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드립

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당신의 두뇌 1mm3을 재현하는데 드는 용량

1715567174_뇌.png

SmartSelect_20240513_130234_Samsung Internet.jpg

  세제곱 밀리미터(좁쌀크기)의 사람뇌조직의 나노미터 해상도의 3차원 입체구조 규명. 뇌수술을 받은 기증자로 부터 얻은 조직을 34나노미터 단위로 잘라 5000장의 시료를 제작, 전자현미경사진을 얻고 AI로 이미지를 조립. 총 1.4 페타바이트의 이미지가 생성.

 

이 안에는 57000여개의 세포와 1억5천만개 이상의 시넵스가 존재한다고. 
한 뉴런의 경우 5600개의 엑손으로 50개의 다른 뉴런과 연결되기도 함.

 

사람 뇌의 백만분의 1 구조 확인하는데 1.4 페타바이트가 소요. 단순 계산으로는 전체 다 하려면 1.4 제타바이트 필요.(1.4경 메가바이트)

 

 

뇌의 100만분의 1 (1mm3)= 1.4 페타바이트 = 1400 테라

 

출처: 네이처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4-01387-9

129개의 댓글

2024.05.13

잊고싶은게 너무 많아요..

0
2024.05.13

이래서 인간의 뇌가 가장 효율이 좋은 컴퓨터라고 하는구나

0
2024.05.13
@겜신병자

수냉을 몇만년전부터 했다고 ㅋㅋㅋ

0
2024.05.13

뇌 오가노이드 기술이 발전하면 생체 수냉 디스크가 만들어진다는거지?

0
2024.05.13

저렇게 복잡한데 이렇게 멍청하다고?

4
2024.05.13

읽고쓰기가 안되서 그렇지

저장만되는듯

0
2024.05.13
@오브

맞아 저장은 됐는데 로드가 안돼

0
2024.05.13
@오브

돼서

0
2024.05.13
@오브

조각모음 안해서 그런듯

0

시발 기계 좆밥이었네

0
2024.05.13

SEX 3글자면 된다.

1KB면 될것이다

0

이제 여기다 기계칩 박으면 얼마나 쩔까?

0

뇌 용량이 아니고 뇌를 찍은 이미지의 용량임..

1
2024.05.13

이러니 워해머에서 사람이 컴퓨터짘ㅋㅋㅋ

1
2024.05.13
@어휴극혐

이단이또

0
2024.05.13

동일부피의 1mm^3 두부를 34nm로 슬라이싱해서 5000장의 시료를 제작해서 똑같은 과정을 거치면 똑같은 데이터 크기가 나올거임

21
2024.05.13
@NaqDec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0
2024.05.13
@NaqDec

휴 마음이 편해졌다

0
2024.05.13
@NaqDec

ㄴㄴ 두부는 훨씬 줄어들 수 있음. 고유한 의미를 가진 데이터가 줄어드니까.

동일한 패턴으로 반복되는 부분은 중복되는 만큼 데이터를 줄일 수 있고, 유사한 부분도 의미가 없다면 손실 압축 가능함. 알고리즘을 잘 짜면 유추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부분도 늘릴 수 있고

2
@기억력강퇴

두부도 저렇게 현미경으로 보면 중복되는부분 없을것임 단백질 결정이니깐

8
2024.05.13
@후배위하는여대생

단백질 '결정'..

높은 엔트로피를 갖는 단순 결정 반복 구조는 정보량 관점에서 무의미한 크기임

3
@기억력강퇴

정보량 관점에서 무의미하던말던 5000장 시료 제작해서 똑같은 과정 거치면 저만큼 용량 나옴 두부던 대변덩어리던 상관업슴

0
2024.05.13
@후배위하는여대생

처리되지 않은 raw데이터의 1차적 관점에선 같은 용량으로 보여도, 거기서 고유한 의미를 가진 데이터는 뇌에 비해 훨씬 적으니까 '두부도 용량으로는 마찬가지임' 이라는 관점이 잘못 됐다는 얘기임.

흰색으로만 채워진 이미지와 사물을 촬영한 이미지가 있을 때, 표현되는 픽셀의 갯수는 같아도 이미지 용량은 크게 차이 나는거랑 같은거지. raw 비트맵이 아니라..

1
@기억력강퇴

굳이 저렇게 따질필요없이 인체 아무 부분 하나 똑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면 비슷하게 나옴

0
2024.05.13
@미슐랭3스타게이

EM데이터를 raw 개념으로 보면 그렇겠지만 엔트로피 높은 데이터는 실제론 낮은 정보량이라는 얘기임. 흰색 배경을 찍은 사진과 복잡한 사물을 찍은 사진은 같은 해상도여도 raw 비트맵이 아닌 실제 데이터는 적으니까 무손실 규격 기준으로도 용량은 훨씬 작잖아.

마찬가지로 신체도 어떤 부위를 찍느냐에 따라 데이터셋의 크기는 크게 차이남

0
@기억력강퇴

왤케 사족을 달아

그렇게 똒독했드면 의전원을 갔어야지 뭐 이런데서 아는척질을해

0
2024.05.13
@기억력강퇴

대략적인 예시로 생각해줘, 두부도 반복패턴 무시하고 Raw로 저장하면 똑같이 나올거임 아마

1
2024.05.13
@기억력강퇴

반대로 말하면 중복되지 않게 무작위로 데이터를 채워넣는다면 뇌보다도 무거워 질 수 있다는 거네

0
2024.05.13
@파카사탕

ㅇㅇ마즘. 추론이 불가능하고 데이터들이 각각 고유한 의미를 가지며 손실되면 의미가 사라지는 값이라면 뇌보다도 훨씬 무거워질 수 있지.

