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미로운 건 현재 AI의 발전 원리가 진화와 꽤나 유사한 원리이기에 나타나는 유사한 현상이라는 거임.
과거에 AI를 걱정하지 않았던 건 그 당시엔 정교화되어가는 방향으로 AI 발전할 것이라 믿었기 때문임.
하지만 지금은 오히려 진화에 가까운 방식으로 AI는 발전하고 있음. (물론 진화와 달리 '의도성'을 가지고 선별된다는 측면은 좀 다르지만) 진화한 인류 또한 그저 살아남았을 뿐이기에, 살아남은 우리가 우리의 작동방식과 행동원리를 모르듯, AI의 원리를 선별했을 뿐인 우린 알 수 없음..
정교화로 발전하는 기술은 예측가능성이 높고 위험이 터져도 예측가능했던 수준의 위험임. 하지만 선별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AI는 과정을 파악해 미리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가령 탈모 유전자가 자손번식이라는 필터에서 고려되지 않은 결과인 것처럼. 예측하기가 어려움.
감나무작대기
인간은 지식의 맹점을 추론으로 채워넣지만 AI는 논리적 퍼즐이 끼워지면서 모듈단위로 이해력이 상승해서 임계점을 돌파하는 기울기가 사람보다 높은게 아닐까
간지간지홍간지
오토마톤들이 또 수작질을..
착한말발사기
오토마톤?
착한말발사기
우두루
울트론은 실존한다
싱싱미역상태입니다
초전도치 언제만들어줄거야
니말이맞아
모든걸 다 알게 되면 신이 된다는건가?ㅋㅋ
다나까12
이해 못하는게 당연할듯... 인간에 아이디어를 쟤네는 학습으로 계산해내다가 어느순간 퍼즐 맞춰지듯이 결과내놓는걸텐데...
Literaly
'공부를 많이 하면 갑자기 똑똑해지는 순간이 오더라 근데 왜 그런지는 정확히 모름'
개드립인생
해피타임
못함 ㅋㅋ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님이 저 실험 하신분 중 한분인데 본인 입으로 원인은 나도 잘 모르겠다고 하심
ziok
몰라 난 그냥 알파고님한테 통치당할래
후와후와타임
호들갑
습관성데드립
퇴근하고 짚티한테 물어봐야지
고독한미식가
이거 보면 인류가 지능이 발달해서 의식이나 자아가 발현된게 저 알수없는 이유 때문이 아닐까하는 생각도 드네
긍정적인사고방식
ㄹㅇ 침팬지가 인간처럼 되지 못한 이유가 저 지점에 도달 못해서 일 수도
새로운모험
그부분도 AI에게 원인을 밝혀내라고 하면 할거 같은데
타불라라사
이건 기술 부족이 아닌 방향의 근본적인 문제임.
우리가 우리 몸의 호로몬같은 원인을 모르지만 움직이는 것처럼, AI도 그저 움직일 뿐임.
새로운모험
근본적인 문제라는 부분도 결국엔 데이터의 문제라고 보는데
데이터가 쌓이면 원인도 결국 알아낼 수 있으니까
그걸 제일 잘 하는게 AI고
타불라라사
AI가 데이터를 수집한 이후, '처리하는 과정'이 어떻게 되어 있는가? 과정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문제인지라. 데이터 문제가 맞긴 하죠
하지만, 아직까진 해당 영역을 대부분의 논문에서 과정은 몰?루로 넘어가고 있어서 유의미한 데이터가 거의 없긴 합니다.
아마 기술의 발달로 데이터가 언젠가 쌓일지라도, 처음은 사람이 하겠죠.
AI판단과정을 처리하는 AI판단과정을 모르니,
결과로 신뢰성을 찾는 AI한텐 미지의 영역으로, 대증법이 무의미한 데이터니까요.
야쿠르트좋아하니
진공관에서 여기까지 얼마 안걸린거같은데 AI거유미소녀쿨뷰티와이프는 코앞일지도
년이하루처럼
lIlIlIlIlIlI
이제 그 진공관에 넣고 ai거유미소녀쿨뷰티유부녀 베큠페라야스하면되는거지???
