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초등학생 수준으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

안녕 게이들!

4년전에 눈팅만하다가 그만왔었는데 읽을거리판에서 수출된 글들 보고서 오랜만에 놀다가 글이나 써볼까해서 왔어!


오늘 이야기할껀 '상대성이론'이야

듣기만해도 머리가 아프지? 


그런데 상대성이론의 기본개념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편이 아니야.

(그걸 수식으로 표현해내는 것이 미친듯이 어려운거지만....)

나도 전공자는 아니고 평소에 이런 과학적 이야기를 좋아해서 이해할 수 있는 교양수준에서 공부하고 있는 사람이야.

그렇기 때문에 아주아주 쉽고 차근차근 상대성이론에 대해서 이야기해볼까 해.

정말 수박의 겉핥기 수준이니 재미로만 읽어줬으면 좋겠어


퍼가는건 출처만 남기면 자유롭게 해도 돼! 


--------------------------------------------------------------------------------------------


중학교 고등학교 때 다들 한 번씩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대해서 배워본 적이 있을 거야.

속도가 빨라지면 질량이 늘어나고 길이가 수축하고.... 솔직히 이해도 안되고 개소리같애서 책 덮은 적 많았을거고.

대신 "이게 핵폭탄을 만든 공식이래!"하면서 'E=mc2'만 외워서 여기저기 써보기도 했을거야.(나만 그랬나?ㅋㅋ) 



상대성이론 생각하면 주로 떠올리는게 이거지. 

여기서

E는 에너지를

M은 질량을

C는 빛의 속도를 의미하고,


에너지는 질량 곱하기 광속의 제곱과 같다. 라는 건데....


솔직히 잘 모르는 사람은 

이게 뭔 개소리지 싶을꺼야.


그런데 사실 이거는 상대성이론이라고 하는 아인슈타인의 개념에서 도출된 수식이고,

상대성이론의 보다 근본적인건 이게 아니야.




사실 상대성이론의 핵심개념 자체는 그렇게 어려운 것이 아니야.



사실 상대성이론을 이해하기 힘든 것은 우리가 우리가 살고있는 세계의 법칙에 너무 익숙하기 때문이야.

상대성이론의 개념은 우리의 상식과 충돌해.

좀더 어렵게 말하자면, 우리가 익숙한 법칙인 '뉴턴의 법칙'과 충돌해.

시간과 공간은 절대적이다, 라는 것과 충돌하는 거지.

우리가 살고있는 시간은 누구에게나 똑같이 흘러가고 있고, 우리가 살고있는 공간은 누구에게나 같은 공간이다. 이거랑 충돌하는거야.

때문에 많이 공부한 사람일 수록 상대성이론을 받아들이기 힘들고, 오히려 아는 게 적은 순수한 어린아이일 수록 받아들이기가 쉽다고 해.


아인슈타인도 이걸 알았는지, 과학자들이 자신이 이론을 못받아들이는 건 그들이 너무 꽉 막혀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서 

자기 손녀에게 상대성이론을 가르치려고 '내손녀딸도 이해하는 특수상대성이론'이라는 책을 썼다고해 ㅋㅋㅋ 

그리고 그걸 손녀한테 읽게해보고 이해할 수 있냐고 물어보니까 손녀는

"다 이해했어요. 그런데 한 가지 모르는게 있어요. 관성계가 뭐죠?"라는 말을 했다고....뭐 믿거나 말거나..ㅋㅋㅋ



자 그럼 이제부터 하나씩 배워볼까?


일단 상대성이론의 핵심 개념은 이거 하나만 알면 돼.



빛의 속력은 항상 일정하다.


엄청나게 많이 들어본 말일꺼야. 빛의 속력, 즉 광속은 항상 일정하다.

그렇지만 이 말을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지 않아.

'항상'이라는 부분이 걸리는 거거든.


그럼 이걸 머리속에 넣어두고, 한번 상상을 해볼께



자 지금 우리는 가만히 서있어.

