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지식

Ai작성] 개드립넷 역사 및 사용자 분석

1.

본문은 구글 Ai인 젬미니의 딥 리서치 기능을 통해 작성된 글임을 밝히며

게시자의 개인적인 의견은 일체 포함하지 않았음.

게시글 작성에 금지된 링크만 삭제

 

원문이 궁금한 읽붕이는 하단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https://g.co/gemini/share/6e79331068a5

 

 

2.

입력 프롬프트는

 

대한민국의 커뮤니티 사이트 dogdrip.net 의 생성과 운영. 그리고 지금까지의 기록들

운영자의 변경과 

2020년 이후의 운영정책등에 관해서

해당 커뮤니티 사이트의 유저, 사용자들의 행동 분석

 

 

3.

생각보다 정확하고 그냥 웃음벨로 보기 적당하게 나왔기에,

그저 재미로만 봐주시길 바람.

 

 

 

개드립넷: 생성, 운영 기록 및 사용자 분석 보고서

 

I. 서론

개드립넷(dogdrip.net)은 대한민국 온라인 커뮤니티 환경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는 유머 중심의 웹사이트입니다. 2010년 7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개드립넷은 단순한 유머 게시판을 넘어 사용자들의 활발한 참여와 독자적인 문화를 형성하며 성장해 왔습니다. 본 보고서는 개드립넷의 탄생 배경부터 현재까지의 운영 과정, 관리 주체의 변화, 2020년 이후의 운영 정책, 그리고 커뮤니티 사용자들의 행동 양상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개드립넷이라는 온라인 플랫폼이 한국 사회의 온라인 커뮤니티 생태계 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사용자들은 어떠한 특징을 보이는지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II. 생성 및 초기 (2010년 - 2020년 이전)

 

2.1. 기원 및 초기 목적

개드립넷은 2010년 7월 17일에 서비스를 시작한 유머 커뮤니티입니다 1. 이 웹사이트는 원래 디시인사이드의 낙타 갤러리에서 파생되어 재미있는 게시물들을 모아두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1. 디시인사이드에서 인기를 얻었으나 삭제된 게시물들을 포함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한 곳에 집중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습니다. 개드립넷의 이러한 초기 목적은 당시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들 사이에서 유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는 점을 반영합니다. 특히 디시인사이드라는 대형 커뮤니티의 하위 문화에서 출발했다는 점은 초기 사용자층과 콘텐츠의 성격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됩니다. 디시인사이드 특유의 자유로운 분위기와 유머 코드가 개드립넷에도 자연스럽게 이어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2. 초기 운영

개드립넷의 초기 운영자는 '애드립'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했습니다. '애드립' 운영자는 대중 앞에 모습을 잘 드러내지 않는 스타일로 알려져 있으며, 드물게 공지를 게시할 때마다 사용자들은 환영의 글과 함께 불만을 토로하거나 욕설을 섞어 댓글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이는 초기 운영자의 소극적인 소통 방식이 사용자들의 불만을 야기했음을 시사합니다. 운영자의 부재는 커뮤니티 내부의 자율성을 높이는 측면도 있었겠지만, 동시에 명확한 운영 방향이나 정책 제시의 부족으로 이어져 사용자들의 혼란을 초래했을 수도 있습니다.

 

2.3. 초기 커뮤니티 특징 (2020년 이전)

개드립넷은 초기부터 디시인사이드와 유사하게 반말을 사용하는 자유분방한 분위기를 특징으로 했습니다. '개드립'이라는 용어 자체가 본래 '개 같은 애드립'이라는 부정적인 의미에서 시작되었으나, 인터넷 커뮤니티, 특히 코미디 갤러리 등에서 연예인들의 엉뚱하고 재미없는 애드립을 비꼬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점차 긍정적인 의미로 변화하여 '웃긴 애드립' 또는 '재미있는 농담'을 의미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용어의 변화는 개드립넷이 추구하는 유머의 성격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

