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판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서울신문 기사가 좋네.

https://www.seoul.co.kr/news/economy/policy/2024/05/21/20240521001006

 

 지난 3월부터 해외직구 종합대책 범정부 태스크포스(TF)에 참여했던 14개 정부기관은 논란이 커지자 약속이나 한 듯 “우리 담당이 아니다”란 식으로 책임 공방에서 비켜서려는 모양새다. 설익은 대책 발표와 철회에 이어 정책 혼선에 대한 무책임까지 맞물린 볼썽 사나운 모습을 드러낸 것이다.

 

-> 전형적인 다기관 참여에 의한 책임회피. 

 

(중략) 

 

사회 변화에 둔감한 관료 조직이 ‘탁상행정’에서 벗어나지 못해 생긴 일이란 지적도 나온다. 16~18일 직구족들의 분노가 쏟아지고 여권 유력 정치인들마저 호응하자 당국자들은 “이렇게 반발이 거셀 일이냐”고 기자들에게 되물었다. 고물가에 초특가 해외직구로 생활비를 아끼려는 소비자들의 마음을 들여다보지 못했다. TF에서 “소비자 반발이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정부는 20여번의 회의 과정에서 ‘소비자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 의견 수렴없고 경직적 관료제 조직.

 

(중략)

총선 민심에 호되게 당한 뒤 여론에 더욱 민감해진 여당과도 정책 발표 전 아무런 협의를 거치지 않았고 전문가 자문을 충분히 거치지 않은 것도 패착이었다. 

 

->  정무직들과의 소통 없음.

 

(중략)

 소상공인의 목소리를 여과 없이 수용한 것도 악수가 됐다. 국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C커머스의 초특가 공습에 “국내에서 제품을 팔려면 일정 비용을 내고 반드시 KC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해외직구 제품은 KC 인증을 받지 않기 때문에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하는 것과 같다”고 주장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지난 2월 고광효 관세청장과의 간담회에서 해외직구 플랫폼과 국내 소상공인 간의 형평성을 고려해 ▲직구 상품에 대한 과세 ▲KC 인증 의무 부여 ▲연간 결제 한도 설정 등을 요청했다. 정부는 국내 소상공인이 역차별당한다는 판단 아래 ‘해외직구 제품 KC 인증 의무화’를 수용했다

 

-> 특정 이해단체의 의견 과대반영.

 

 

종합적으로 교과서에 나오면 좋을 만큼의 실패사례임.

 

15개의 댓글

12 일 전

웃긴점: 소상공인 단체도 발뺌함 ㅋㅋㅋㅋ

0
12 일 전
@관음예문

반면 소상공인 권익을 대변하는 대한상의는 “해외직구 제품 KC 인증 의무화를 정부에 공식 건의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여기는 상공회의손가?

0
12 일 전
@관음예문

KC 인증 의무화는 관료들의 욕망이 들어간걸로.

0
12 일 전
@관음예문

대한상의는 대기업위주 구성+법정단체 지금 회장도 최태원

kc인증 주장한쪽은 중소기업연합회 전형적으로 오독을 유발하는거네 ㅋ

0
12 일 전
@관음예문

행시 지망생들 답안지 연습하기 좋네.

1
12 일 전

암만 테크노크라트의 개찐빠라는 쪽에 무게를 두더라도 이 정도 파장이 있을 일을 가늠조차 못하고 있을 만큼 찐빠냈다는게 썩 납득이 안 간단 말이지

아니 14개 정부부처들이 들어가서 합의했는데 이거 하면 생산직 좆됩니다 무역 좆됩니다라고 말할 사람이 단 한 명도 없었다는게 말이 되나?

1
12 일 전
@헬다이버즈II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90036?sid=102

 

4) 경직된 조직문화 때문이다.

 

- 내부 이견이 일부 있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0
12 일 전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C커머스(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유통되는 ‘발암물질 범벅’ 제품으로부터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제재한다는 방향성이 처음부터 확고했다는 것이다. 현 정부와 껄끄러운 중국의 플랫폼이었기에 가능한 것 아니냐는 시각도 존재한다.

