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22대 총선 결과와 미국 CPI 쇼크 영향 키움증권 한지영

[4/11, 22대 총선 결과와 미국 CPI 쇼크의 증시 영향, 키움 전략 한지영, 퀀트 이성훈]

"요약"

1. 전략

- 국내 22대 총선은 여소야대로 끝이 났으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연속성은 훼손되지 않을 것. 미국의 3월 CPI쇼크로 맞으면서 매크로 민감도가 높아졌지만, 반도체를 중심으로 1분기 실적시즌이 순조롭게 시작하면서 이익 전망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증시에 하방 경직성을 부여할 전망.

- 향후 변동성 확대 과정에서 출현하는 기간 조정을 이용해 1) 이익 전망이 개선되고 있는 반도체, 2)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연속성과 양호한 이익 모멘텀을 고려한 낙폭 과대 저 PBR주를 중심으로 매수 접근하는 것이 적절

2. 퀀트

- 밸류업 종목의 주가 불확실성 요인이었던 총선이 마무리됨에 따라 조정세가 가팔랐던 밸류업 종목의 저가매수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

- 이에 낙폭과대 측면에서 연초 고점 이후 1) 기관 순매도, 2) 밸류에이션 중심 조정으로 상승폭을 반납한 낙폭과대 밸류업 종목을 선정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IDetailView?sqno=1035

 

[3개월 연속 CPI 쇼크, 앞으로 대응은?, 키움 한지영]

1.

미국의 3월 CPI는 헤드라인과 모두 컨센을 상회했네요. 헤드라인 CPI는 3.5%(YoY)로 전월(3.2%) 및 컨센(3.4%)을 상회했고, 코어 CPI는 3.8%(YoY)로 전월(3.8%)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컨센(3.7%)을 소폭 웃돌았습니다.

3월 중 유가 상승 여파로 인해 가솔린(2월 -3.9% -> 3월 +1.3%) 등 에너지(-1.9% -> +2.1%) 품목의 물가가 상승 전환한 영향도 컸지만, 주거비(+5.7% -> +5.7%), 에너지 서비스 제외 서비스(+5.2% -> +5.4%) 등의 품목도 오르면서 헤드라인과 코어 물가에 상방 압력을 가한 것으로 보이네요.

이 같은 3월 CPI 컨센 상회로 나스닥 선물은 -1.5%대까지 내려갔고, 달러도 103.8pt선에서 104.5pt선으로 상승, 10년물 금리도 4.35%대에서 4.5%대까지 급등하는 등 위험회피 심리가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 입니다

2.

전일자 데일리 코멘트에서, 과거의 경험을 참고해 1) 코어 CPI가 내려간다는 가정하에, 2) 헤드라인 CPI가 컨센 대비 0.1~0.2%p 상회한다면 주가 충격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전망한바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수치는 1)과 2)의 두개 조건 모두 충족시키지 못하다 보니 이 같은 급락이 출현한 듯 합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향후 인플레이션 경로 및 연준의 정책 전환 시점을 놓고 셈법을 복잡하게 할 것 같네요. 이후 예정된 연준 위원들의 목소리에도 이전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그 과정에서 주가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하겠지만, 증시 하단은 지지해줄 만한 요인들도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일단 4월 이후에는 유가 등 에너지가격의 상승세가 제한이 되고 있으며, 클리블랜드 연은 인플레이션  모델에서도 4월 헤드라인과 코어 CPI가 각각 3.36%, 3.58%대로 (이번 CPI 결과를 반영해 소폭 상향되겠으나) 3월에 비해 내려갈 것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또 5월 FOMC 전후로는 다시 한번 매크로 불확실성에서 노출되겠으나, 금리인하 시점으로 예상되는 6월 FOMC, 즉 본게임때까지 4,5월 CPI라는 두번의 인플레이션 이벤트가 있다는 점도 대응의 여지를 남겨두고 있습니다.

증시 펀더멘털 측면에서도 기대해볼 법한 것은 1분기 실적시즌에 들어갔다는 것인데,  삼성전자, LG전자 등 주요기업이 1분기 실적 스타트를 잘 끊었다는 점을 상기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지난 4분기 실적시즌 때와 달리 1분기 실적시즌은 실적주를 중심으로 매크로 불확실성을 상쇄해나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합니다. 미국도 1분기 실적시즌 이야기가 거의 나오지 않을 만큼, 눈높이가 낮아졌다는 점도 비슷하지 않나 싶습니다.

과연 본장에서 상기 언급한 요인들이 유입되면서, 지금의 혼란에 변화를 이끌어낼지를 지켜봐야겠습니다.

저도 좀 더 고민을 해본 뒤, 내일 발간되는 이슈 코멘트(22대 총선 결과 포함)에 녹여서 찾아뵙겠습니다.

키움 한지영

5개의 댓글

2024.04.11

이미 반도체랑 밸류업 관련주가 포트 절반 이상이야 ㅜㅜ

0
2024.04.11
@바이오

이분 트렌디하시네

0
2024.04.11
@지토

바이오 비중 10퍼센트 ㅜ

0
2024.04.11
@바이오

난 반도체가 절반인데 ㅎㅎ

0
2024.04.11
@싸우자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조회 수
2685 [정보] 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40531) 8 랑자 9 1 일 전 349
2684 [정보] 5월 31일 (금) 간추린 경제 뉴스 (종소세 폐지될까) 5 드러켄밀러맥주 3 1 일 전 194
2683 [정보] 환율 1381원요?! 2 파이어족은불타오... 1 1 일 전 267
2682 [정보]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 5월 31일 5 지토 1 1 일 전 282
2681 [정보] 데일리 증시 코멘트 키움 김지현 3 지토 1 1 일 전 191
2680 [정보] 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40530) 20 랑자 10 2 일 전 590
2679 [정보] 슬슬 워렌버핏한테 투자강의 마렵네.. 8 김운수 1 2 일 전 822
2678 [정보] 24년 5월 30일(목) 경제 뉴스 요약 (개인투자용 국채판매) 2 드러켄밀러맥주 2 2 일 전 249
2677 [정보] 근원 PCE 컨센 하회 7 지토 0 2 일 전 418
2676 [정보] 환율은 또 언제 이렇게 올랐대 4 파이어족은불타오... 0 2 일 전 385
2675 [정보] 바벨 전략 어떰? 21 바벨 0 2 일 전 243
2674 [정보] 주식고수 특 5 골방철학가 1 2 일 전 470
2673 [정보] 데일리 증시 코멘트 키움 김지현 지토 0 2 일 전 143
2672 [정보]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 5월 30일 지토 1 2 일 전 255
2671 [정보] 장 시작 전 생각들 키움 한지영(당번 아님) 6 지토 3 2 일 전 220
2670 [정보] 경제 뉴비를 위한 오늘의 경제뉴스 요약(240529) 15 랑자 13 3 일 전 478
2669 [정보] 24년 5월 29일(수) 경제 뉴스 요약 (삼전 노조도 파업) 6 드러켄밀러맥주 5 3 일 전 357
2668 [정보] 오늘 개장전 꼭 알아야할 5가지 5월 29일 4 지토 0 3 일 전 187
2667 [정보] 데일리 증시 코멘트 키움 한지영 4 지토 2 3 일 전 144
2666 [정보] 24년 5월 28일(화) 경제 뉴스 요약 (미장 쉬었어요) 3 드러켄밀러맥주 5 4 일 전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