또한, 초기 개드립넷에서는 'ㄴㅋ' (닉네임 확인의 줄임말, 익명 게시판에서 자정마다 바뀌는 닉네임을 확인하는 행위), '붐업' (비추천을 의미하는 은어, 초기 개드립에서 유치한 게시물을 네이버 붐에 비유하며 사용), '시츄' (2013년 한 사용자가 개의 품종을 시츄라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킨 사건에서 유래하여 모든 종류의 개를 지칭하는 은어) 등 독특한 은어들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은어들은 초기 사용자들 사이의 유대감을 형성하고 커뮤니티의 정체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특정 사건이나 유행에서 비롯된 은어의 사용은 커뮤니티 내부의 공유된 경험과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III. 운영 주체 및 관리 방식의 변화

 

3.1. 'overflow'로의 운영권 이양

2012년 전후로 초기 운영자 '애드립'의 뒤를 이어 'overflow'라는 닉네임의 운영자가 등장했습니다. 2013년에는 '애드립'이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운영에 도움을 주던 'overflow'에게 공식적으로 운영자 권한을 넘긴다는 공지를 남기고 물러났습니다. 이 과정에서 'overflow'는 '애드립'이 사용하던 '젖탱이'라는 별명까지 물려받아 2대 '젖탱이' 운영자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운영 주체의 변화는 개드립넷의 운영 방식과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특히 독특한 닉네임을 계승하는 방식은 당시 온라인 커뮤니티 운영 문화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3.2. 'overflow'의 운영 방식

'overflow' 운영자는 사용자들과의 개방적이고 직접적인 소통을 상당히 꺼리는 독재적인 운영 스타일을 가진 것으로 평가받습니다. 사용자들의 문의나 건의에 대해 적극적으로 응답하기보다는, 문제 발생 시 조용하게 처리하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 차단과 같은 제재 조치에 대해서는 별다른 설명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폐쇄적인 운영 방식은 커뮤니티 내에서 운영자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습니다.

'overflow' 운영 체제 하에서 정치 관련 게시물에 대한 규정이 매우 엄격하고 상세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정치적인 성향의 글들이 '정치 사회' 게시판으로 강제 이동되었으나, 사용자들의 반발로 인해 현재는 정치 관련 글들을 임시 게시판으로 이동시키고 일정 기간 동안 차단하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는 유머 커뮤니티라는 본래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정치적인 논쟁으로 인한 커뮤니티 분열을 방지하려는 운영자의 의도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은 때때로 사용자들 사이에서 표현의 자유 침해라는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습니다.

 

IV. 2020년 이후 운영 정책 변화

 

4.1. 중국 관련 비판 검열 (2020년)

2020년 하반기에 개드립넷 운영진은 중국 관련 비판 게시물을 원천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 사용자들 중 상당수가 커뮤니티를 떠나는 결과가 발생했습니다. 이는 특정 정치적 사안에 대한 운영진의 개입이 사용자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커뮤니티의 성격 변화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사용자들은 자신들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공간에 대한 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나, 운영진의 검열로 인해 이러한 기대가 충족되지 못하면서 커뮤니티 이탈을 선택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4.2. 회원 가입 정책 변화

기존 사용자들의 대거 탈퇴 이후, 개드립넷은 트래픽 감소를 우려하여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제한적으로 운영하던 회원 가입을 상시 개방하는 것으로 정책을 변경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새로운 사용자 유입을 촉진했지만, 동시에 루리웹이나 클리앙과 같은 다른 커뮤니티의 강성 친정부 지지 성향 사용자들의 대규모 가입을 야기했습니다. 이들은 소위 '밭갈기'라고 불리는 방식으로 커뮤니티 내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회원 가입 정책의 변화가 커뮤니티의 전체적인 성향과 분위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4.3. '옳그떠' 현상

