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마흐노와 아나키스트 군대의 흑색테러와 학살

1921._Нестор_Махно_в_лагере_для_перемещенных_лиц_в_Румынии.jpg


마흐노는 사회적 약자들을 테러하지 않았다. 예를 들면 유대인 학살과 관련된 부하들에 대한 처단이었다. 유대인을 향해 살인이나 약탈 따위를 저지른 지휘관이 있으면 당연히 처형했고, 어떤 병사는 행동을 하기전에 선동을 시도했는데 마흐노는 그런 병사도 단호하게 처형해서 유대인에 대한 약탈이나 학살을 방지했다.1 또한 마흐노는 독일인(혹은 독일계) 민간인에 대한 학살도 분명하게 반대하였다. 2


하지만 사회적 약자가 아닌 사람에겐 이야기가 달랐다. 그리고 부하들을 통제하는 데 마흐노 자신한테도 한계가 있었다.

 


1. 메노파 사이의 갈등과 메노파 여성에 대한 대규모 강간사건

 

 

마흐노주의자와 메노파 사이엔 갈등이 있었는데 그 갈등의 배경엔 사회적불평등 문제가 있었다.

 

1800년대 우크라이나에서 사는 메노파 사람들은 대규모의 땅을 집단적으로 구입했다. 이 땅들은 기존 우크라이나 농노들이 일했던 땅이었다. 이웃농민들은 자신의 땅 덩어리에 갈 때 번영하는 메노파 마을을 통과해야했다. 그리고 많은 우크라이나 사람들은 메노파가 소유한 땅에서 농사꾼이나 하인으로 일했다. 3

 

마흐노도 여기 메노파의 땅에서 일을 하였다. 마흐노는 굴리야 폴리에 에서 태어났다. 마흐노의 부모는 농노였고 그 뒤 해방된 농민이 되었는데 마흐노의 어머니가 한 말에 따르면 농노생황을 매우 끔찍했다. 마흐노의 아버지는 어릴 때부터 죽게되었고 마흐노는 어릴 때부터 일자리를 구했다. 그러다 한 토지 소유자(이름은 Janzen)에게 고용됐는데 부모와 가족을 위해 조용히 일을 하였다. 그 때 마흐노는 어머니에게 돈을 주며 기쁨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 과정에 감독관의 조수에게 채찍질을 당하기도 했는데 매우 분했지만 가족을 위해 참기로 하였다. 마흐노는 일을 하다 땅주인의 어린 자식들과 마주치기도 했는데 그 어린 자식들은 옷을 잡 차려입고 깨끗했다. 그러나 마흐노 자신은 누더기 옷을 입고 있고 맨발이며 헛간청소때문에 더러워져있었다. 이런 사회적 불평등을 보며 마흐노는 증오심을 느끼기 시작했다.

 

시간이 지나자 그 땅주인의 자식들은 사람들을 때리기도 하였다. 마흐노는 그걸 보며 침묵하고 모르는 척하고 눈치채지 못한 척을 하였다. 그러다 1902년이었다. 땅주인(Janzen)의 아들 두명이 농장 일꾼들 중 한명에게 심각하고 잔인한 구타를 하고 있었다. 마흐노는 더이상 참지 못하고 마굿간 수석인 Bat’ko 이반에게 달려갔다. Bat’ko 이반은 땅주인 아들 둘에게 단호하게 매질을 하였다. 그리고 마흐노에게 말했다.

 

"여기 있는 어느 누구도 자신이 매질 당하는 걸 용납해서는 안 돼. 그리고 우리 작은 네스토르야, 언젠가 어떤 상사가 너를 때리려고 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꼬챙이를 잡아서 찔러버려!"

 

농장 노동자들은 땅주인(Janzen)에게 몰려가 일을 그만두겠다고 항의했다. 땅주인(Janzen)은 노동자들에게 용서를 빌며 간청했다. (저 때 마흐노가 만난 지주는 독일 메노파이겠으나 마흐노는 아나키스트라 그런지 민족적 편견은 나타내지 않았다.) 4

 

메노파 땅주인들의 땅에선 당연히 우크라이나 사람들이 일했는데 메노파 땅주인들은 우크라이나 사람들의 정체성을 무시했다. 우크라이나 사람들을 '러시아인', '작은 러시아인'라고 불렀다. 그리고 메노파는 농민들에 대해 "더러운", "불쌍한", "폭력적", "도둑질", "영적으로 뒤떨어진"집단이란 고정관념이 있었다. 5

 

사회적 불평등과 문화적 갈등에 따라 폭력적인 대립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런 폭력적인 대립은 1905년 러시아 혁명시기부터 확인된다. 메노파는 평화주의를 추구했는데 메노파 사이에서 일부 지주들이 평화주의 포기 행동이 나타난 건 러시아 1905년 혁명부터였다. 메노파에서 일부 사유지 소유자들은 이 시절에 강도는 물론 살인까지 당하는 피해를 경험하였다. 그 때문에 무장한 카자크를 고용하는 것이 보편이 됐다. 이 경비원들은 작은 범죄에 구타는 물론 처형도 가능한 권한이 있었다. 경우에 따라서 마을 하나가 불태워지기도 했다. 6

 

그리고 위에서 말한 1905년 혁명 시기 살인과 약탈 행위엔 아나키스트도 참여했는데 이건 1917년 당시 페트로그라드 아나키스트들의 내부의 비판 사례에서도 알 수 있다.