 

다만 그것도 표면적인 얘기고, 무작위 데이터가 각 요소마다의 연결 의미가 없다면 뇌의 데이터셋이 훨씬 무거워질수도 있음. 사실 그게 진짜 중요한 포인트이기도 하고..

요소간의 연결 뿐만 아니라 시간적 차원에 확률 차원까지 더해서 곱연산으로 계산해야 하니까 뇌 분석이 힘든거지ㅋㅋ가소성에다가..

1
2024.05.14
@기억력강퇴

이런 댓글은 개드립에 과분해.....

0
2024.05.13
@NaqDec

결국 우리는 모두 통속의 두부였다는 말이네..

0
2024.05.13
@NaqDec

존나 내가 하고싶은 말 똑같이 해줬다 너무 고맙다 진짜

0
2024.05.13

TEM 이미지 용량 + 드로잉 소프트웨어 이미지 용량임

뇌가 저만큼 저장할 수 있다는 말이 아님

0
2024.05.13
0

해상도 높이면 높이는데로 무한대로 이미지파일 용량증사하는거 아니냐 ㅋㅋ

0
2024.05.13

저건 그냥 해상도 문제 아니야?

0
2024.05.13

동물들도 저만큼 나오나?

0
2024.05.13

여기서 용량이라는건 단순히 이미지의 양×해상도의 개념이 아님. 데이터셋의 개념에 가까움. 예를들어 화강암이라면 반복되는 결정 구조가 존재해서 몇가지 조암광물의 패턴의 중복만큼 데이터셋을 줄일 수 있어서 실제 질량 대비 데이터셋의 용량은 뇌 대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사람의 뇌는 저만큼의 해석을 하는데 엄청난 데이터셋이 필요하다는 의미임. 어찌보면 단순 이미지 관점의 용량보다 그 거대함이 시사하는 바가 큼

2
2024.05.13
@기억력강퇴

아, 물론 이 글에서 얘기하는 1.4페타 바이트는 EM데이타 기준이니까 이미지 관점의 1.4페타가 맞음ㅋㅋ근데 1.4페타라는 이미징 데이터 용량의 크기가 뇌세포 데이터의 방대함에 대해 중요한 포인트는 아니라는 얘기임

3
2024.05.13
@기억력강퇴

ㅇㅇ 어떤 논지로 말하고자 하는지 이해함

0

예전에 인도영화중 엔드히란 이라고 로봇공상과학 영화 있는데. 여기 내용중에도 로봇의 저장소 용량은

제타바이트 단위의 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고 나오더라.

0
2024.05.13

이러니 폴더에서 불러오기가 안되지

0
2024.05.13

근데 난 왜 이리 멍청한거야

0
2024.05.13

코드명J에서는 뇌에다가 160GB 용량의 정보를 담았다가 과부하 걸려서 뒤지던데

0
2024.05.13

나는 저는아

0
2024.05.13

1mm^3

0
Emt
2024.05.13

사람뇌를 컴퓨터로 만들면 되겠네

0
2024.05.13

100여년간의 16K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그정도는 되어야지

0

그럼 사람 뇌로 컴퓨터 만들면 되는거 아님?

0
2024.05.13

그용량이그용량이아냐 멍충아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어느 미국인🇺🇸의 퇴근 후 일상 25 nesy 23 4 분 전
역대급 육아 끝판왕 엄마.jpg 14 Wingging 26 4 분 전
개붕이 피자도전 19 예가체프 29 4 분 전
전역기념으로 군대 썰 푸는 Bts 진.mp4 13 삼립호빵 20 6 분 전
✈️ 인천>뉴욕 비행하다가 문제생겨서 회항 ㄷㄷ.mp4 27 Wingging 30 8 분 전
지자체 소개팅 행사... 시대착오적 비판.jpg 64 뚜비두밥밤바바 49 10 분 전
동물원 사진 촬영 도우미 알바 22 슈슈파바 42 10 분 전
ㅇㅎ) 러시아 기상캐스터 방송사고.mp4 20 usuusi 36 10 분 전
냥냥녕녕 다리에 벌레가 달라붙음 21 붕따기 48 11 분 전
싱글벙글 메이드카페 근황...jpg 21 제주유리잔에담긴우유 43 11 분 전
중국에 판다 다큐 찍으러 간 한국 pd들.jpg 18 추천요정여름이o 36 15 분 전
싱가포르의 쓰레기 처리방법 33 저장함보기 34 15 분 전
보지 방언 모음 19 구라왕 27 15 분 전
ㅆㄷ) 오래된 캐릭터들이 망년회하는 manhwa 23 6월9일이생일임 32 16 분 전
배그 뉴진스 스킨 확률 주작 논란 23 2025 36 16 분 전
MC몽, 가요계 컴백한다…활동명은 '빌런36' 75 붕따기 34 17 분 전
2030대 설문조사... 주6일도 괜찮아.jpg 51 뚜비두밥밤바바 42 17 분 전
해커 때문에 개발 중지된 게임 7 iqujzvfagwno 24 17 분 전
동해 가스전 시추 🏗 작업비 120억💰 확보했다 42 nesy 33 18 분 전
킹오파 장거한 코스프레.gif 28 찬슬르아담 43 27 분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