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지식

카이저라이히 다큐멘터리 E06. 영원한 제국

https://youtu.be/v4lJoEH-avs?si=UzafuM4ErGQ5bh1y

 

Honorable colleagues of the Reichsrat,

존경하는 제국의회 동료 여러분,

 

Some among you call me young and ambitious, even impetuous and rash!

여러분 중 일부는 저를 젊고 야심찬, 심지어 성급하고 경솔한 사람이라고 부릅니다!

 

But I stand here today as a representative of the Progressive Party.

하지만 저는 오늘 진보당의 대표로서 이 자리에 섰습니다.

 

I stand here to represent our hopes for the future.

미래에 대한 우리의 희망을 대변하기 위해 이 자리에 섰습니다.

 

During this Weltkrieg, the Empire has bled and suffered.

이 세계대전 동안 제국은 피를 흘리고 고통을 겪었습니다.

 

Let this sacrifice mean something!

이 희생을 의미 있게 합시다!

 

To the honorable members I propose the following.

존경하는 의원 여러분께 다음과 같이 제안합니다.

 

We must go forward as an alliance of equals, a great Danubian Federation at the heart of Europe.

우리는 평등의 동맹, 유럽의 중심에 있는 위대한 다누비아 연방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Look out the window, honorable members!

창밖을 보십시오, 존경하는 의원 여러분!

 

There can be no pretense that the status quo is sustainable.

지금과 같은 상황이 지속 가능하다고 착각해서는 안 됩니다.

 

Two dozen nationalities squabble while the nation stagnates.

국가가 정체되어 있는 동안 24개 민족의 사람들이 다투고 있습니다.

 

Your decisions today shape our collective futures - not just our own, but those of our children and grandchildren.

오늘 여러분의 결정은 우리 자신뿐만 아니라 우리 자녀와 손주들의 미래까지 우리 공동의 미래를 결정할 것입니다.

 

Will they grow up without fear of war?

아이들이 전쟁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랄 수 있을까요?

 

Will they grow up to see a future where every man is equal, regardless of language or class?

언어나 계급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평등한 미래를 보고 자랄 수 있을까요?

 

Or will this parliament entrench the old ways that have failed us?

아니면 이 의회가 우리를 실패로 이끈 낡은 방식을 고착화할까요?

 

On all sides, our Empire is surrounded by revanchists, extremists and demagogues.

우리 제국은 사방에 보복주의자, 극단주의자, 선동가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But the true enemy sits inside this very parliament!

하지만 진정한 적은 바로 이 의회 안에 있습니다!

 

Honorable colleagues of the Reichsrat, Austria-Hungary stands on the precipice.

제국의회의 존경하는 동료 여러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벼랑 끝에 서 있습니다.

 

A house divided cannot stand.

분열된 집은 서 있을 수 없습니다.

 

Choose the old ways, and our empire will rot from within.

낡은 방식을 선택하면 제국은 내부에서 썩을 것입니다.

 

Choose federation, and the world will witness the writing of a new chapter for Europe, penned by our many nations combined.

연방을 선택하면 전 세계는 여러 나라가 힘을 합쳐 유럽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가는 것을 목격하게 될 것입니다.

 

Only in unity, can we achieve greatness!

단결만이 위대함을 이룰 수 있습니다!

 

Only in unity, can we guide Europe to real peace and prosperity!

단결만이 유럽을 진정한 평화와 번영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

 

I implore you all to choose progress, to choose federation.

저는 여러분 모두가 진보를 선택하고, 연방을 선택해 주실 것을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Let the historians write that it was Austria-Hungary that led the world into modernity.

역사가들은 세계를 현대로 이끈 것은 오스트리아-헝가리였다고 기록할 것입니다.

 

That we embraced the bright flame of progress.

우리는 진보의 밝은 불꽃을 받아들였다고.

 

That we did so while the arrogant Germans guarded their precious nobility their decrepit Kaiserreich!

오만한 독일인들이 그들의 소중한 귀족들을, 쇠락한 카이저라이히를 지키고 있을 때 말입니다!