 

다음은 그에 대한 서술이다.

 

『1917년 전반을 통하여―아나키즘이 국경지대에서 더 강세를 보였떤 1905년과 달리―운동은, 더 이상 압제 정부의 본부가 아닌, 혁명의 바로 최정점이 되어 있던 페트로그라드르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미국과 서유럽의 망명지로부터 생디칼리스트들이 당당하게 돌아온 그 해 여름 이전까지 '붉은 페테르'의 대부분의 아나키스트 조직들은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노선에 따르고 있었다. 수도와 그 부근의 지역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그룹들은 곧 페트로그라드 아나키스트 연합 이라는 느슨한 조직으로 묶이게 되었다. 5월, 연합은 그 첫번째 신문으로 'Kommuan'를 발간했으며 계속해서 가을에는 'Svobodnaia Kommuan'와 'Burevestnik'를 내게 되었다. 페트로그라드 연합의 목표는 그 신문들의 제호가 말해 주듯이 그 도시를 1817년 파리코뮨의 이상적 모습을 따른 인류평등의 공동체로 변환시키는 것이었다. 연합은, 십 년 전의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테러리스트에 의해 저질러졌던 무분별한 살인과 약탈을 대신해 보다 넓은 범위, 즉 가옥과 식량, 공장과 농장, 광산과철도 등을 포함하는 조직적 '몰수'를 제창했다. '사회혁명을 통해 아나키스트 코뮨으로'가 그 모토였으며, 그것은 정부와 재보, 형무소와 병사, 화폐와 이윤 등을 제거하고 '자연적 경제'를 기반으로 하는 무정부사회를 추구하는 혁명이었다.』 7

 

마흐노도 역시 아나키스트 단체에서 활동하며 메노파 지주를 향해 테러를 벌였다. 다만 마흐노는 살인은 하지 않았다. 마흐노는 메노파 지주의 재산이나 들판에 불을 지르며 메노파 지주들을 공격했다. 그에 따라 지역 경찰서장과 대립했는데 마흐노는 그 경찰서장을 살해하였다. 8

 

이런 사회적 갈등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에도 나타나고 있다.

 

메노파 사이에서 자위대(Selbstschutz)가 만들어진 건 1918년 7월부터로 추정되는데 일부 메노파 젊은이들은 독일군과 협력해서 무장을 하였다. 이유는 농민 도적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9

 

또한 일부 메노파 사람들은 러시아 혁명 당시 다른 농민들에게 재산과 물건을 빼앗겼는데 이것을 되돌려받기위해 자위대(Selbstschutz)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폭력적이고 과격한 복수를 하기도 하였다. 10

 

이 일부 메노파들의 행동은 다른 일부 메노파의 내부 비판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일부 메노파 사람들은 러시아 농민들에게 당한 모욕에 대해 복수를 하고 싶어했고 실제로 복수를 실천하였고 러시아 농민들 집에 쳐들어가서 '카자크가 사용한 채찍'(nagaika)으로 무자비하게 농민들을 채찍질하였다. 다른 일부 메노파들은 이 테러를 벌이는 메노파의 행동을 보며 "그 책임은 우리에게 있다!" 며 책임감을 느꼈다. 11

 

일부 메노파 지주들은 재산을 되찾기위해 그렇게 폭력을 사용했는데 이런 폭력은 평화주의 성향의 메노파 작가들한테 큰 비판을 받았고, 그 비판은 1918년 4월부터 확인된다. 한 편집자(Friedensstimme의 편집자 Abraham Kroeker)는 "우리는 너무 물질적이고 이기적"이며 "신은 첫번째 청산을 보냈고 그것이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을 때는 신은 칼로 더 깊게 자를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인간으로서 죄를 지은 사람은 벌을 받는다"며 재산 되찾기 행위를 비판하였다. 이런식의 내부 비판은 내전 기간동안 끊임없이 나왔는데 1919년 9월 4일엔 "하나님 앞에서 제대로 행동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농민들에게 미움을 받는다고 결론지었다. 12

 

기존 지주가 땅을 최찾기위해 벌인 과격한 복수의 다른 사례로는 1918년 7월 2일 이후 사례가 있다. 그건 마흐노가 나고 자란 굴랴이-뽈리에 였다. 13

 

1917년 2월 혁명 전까지 마흐노는 감옥에 갇혀있었다. 마흐노는 1960년에 굴랴이-뽈리에 아나키스트 모임에 가입했고 지역경찰의 생명을 노리는 테러활동에 참여했고 그에 따라 재판을 받았다. 마흐노는 무기징역을 받고 감옥에 갇히게 됐다. 거기서 마흐노는 표트르 아르쉬노프 라는 나이 많은 아나키스트를 만났다. 거기서 마흐노는 아르쉬노프에게 리버테리안 교리·바쿠닌과 크로포트킨의 신념을 가르침 받았다. 그리고 1917년 2월 혁명이 일어나자 마흐노는 풀려났다. 그 뒤 마흐노는 고향마을로 돌아갔다. 마흐노는 고향으로 돌아왔을 때 고향 농민들에게 환영을 받았다. 마흐노는 지역에 있는 아나키스트 공산주의 단체에게 말했다.