그럼 움직이는 기차와 버스는 어떤 속력으로 보일까?


당연히 

버스 = 시속 50km

기차 = 시속 100km 

이렇게 보이겠지? 우리는 서있으니까


그럼 만약에 버스에서 기차를 보면 어떻게 보일까?


같이 가고 있으니까 같은 방향으로 가고있는건 그만큼 느리게 보이겠지?

자기 속력을 뺀만큼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일테니까.

차를 타고 옆에 같은 속력으로 지나가는 차를 보면 멈춰있는 것 처럼 것처럼말이야.


버스에선 기차가 시속 50km 로 보일꺼야.


그럼 버스에서 우리를 보면 어떻게보일까?

마치 뒤로 움직이는 것처럼보이겠지? 

버스한테 가만히있는 사람은 50km 속력으로 뒤로 가는 것처럼 보일꺼야.


여기까진 상식적인 우리의 관념이야.

어려운거 없지? 어려우면 초등학교 다시 가고.....


그럼 이제 시작할께

이렇게 가정해보자.




자 이제부터 저 기차의 이름은 '빛'이야.

원래 빛이라면 시속 약 29만9,600㎞의 속도로 움직이겠지만,

지금은 산수를 편하게 하기 위해서 시속 100km의 속력로 움직이고 있다고 가정해볼께.


자 아까랑 똑같이 해보자.

서있는 우리한테 빛은 어떤 속도로 보일까?

당연히 시속 100km로 보일테지? 여기까지는 아까랑 똑같애.


근데 이번에는 버스에서 어떻게 보일지 생각해보자.


단순 산수라면 아까처럼 기차가 시속 50km의 속력으로 움직이는 것 처럼 보일꺼야.

그런데 처음에 한 말 기억해?


빛의 속력은 항상 일정하다.


빛의 속력는 항상 일정해야해.

이게 무슨말이냐면


니가 어떤 속력으로 움직이고 있던간에 빛은 똑같은 속력으로 보여야해.


그럼 너가 버스에 타고 움직이면서 빛을 봐도

빛은 시속 50km로 보이는게 아니라 시속 100km로 보여야한다는 거야.


상상이 안되지? 우리의 물리법칙과 충돌한다는게 이 지점이야.

그럴땐 우리의 현실을 잊고그냥 그렇다고 생각하는게 좋아. 그럼 이해할 수 있어.


자 근데 어떻게 하면 빛의 속력이 시속 100km로 보일까?

갑자기 빛이 두배로 빨라지는 건 아닐테고말이야.


자 그럼 한번 초등학교 때 배웠던 속력 공식을 떠올려봐


거리= 속력 x 시간


기억나지?

간단하게 생각해서 시속 100km로 한시간을 가면 100km를 간다라는 거야. 어려운건 아니지.


이제 다시 생각해봐.

어떻게 하면 빛의 속력이 시속 100km, 즉 두배의 속력로 보일까?


답은 간단해


시간이 두배가 되면 돼.

 


버스에 타고있는 사람이 두시간을 한시간이라고 느끼면 빛은 50km의 두 배인 시속 100km로 보일꺼야.

즉 버스에 타고 있는 사람의 시간이 느려진다는 거야.

그래서 광속으로 움직이는 사람은 나이를 덜먹는다라는 이야기가 나오는거지.

인터스텔라에서 보면 어떤 행성에 갔더니 한시간이 10년이 되고 그러잖아?

그건 상대성이론에 따라 중력 = 속력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인데 그 이야긴 다음에 하도록하고,

아무튼 중력이 강함, 즉 속력이 빠르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이 느리게 가는거야.


공간은 마찬가지로 반으로 줄면 되긴 하는데, 이건 시간이 느려지면 상대적으로 같은거기때문에 설명은 넘어갈께.



자 초등학생수준으로 이해할 수 있게 써봤어.