'옳그떠'는 '옳고 그름을 떠나'의 줄임말로, 개드립넷 내에서 정치 및 정치 요소 관련 게시물을 운영자가 처리하는 기준을 설명하는 신조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공식적으로 메인 개드립 게시판에서는 정치 관련 게시물이 금지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게시물이 검열되는 상황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만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옳그떠'라는 용어는 운영자의 게시물 이동 기준이 명확하지 않고 일관성이 없다는 비판과 함께 사용됩니다. 이는 커뮤니티 운영 정책의 투명성과 공정성에 대한 사용자들의 의문을 제기하는 중요한 지점입니다.

 

4.4. 일반적인 게시물 관리 방식

개드립넷에서는 일반 사용자들이 자신의 게시물을 삭제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규정 위반 시에는 처음에는 경고 조치가 이루어지지만, 동일한 사유로 반복적인 위반을 할 경우 차단 기간이 배수로 늘어나는 방식으로 제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입니다. 게시물 관리 및 제재는 주로 누적된 신고 내역과 사용자들의 '키배' (온라인 설전) 이력을 바탕으로 운영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심지어 IP 우회를 통한 접속 시도도 어렵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러한 게시물 관리 방식은 사용자들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커뮤니티 질서를 유지하려는 운영진의 노력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4.5. 웹사이트 디자인 및 기술적 문제

2016년경 개드립넷은 웹사이트 디자인 개편과 웹 엔진 교체를 시도했으나, 서버 최적화 문제와 운영자의 기술 부족으로 인해 이전 디자인으로 되돌아간 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해 한 사용자가 직접 디자인 커스터마이징 및 사용자 필터링 등의 기능을 담은 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Dogdrip Video Size Limiter'라는 크롬 확장 프로그램은 개드립넷에서 비디오 시청 경험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운영진의 기술적 한계를 사용자들이 자체적으로 보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V. 사용자 행동 분석

5.1. 인구 통계학적 변화

2022년부터 개드립넷은 '근라포밍'이라고 불리는 현상을 겪으며 오덕 (애니메이션, 만화 등 서브컬처 팬) 성향이 매우 강해졌습니다. 일반인들은 잘 알지 못하는 서브컬처 소식이나 씹덕 밈을 소재로 한 만화들이 게시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기존 사용자들도 이에 대해 큰 반감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개드립넷의 주요 관심사가 기존의 광범위한 유머에서 특정 서브컬처 영역으로 이동했음을 시사합니다.

2021년 기준으로 개드립넷의 주요 사용자층은 20대와 30-40대 유부남들로 파악됩니다. 이러한 연령대 분포는 커뮤니티 내에서 소위 '노력충' (지나치게 성실하거나 열정적인 사람을 비꼬는 표현)이나 '꼰대' (나이 많은 사람이 젊은 사람에게 권위적으로 행동하는 것을 비하하는 표현)와 같은 특정 성향의 사용자들이 증가하고, 군대 경험에 대한 자부심을 드러내는 댓글이 자주 보이는 현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20대 사용자들과 30-40대 사용자들 간의 온라인 논쟁 ('키배') 역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입니다.

 

5.2. 커뮤니티 정서 및 트렌드

개드립넷은 디시인사이드와 마찬가지로 반말을 사용하는 자유분방한 분위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들은 높은 수위의 '드립' (유머, 농담)을 구사하며, 때로는 격렬한 논쟁이나 비난이 오가기도 합니다. 과거에 비해 게이 (동성애) 관련 게시물의 비중은 줄었지만, 여전히 '게이 드립'은 개드립넷의 주요 유머 코드 중 하나로 남아있습니다.

2020년 중국 관련 비판 검열 사태로 인해 남성 사용자 수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성의 신체 사진과 같은 남성 중심적인 게시물의 빈도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여전히 개드립넷의 주된 성향이 남초 커뮤니티임을 보여줍니다.