 

"이곳 굴랴이-뽈리에와 주변 지역에 있는 정부 기관을 해체하고 토지, 공장, 시설 등 기타 유형의 기업에서 사유재산을 절대적으로 끝내기위해 단호하게 행동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농민들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해야 한다. 우리는 농민들에게, 우리가 농민들을 위해 싸우고 있으며 마을 집회와 다른 회의에서 그들에게 제시할 그러한 것에 변함없이 헌신하고 있다는 것을 납득시켜줘야 한다.”

 

그리고 고향마을에서 마흐노는 굴랴이-뽈리에 소비에트 의장으로 선출됐다. 1917년 8월에는 코르닐로프 반란이 일어나자 혁명을 보호하기위해 소비에트에서 무장을 하는 게 가능해졌다.소비에트 의장의 권한으로 무장농민을 모집했다. 마흐노는 농민들을 무장하게하고 농민부대를 만들었다. 그 뒤 이웃마을에서 지주가 소유한 땅을 몰수하고 그 땅을 농민들이 점령하기 시작했다.(혹은 마흐노가 분배했다.) 이 때 만해도 마흐노는 사람을 죽이지는 않았다. 그 뒤 그 지역은 독일·오스트리아 부대에게 점령당했다. 14

 

그 지역의 옛 지주들은 오스트리아군에게 협력했다. 옛 지주들은 오스트리아군에게 도움을 받아 소유권 회복을 시도했다. 농민들은 지주의 소유권 회복을 거부하고 저항하였고 몇몇 농민들이 처형당했다. 마흐노 형제의 처형이 이 때 일로 추정된다. 15

 

실제로 위의 사례는 마흐노의 경험과 일치했다. 1918년 7월 마흐노는 굴랴이-뽈리에 에 잠입해들어갔는데 마흐노의 경험한 것에 따르면 마흐노 어머니의 집은 불타버렸고 몸이 불구가 된 채 퇴역한 형 에멜리안이 살해됐다. 그걸 알게되자 마흐노는 아나키즘의 검은 깃발에 아래 분견대를 조직했다. 16

 

보복테러는 다시 보복테러를 불러왔다.

 

마흐노 역시 지주를 향해 보복테러를 하였다. 지주들을 습격해서 사람들을 살해했던 것이다. 예를 들면 마흐노 부대는 변장을 해서 “지주의 무도회장에 들어가, 축제가 절정에 이르렀을 때 하객들을 공격했다.”17

 

다른 마흐노주의자들도 복수를 하였다.

 

Belash는 1918년 말에 기차 여행을 하며 어떤 상황을 보았는데 어떤 마흐노주의자들의 행동을 다음과 같이 증언하고 있다.
「얘들아 이리 와! 난 이 사람 비슷하게 생긴 생물들을 다 알아! ― 마흐노주의자는 기차에서 키가 크고 마른 독일인 세명을 [총칼로 쳐서] 밀어냈다. 마흐노주의자 한 무리들이 외치며 앞으로 나왔다. 아, 여기 있다, 내 작은 새들아! Kreutzer, 아들들은 어디 있나? 징벌 파견대에? 내가 널 어떻게 섬겼는지 기억하냐? 내가 어떻게 붉은 근위대에 들어갔는지 기억나? 너와 네 아들들이 어떻게 징벌 파견대를 끌고 가서 내 집을 불태웠는지 기억하냐? 독일인은 눈물을 흘리며 어깨를 으쓱할 뿐이었다.」18


다만 이 시기에 지주에 대한 대규모학살까지는 없었다. 19

 

이런 갈등속에서 일어난 게 메노파 여성에 대한 마흐노 군대의 대규모 강간이었다.

 

마흐노주의자들은 메노파 여성을 강간할 때 남편이나 아버지는 줄에 묶어놓았다. 그리고 그 남성 앞에서 아내나 딸을 강간했다. 마흐노중자들은 아버지나 남편이 되는 사람에게 강간을 지켜보라고 강요를 하였다. 보고서에 근거하면 이런 경우 매우 많았다.

 

마흐노주의자들의 강간때문에 강간 피해자들이 매독에 걸리기도 했는데 한 지역(Chortitza라는 지역)에서는 100명의 여성이 매독으로 치료를 받았다.

