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퇴판,스압,혐,직접작성] 빨갛고 기다란 그것, 강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끈벌레에 대해서






오늘 포스팅할 자료는 2013년 3월부터 한강 가양대교 하류와 자유로 장월IC의 30㎞ 구간에서 다량으로 잡힌 정체불명의 벌레, '끈벌레'임.


발견지역.jpg



"벌레따위 밟아봤자임ㅋ" 이라며 조소를 날리는 모니터 앞의 너에게 한 마디 하겠음.

재생능력(regeneration)이 있기 때문에 밟아도 살아나는 개체가 대다수이며 이런 능력을 무성생식에 이용하기도 한다고...




으아니.JPG

으아니? ...그리고 연이어 떠오르는 한 생물.


플라나리아.jpg


플라나리아2.jpg

▲ 플라나리아. 어렸을 때, 강가에서 놀다가 플라나리아 재생능력을 보겠다고 잡아서 열심히 자르던 기억이...

나중에 알게 된 사실이지만 절단시 바로 재생되지는 않고 8~10일의 재생기간이 필요 하다고 함.



여튼 이런 무시무시한 끈벌레는 끈벌레과에 속하고 다른 말로는 ribbon worm임.


몸은 좌우대칭이고, 등․배쪽으로 납작하고 길며 끈모양을 하고 있어 끈벌레라고 불림.

모래나 개펄 속, 해조류 사이 또는 바위 밑에 살며 몸 길이는 20㎝를 넘지 않지만, 몇몇 종은 수미터가 넘으며 30m나 되는 종도 있어. 

몸은 머리와 몸통으로 나뉘며, 몸의 표면은 섬모나 큐티클로 덮여 있고, 꼬리는 뾰족함.

체색은  연한 청자색·암자색·자갈색·황갈색 등이 있음.


끈벌레2.jpg


끈벌레5.jpg 


끈벌레6.jpg


끈벌레8.jpg

▲ 여러 끈벌레의 사진


한강에서 대량서식하는 끈벌레는 주로 바다에 살며 20~30㎝ 정도 크기를 자랑함. 

대개의 끈벌레는 모래와 펄, 해조류 사이, 바위 밑에 서식하며 신경계 독소를 뿜어내 마비시키는 방법으로 환형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 어류를 먹는다고 함.

하지만 국내의 끈벌레는 보통 끈벌레가 갖고 있다고 알려진 삭시톡신(마비성패류독소)과 테트로도톡신(복어독)을 갖고있지 않음.



끈벌레18.png

A. 먹이를 잡기 위해 구문(口吻, proboscis)을 뻗은 얼룩끈벌레류(Amphiporus)

B. 끈벌레(Lineus alborostratus)의 외형. C. 끈벌레의 유생.


머리에는 안점·평형기 등의 감각기가 있으며, 

앞쪽에 주둥이라고 할 수 있는 길다란 근육질 관이 있어서 먹이를 발견하면 이것을 재빨리 길게 뻗어 먹이를 움켜잡음


Lineus bicolor.jpg 

▲ 앞서 설명한 끈벌레의 주둥이 (근육질의 관)


체강이 없으며, 근육층과 내장기관들 사이는 부드러운 조직으로 차 있음.

소화계는 잘 발달되어 있어, 입에서 시작하여 식도·장·항문으로 이어짐. 길다란 혈관이 두세 줄 있고

암수딴몸이며, 몇몇 종은 암수한몸이다. 알은 부화하여 유생 단계를 거치면서 변태를 하여 성체가 됨.



그리고 또 하나의 소식.




끈벌레의 유전자는 연두끈벌레과에 속하는 종의 하나인 ‘Zygeupolia rubens’이란 종과 근연(近緣)관계를 보이지만, 

전체 유전자의 85%만 같고 나머지 15%는 다르게 나타났다고 함.


따라서 이 끈벌레는 전세계적으로 처음 보고되는 신종일 수도 있다는 얘기.


끈벌레연두.JPG

▲ 연두끈벌레



이번에 발견된 끈벌레는 형태적 특성으로 볼 때 끈벌레류로 추정되나 

유전자분석 결과 기존에 보고된 끈벌레와는 유연관계가 멀어 정확한 분류에는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끈벌레는 세계적으로 1천200여종이 보고되고 있으나 국내에는 남해 연안에서 연두끈벌레 등 10종 정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었음.


끈벌레.jpg



그럼 이 수많은 개체의 끈벌레들은 어민들에게 어떤 피해를 줄까? 