 

지난해 연구개발(R&D) 예산을 대폭 삭감했다가 1년 만에 복원하기로 한 것도 대표적인 정책 실패 사례로 꼽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위’에서 방향성을 정해 두고 가는 정책에 대해서는 일부 문제가 있더라도 부처에서 큰 줄기를 틀기는 어렵다”고 토로했다.

 

'방향성'

0
12 일 전
@대남

R&D는 차원이 다른게 온갖 ‘카더라’가 다 떠돌아댕겼음을 까먹지 말것.

0
12 일 전
@poloq

‘위’에서 방향성을 정해 두고 가는 정책

0
12 일 전

20일 서울신문이 접촉한 산업통상자원부 등 해외직구 TF 참여 부처의 담당자들은 “이번 일은 국무조정실과 (KC 인증을 담당하는) 국가기술표준원이 주도했다”고 밝혔다. 실무를 담당했던 국표원 관계자는 “(상급 기관인) 국조실이 보도자료와 발표 자료까지 직접 작성했다”고 말했다.

 

TF 회의에 직접 참여한 정부기관 관계자는 “TF에서 유해한 직구 제품에 대한 강화된 조치를 논의했고, 전면 차단이 아니라 집중 모니터링을 실시한 뒤 조치를 마련하기로 했는데 발표 과정에서 갑자기 ‘금지·원천 차단’이라는 과한 표현이 들어갔다”면서 “이럴 거면 합동 브리핑을 왜 했나 싶다”고 털어놓았다.

 

여기선 국조실 탓임으로 가네 ㅋㅋ

0
12 일 전
@싸우자

책임 미뤄야 하니깐.

0
12 일 전
@싸우자

국무총리 이제 집에 간다 이거지 ㅋㅋㅋ

0
12 일 전

고위공직자랑 얘기해보면 의외로 빡대가리 비율이 참 높음 물론 지방청은 9급출신 서기관들 있어서 그렇다곤 하는데 중앙공뭔도 비슷하더라. . .

지금 회사 사장이 1급 출신 빡대가리. . . . ㅅㅂ 살려줘

0

요약 고마워용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688 저건 국회사무처 실무자나 아는 일이라. 3 poloq 1 분 전 20
656687 대한민국 임대료가 저렴하다는 것은 찍찍이들의 선동이다 그... 6 이라기시따 10 분 전 61
656686 조국혁신당 입주거부 명분이 있는거임? 4 아이코스일루마 19 분 전 121
656685 정치도 특수한 직종이고 프로페셔널임 1 띵호아띵호잉루 21 분 전 51
656684 어떻게 원내대표실과 당대표실을 화장실 바로 앞에 배치하느냐 3 rocky 22 분 전 111
656683 온세상이 2000이다 1 호그이 23 분 전 79
656682 ???: 축하난 버리는거 존나 짜치네 정치인 되고도 저러네 7 bemoanin 34 분 전 208
656681 They go low we go high는 이상이야. 하수상한후원자 39 분 전 67
656680 민주주의 배달이 밈이냐 사실이지 투기꾼입니다만 43 분 전 61
656679 “영일만 기름 매장된 사실을 문재인도 알고 있었다??” 5 프롤레타리아 45 분 전 234
656678 국회의원한테 난은 누가 주나. 2 poloq 47 분 전 128
656677 좃국이 두창이 난 버린걸로 까네 6 야그걸믿냐 49 분 전 167
656676 축하난 버리기는 뭐임? 16 준선생님 1 시간 전 266
656675 양문석한테 바라는게 흑석이 역이지. poloq 1 시간 전 76
656674 사실 미국 민주주의 배달이 억울한 이유 7 novellll 1 시간 전 205
656673 그래도 윤카가 대단한 점 4 SIUUUUU 1 시간 전 156
656672 우상호는 뭐때문에 저렇게 공격당하는거임? 7 20211004 1 시간 전 191
656671 민주당 108번뇌 시즌 2야? 3 하수상한후원자 1 시간 전 246
656670 석유 안 나오면 안 되니까 석유 사와서 석유 나온다고 구라치... 소름 1 시간 전 112
656669 20%면 자원탐사치고는 높은데.. 9 hellsong 1 시간 전 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