 

메노파 여성들에 대한 강간은 메노파 사회에 심각한 충격을 고통을 주었다. 많은 남성들은 마흐노 군대에 대항하기 위해 하얀군대 진영에 붙어 마흐노 군대를 상대로 맞서싸웠다. 20

 

마흐노 군대의 강간문제를 폭로한 아나키스트도 있었는데 바로 볼린이었다. 볼린은 마흐노 군대의 범죄를 폭로했는데 그 중 하나가 강간이였다. 21

 

이런 이유로 마흐노는 메노파에서 악명이 높았다. 마흐노는 평화주의성향의 메노파한테도 악마처럼 느껴졌다. 평화주의성향의 메노파에겐 자위대(Selbstschützler)와 함께 마흐노 군대도 악마였다. 마흐노는 "인간이 아닌 괴물", "인간 형태의 악마"였다. 22

 

물론 마흐노 개인은 메노파를 향해 고의적인 테러를 지시하지는 않았다. 또한 메노파 고아를 후원을 해주기 하였고 개인으로서 메노파에 대한 행동에 근거하면 마흐노는 악마는 아니었다. 23

 

지난날 마흐노가 일했던 곳 땅 주인(Janzen)의 가족과 마흐노는 내전 도중 다시 만나게 됐다. 땅 주인(Janzen)의 아들(Abram)은 내전 도중 마흐노 군인들에게 습격을 받아 죽었다. 집에는 미망인 마리아와 마리아의 자식들이 남았다. 그러자 마흐노는 그 집을 찾아와서 부하들에게 명령했다. 부하들에게 한 명령은 소지품을 모두 돌려놓고 아무것도 가져가지고 말고 이 집에서 누구도 해치지말고 집을 떠나라는 것이다. 그리고 집에 있는 그 가족들이 부하들에게 피해를 받지 않게 해줬다. 24

 

 

2. 1919년 10월 이후 테러와 학살

 

 

1919년 초까지 마흐노의 아나키스트 군인들은 볼셰비키와 나쁘지않은 관계였다. 1919년 3월엔 붉은 군대와 협정을 맺어 붉은 군대의 일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협정에 따르면 분명 마흐노의 아나키스트 부대(“우크라이나 반란군”)는 분명 형식적으로 붉은군대의 일부였다.

 

같은 해 5월에 볼셰비키는 체카를 보내 마흐노 암살을 시도했고 6월에 트로츠키는 마흐노를 범법자로 규정하고 적대관계가 됐고 공산주의(볼셰비키) 군대의 선제공격으로 군사적 충돌이 일어났다. 그러나 그 해 여름에 데니킨 군대가 위협이 됐고 볼셰비키와 아나키스트는 다시 불안정하게 동맹을 맺었다. 1919년 10월이 되자 데니킨의 부대가 후퇴했고 데니킨이 사라진 자리를 마흐노 부대가 장악했다. 그해 10월과 11월에 마흐노 부대는 에카테리노슬라브와 알렉산드로브스크를 몇 주간 점령했고 “도시에 아나키즘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첫번째 기회를 얻게 되었다.”25

 

이 때 마흐노는 아나키스트이기도 했지만 붉은 군대의 일부이기도 했다. 1920년에 양측에 전투가 벌어지기전까지 마흐노는 붉은군대의 지휘를 받는 상태였다. 26

 

마흐노는 붉은군대의 일부인 상태에서 다른 붉은군대나 볼셰비키처럼 테러를 벌였다.


그 당시에 대한 Neufeld의 증언이다.
"그들이 여기 있다! 그들이 누구인지 그리고 그들이 어떤 정치적 깃발 아래 싸우고 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우리는 잔인한 광기, 약탈 살인만 본다.…그들은 얼머나 오래 머물것인가?"[교차검증을 통해 밝혀지지만 ‘그들’은 마흐노 부대이다.]27


Arshinov 는 당시 상황을 이렇게 보고한다.
그들은 말 그대로 어마어마한 빗자루처럼 마을, 읍, 도시를 휩쓸어서 착취와 노예의 흔적을 모두 없앴다. 돌아온 지주(pomeshchiks, помещик), 쿨락, 경찰, 사제들. 이 모든 것들은 마흐노주의자들이 승리를 거둔 길거리에서 휩쓸려 나갔다. 농민과 노동자들에 대해 적극적인 적대행위를 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은 모두 사형을 선고받았다. 지주(pomeshchiks, помещик)와 쿨락은 엄청난 숫자로 죽었다」28

 

kontrrazvedka.jpg

또한 마흐노 부대에서 테러때문에 문제가 된 집단이 있다. 그 집단은 마흐노주의 방첩부대(kontrrazvedka, counter-intelligence)였다. 이 방첩부대는 마흐노의 개인 경호원은 물론 군대와 민간 구역에서도 활동했다. 29

 

이 마흐노주의 방첩부대(kontrrazvedka)는 장교, 경찰, 교도관, 스파이, 선동가 등 하얀군대와 연관된 모든 사람을 살해했으며 반혁명주의자를 사냥하고 다른 사람의 수색하면서 무엇이든 훔치거나 무고한 사람들을 괴롭히는 등 30 심각한 범죄들을 저질렀다.