개드립넷은 강남역 핑크 코끼리 사건이나 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과 같은 사회적 이슈 이후 다른 남초 커뮤니티들과 마찬가지로 반페미니즘 성향을 강하게 드러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고연령층 사용자와 '월터 사건' (자세한 내용은 자료에 없음) 이후 여성 사용자들의 유입으로 인해 커뮤니티 분위기에 점진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페미니즘 관련 게시물에 대한 의견 대립이 자주 발생하고 있습니다. 성 소수자 이슈에 대해서도 혐오자와 옹호자가 공존하며, 관련 게시물에는 댓글에서 잦은 분쟁이 일어납니다.

특정 연령대나 문화에 대한 반감도 나타나는데, 젊은 세대가 주로 듣는 힙합 음악에 대해 혐오감을 표현하거나 배척하는 경향이 강하며, 관련 게시물에 대해서는 '붐업' (비추천) 테러가 자주 발생합니다. 반면, 역사나 과학기술 관련 문서에 대해서는 내용이 풍부하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많습니다. 나무위키와 같은 위키 기반 정보에 대해서는 개방적인 편집 특성상 정보의 질 저하를 우려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보이기도 합니다.

 

5.3. 커뮤니티 은어 및 용어

개드립넷 사용자들은 독특한 은어와 약어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ㄴㅋ'은 닉네임 확인, '숫닉'은 숫자로만 이루어진 닉네임, '영닉'은 영어로만 이루어진 닉네임을 의미합니다. 비추천은 '붐업'이라고 하며, 무조건적인 비추천은 '닥붐', 고양이 관련 게시물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추천은 '냥닥붐', 강아지 관련 게시물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천은 '댕닥추'라고 표현합니다. '시츄'는 특정 사건 이후 모든 종류의 개를 지칭하는 은어로 사용되며, 오래된 게시물을 언급할 때는 '뉴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2018년경부터는 '개붕이'라는 표현이 사용자를 지칭하는 일반적인 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특정 주제를 나타내는 이모티콘 사용도 활발하며, LK-99는 🧲, 백합은 ✂️, 당근은 🥕, 슈카월드는 🦐, 야구는 ⚾️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은어와 이모티콘 사용은 커뮤니티 사용자들 간의 소속감을 높이고, 외부인과의 장벽을 만들기도 합니다.

 

VI. 주요 사건, 논란 및 비판

 

6.1. 초기 사건

개드립넷 초기에는 '애드립' 운영자가 올린 게시물에 7번째 익명 댓글이 부적절한 내용을 담아 논란이 되었던 '7번 댓글'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 사건 이후 모든 게시물의 7번째 댓글을 비난하는 문화가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2012년 2월경에는 서버 초기화 사고 이후 메인 페이지를 라면 국물 사진으로 장식하여 '라면 국물' 사건으로 회자되기도 했습니다. 또한, 운영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운영자 이름 털이 사건' 이후 사용자 아이디 검색 기능이 사라졌다는 설도 있습니다. 이러한 초기 사건들은 개드립넷 커뮤니티의 독특한 문화와 사용자들의 반응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6.2. 타 커뮤니티와의 분쟁

한 사용자가 인터넷에 떠도는 세이버 피규어 사진을 개드립넷에 올린 것이 발단이 되어 원 게시자가 고소를 시사하며 루리웹과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게시물 작성자가 다른 경로를 통해 사진을 얻었음을 주장하고 개드립넷 측의 반박이 이어지면서 결국 루리웹 사용자가 개드립넷 스타일로 사과하며 마무리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개드립넷 사용자들의 콘텐츠 공유 문화와 외부 커뮤니티와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사례입니다.