 

-

 

The story of Austria-Hungary, in many ways, is the story of the House of Habsburg.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이야기는 여러모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이야기다.

 

The vaunted family spread its roots throughout Europe during the Middle Ages, and became a powerhouse of Central European politics for much of European history.

이 자랑스러운 가문은 중세 시대에 유럽 전역에 뿌리를 내렸고, 유럽 역사의 많은 기간 동안 중부 유럽 정치의 강자가 되었다.

 

While the family would breed many rulers, much of their power became concentrated in Vienna, later capital of the Austrian Empire.

이 가문은 많은 통치자를 배출했지만, 그 권력의 대부분은 훗날 오스트리아 제국의 수도가 된 빈에 집중되었다.

 

Here, they forged Austria as the successor state to the Holy Roman Empire, absorbing enormous territories on both banks of the Danube.

이들은 다뉴브 강 양안의 광대한 영토를 흡수하여 오스트리아를 신성 로마 제국의 후계 국가로 만들었다.

 

Later, the crown allied with the Hungarian nobility, forming the world’s most prominent dual-monarchy.

이후 왕실은 헝가리 귀족과 동맹을 맺어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이중 군주제를 형성했다.

 

This Federal monarchist state would henceforth be known as Austria-Hungary.

이 연방 군주제 국가는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로 알려졌다.

 

By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emerging idea of the nation-state threatened the multilingual empires of old.

그러나 20세기에 접어들어 국민 국가라는 새로운 개념이 등장하면서 다민족의 옛 제국은 위협을 받았다.

 

Austria-Hungary, beaten twice by Prussia, watched helplessly as her Northern dependencies were forged into the formidable German Empire.

프로이센에 두 번이나 패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북부의 종속국들이 강력한 독일 제국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무력하게 지켜보아야 했다.

 

The ambitious Germans united a powerful centralized administration and began industrializing at breakneck speed.

야심 찬 독일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행정부를 통합하고 빠른 속도로 산업화를 시작했다.

 

Austria-Hungary, with her poor rural areas and vast unconnected territories, would slowly slide away and become a second-rate power in Europe.

가난한 농촌 지역과 연결되지 않은 광활한 영토를 가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서서히 몰락하여 유럽에서 2류 국가로 전락했다.

 

The Empire, which less than a hundred years before orchestrated the reigning order of Europe, now seemed an embodiment of the kind a decrepit feudalism from which it had emerged.

불과 100년 전까지만 해도 유럽의 지배 질서를 조율하던 제국은 이제 쇠락한 봉건제의 화신처럼 보였다.

 

As kindred peoples united in brand-new nation states, Austria-Hungary desperately tried to hold its many minorities under the Imperial Crown's sway.

동족이 새로운 국가로 통합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필사적으로 수많은 소수 민족을 제국의 영향력 아래 두려고 노력했다.

 

Soon, the Empire was viewed with contempt, both within and outside her borders.

곧 제국은 국경 안팎에서 경멸의 시선을 받았다.

 

The dual monarchy was loathed by Russia and the Balkans, preyed upon by Italy and despised by revolutionaries.

이 이중 군주제는 러시아와 발칸 반도에서 혐오를 받았고, 이탈리아의 먹잇감이 되었으며, 혁명가들에게 경멸을 받았다.

 

By the time of Franz Ferdinand’s assassination, the opening shot of the Great War, Vienna had become dependent on German economic and military aid.

대전쟁의 도화선이 된 프란츠 페르디난트 암살 사건 당시 빈은 독일의 경제 및 군사 원조에 의존하게 되었다.

 

The ancient rivalry with Prussia had become an alliance, yes, but a fraught one all the same.

프로이센과의 오랜 라이벌 관계는 동맹이 되었지만, 동시에 불안한 관계이기도 했다.

 

The Central Powers rallied behind Germany out of necessity, and shared enmity for the Entente, but there was little love lost between them.

동맹국은 필요에 의해 독일을 지지했고 협상국에 대한 적대감을 공유했지만 하지만 이들 사이에는 애정이 거의 없었다.