 

Neufeld의 11월 2일 일기장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다. 마흐노는 정보요언들에게 적대적인 견해를 가진 모든 사람들을 가차없이 끝내라고 명령했다.”31

 

한 러시아 아나키스트 연구원(Vyacheslav Azarov )은 이 방첩부대를 "마흐노주의 운동의 가장 큰 수치"라고 평가했다. 32

 

마흐노는 11월 6일에 알렉산드로프스크를 떠나 예카테리노슬라프로 떠났다. 그전에 마흐노는 대피할 경우 처형할 명단 80명을 작성했다. 33

 

11월 5일에 마흐노주의 일간지인 Put' k Svobode에 다음과 같은 선언이 나타난다.
「자본가 계급은 우리의 실패를 보면서 웃는다. 자기들의 헛된 오만에 빠진 자본가 계급은 우리의 패배와 돈 쿠반 지역의 하얀군대의 승리를 희망한다. 나는 그들에게 마지막 말을 하겠다. 이 지역에서 우리의 좌절이 생기면 그건 곧 부르주아의 죽음이 될 것이다. 이것을 이루기 위해 나는 행동을 하였다.

 

알렉산드로프스크 시의 남은 방위대의 대장 Kalashnikov와 그의 부관 Karetnik에게 자본가 계급과 그것들의 앞잡이들을 제거하는 임무를 맡겼다. 자본가 계급에게 죽음을! 그들의 모든 앞잡이들에게 죽음을! 노동자 계급의 해방이여 오래 살아남아라! 사회 혁명이여 오래 살아남아라!

군대 사령관 Bat’ko 마흐노 1919년 11월 4일 , Alexandrovsk」
34

 

마흐노의 목록에는 멘셰비키, 에세르(사회주의자혁명가 당), 산업가, 철도 조합원 같은 사람들이 포함되어있었고 체포됐다. 처형 권한은 Belash에게 있었는데 마흐노의 명령에 불복종했다. 체포된 사람들은 하얀군대와 협력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하고 풀려났다. 35

 

Screenshot (85).png


(Belash의 사진)

 

이런 마흐노의 행동은 다른 곳에서 퍼져 충격을 주었다.

 

다음은 Neufeld의 일기다.

「11월 5일 [10월 23일]: 우리는 마치 사헝선고를 받은 것 같은 기분이 들고 지금 단순히 사형집행자가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무감각하지 않은 사람들을 탈출을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집에서 세걸음 떨어진 곳에서 붙잡힌 사람은 경고없이 총살당할 거라는 통보를 받았다. 사실 주위에 무장한 기수들이 너무 많아서 탈출하려는 어떤 시도도 확실한 죽음을 뜻할 것이다.」 36

 

마흐노의 아나키스트 군대는 붉은 군대의 일부인 상태에서 볼셰비키가 그렇듯이 러시아 우익이나 우익협력자를 무자비하게 학살했다. 그리고 이런 학살은 레닌과 볼셰비키에 정당화하는 그런 학살이었다. 레닌이 본인들의 학살을 정당한 사례는 다음과 같은 사례에서 알 수 있다.

 

트로츠크의 증언에 근거하면 레닌은 혁명에 총살부대가 필요하다 생각하며 이렇게 말하였다. 
“총살부대 없이 어떻게 혁명을 할 수 있단 말인가? 스스로 무장해제함으로써 적을 없애기를 기대하는가? 다른 어떤 억압수단이 있단 말인가? 감옥? 내전에서 그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누가 있단 말인가?”  37


이건 트로츠크의 증언이니 어디까지 사실인지 분명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과 일치하는 폭력성은 아래에서 나타난다.

레닌은 1918년 여름에 지방 볼셰비키에게 "부농촌의 반란에 대한 가차 없는 진압"명령을 내렸다. 레닌은 지방 볼셰비키에게 명령하며 "이름날 부농, 부장, 고리채업자들을 100명 이상 교수형에 처할 것(반드시 만인 앞에서 행해져야함)"을 지시하였다. 38

 

이어서 9월 5일에 볼셰비키는 소비에트 권력을 위해 “적색 테러에 관한 결정”을 채택했다. 이 결정에 따르면 “계급의 적들을 강제수용소에 격리시킴으로써 그들의 위협으로부터 소비에트 공화구의 안전을 도모함이 불가피하다는 것을 인정하며”, “백군 조직과 모반, 반란에 관련된 모든 자들을 총살에 처할 것을 결정한다”는 것이다. 39


마흐노 일행의 아나키스트들이 벌인 테러와 학살은 레닌과 볼셰비키의 기준에서 보면 정당한 행위였다. 그리고 마흐노와 아나키스트는 붉은군대의 일부로 활동하며 레닌과 볼셰비키의 붉은군대처럼 학살과 테러를 하였다.

 


3. Eichenfeld 학살

 

 

Selbstschutz.jpg


우크라이나의 Selbstschutz (1918년에 찍힌 사진)

 

E003.jpg


(Heinrich H. Heinrichs의 사진)

 

Eichenfeld 마을은 Jasykovo 지역에 속한 마을이다.