 

6.3. '고자가 된 익게이' 사가

'익명 판'에 자신의 정액 색깔이 이상하다며 사진을 올린 사용자의 이야기는 오랫동안 커뮤니티 내에서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엽기적인 내용과 후속 이야기가 이어지면서 많은 관심을 받았으나, 이후 해당 사용자가 모든 것이 거짓임을 밝히면서 일종의 '낚시' 사건으로 마무리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개드립넷 익명 게시판의 특성과 사용자들의 흥미를 끄는 콘텐츠의 유형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6.4. 홍콩 민주화 운동 게시물 삭제 논란 (2019년)

2019년에는 홍콩 민주화 운동 관련 게시물들을 운영진이 일방적으로 삭제한다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홍콩 경찰과 친중 세력의 폭력 행위를 비판하는 게시물들이 '혐오 조장'을 이유로 삭제되면서 사용자들의 반발을 샀습니다. 운영진의 이러한 조치는 정치적 민감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이지만, 사용자들은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로 받아들였습니다. 이 사건은 개드립넷 운영진의 정치적 스탠스와 검열 기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6.5. 사이트 편향성 및 이중성 비판

개드립넷은 운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정치 게시물을 검열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옳그떠'라는 용어로 대표되는 이러한 검열은 친정부적인 게시물은 허용되는 반면, 반정부적인 게시물은 삭제되는 사례가 있다는 주장을 낳고 있습니다. 또한, 자신들의 집단에 대해서는 관대하고 다른 집단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이중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러한 비판들은 개드립넷 운영의 공정성과 투명성에 대한 사용자들의 불신을 보여줍니다.

 

6.6. '근라포밍'과 사용자 불만

2022년 이후 급증한 오덕 성향 사용자와 그로 인한 콘텐츠 변화는 기존 사용자들 사이에서 불만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사이트가 본래의 유머 커뮤니티 성격에서 벗어나 특정 서브컬처 중심의 공간으로 변질되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근라포밍' 현상은 커뮤니티 내 세대 간, 성향 간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VII. 유사 온라인 커뮤니티 비교

 

7.1. 디시인사이드와의 관계

개드립넷은 디시인사이드 낙타 갤러리에서 파생되었으며, 반말 사용과 자유분방한 분위기 등 여러 면에서 디시인사이드와 유사한 특징을 공유합니다. 이는 초기 사용자층과 콘텐츠 성격 형성에 디시인사이드의 영향이 컸음을 시사합니다.

 

7.2. 다른 한국 커뮤니티와의 비교

개드립넷은 정치적 성향 면에서 일베, 오유, 펨코 등 다른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들과 비교되기도 합니다. 현재는 펨코와 유사한 성향을 보이지만, 펨코의 특정 반페미니즘 성향에는 거부감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유머 게시판이라는 점에서 웃긴대학과 유사하며, 게이 유머 코드는 루리웹 유머 게시판과 비교되기도 합니다.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 정보를 제공하는 앱 '볼라고'는 개드립을 클리앙, 디씨인사이드, 오늘의유머, 뽐뿌, 루리웹 등 주요 커뮤니티들과 함께 목록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비교는 개드립넷이 한국 온라인 커뮤니티 생태계 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7.3. 경쟁 구도

Similarweb은 뉴스7mkr.com, zmdzmd.net, allthatboots.com, 다음, 나무위키 등을 개드립넷과 유사한 웹사이트로 분류합니다. Ahrefs는 fmkorea.com, dcinside.com, inven.co.kr, ruliweb.com등을 주요 경쟁 사이트로 꼽습니다. Semrush는 slrclub.com의 경쟁 사이트 목록에 뽐뿌, 이토랜드, 보배드림, 일베, 디프라임, 클리앙과 함께 개드립넷을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 사이트 목록은 개드립넷이 유머, 커뮤니티, 정보 공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여러 플랫폼과 경쟁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VIII. 결론