 

Victory in the Great War would do little to settle the internal troubles of the federated state.

대전쟁의 승리는 연방 국가의 내부 문제를 해결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다.

 

Austria-Hungary’s performance in the Weltkrieg had made the Empire a laughing stock internationally, and fueled internal dissent on how the country was managed.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세계대전에서의 활약은 제국을 국제적으로 웃음거리로 만들었고, 국가 운영 방식에 대한 내부의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Things would come to a head in 1916, with the death of the Austrian emperor Franz Joseph.

1916년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가 사망하면서 상황은 최악으로 치달았다.

 

-

 

In November 1916, Franz Joseph, emperor of Austria, died old and bitter.

1916년 11월, 오스트리아의 황제 프란츠 요제프가 늙고 쓰라린 죽음을 맞이했다.

 

Riddled with pneumonia, many in the press likened the monarch to the sickly empire he led.

많은 언론은 폐렴에 시달리던 황제를 병든 제국에 비유했다.

 

Already in 1916, It wouldn’t have surprised observers to see his struggling Empire follow its emperor into the grave.

이미 1916년, 제국이 황제를 따라 무덤으로 가는 모습을 지켜본 사람들은 놀랍지 않았을 것이다.

 

Few, if any in Vienna, Budapest, Prague or Zagreb could even fathom the Empire without Franz Joseph at the helm.

빈, 부다페스트, 프라하, 자그레브에서 프란츠 요제프가 통치하지 않는 제국을 상상할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As the people mourned their late Emperor, the unprepared Karl ascended the throne, becoming sovereign of the Austrian and Hungarian realms.

국민들이 황제의 죽음을 애도하는 가운데 준비되지 않은 카를이 왕위에 올라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영역의 통치자가 되었다.

 

Franz Joseph’s only son, Rudolf, had ended his own life many years before.

프란츠 요제프의 외아들 루돌프는 수년 전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The late Emperor’s brother had died soon after, and his nephew’s untimely end famously led to the Weltkrieg.

황제의 동생은 얼마 지나지 않아 죽었고, 조카의 불의의 죽음은 세계대전의 원인이 된 것으로 유명했다.

 

Only the heir presumptive for two years, Karl had barely been initiated into the business of ruling the chaotic nation. If at all.

후계자로 지목된 지 2년밖에 되지 않은 카를은 혼란스러운 국가를 통치하는 일에 전혀 착수하지도 못했다.

 

The task Karl faced was an unenviable one.

카를이 직면한 임무는 남들이 부러워할 만한 것이 아니었다.

 

Ever since the Ausgleich negotiations that established the dual monarchy, the Empire had been walking on a tightrope.

이중 군주제를 확립한 아우스글라이히 협상 이후 제국은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고 있었다.

 

If the Crown catered to the whims of the old German elite, it would risk upsetting the Hungarians, Slavic insurgents or even democrats in the parliament.

왕실이 옛 독일계 엘리트들의 변덕에 부응한다면 헝가리인, 슬라브 반란군, 심지어 의회의 민주당원들까지 동요할 위험이 있었다.

 

If they instead chose federation, it would unravel the web of hereditary dependencies that still governed much of the realms.

대신 연방을 선택한다면 여전히 많은 영토를 지배하고 있는 세습 의존의 그물이 풀릴 것이다.

 

It seemed a political wind either way could sweep away the Empire.

어느 쪽이든 정치적 바람이 제국을 휩쓸 수 있었다.

 

And so Austria-Hungary stumbled on, mockingly called ‘the second sick man of Europe’ by both friends and allies.

그래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우방과 동맹국 모두로부터 '유럽의 두 번째 병자'라는 조롱을 받으며 비틀거렸다.

 

Although nearly everyone agreed that reforms were necessary, none could really agree on how those reforms should take shape.

거의 모든 사람이 개혁이 필요하다는 데는 동의했지만, 그 개혁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아무도 동의하지 못했다.

 

Progress in Vienna was made in inches, while the larger issues remained open.

