relative with similar ideas might have added pressure or embarrassment.

It'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is just speculation based on the sentence.

For a clearer understanding, we'd need more information about Erasmus's work and Darwin's relationship with his ideas.

 

문장이 어렵긴 하네요, 분해해 봅시다

- 다윈은 할아버지를 부끄러워했어요

- 이유는 잘 모르겠는데, 추측해 보자면

- 다윈이 진화론에 관해서 할아버지의 이론에 영향을 깊이 받았고, 스스로의 오리지널리티가 없다고 느꼈나봐요

- 진화론 발표 후 온 세상에서 펼쳐진 격론 때문에 심적으로 많이 힘들어서 더 그렇게 말했을 것 같아요

중요한 건 이건 그저 문장만 놓고 본 것이고, 다른 내용이 더 필요할 것 같아요.

 

 

 

2. ChatGPT-4o

 

In the last sentence, it is Bishop Wilberforce who blames Erasmus Darwin. The sentence refers to Wilberforce's written review of Charles Darwin's "On the Origin of Species," where he criticizes Erasmus Darwin, Charles's grandfather. Wilberforce calls Erasmus an "ingenious grandsire" (an old-fashioned term for grandfather) and holds him partly responsible for the ideas presented in Charles Darwin's work. This suggests that Wilberforce saw Erasmus's earlier ideas as a precursor to, and perhaps an influence on, Charles Darwin's theory of evolution by natural selection.

 

마지막 문장에서 에라스무스 다윈을 비난한 사람은 윌버포스 주교를 말합니다. 윌버포스는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에 대한 비평을 쓴 적 있는데, 거기에서 에라스무스를 비판했어요. "창의력 넘치는 영감"라고 불렀죠. 윌버포스가 판단하기에 찰스 다윈의 연구는 할아버지 책임이었다고 생각한다는 것을 암시합니다.

 

 

 

3. ChatGPT-3.5

 

The last sentence is referring to the fact that in his written review of "On the Origin of Species," Charles Darwin himself referenced his grandfather, Erasmus Darwin, in a critical manner. Darwin essentially blamed or criticized his own grandfather for having laid the groundwork for some of the evolutionary ideas that Charles later developed and popularized. So, in this context, it's Charles Darwin who is blaming Erasmus Darwin.

 

마지막 문장은 찰스 다윈이 "종의 기원"에서 자기 할아버지를 비판했던 사실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다윈은 본질적으로 자기 할아버지가 본인의 사상의 기틀을 만들어 두었다는 사실을 비판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에라스무스를 비난하는 건 찰스 다윈입니다.

 

 

 

 

4. Copilot (GPT-4)

 

In the last sentence, it was Bishop Wilberforce who blamed Erasmus Darwin in his written review of Charles Darwin’s “On the Origin of Species”. Bishop Wilberforce referred to Erasmus Darwin, who was Charles Darwin’s grandfather, as the ‘ingenious grandsire’ and named, shamed, and blamed him. This was likely due to Erasmus Darwin’s own controversial ideas about evolution and natural history, which were seen as a precursor to Charles Darwin’s theory of natural selection.

 

마지막 문장의 당사자는 윌버포스 주교입니다. 찰스 다윈의 "종의 기원" 리뷰를 작성하며 다윈의 할아버지를 비난했죠. "창의력 넘치는 영감"이라는 표현을 썼어요. 찰스 다윈의 자연선택설의 이론적 기반이 에라스무스 다윈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총평

 

제미니가 문장분석 능력이 GPT-4보다 못한 것을 확인함

 

2개의 댓글

16 일 전

뭐가 제일 좋았는데

 

0
@핸드폰분실함

GPT-4와 4o는 반응속도 말곤 내용적으론 별 차이가 없음

속도는 한 두 배 차이나더라마는 어차피 나는 텍스트 위주로 ai를 굴리다보니

반응속도의 필요성은 체감을 못하는 중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엘레베이터에 벽보 붙인 아이 엄마 추천요정여름이o 0 방금 전
🦐)금주 슈카월드 주제예측 슈카월드주제예측 0 1 분 전
신비한 동물의 세계.jpg 1 데바데 1 1 분 전
사장새끼가 믹스커피좀 적당히 먹으라고 지랄함 3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3 1 분 전
'위험천만' 미끄럼틀에 꽂힌 가위…용의자 10대 남... 1 엄복동 2 1 분 전
하이브,민희진)정상결전을 본 어느 디씨인의 헌정곡 1 입에서똥나옴 1 2 분 전
아빠는 무정자증 엄마는 임신 못하는 몸 구름이구름 1 3 분 전
사람들이 걱정하는 영화 미이라4 출연예정인 브랜든 프레이저 2 마법부오러사무국장 1 3 분 전
안아달라는 아기 리트리버.gif 2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0 4 분 전
50만원 짜리 게임 아바타 4 판판야 2 4 분 전
63빌딩 아쿠아리움이 39년만에 문 닫고 생기는 것 1 추천요정여름이o 3 5 분 전
벨 누르지 말래도 누르는 이유 설명하는 배달기사.jpg 3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5 6 분 전
남편을 위한 생일 케이크 .gif 9 구름이구름 8 10 분 전
싱글벙글 계속봐도 이해가 안가는 넥타이 매는 법 1 입에서똥나옴 3 11 분 전
겁 ㅈㄴ많은 댕댕이 8 무빙워크마라토너... 5 12 분 전
온가족이 힘을 합쳐 편의점 알바 구해주려던 만화 .....MANHWA 3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8 13 분 전
노홍철과 길의 차이 4 후방조심 5 13 분 전
탈북한 북한 외교관의 김정은 도발에 대한 생각 2 vs글만보면비추누름 3 13 분 전
퓨리오사 예상보다 흥행성적이 더 안 좋아 VOD행 갈 수 있다... 14 CruelSummer 10 15 분 전
바르고 기부도 많이 하고 멋있는 사람 크킹충 1 16 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