만년동안응어리진점호
제발...
룽니
binibin
평소랑 똑같은 프로그램이잖아
intelli
'왜 이게 되지?'
Emt
인공지능도 결국 사람 뇌를 모방한거니
반대로 사람도 저정도 양을 학습시키면
같은 현상이 일어남?
빵구똥구야
뇌 과부화 올듯
월급도둑
뇌 모방한거 아님
바바밥
온전히 모방한 게 아니라서
파라미터 1개랑 뉴런 하나를 동치로 볼 순 없긴 함.
오히려 뉴런이 더 뛰어나긴 하지.
가성비나 성능이나.
다만 각자 다른 방식의 지능이 아닐까 하는 의견도 있음
돈땃쥐
재밌다 이거
그러게, 진짜 같은 현상이일어나나
이미 일어난건가? 아직 아닌건가
새로운모험
정보양이 너무 많으면 인간이 따라 잡을 수가 없을듯
타불라라사
흥미로운 건 현재 AI의 발전 원리가 진화와 꽤나 유사한 원리이기에 나타나는 유사한 현상이라는 거임.
과거에 AI를 걱정하지 않았던 건 그 당시엔 정교화되어가는 방향으로 AI 발전할 것이라 믿었기 때문임.
하지만 지금은 오히려 진화에 가까운 방식으로 AI는 발전하고 있음. (물론 진화와 달리 '의도성'을 가지고 선별된다는 측면은 좀 다르지만) 진화한 인류 또한 그저 살아남았을 뿐이기에, 살아남은 우리가 우리의 작동방식과 행동원리를 모르듯, AI의 원리를 선별했을 뿐인 우린 알 수 없음..
정교화로 발전하는 기술은 예측가능성이 높고 위험이 터져도 예측가능했던 수준의 위험임. 하지만 선별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는 AI는 과정을 파악해 미리 예측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가령 탈모 유전자가 자손번식이라는 필터에서 고려되지 않은 결과인 것처럼. 예측하기가 어려움.
끄으앙
딥러닝 논문 특) 이유는 모름 ㅋㅋㅋ 암튼 이거 때려넣으니 됨
Rayless
주입식교육 당신이 맞았어..
opt
답을 잘 찾아내는 기계일뿐 생각하는 기계는 절대 못됨
NanoTFT
그 생각이란게... 보통 답을 잘 찾아내는데 쓰임..
미꾸락지
그건아닌게 이미 그림ai 작동방식이 노이즈이미지와 키워드를 주고 그걸 복원하라 지시하는건데
이 경우 확실한 정답을 누구도 제시하지 못하기에 결국 ai는 자기가 가장 근접하다 상상한걸 내놓게됨
이경우 인간의 생각이 상상력을 뜻할때 ai는 생각하는 기계가 맞음
monti
고도로 발전된 바둑 ai의 수와 생각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새로운모험
프로그래밍의 차이일듯
단순히 어떤것을 학습시킨 프로그램이랑
자율학습으로 프로그래밍한거랑은 좀 다를듯
인간도 마찬가지일거고
현자
ai 보고 알아보라 그래
스크립트돌리다밴당함
본격적으로 분석하기 시작하면 데이터 출처부터 문제가 발생하고, 시장성이 없으니까 분석을 안 하는 거임
사실상 책임 회피용 멘트니까 심각하게 고민 ㄴㄴ
바바밥
그거랑 별개 이야기야.....
호빵만이
호빵만이
경기도남양주시오남읍
옳그떠 아니냐
호빵만이
아 그래? 그럼 지워야지ㅡㅡ
배트맨
님아... ㅇㄱㄸ에요...
잉여스러운
막 때려 넣다보니 이어지는거 아닐까?
A는 B라고 입력하다가 또 다른 어느 문서에서 B는 C라고 학습이 되고, 그 순간 ai가 A=C라고 출력하는 거지.
무수히 단순한 사실 명제들이 이어지면서 출력값이 좋아지는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