개드립넷은 2010년 디시인사이드에서 파생된 유머 커뮤니티로 시작하여, 운영 주체의 변화, 2020년 이후의 정책 변화, 그리고 사용자들의 활발한 활동을 통해 독자적인 온라인 공간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특히 2020년 하반기의 중국 관련 비판 검열 논란과 2022년부터 두드러진 '근라포밍' 현상은 커뮤니티의 성격과 사용자 구성에 큰 영향을 미친 주요 사건으로 분석됩니다. 현재 개드립넷은 특정 서브컬처에 대한 높은 관심과 함께 다양한 연령대의 남성 사용자들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독특한 유머 코드와 은어를 통해 끈끈한 커뮤니티 문화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운영 정책의 투명성 부족, 정치적 편향성 논란, 그리고 급격한 커뮤니티 성향 변화에 대한 일부 사용자들의 불만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안고 있습니다. 앞으로 개드립넷이 이러한 내부적인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하고 변화하는 온라인 환경에 어떻게 적응해 나갈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합니다.

 

 

주요 사건 연표

날짜 사건 내용 관련 스니펫
2010년 7월 17일 개드립넷 서비스 시작 1, B1
2012년경 '애드립'에서 'overflow'로 운영자 변경 1, B3
2013년 '애드립', 'overflow'에게 운영권 공식 이양 및 '젖탱이' 별명 계승 2, B2
2016년경 웹사이트 디자인 개편 및 웹 엔진 교체 시도 후 롤백 1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관련 게시물 삭제 논란 3
2020년 하반기 중국 관련 비판 게시물 검열 논란 및 기존 사용자 대거 이탈 1
2020년 이후 회원 가입 상시 개방으로 정책 변경 5
2022년부터 '근라포밍'으로 인한 오덕 성향 강화 1
2024년 11월 1일 게시판 상단에 인기글 목록 추가 1

 

주요 은어 및 용어

용어 의미/설명 관련 스니펫
ㄴㅋ 닉네임 확인의 줄임말, 익명 게시판에서 자정마다 바뀌는 닉네임을 확인하는 행위 1
숫닉 숫자로만 이루어진 익명 게시판 닉네임 1
영닉 영어로만 이루어진 익명 게시판 닉네임 1
ㅂㅁ / 붐업 비추천을 의미하는 은어, 초기 개드립에서 유치한 게시물을 네이버 붐에 비유하며 사용 1
닥붐 닥치고 붐업, 무조건적인 비추천 1
냥닥붐 냥이는 닥치고 붐업, 고양이 관련 게시물에 대한 무조건적인 비추천 1
댕닥추 댕댕이 닥치고 추천, 강아지 관련 게시물에 대한 무조건적인 추천 1
시츄 2013년 한 사용자가 개의 품종을 시츄라고 주장하며 논란을 일으킨 사건에서 유래하여 모든 종류의 개를 지칭하는 은어 1
뉴럴 뉴럴라이저를 줄인 말로, 오래된 게시물이 다시 올라왔을 때 사용 1
개붕이 개드립넷 사용자 1
옳그떠 옳고 그름을 떠나, 정치 및 정치 요소 관련 게시물을 운영자가 처리하는 기준을 설명하는 신조어 1
근라포밍 특정 문화 (주로 서브컬처) 성향이 커뮤니티 전체를 지배하게 되는 현상을 비유하는 신조어 1

 

 

 

 

10개의 댓글

2025.03.18

초기 역사가 틀렸음

낙타갤러리는 별개의 사이트였고

디씨 합필갤이나 념글 올라간거 크롤링해서 올라가던 사이트였음

 

개드립하고 낙타갤러리 연관성도 틀렸음

두 사이트는 별개 사이트였고

낙타갤러리를 당시 운영자가 그냥 접으면서

비슷한 성격의 개드립을 애드립이 만들어서

유저들 빨아온것임

0
2025.03.18

게이 드립 많다는건 다른사이트에서 게이라고 부르는걸 AI가 착각한거려나

0
318
2025.03.18
@달달구리

엥 실제로 게이드립많았는데 진짜게이라고 인증한 애들도 있었고

2
2025.03.19
@달달구리

많을 땐 개드립 한 페이지 절반이 게이 글처럼 보일 정도였음

0
2025.03.19
@달달구리

붕탁드립넷이던 시절이 있었음

0
2025.03.19
@달달구리

아님

0
2025.03.18

거의 나무위키에 있는 내용들 같은데 정보를 얻을 곳이 거기 밖에 없어서 그런가?