빈에서 진전은 조금씩 이루어졌지만 더 큰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로 남아있었다.

 

Austria had adopted a parliamentary system, which paralyzed itself over Bohemian language rights.

오스트리아는 의회제를 채택했지만 보헤미안 언어권 문제로 의회 자체가 마비되었다.

 

Hungary, on the other hand, became a virtual one-party state, as Conservative elements conspired to keep the status quo intact.

반면 헝가리는 보수 세력이 현상 유지를 위해 음모를 꾸미면서 사실상 일당 독재 국가가 되었다.

 

The Weltkrieg did not do the Dual Monarchy’s stability any favors.

세계대전은 이중 군주제의 안정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Any notion that Austria was moving from a German autocracy to a more federal, multicultural and democratic entity quickly dissipated.

오스트리아가 독일계 독재 국가에서 보다 연방적이고 다문화적이며 민주적인 국가로 나아가고 있다는 생각은 순식간에 사라졌다.

 

The Austrian prime minister, Karl von Stürgkh, enforced a deeply conservative and pro-German cabinet, which dictated Austrian decision making by decree.

오스트리아 총리 카를 폰 슈투르크는 매우 보수적이고 친독일적인 내각을 구성하여 오스트리아의 모든 의사 결정을 법령으로 지시했다.

 

Hungary did not fare better.

헝가리의 상황은 더 좋지 않았다.

 

Although Budapest allowed for more freedoms than Vienna, the Magyar lands were far from a democracy.

부다페스트는 빈보다 더 많은 자유를 허용했지만, 헝가리 땅은 민주주의와는 거리가 멀었다.

 

The Hungarian half was deeply conservative, inflexible and reliant on the old landowner rights of the aristocracy.

헝가리의 절반은 매우 보수적이고 융통성이 없었으며 귀족의 오래된 지주권에 의존하고 있었다.

 

István Tisza, the Hungarian prime minister, relied on covert and secretive tactics to keep his coalition secure, including gerrymandering and restrictive suffrage.

헝가리 총리 이슈트반 티자는 게리맨더링과 제한적 참정권 등 은밀하고 비밀스러운 전술에 의존해 연립정부의 안정을 유지했다.

 

With democracy on the decline, confidence in Vienna reached rock bottom.

민주주의가 쇠퇴하면서 빈에 대한 신뢰도는 바닥을 쳤다.

 

In Prague, representatives took to the streets against their lack of voice and the authoritarian policies of the regime.

프라하에서는 대표들이 자신들의 발언권 부족과 정권의 권위주의 정책에 반대하며 거리로 나섰다.

 

In Budapest, the ruling coalition feared the dissent would spill over, even as famine loomed.

부다페스트에서는 기근이 닥쳐오는데도 집권 연립정부는 반대 여론이 확산될 것을 우려했다.

 

And all the while, the Italians, Russians and Romanians broke down the gates of the Dual Monarchy, eager to exploit its weakened state.

그 와중에 이탈리아, 러시아, 루마니아는 약화된 국가를 이용하기 위해 이중 군주제의 성문을 무너뜨렸다.

 

-

 

The closing war years were marked with a rapid succession of parliamentary crises for the struggling Empire.

전쟁 막바지에는 고군분투하던 제국에게 의회 위기가 연이어 닥쳤다.

 

For the Habsburg domain to survive the Weltkrieg, bold action was not just necessary, it was vital.

합스부르크 왕가가 세계대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과감한 조치가 필수적이었다.

 

With few other options, the young Emperor embarked on a series of reforms aiming to stem the turmoil in the Danubian monarchy and save Austria-Hungary from imminent collapse.

다른 선택지가 거의 없었던 젊은 황제는 다뉴브 군주제의 혼란을 막고 오스트리아-헝가리를 임박한 붕괴로부터 구하기 위해 일련의 개혁에 착수했다.

 

Sometime earlier, Prime Minister Stürgkh had been assassinated by political rivals.

얼마 전 슈트르크 총리는 정치적 라이벌에게 암살당했다.