한강과 임진강에서 매년 봄 양식할 치어잡이를 하는 어민들은 끈벌레 때문에 실뱀장어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


김병수 총무는 “37년 넘게 조업했는데 끈벌레가 이렇게 많이 잡히는 경우는 처음이고, 

끈벌레 개체수가 늘면서 뱀장어 치어(실뱀장어) 등 어획량이 크게 줄었다”고 말함.


한강 경기도 구간에서 실뱀장어 잡이를 하고 있는 박찬수(54) 고양시 행주어촌계장도 “끈벌레가 실뱀장어를 독사시킨다”고...


이들의 주장처럼 어획량 감소와 끈벌레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일까?


파주, 고양, 김포에서 조업하는 어민들의 주장은 이구동성으로 끈벌레 때문이라고 주장함.

어민들의 말을 종합해보면, 3~4년전부터 끈벌레가 조금씩 늘면서 

반대로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한 실뱀장어 어획량이 최근 10분의 1수준까지 줄었으며

임진강의 명물인 황복은 절반 가까이 감소했고, 빠가사리(동자개), 메기, 숭어 등의 어획량은 30% 정도가 줄었다고 함.


끈벌레10.jpg 


끈벌레11.jpg 


끈벌레12.jpg 


끈벌레13.jpg 


끈벌레14.JPG  

▲ 끈벌레에게 당한 희생자들. 위쪽에서 부터 실뱀장어, 황복, 빠가사리(동자개), 메기, 숭어


박 어촌계장은 “매년 4월 말이면 한번 조업에 실뱀장어를 많게는 1천500마리~1천600마리 이상 잡았는데 지금은 100여마리를 넘지 않는다”고 했고

김 총무도 “황복 어획량은 50% 정도가 감소했고 7~8년전 하루 200~300kg 잡히던 숭어도 올해에는 60~70kg으로 줄었다”고 함.


끈벌레7.jpg


끈벌레9.jpeg

▲김병수 파주어촌계 총무가 27일 파주시 문산읍 통일대교~초평도 임진강 구간에서 잡은 끈벌레.

가장 위쪽에 있는 벌레는 갯지렁이이며 아래쪽 3마리는 한강 등에서 잡힌 끈벌레와 같은 종류이다. 박재구기자



이들은 “그물을 걷어올리면 어획량의 90%가 끈벌레”라며 “맨손으로 만지면 손끝이 저리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으로 볼때 점액에 독성이 있고, 

이 독으로 실뱀장어 등 치어를 사냥하기 때문에 끈벌레 개체수가 늘면서 어획량이 줄어든 것 같다”고 주장함.


왜 어민들의 주장과 연구 결과가 다를까?

내 생각엔 저 끈벌레가 갖는 독은 일반 끈벌레가 갖는 독(삭시톡틴, 테트로도톡신)이 아닌, 다른 독을 갖는 것 같음.


그렇다면 이 끈벌레는 과연 어디서 온 거지?

임진강 파주시에서 조업을 하는 이시운씨의 말에 따르면 

임진강 하류보다 상류에서 더 많이 잡히는 것을 봐서는 바다에서 올라온 것은 아닌 것 같다고 함.

이 끈벌레는 3~4년전 건립된 자유로 폐수처리장에서 나오는 오염된 물 때문인 것으로 추정 된다고 함.


즉, 오염된 수질에 의해 급격히 번식하게 된 것임.

항상 받기만 하는 우리가, 아파하는 강이 본래의 모습을 되찾을 수 있도록

기업체는 양심을 지키고, 우리도 친환경적인 제품을 사용해서 강의 괴변을 막도록 하자ㅋ


끈벌레15.jpg


자연은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 우리 자신을 배신하는 것은 항상 우리들이다.





직접 번역 및 정리한 글인 만큼 퍼가실 때 출처는 남겨주시길 바랍니다.

번역 및 정리 : dogdrip.net 이과


충북대 박중기 교수

위키피디아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

중부일보 최상철, 김만구, 이복진, 박재구기자

SBS CNBC 

한강사업본부

www.nfqs.go.kr

다음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뉴시스 [email protected]

http://blog.naver.com/kiss5645/140167828184

http://eol.org/pages/474041/hierarchy_entries/38931398/overview







오랜만에 와서 자작글 하나 남기고 감. 급하게 쓰느라 필력 종범..


나를 반기는건 고맙지만 일부 개드리퍼들에겐 친목으로 보여 눈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적당히 해줬으면 좋겠다ㅎㅎ

이런 말 했다고 실망하지 말고ㅋ 읽게이들 많이 아낀다.




15개의 댓글

2013.06.20
친목 너 밴.