물론 이게 직관적으로 이해할 순 없을테지만, 실제 우리 세상은 그렇게 되어있어.

이 개념에서 출발해서 중력이나, 시공간 등 다양한 이야기가 있지만, 그건다음에 하도록할께.


그럼 이만!




=======================================================

오류에대한 수정(착한 게이가올려준 글을 가져왔음)


오류가 있는 것 같아서 하나만 얘기해보려구. 지적질 같으면 미안..
내가 이상하게 이해한거면 보충설명해주면 감사.

[거리 = 속력 x 시간]이라는 수식을 바탕으로 설명을 풀고,
"속력"과 "시간"에 변화를 준다면 "거리"는 고정값으로 두고 이야기 해야겠지?
그럼 글에 쓴것처럼 속력이 두배가 되고 시간도 두배가 될게 아니라
속력이 두배, 시간은 절반이 되어야지.

근데 글쓴 우리 고자성님 게이가 설명해둔 말은 또 맞는 말이여.

왜 이런일이 생겼나 하고 찬찬히 뜯어보니까
속력의 대상과 시간의 대상이 다르더라.

속력이 두배가 된 대상 = 기차
시간이 두배가 된 대상 = 버스

=======================================================================

내 생각대로 오류를 정정해서 설명하면

1. 버스가 50km의 속력으로 움직이면서 버스는 서 있는 사람에 비해서 시간의 흐름이 느려졌어
(시간의 상대성,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린 물체보다 시간의 흐름이 느리다. - 상대성 이론의 내용 중 하나지?)
그러므로 버스에서 한시간이라고 느낀 시간은 사실 서 있는 사람에게는 한시간 이상의 시간인거지.
반대로 이야기해서 서 있는 사람이 한시간이라고 느끼는 동안 움직이는 버스 안에서는 한시간 미만의 시간을 보내게 되지.

2.서 있는 사람이 한시간이라고 느끼고 기차가 100km를 이동하는 동안
1번의 내용에 의해서 버스에서는 한시간 보다 적은 시간이 흘렀어.
즉, 실제로 기차는 빛의 속도로 같은 거리(100km)를 이동했지만
서 있는 사람이 보는 것에 비해서 버스에서는 적은 시간의 흐름을 느꼈기 때문에
거리 = 속력x시간 <- 이 수식에 의해서 서 있는 사람보다 빛의 속도를 더 빠르게 느낀거야.

3. 숫자로 정리하면

(1) 서 있는 사람의 기준
(기차의 이동"거리") = (기차의 속도이자 빛의 "속도") x (서 있는 사람이 느낀 "시간")
100km = 100km/h x 1시간

(2) 버스안에 있는 사람의 기준
(기차의 이동"거리") = (버스에서 보는 기차의 "속도") x (버스 안에서 느낀 "시간")
100km = Vkm/h x 시간T

여기서 T는 1시간 미만이 됨을 설명해 주는것이 상대성이론이며
이것에 따라 버스에서 기차를 봤을때도 역시 기차가 100km/h의 속력으로 멀어져 가게 느껴지려면,
즉 기차와 버스의 상대속도를 100km로 맞춘다고 하면, 버스에서 느끼는 기차의 속력은 버스 자신의 속력 50km를 더해서
150km/h 가 되어야 해.

이에 따라 (2)번의 식에서 V에 150을 대입하면
기차가 100km를 가는 동안 서 있는 사람이 보내는 1시간에 비해서 버스에서 보내는 시간은 2/3시간으로 줄어야 함을 알 수 있어.

따라서 글쓴이의 설명처럼
[거리 = 시간 x 속력]
이라는 수식을 활용하고자 한다면

동일한 거리를 움직이는 기차(빛)를 버스에서 볼때 가만히 서서 볼때에 비해서 [[[보낸 시간이 줄어서]]]
속력이 빨리진 것 처럼 보인다고 설명을 해 주어야지
속력이 늘어났는데 시간도 늘었다고 설명해주면 안되.