 

이 Jasykovo 지역에서 중요한 갈등을 일으킨 문제중 하나가 토지분할 문제였다. 토지분할 문제로 많은 농민들은 지주를 향해 질투와 원한을 품었다. (Sean David Patterson, 2013, 127) 그런 상황에서 땅이나 재산을 뺏긴 지주들이 있었는데 어떤 지주들은 독일군, 오스트리아군 파견대와 합류해서 땅과 재산을 보호하거나 폭력적으로 되돌려받았다.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사람들이 군도에 박살나거나 총으로 살해됐다. 그에 따라 긴장상태가 떠돌고 있었다. 40 사회적 불평등 문제와 그에 따른 갈등이 Jasykovo 지역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있는 상태였다. 41

1918년 여름에 Jasykovo에 독일군이 주둔했는데 독일군 장교들이 주도해서 자위대(Selbstschutz)을 만들었다. (물론 이 Selbstschutz는 2차 세계대전의 나치집단과는 다른집단이다.) 일부 젊은이들은 이 자위대(Selbstschutz) 활동에 참가했는데 Eichenfeld 마을에서도 젊은이들이 자위대(Selbstschutz)에 참가했다. Eichenfeld란 마을에선 Heinrich H. Heinrichs. 가 자위대(Selbstschutz)를 지휘했다. 이 마을에서 이 조직은 딱히 제대로 된 군사조직 형태를 띄지는 않았다. 그리고 붉은 군대도 이 마을에서 자기 방어 조직을 장려하기도 했다. 해당 조직이 만들어질 당시 볼셰비키가 이미 마을에 있었는데 볼셰비키 진영은 그 마을에 자위대(Selbstschutz) 결성을 장려하며 총을 보내주기도 하였다.

 

1919년에 소비에트 군대는 Jasykovo에서 무기를 넘겨줄 것을 요구했다. 자위대(Selbstschutz)의 대다수는 거기에 순종했으나 Eichenfeld 마을에선 무기를 숨겼다. 사실 Eichenfeld 마을 사람들은 볼셰비키에게 위협을 느꼈다. 볼셰비키는 부유한 지주를 인질로 잡아서 마을 사람들에게 "기부금"을 얻어내기도 하던 상황이었다.

 

1919년 7월에 볼셰비키는 Eichenfeld 젊은이들에게 소집을 명령했으나 그 젊은이들은 따르지 않았다. 다음날 아침에 소비에트 군대가 Eichenfeld를 포위했다. Heinrichs는 소비에트 군대를 도적으로 착각하고 총을 쏴서 격퇴했다 . 이후 Heinrichs는 예카테리노슬라브(Ekaterinoslav)에 대표단을 보내 사과를 하고 해명을 하였다. 이후 볼셰비키 측에서 사람을 보내 조사했고 이후 다른 일이 벌어지지는 않았다. 비슷한 시기에 Jasykovo 지역의 중심지인 Nikolaipol에 소비에트가 설립됐다. 소비에트 설립을 주도한 건 Snissarenko였다. 여기서 한 사건이 일어났다. 'Heinrichs의 동지 Daniel Hiebert가 Selbstschützler을 소비에트에 팔아넘기는 것 아니냐'는 판단이 Heinrichs 측에서 일어났다. Heinrichs 일행은 Daniel Hiebert, Snissarenko를 포함한 소비에트 인물 4명을 살해하기로 하였고 그중 3명을 살해했으나 한명은 간신히 탈출하고 윗사람에게 알렸다. 이후 Heinrichs 는 Eichenfeld를 얼른 벗어나서 도망갔다. 소비에트 진영은 대표단을 Eichenfeld에 보냈고 대표단은 문제를 조사했다. 이 조사에서 무언가가 나오지 않았다. 이 당시만 해도 이에 따른 소비에트 진영의 보복은 없었다. 42

 

1919년 11월 8일 아침. 마흐노주의자 군대들은 예카테리노슬라브(Ekaterinoslav)로 가는 도중 Jasykovo 마을을 지나갔다. 이 때 마흐노주의자 군인들은 주변 마을과 무언가 소통을 하였다. 예를 들면 이전에 Eichenfeld 마을에 강도짓을 시도한 사람들이 있었는데 그 사람들이 마흐노주의 군대에 합류하기도 했다. 43

 

아침 10시쯤에 마흐노주의자들은 Heinrich H. Heinrichs로 추정되는 사람을 죽였다. 마흐노주의자들이 죽인 사람은 실제로는 Heinrichs가 아닌 Heinrichs의 아버지였다. 44

 

해질녘에 마흐노주의 군인들이 Eichenfeld 마을을 봉쇄했다. 마흐노주의자들은 Eichenfeld 마을에서 땅을 가진 인물들 모두 죽이기로 하였다. 정확히는 16세가 넘으면서 땅을 갖고 있거나 그런사람들의 아들들을 모두 죽이기로 하였다. 45 

 

그 학살당시 한 주문이 있었는데 그건 "노동자, 여성, 아이들은 해치지 말라"였다. 46 "노동자, 여성, 아이들"같은 사회적 약자는 제외하고 철저하게 땅을 가진 남자들만 골라서 없애버리는 게 그 현장에 있던 마흐노주의 군인들의 목적이었다.