 

The Austrian Emperor decided to instate Heinrich von Clam-Martinic to lead a reformist cabinet.

오스트리아 황제는 하인리히 폰 클람-마르틴을 개혁 내각의 수반으로 임명하기로 결정했다.

 

However, to restore parliament, Emperor Karl still required the backing of the German nationalists.

그러나 의회를 복원하려면 카를 황제는 여전히 독일 민족주의자들의 지지가 필요했다.

 

These radical fractions had no great love for the progressive overtures of the crown.

이 급진파는 황실의 진보적 서곡에 큰 호감을 보이지 않았다.

 

For their political support, they demanded a heavy price.

그들은 정치적 지지를 얻기 위해 엄청난 대가를 요구했다.

 

In exchange for backing a new administration, Emperor would have to press a long-time nationalist demand, the so-called Bohemian question.

새로운 행정부를 지지하는 대가로 황제는 오랜 민족주의적 요구, 이른바 보헤미아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German would have to become the sole official language of the Austrian half of the Empire for the nationalist bloc to agree to any restoration of Parliament.

민족주의 블록이 의회 복원에 동의하려면 독일어가 오스트리아 제국 절반의 유일한 공식 언어가 되어야 했다.

 

Naturally, this upset not only the Czechs, but also the Polish, Ukrainians, Slovenes and Croats.

당연히 이것은 체코인뿐만 아니라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들도 분노하게 했다.

 

Clam-Martinic would end up recalling parliament with the promise to give in to the German Nationalist demands.

결국 클람-마르티니크는 독일 민족주의의 요구에 굴복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의회를 소집했다.

 

However, the cabinet wavered and walked back their promises in the eleventh hour.

그러나 내각은 11시간 만에 흔들리며 약속을 철회했다.

 

Many saw this as weak and backhanded governance, unbefitting the office of Minister-President of Austria.

많은 사람들은 이를 오스트리아 총리-의장의 직책에 어울리지 않는 나약하고 뒷북치는 통치라고 생각했다.

 

Soon, Clam-Martinic found himself with neither support, nor credibility in the Reichrat, the Austrian Parliament.

곧 클램-마르틴은 오스트리아 의회인 라이히라트에서 지지도, 신뢰도 받지 못했다.

 

His government fell not a month into his premiership, and Clam-Martinic was replaced by the German-backed Ernst Seidler.

그의 정부는 총리직을 맡은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무너졌고, 클램-마르티니크는 독일의 지원을 받는 에른스트 자이들러로 교체되었다.

 

The new prime minister did not fare better.

새 총리는 더 나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Seidler was largely incompetent and unable to navigate between the Germans and the other ethnicities of the Empire.

자이들러는 대체로 무능했고 독일인과 제국의 다른 민족 사이에서 갈등을 조정하지 못했다.

 

Despite his shortcomings, Seidler’s leadership continued mostly as a result of Great War politics.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전쟁 정치의 결과, 자이들러의 리더십은 계속 유지되었다.

 

The German Kaiser had openly threatened Emperor Karl not to replace Seidler with the progressive Josef Redlich, who was strongly in favour of imperial reorganization.

독일 카이저는 카를 황제에게 제국 조직 개편을 강력히 지지하는 진보적인 요제프 레드리히로 자이들러를 교체하지 말라고 공개적으로 협박했다.

 

Seidler would eventually be sacked at the end of the war, and not remembered fondly.

결국 자이들러는 전쟁이 끝나자 해고되었고, 좋은 기억을 남기지 못했다.

 

Despite his black sheep status, Seidler had made vital reforms to the Food Office during his term.

수치스러운 상태에도 불구하고 자이들러는 임기 동안 식량청에 중요한 개혁을 단행했다.

 

His policies here engineered the so-called “Bread Peace” that would help Austria-Hungary through its darkest and coldest days in the final years of the war.

그의 정책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전쟁 말기의 가장 어둡고 추운 시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이른바 '빵의 평화'를 설계했다.

 

The Hungarian part of the Empire was plagued with much the same issues as Vienna.