0
2025.03.19

아 뉴럴맞았냐 이거 오랜만에본다ㅋㅋㅋㅋㅋ

0
2025.03.19

옛날 개드립 게시판은 애드립 운영자가 업로드 하고

유저 개드립에서 추천 10받으면 유저 개드립 베스트로 이동이었음

0
2025.03.19

그거 있지 않았냐?

 

참깨 사건

 

ㅉ ㅏ

ㅇ 깨

 

금지어로 지정하고 중국 까는 내용 다 검열 때려서

 

개드립 폭동 났던거

그때 야짤들하고 야동들 많이 수집했었는데

 

저게 19 민주화 그건가?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848 [호러 괴담] 영혼 결혼식을 위해 살인을 저지르다 그그그그 0 58 분 전
12847 [역사] '삼체'에 등장하는 문화대혁명에 중국인들이 뿔난 이유 10 dagdha 20 1 일 전
12846 [기타 지식] [스포] 더 디비전2 스토리 정리 15 Mtrap 3 2 일 전
12845 [호러 괴담] 사라진 신혼 부부. 그들은 며칠 뒤 한 창고에서 발견되는데... 4 그그그그 0 2 일 전
12844 [기타 지식] 한국형 New 리츠 - 정부는 2030에게 집값을 설거지하려고 하는가? 60 아모르퍼시픽 29 3 일 전
12843 [호러 괴담] 부패 공무원 처단, 그러나 무고한 피해자가 많이 발생하는데... 6 그그그그 6 4 일 전
12842 [호러 괴담] AV 배우 살인사건? 엘리트 남성과 수상한 개인 촬영 후 사라진 그녀. 5 그그그그 9 6 일 전
12841 [기타 지식] [논쟁]‘혼동’은 곧 ‘왜곡’인가? – 표현 하나로 사실왜곡이 되는지 검... 4 뀨웅뀽 0 7 일 전
12840 [역사] 삼국지] 이릉대전은 굳이 왜 했을까? 18 완전폐품아들 19 8 일 전
12839 [호러 괴담] 편의점 점원에게 도와달라고 외친 여성, 몇 시간 뒤 싸늘한 주검으로… 8 그그그그 9 9 일 전
12838 [기타 지식] (스압) 밈이 된 고양이 에델에 대해 araboja 12 감귤토템 26 11 일 전
12837 [호러 괴담] 모범생에서 나쁜 사람으로 타락한 남성 8 그그그그 11 11 일 전
12836 [유머] 10년전 격은 ㅈㅈ소기업 생산직 일화 3탄 16 프로비우스 24 11 일 전
12835 [역사] 고려 무인정권시대에 문신들은 무능했을까 6 마르소나 0 11 일 전
12834 [유머] 10년전 격은 ㅈㅈ소기업 생산직 일화 2탄 12 프로비우스 19 12 일 전
12833 [기타 지식] 애니 클라나드 일본 성지순례 갔다옴 - 3번째 6 마다여행감 0 12 일 전
12832 [유머] 10년전 격은 ㅈㅈ소기업 생산직 일화 23 프로비우스 30 13 일 전
12831 [호러 괴담] 56만 달러 보험에 들어있던 남편의 죽음 6 그그그그 4 13 일 전
12830 [호러 괴담] 몽타주 한 장으로 연쇄살인범을 잡다 11 그그그그 11 15 일 전
12829 [기타 지식] 하이데거 비판 - 자크 데리다의 "정신에 대해서" 리뷰 3 난쓰레기 2 16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