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드립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AI붐-전력 부족-원전 짓자!-우라늄에 투자💰한다

Screen Shot 2024-04-28 at 4.16.55 PM.png

Screen Shot 2024-04-28 at 4.17.02 PM.png

Screen Shot 2024-04-28 at 4.17.14 PM.png

Screen Shot 2024-04-28 at 4.17.31 PM.png

Screen Shot 2024-04-28 at 4.17.43 PM.png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978116?sid=104

 

AI 붐 -> 더 많은 데이터센터 -> 더 많은 전력 -> 더 많은 원전 -> 지금 우라늄을 산다!!!

 

언뜻 보면 이 무슨 국장에서나 통할 근들갑이냐 싶겠지만 자본시장은 실제로 이렇게 돌아가고 있음...

 

 

50개의 댓글

초전도체

1
2024.04.28

그래도 이건 태풍 노루 온다고 노루페인트 주가 올라가는것보다 논리적이네

11
@df.nexon.com

왜 올라감?? 아 보수해야하니까?

0
2024.04.28
@열심히사는찐따걸레

태풍 이름이 노루라서

5
2024.04.28
@열심히사는찐따걸레

논리적으로 생각하면 국장을 하면 안돼!!

0
2024.04.28

저건 수요가 증가하는 관련 사업이잖아

4
2024.04.28
@데다난

게다가 다음 미국 대통령 트럼프 ㅋㅋ 원전개같이 부활 예정

0
2024.04.28
0
2024.04.28

저는 한 달 전부터 SMR 투자자입니다

0
@바이오

고민하다 끝내 안 들어갔는데 재미 좀 보고 있음? 어때?

0
2024.04.28
@파이어족은불타오르는발

2월에 4.2달러에 들어간거 개같이 올라서 분할 익절해서 상폐돼도 남는 돈 됐고

다른 계좌에 얼마전 5.2달러에 불타기 들어갔는데 지금 6달러 됨 미국 대선후보 둘 다 밀고 있는게 소형모듈원전이라 10월 전까지는 해볼만할거라 생각함 대신 이런 주식은 아직 실적이 없으니까 비중 크게 가져가져가는 무리만 하지마쇼

0
@바이오

ㄱㅅㄱㅅ 난 그냥 지수추종 퍼담기로 가닥 잡아야할 거 같음

0
2024.04.28
@파이어족은불타오르는발

원래 최적 포트폴리오 짠다면 안전자산을 가장 크게 가져가야쥬 이런 주식들은 재미로

0
2024.04.28

참고로 지금 빌게이츠 형이 미국에 고속로 건설 중임

그걸로 사용후핵연료 태워서 없애면 전력 생산해서 돈도 벌고 폐기물도 처리할 수 있음

 

컨셉이 되게 괜찮아보여서 그 회사 주식 알아봤는데 비상장업체더라 ㅠㅠ

1
2024.04.28

이건 국장 근들갑이 아니라 충분히 생각가능한 사업인거 같은데 ㅋㅋㅋㅋ

1
2024.04.28

이게 왜 근들갑임?

2
2024.04.28

원자재값 올랐으니 전기요금 더 오르던가 한전 부채 늘리던가 하겠네

0
2024.04.28
@BlackParade

원전에 연료비는 큰문제가 아님 원전에는 이자가 가장 문제니까

0
2024.04.28

가스 올라서 오른 것도 있을 듯

0
2024.04.28

샘 알트만 방한했을 때 샘표, 샘표식품, 샘씨엔에스 주가 올랐던 거보단 합리적임

2
2024.04.28

근데 왜 URA는 빌빌거리고 있냐고 시팔 ㅜㅜ

0
2024.04.28

이건 정치적인 요인을 제외한 AI의 평가라서 그런데, 세계적으로는 아직 친환경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관성적으로 하면서 전기요금이 지속적으로 올라가는 나라들이 많음.

 

물론 승자는 AI가 선택한 원자력이긴 한데 그거 거부하다가 나가떨어질 인간들이 많다는거지.

0
2024.04.28

핵발전이 진정한 친환경 에너지 아닐까 싶다

(물론 규정대로 철저히 관리한다는 전제하에)

0
2024.04.28

두산중공업 살까?

0
2024.04.28
@삼성이재용

씻팔 생각해보니 민희진땜에 물렸구나!

0
@삼성이재용

하이브 20 18 17 매수 들어가즈아ㅏㅏ

이미 물린거 물타즈아ㅏㅏ

0
2024.04.28
@명랑청년성공기

물탈 돈이 없는데스..

0
@삼성이재용

그럼 기도

0
2024.04.28
@명랑청년성공기
0

근데 리얼 관리 된 원전이 더 안전한거 아닌가?

 

0
2024.04.28

웨스팅하우스를 인수했어야했는데...