 

그 학살 현장에 땅이 없으면 살 수 있었다. 그리고 땅이 없으면 집 안에 있는 모든 가족들이 살 수 있었다. 땅이 없는 게 분명한 사람은 아예 건들이지 않았으며 의심이 되는 사람은 총을 겨냥해 심문을 하고 주변인들이 증언을 해주면 풀려날 수 있었다. 그러나 땅이 있는 사람은 그대로 끌려가서 살해당했다. 47

 

처음에 남자 70명과 여자 5명이 죽었고 10동안 136명이 학살됐다. 48

 

마흐노주의자들의 학살이 끝난 뒤 주변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몰려와서 Eichenfeld 마을의 문과 창문들을 모조리 뜯어갔다.49 그리고 무자비하게 약탈했다. (약탈을 한 마을 주민들은 주로 Fedorovka 마을 사람들이었다.) 50

 

이 학살은 독일 메노파 사람들을 노린 인종학살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있으나 여러 증거로 볼 때 그건 증거가 부족하며 실제로는 남성지주만을 노린 조직적인 학살이였다. 51

 

Z728.jpg


희생자들의 묘지

 

 

4. 끝없는 내전에 좌절한 마흐노

 

 

KuzmenkoGalinaAndreevna.jpg


(Galina Kuzmenko의 사진)

1920년이 되자 마흐노는 테러와 전쟁의 폭력에 둔감해졌다. 이에 대해 교차검증되는 게  Galina Kuzmenko (마흐노의 아내) 와 Lev Golik의 일기장이다. 이 일기에서 1920년 2월~3월 사이 내용엔 교차검증되는 내용이 있다. 둘다 마흐노의 음주습관이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또한 Lev Golik에 따르면 이런 일이 있었다. 한 지휘관이 Galina Kuzmenko에게 시시덕거리자(flirting) 그 지휘관을 쏘려고하자 마흐노를 묶었던 기록이 있다.

 

그리고 두 사람의 일기에서 교차되는 내용이 마리엔탈의 독일 루터교 콜로니 ( German Lutheran colony of Mariental)였다. 1920년 3월 15일 기록에 다음과 같은 사건이 교차검증된다.

 

한 마을에 마흐노 측은 정찰병 두명을 보냈다. 마을의 민병대는 그 정찰병 두명을 사살했다. 그러자 마흐노는 마을에 사는 주민 30명을 끄집어내어 모두 처형하고 마을을 모두 불태워버렸다. 그말고도 일기장에는 수십건의 처형기록이 있다고 한다. 52

 

1920년 6월에 브란겔 남작은 마흐노와 협상을 하고싶어했다. 브란겔 장군은 협상을 위해 사람을 파견했다. 그러나 마흐노는 그냥 돌려보내지도 않고 그대로 처형해버렸다. 53 마흐노는 협상을 위해 온 사람에게 마흐노는 처형으로 답변을 하였다.

 

voline.jpg


(볼린의 사진)

볼린도 증언하길 마흐노는 무분멸한 술버릇과 과도한 폭력이 있다고 썼다. 그러나 마흐노주의자들의 보복이 두려워 특정정보는 보류한다고 했다. 54


5. 주석

 

1. 

폴 애브리치 지음, 예문 편집부 옮김, 1989, 『러시아 아나키스트 1917』, 도서출판 예문, 151쪽;
Sean David Patterson, 2013, 『The Makhnos of memory: Mennonite and Makhnovist narratives of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1』 (http://hdl.handle.net/1993/18110), 118쪽

 

2.

Sean David Patterson, 60~61


3.

Sean David Patterson, 2013, 82


4,

Sean David Patterson, 2013, 37~40


5.

Sean David Patterson, 2013, 83

 

6.

Sean David Patterson, 2013, 93


7.

폴 애브리치 , 1989, 16~17쪽


8.

Sean David Patterson, 2013, 42

 

9.

Sean David Patterson, 2013, 91


10.

Sean David Patterson, 2013, 91


11.

Sean David Patterson, 2013, 91~92

 

12.

Sean David Patterson, 2013, 94

 

13.

Sean David Patterson, 2013, 92

 

14.

폴 애브리치, 2004, 194~195;Sean David Patterson, 43~45

 

15.

Sean David Patterson, 2013, 92

 

16.

폴 애브리치, 1989, 145~146

 

17.

폴 애브리치 지음, 1989, 147쪽; 폴 애브리치 지음, 하승우 옮김, 2004,『아나키스트의 초상』, 갈무리, 196쪽

 

18.

Sean David Patterson, 59~60

 

19.

Sean David Patterson, 54

 

20.

Sean David Patterson, 2013, 89~90쪽

 

21.

Sean David Patterson, 2013, 65

 

22.

Sean David Patterson, 98

 

23.

Sean David Patterson, 72~73

 

24.

Sean David Patterson, 2013, 99

 

25.

폴 애브리치 , 1989, 153~154; 폴 애브리치, 2004, 199) (Sean David Patterson, 2013, 『The Makhnos of memory: Mennonite and Makhnovist narratives of the Russian Civil War, 1917-1921』 , 116)

 

26.

폴 애브리치 , 1989, 156쪽; 폴 애브리치, 2004, 200쪽

 

27.

Sean David Patterson, 2013, 112~113

 

28.

Sean David Patterson, 2013, 116

 

29.

Sean David Patterson, 2013, 64

 

30.

Sean David Patterson, 2013, 64~65·120 

 

31.

Sean David Patterson, 2013, 120

 

32.

Sean David Patterson, 2013, 64

 

33.

