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gpt 재무분석 레전드네 진짜

https://www.dogdrip.net/557787099

 

이건 기초적인거 종합분석 느낌인데

 

좀더 디테일한거 물어봄

 

 

1.

이어서 분석 하시오. 부채항목에서 장기, 단기 구성항목에 대해서 분석하시오.

장기 및 단기 부채 항목 분석

주요 장기 부채 항목:

  1. 비유동부채

주요 단기 부채 항목:

  1. 유동부채

  2. 기타유동부채

각 항목의 연도별 변화를 분석하여 증감 여부를 파악하겠습니다.

장기 부채 항목 데이터: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비유동부채

11.2

12.3

46

53.8

28.7

단기 부채 항목 데이터: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유동부채

42.1

18.9

30.9

43.9

38.2

기타유동부채

7.1

5.1

7.6

9.1

7.9

분석 결과:

비유동부채 (장기 부채):

  • 2019년: 11.2

  • 2020년: 12.3 (증가)

  • 2021년: 46 (증가)

  • 2022년: 53.8 (증가)

  • 2023년: 28.7 (감소)

유동부채 (단기 부채):

  • 2019년: 42.1

  • 2020년: 18.9 (감소)

  • 2021년: 30.9 (증가)

  • 2022년: 43.9 (증가)

  • 2023년: 38.2 (감소)

기타유동부채 (단기 부채):

  • 2019년: 7.1

  • 2020년: 5.1 (감소)

  • 2021년: 7.6 (증가)

  • 2022년: 9.1 (증가)

  • 2023년: 7.9 (감소)

결론적으로, 비유동부채는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23년에 감소하였습니다. 유동부채는 2019년과 2020년에 감소한 후 2021년과 2022년에 증가하였으나 2023년에는 다시 감소하였습니다. 기타유동부채는 2020년에 감소한 후 2021년과 2022년에 증가하였으나 2023년에 다시 감소하였습니다.

이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엑셀 파일을 생성하고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

분석 결과를 포함한 엑셀 파일이 생성되었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2.

계속 이어서 분석 하시오.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에 대해 비교하시오. 해당 분석은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유동자산과 유동부채 비교 분석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비교하여 기업의 유동성 비율을 분석합니다. 이는 기업의 단기적인 재무 안정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주요 항목 데이터: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유동자산

293

288.5

376

418.9

456.7

유동부채

42.1

18.9

30.9

43.9

38.2

분석 결과:

유동자산:

  • 2019년: 293

  • 2020년: 288.5 (감소)

  • 2021년: 376 (증가)

  • 2022년: 418.9 (증가)

  • 2023년: 456.7 (증가)

유동부채:

  • 2019년: 42.1

  • 2020년: 18.9 (감소)

  • 2021년: 30.9 (증가)

  • 2022년: 43.9 (증가)

  • 2023년: 38.2 (감소)

유동성 비율 계산 (Current Ratio):

유동성 비율(Current Ratio)은 유동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값으로 계산됩니다. 이 비율은 기업이 단기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합니다.

연도

유동성 비율

2019년

6.96

2020년

15.26

2021년

12.17

2022년

9.54

2023년

11.96

 

유동성 비율이 1보다 크면 기업이 단기 부채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비율이 높을수록 더 좋은 재무 상태를 나타냅니다.

결론적으로, 하이로닉의 유동성 비율은 모두 1을 훨씬 초과하여 기업이 단기 부채를 충분히 갚을 수 있는 재무적 안정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자세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엑셀 파일을 생성하고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비교한 분석 결과를 엑셀 파일로 생성하였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3.

좋습니다. 계속 이어서 분석하시오. 이번엔 다양한 항목을 분석합니다. 자산, 매출액,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해당 항목들이 증가했는지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수익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분석할 항목:

  • 자산
  • 매출액
  • 매출총이익
  • 영업이익
  • 당기순이익

항목별 데이터:

항목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매출액 154.5 129.9 217.8 275.7 337.3
매출총이익 99.3 80.7 132.3 148.7 191.9
영업이익 22.2 12.4 46.3 35.8 52.7
당기순이익 30.5 32.2 67.7 36.4 82.5

분석 결과:

  1. 매출액:

    • 2019년: 154.5
    • 2020년: 129.9 (감소)
    • 2021년: 217.8 (증가)
    • 2022년: 275.7 (증가)
    • 2023년: 337.3 (증가)
  2. 매출총이익:

    • 2019년: 99.3
    • 2020년: 80.7 (감소)
    • 2021년: 132.3 (증가)
    • 2022년: 148.7 (증가)
    • 2023년: 191.9 (증가)
  3. 영업이익:

    • 2019년: 22.2
    • 2020년: 12.4 (감소)
    • 2021년: 46.3 (증가)
    • 2022년: 35.8 (감소)
    • 2023년: 52.7 (증가)
  4. 당기순이익:

    • 2019년: 30.5
    • 2020년: 32.2 (증가)
    • 2021년: 67.7 (증가)
    • 2022년: 36.4 (감소)
    • 2023년: 82.5 (증가)

 

결론적으로, 매출액매출총이익은 2020년을 제외하고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영업이익은 변동성이 있지만 2023년에는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 당기순이익은 2022년에 감소하였으나, 2023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자세한 데이터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엑셀 파일을 생성하고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

다양한 항목들을 분석한 결과를 엑셀 파일로 생성하였습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진짜 개레전드네 걍 복붙해서 계속 물어봐야지

7개의 댓글

무료버전임?

0

읽어봤는데 실무자 입장에서는 너무 부족함

단순히 어떤 계정이 증감을 보여주는거보단 '왜' 변했는가가 중요한건데 그게 없네.

 

예를 들면 영업이익이 늘어났는데, 왜 늘어났는지(예를들면 원가율이 낮아져서 높아졌다거나, 판관비가 줄어들어 이익이 높아졌다 등)가 중요한건데 그게 좀 아쉽다

 

지금은 저정도 수준이지만 곧 있으면 나보다 더 분석을 잘하겠지

나 뭐 해먹고 살지

2
14 일 전
@무서운거시야요

그건 따로 물어보면 답변해주고 이것저것 더 물어보긴 해야함

핵심은 이걸로 회계업무를 한다기 보다도 솔직히 이정도 기초지식도 없는 사람이 대다수인데 이정도면 양호한거지

이건 어떻게 물어보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임 마치 코딩처럼 디테일하게 하나부터 열까지 짚어주면 퀄리티는 더 좋아질듯

0
14 일 전

문장이 옴니 안 쓴 것 같은데 맞음?

0
14 일 전
@송콜리

4썼죠 저는 돈내고 쓰는데용

0
14 일 전
@까스박명수

ㄱㅅㄱㅅ

0
12 일 전

이럴꺼면 복사 붙여넣기보단 제무재표 다운받아서 넣는 게 더 좋지않음?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조회 수
107853 [기타] 간밤에 무슨일이 있었길래 1 진핑이개새끼 1 2 시간 전 307
107852 [국장] 원전 다시날아가냐? 4 년차대출갚는중 0 3 시간 전 142
107851 [미장] 엔비디아 이거 뭐냐? 2 파랑1 0 3 시간 전 441
107850 [미장] 산정호수와서 우리횽들 잘되라고 기도함 4 EPOH 3 5 시간 전 230
107849 [기타] 실시간 충격 실화 10 인간지표 3 5 시간 전 591
107848 [국장] 진짜 잘 모르겠으면 예금이나 해라 4 Erino 0 5 시간 전 398
107847 [기타] 그저께 은퇴한 사람 2 VTI 0 6 시간 전 353
107846 [기타] 9억 갑자기 생기면 어디에 투자하고싶음? 14 오뿌오뿌 0 6 시간 전 587
107845 [기타] 퇴직연금 궁금한게 있는데 8 콩나물두부킬러 0 6 시간 전 160
107844 [기타] 잘 모르겠으면 씨웹이나 사라 8 VTI 1 8 시간 전 300
107843 [기타] 진짜 잘 모르겠으면 s&p500 사라 10 二人で口パク 1 8 시간 전 583
107842 [기타] 세계패권이 중국으로 넘어간다는 주장은 좀 많이 웃김 6 Buffett 0 9 시간 전 354
107841 [기타] 투자 잘 모르면 연저펀 irp isa에서 무지성 snp500 사라는데 15 二人で口パク 2 11 시간 전 597
107840 [국장] 가즈아ㅏㅏ 가보주아ㅏㅏㅏ 8 지토 1 12 시간 전 309
107839 [미장] 베트콩 투자 124일차 5 번익절 0 12 시간 전 454
107838 [미장] 재미가 없네 3 TMF3억 1 13 시간 전 206
107837 [기타] 개붕이들은 존버 손절 선택 어떻게 함? 16 대영닉 0 14 시간 전 298
107836 [국장] 노소영 측 "SK그룹 발전 원해….우호지분으로 남을 것&q... 4 에어부산 4 14 시간 전 486
107835 [미장] 장기채 가냐 5 미장이최고야 0 15 시간 전 209
107834 [미장] 금리 인상할 거 같은데 나만 그런가? 9 명한테고백받음 0 15 시간 전 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