0
2024.04.28
@동탄시민

그거 샀으면 지금 ㅈ됐을껄

 

지금 개같이망한걸로 알고있는데

1
2024.04.28
@곤육몬

지금 개떡상했음

0
2024.04.29
@동탄시민

살라했는데 미국이 제동걸음

0
2024.04.28

미국도 폐쇄된 우라늄광산 다시 뜯고있음.. 물론 관리가 빡세긴 하지만 전력수요가 생각보다 부족할수도.. 우리나라도 수도권에 반도체 단지랑 이것저것 지어대서 빡셈;;

0
2024.04.28

이게 왜 국장에서나 볼 근들갑임 완전 정상적인 회로인데

0
2024.04.28

탈원전 지지하던 애들 입꾹닫

9
2024.04.28
@WD550122

그땐맞았는데

지금은틀린거지 ㄹㅇㅋㅋ

1
2024.04.28
@마술예장

그때도 틀렸음 친환경 에너지라고 깝치는 것들 다 예산 보조금 빼먹기였지 실효율은 크게 안나와서 전력생산량 팍죽고 전기료 올랐잖아

9
2024.04.28
@울보고양이

실효율이란게 어떤 의미를 말하는거야?

0
2024.04.28
@마술예장

지지하던 애들중 하나임?

그때도 이공계 지식인들은 개지랄 하지말라고 존나 까댔던걸로 기억 하는데 ㅋㅋ

9
2024.04.28
@다들진정해

그치만....방폐장 더짓기싫은데스....ㄹㅇㅋㅋ

2
2024.04.28
@마술예장

그때도 명백히 틀렸어....

1
2024.04.28
@마술예장

그냥 특유 올거뜨의 감성팔이전락이 먹힌거지 ㅋㅋㅋ 그래서 난 그런감성팔이가 너무싫음 매사 원패턴

1
2024.04.28
@WD550122

그래도 이정도 타이밍과 규모로 백신맞고 시작해서 다행임. 친환경 정책 => 실패 의 과정은 인류의 역사상에서 언젠가는 한번 겪을 수 밖에 없었던 과정이고 초반에 데이고 나서 원전에 더 집중하는게 맞음

 

나는 당시에도 탈원전을 지지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그때 탈원전 유행이 없었더라면 추후에 필연적으로 더 큰 재앙이 올것이었기 때문에 필요한 과정이라고 말했을거임

0
2024.04.29
@줍줍

우리나라 현재 원전 규모면 적은비율 아냐

친환경 정책은 계속 추진되는게 맞음

0
2024.04.28

AI만 아니라 전기차 보급 생각하면 지금 원전 말고 답 없음. 탈원전도 맞긴한데 그건 22세기 과제임.

0
2024.04.28

내가 이걸로 용돈좀 벌었음

0
2024.04.28

글쓴이 저능아냐 이게 왜 근들갑임

0
2024.04.29

지금 구리 선물 오르는거랑 똑같음 ㅋㅋ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풀소유의 혜민스님 3년 3개월의 자숙과 복귀 23 입에서똥나옴 32 3 분 전
출산을 앞둔 산모인데 의료정책 변경!! 도와주세요. [펌글] 41 김치맛웰치스 18 3 분 전
군기 훈련 사망사고 근황 33 추휼 51 10 분 전
보배드림 인스타 킥보드 사고 .gif 79 구름이구름 72 27 분 전
국군이라는 말을 몰라? 37 꽃케이 45 35 분 전
싱글벙글 코리아.gif 48 이병견 66 35 분 전
ㅆㄷ) "쿄카씨 삼국지 만화 보실래요?" 30 6월9일이생일임 38 41 분 전
[단독] 위키미키, 7년 만에 해체…아름다운 이별 80 opt 44 52 분 전
직붕이들 연차 썻다vs안썼다 147 섭탱 61 56 분 전
좋은 성기 관상 35 s4gd2we 46 59 분 전
카카오페이 안쓴다고 파혼당안 여시녀 .jpg 137 구름이구름 76 1 시간 전
부산 일장기 아파트 주민의 말 28 ㅋㅋㅎ 46 1 시간 전
영단어 Wedding의 어원 28 더드 66 1 시간 전
현충일에 욱일기 건 부산 아파트 근황 77 판다곰 80 1 시간 전
부부인 거 안 밝히고 헬스장 다닌 썰 24 딸천재 63 1 시간 전
죄송해요 전 남자친구 있어요 ㅠㅠ 26 6월9일이생일임 68 1 시간 전
🍆) 생각해보면 이상한것 23 llllililll 54 1 시간 전
기계 종족이 외계인과 싸운 결과.jpg 38 카이부츠와다레다 65 1 시간 전
좆같은 굴림체에서 벗어나게 해주신 분 26 에어부산 51 1 시간 전
여우와 신포도.manhwa 27 창원시진해구이동... 51 1 시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