Sean David Patterson, 2013, 121

 

34.

Sean David Patterson, 2013, 121~122

 

35.

Sean David Patterson, 2013, 122

 

36.

Sean David Patterson, 2013, 122

 

37.

올랜도 파이지스, 2017, 『혁명의 러시아 1891~1991』, 도서출판 어크로스, 174 · 439의 주석 7

 

38.

이완종, 2011, 「상징과 소비에트 정치문화」, 『아시아문화연구 』 21, 240쪽

 

39.

이완종, 2012,『러시아 10월혁명사』, 선인, 105쪽

 

40.

Sean David Patterson, 2013, 127~128

 

41.

Sean David Patterson, 2013, 128

 

42.

Sean David Patterson, 2013, 113~116

 

43.

Sean David Patterson, 2013, 124·126

 

44.

Sean David Patterson, 2013, 124

 

45.

Sean David Patterson, 2013, 124

 

46

Sean David Patterson, 2013, 125

 

47

Sean David Patterson, 2013, 125

 

48

Sean David Patterson, 2013, 124

 

49

Sean David Patterson, 2013, 124

 

50.

Sean David Patterson, 2013, 126

 

51

Sean David Patterson, 2013, 132

 

52

Sean David Patterson, 2013, 67

Galina Kuzmenko의 일기가 참이라는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는 여러개이다. 
“Both the director of the Gulyai-Pole Museum and a living relative of Makhno expressed to me a firm personal belief in the diary's authenticity. Dr. Felix Schnell, who has consulted the original diary in the Moscow archives, likewise considers it authentic. Dr. Felix Schnell, e-mail message to author, February 7, 2011. The December 1, 1990, issue of Kazakhstanskaya Pravda published a story entitled "A visit to Makhno's daughter". When the reporter, A. Votchel', asked Yelena what she thought of Galina's diary, which had just been re-published, she replied: "What's written there is all true. Mama said so many times. And the photos show mama and papa the way they were in real life, not the caricatures depicted, especially papa, in movies.” Malcolm Archibald, e-mail message to author, January 11, 2013.”(Sean David Patterson, 2013, 171)
그리고 Sean David Patterson 는 Lev Golik일기와 교차검증도 하였다.(Sean David Patterson, 2013, 35)

 

53

폴 애브리치 지음, 예문 편집부 옮김, 1989, 158

 

54

Sean David Patterson, 2013, 65

 

6. 사진의 출처

 

http://www.ditext.com/voline/unknown.html
https://en.wikipedia.org/wiki/Nestor_Makhno
https://libcom.org/history/belash-viktor-fedorovich-aka-bilash-1893-1938
https://libcom.org/history/makhnovists-mennonites-war-peace-ukrainian-civil-war
https://www.akpress.org/kontrrazvedka.html
https://chort.square7.ch/BEich.htm

 

1개의 댓글

잘 읽었소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13 [역사]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ver2 13 FishAndMaps 9 1 일 전
1212 [역사] 군사첩보 실패의 교과서-욤 키푸르(完) 1 綠象 0 2 일 전
1211 [역사] 아편 전쟁 실제 후기의 후기 3 carrera 11 5 일 전
1210 [역사] 미지에의 동경을 그린 만화 8 식별불해 5 8 일 전
1209 [역사] 왜 사형수의 인권을 보장해야만 하는가 72 골방철학가 62 16 일 전
1208 [역사] 세계역사상 환경적으로 제일 해를 끼친 전쟁행위 17 세기노비추적꾼 12 20 일 전
1207 [역사] 송파장과 가락시장 5 Alcaraz 9 22 일 전
1206 [역사] 미국인의 시적인 중지 4 K1A1 17 24 일 전
1205 [역사] 역사학자: 드래곤볼은 일본 제국주의사관 만화 17 세기노비추적꾼 13 27 일 전
1204 [역사] 애니메이션 지도로 보는 고려거란전쟁 6 FishAndMaps 6 2024.03.13
1203 [역사] [English] 지도로 보는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3 FishAndMaps 4 2024.03.08
1202 [역사] 지도로 보는 우크라이나 전쟁 2년 동안의 기록 9 FishAndMaps 12 2024.03.06
1201 [역사] [2차 고당전쟁] 9. 연개소문 최대의 승첩 (完) 3 bebackin 5 2024.03.01
1200 [역사] [2차 고당전쟁] 8. 태산봉선(泰山封禪) 3 bebackin 4 2024.02.29
1199 [역사] 일본에 끌려간 조선인 이야기 3 에벰베 6 2024.02.28
1198 [역사] [2차 고당전쟁] 7. 선택과 집중 bebackin 4 2024.02.28
1197 [역사] [2차 고당전쟁] 6. 고구려의 ‘이일대로’ 2 bebackin 4 2024.02.27
1196 [역사] [2차 고당전쟁] 5. 예고된 변곡점 1 bebackin 3 2024.02.26
1195 [역사] [2차 고당전쟁] 4. 침공군의 진격 1 bebackin 3 2024.02.25
1194 [역사] [2차 고당전쟁] 3. 몽골리아의 각축 1 bebackin 5 2024.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