그리고 내 계산에서는 속력이 두배가 아니라 1.5배가 되었지?
그건 계산식에 쓰일 속력값은
버스에서 바라보게 되는 상대속도가 아니라
서 있는 사람이 보고 있는 걸 기준으로 삼는 절대속도를 사용해야 해서 그래

상대속도는 "버스에서 기차의 상대속도가 50km로 보여야 하는데 100km로 보인다"가 되니까 두배인거고
절대속도는 "서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기차가 100km로 움직여야 하는데 버스에서 보는 상대속도가 100km이니 버스의 속도 50과 더해서 기차의 속력이 버스안에서는 서 있는 사람을 기준으로 150km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가 되니까 1.5배.

왜냐면, 기차(빛)의 속도와 버스의 상대속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버스의 속력 50km를 계산에 집어 넣어야 하는데 이 버스의 속력이라고 정해둔
50km라는 수치가 이미 서 있는 사람이 바라본 버스의 속력이니까. 기준을 서 있는 사람 하나로 통일해서 수식에 넣어줘야 함.
=======================================================================
개드립 - [초등학생 수준으로 이해하는 상대성이론] 글의 오류에 대하여 ( http://www.dogdrip.net/83255373 )


52개의 댓글

2015.10.19
@베게베게베게내놔
물1에서 상대성이론 물2에서 양자역학

대충 개념이랑 이런것이다 하는 방정식정도 나옴

14년도에 그랬음
0
2015.10.24
물리 하십쇼 여러분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63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6 LinkedList 9 4 일 전
562 [과학] 번역)새들은 왜 알을 많이 낳는가? - 후투티의 형제살해 습성... 7 리보솜 3 27 일 전
561 [과학] 학계와 AI, 그리고 Bitter Lesson (쓰라린 교훈) 26 elomn 35 2024.02.17
560 [과학] 지구의 속삭임, 골든 레코드의 우주 9 Archaea 10 2024.02.16
559 [과학]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1> 절망의 구덩이 19 개드립하면안됨 37 2024.02.15
558 [과학]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이 땡기는 이유 12 동식 16 2024.02.10
557 [과학] 지능은 모계유전이 아니다. 40 울릉특별자치도 35 2024.01.26
556 [과학] 진화를 생각할 때 고려할 것들 23 날씨가나쁘잖아 12 2024.01.17
555 [과학] 학문적(과학적) 접근과 유사 진화심리"학" 26 날씨가나쁘잖아 19 2024.01.15
554 [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야릇한 은폐된 배란에 대한 남녀 학자의 다... 14 개드립하면안됨 15 2023.12.29
553 [과학]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읽고 느낀 점 (스포있음) 21 장문주의 2 2023.11.28
552 [과학] 제4회 포스텍 SF 어워드 공모전 ( SF 단편소설 / SF 미니픽션 ) 2 따스땅 1 2023.11.25
551 [과학] 펌) CRISPR 유전자 가위 치료제 "최초" 승인 12 리보솜 7 2023.11.25
550 [과학] 러시아는 기술산업을 어떻게 파괴시켰는가(펌) 9 세기노비는역사비... 15 2023.11.18
549 [과학] 고양이에 의한 섬생태계 교란과 생물 종의 절멸 (펌) 2 힘들힘들고 6 2023.11.16
548 [과학] 번역)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12 리보솜 10 2023.11.15
547 [과학] 『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이 왜곡인 이유 (펌) 47 힘들힘들고 10 2023.11.12
546 [과학] 흑수저 문과충 출신 구글 취직하는 파이썬 특강 -1 14 지방흡입기 11 2023.09.27
545 [과학] 국가별 당뇨 유병율 이거 뭐가 바뀐건지 아는사람? 8 LAMBDA 1 2023.09.27
544 [과학] 물샤워 ㅇㅈㄹ 하는 놈들 봐라 171 철동이 48 2023.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