은 지랄이고. 이거 뭐냐 대체. 난 저런 생물이 있다는걸 처음 들어봤네
0
ㅁㄴㅇ
2013.06.21
실뱀장어가 줄어가는 가장 큰이유는 쓸모없는 하천 정비 사업이다.
쓸모없는 제방, 턱 수문건설로 유속이 느려져 오염이 심화되고
설치된 어로는 대다수가 환경조사없이
그저 성체 연어를 기준으로 설계.
즉 바다에서 태어나 상류로 회귀하는 실뱀장어의 경우
제방을 넘지못하고 입구에서 죽는 경우가 허다함.
0
2013.06.21
개불인줄알았다
0
2013.06.21
해부도 왼쪽의 암컷 수컷은 C.elegans같은데
0
2013.06.21
@로터
수정완료.
0
2013.06.21
잘 읽었어 고마워
0
2013.06.21
바다든 강이든 상황이 별로 다 안좋은듯
어획량하고 수온때문에 잡히는 어종도 다른 것 같고
제철도 바뀔거 같다
0
2013.06.21
존나 꼴뵈기 싫게 생겻네
0
2013.06.22
가려워 가려워 우어어
0
2013.06.22
얼핏보면 지렁이같이 생겼네

이과성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감동했어요ㅠㅠ

읽판엔 역시 이과성님이시져!
0
2013.06.22
이과오랜만에 보네
0
2013.06.22
나 니 팬이야
0
ㅁㄴㅇㄹ
2013.06.22
생물학도로서 한가지 지적을 하자면 유전자의 90% 이상이 같아야 같은 종으로 본다고 했는데 수정 부탁. 끈벌레에 한해서 그런건지는 내 지식이 짧아 모르겠지만 그렇다면 끈벌레에 한해서 그렇다고 표시해주면 고맙겠어. 항상 좋은 글 ㄱㅅㄱㅅ 재밌게 읽고있음 :)
0
2013.06.22
@ㅁㄴㅇㄹ
나도 그렇게 생각함. 동일한 종인지, 근연종인지에 관한 건 유전자 유사성 %만으로 따질 수 없는데
뭔가 미심쩍지만, 끈벌레에만 한정된 정보인 듯 하여 본문에 넣어봤었음.
더 논란이 될지도 모르니 해당 내용은 수정하도록 함.
0
2013.06.23
삭시톡신이랑 테트로도톡신 보니까 먼가 좋네 배운게 나오니

베네루핀 크크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204 [자연] 일본 대지진 임박? 39 아롱사태 17 24 일 전
203 [자연] 우리나라 여성과 남성의 수명 17 HARRYP0TTER 11 2024.01.26
202 [자연] 2023년 사진 정리 17 닉으로드립치고싶냐 13 2023.12.31
201 [자연] 2022년 사진 정리 29 닉으로드립치고싶냐 16 2023.01.01
200 [자연] [데이터주의] 나도 사진 몇장 올려본다 15 비상금$€£¥₩ 5 2022.12.02
199 [자연] 내가 찍은 가을 겨울 사진 봐주라 31 iliiilllilllil 21 2022.12.01
198 [자연] 아래 가을 사진 라이트룸 조금 보정한거 6 미장서학개미주린이 2 2022.12.01
197 [자연] 서천 국립생태원 방문기(사진 많음, 50mb) 13 綠象 10 2022.10.01
196 [자연] 외계 도시로 의심되는 해저도시에 얽힌 미스터리 19 MiP 27 2022.09.23
195 [자연] 숲 속의 세 사신 10 매드마우스 2 2022.08.08
194 [자연] 오봉산 5 렙째주시중 3 2022.02.10
193 [자연] 눈의 구조적 문제와 그로 인한 착시 18 월급받으며개드립하기 18 2022.01.29
192 [자연] 키우는 도마뱀 새끼태어났다 43 스누피엉덩이를핥... 51 2021.12.29
191 [자연] 별보러 가고 싶은 개붕이들에게 60 날조와선동 50 2021.11.07
190 [자연] 돌아온 친칠라(쥐)에 대해 알아보자 의식주편 파이널 13 승희의은밀한비밀 14 2021.07.13
189 [자연] 한반도에 존재하는 3대 활화산 15 하롱 6 2021.06.12
188 [자연] 은행나무의 신비 18 하롱 15 2021.06.04
187 [자연] 야 꿀벌! 7 나는 미남이다 3 2021.05.28
186 [자연] 내가 찍은 펭귄도 봐라 4 대나무표효자손 5 2021.03.23
185 [자연] 내가 찍은 펭귄도 보고가라 12 년남음 6 202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