제국의 헝가리 지역도 빈과 거의 같은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었다.

 

While Karl managed to rid himself of the chauvinistic and inflexible Tisza regime, there was no Hungarian faction strong enough to fill the resulting power vacuum.

카를은 우월주의적이고 융통성 없는 티자 정권을 제거했지만, 그 결과 생긴 권력 공백을 메울 만큼 강력한 헝가리 세력은 없었다.

 

Eventually, the conservative but pragmatic statesman Sándor Wekerle took charge of Hungary.

결국 보수적이면서도 실용주의적인 정치가 산도르 베케를레가 헝가리를 맡게 된다.

 

While Wekerle was definitely a conservative, he still proved far more flexible on key issues plaguing the realm.

베케를레는 분명 보수주의자였지만, 헝가리를 괴롭히는 주요 이슈에 대해서는 훨씬 더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Even though his mandate within Hungary remained small, Wekerle achieved minor reforms to suffrage law and deepened Croatian autonomy.

비록 헝가리 내에서 그의 권한은 미미했지만, 베케를레는 참정권 법에 대한 사소한 개혁을 달성하고 크로아티아의 자치권을 강화했다.

 

This would lay the roundwork for the creation of the Illyrian crown later, a major breakthrough for modernising the Austro-Hungarian State.

이는 훗날 오스트리아-헝가리 국가를 현대화하는 데 중요한 돌파구가 될 일리리아 왕정 수립의 토대가 되었다.

 

The third year of the Great war in Austria-Hungary was marked by slow political progress, and surprising battlefield successes.

오스트리아-헝가리 대전의 3년 차는 정치적 진전은 더디고 전장에서의 놀라운 성공으로 점철된 시기였다.

 

The Treaty of Brest-Litovsk had knocked the Russians out of the war, followed soon by the beleaguered Romanians.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러시아는 전쟁에서 물러났고, 곧이어 포위된 루마니아도 전쟁에서 물러났다.

 

Suddenly, two flanks of the Empire were secured, and only the Italian front remained.

갑자기 제국의 두 측면이 확보되고 이탈리아 전선만 남게 되었다.

 

Despite these windfalls, the Empire remained deeply paralyzed.

이러한 횡재에도 불구하고 제국은 여전히 심각한 마비 상태에 빠져 있었다.

 

A new political bloc was rising to force a breakthrough in the deadlocked parliaments of Austria and Hungary.

교착 상태에 빠진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의회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새로운 정치 블록이 부상하고 있었다.

 

This breakthrough would come from the streets, with two words that every politician dreads: General Strike.

이 돌파구는 모든 정치인이 두려워하는 세 글자, 이른바 총파업과 함께 거리에서 나올 것이다.

 

-

 

The honorable member from Styria objects to the motion.

스티리아에서 온 의원 나으리가 동의안에 반대합니다.

 

The motion fails.

동의안은 부결됩니다.

 

They should make those lines the anthem!

저 말을 국가(國歌)로 만들어야 합니다!

 

From some far-flung area of the Empire, lord something blocks any and all plans, and nothing happens.

제국의 외딴 지역에 사는 영주는 모든 계획을 막아서고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습니다.

 

How are we supposed to trust a place like that, that can systematically get absolutely NOTHING done for us?

우리를 위해 체계적으로 아무것도 해내지 못하는 그런 곳을 어떻게 믿어야 합니까?

 

It’s like they’re in a different world.

마치 그들은 다른 세상에 있는 기분입니다.

 

We could not care less about the policies of the Empire, we care about paying our bills!

우리는 제국의 정책은 신경도 안 쓰고 세금 납부에만 신경을 씁니다!

 

The Kaiser and the Emperor work us for their moronic conflict.

(독일) 카이저와 (오스트리아) 황제는 그들의 멍청한 분쟁을 위해 우리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They send our sons to die against the Russians and the Italians.

그들은 우리 아들들을 러시아와 이탈리아에 대항하여 죽도록 보냅니다.

 

But are we heard? as if!

하지만 그들은 우리 말을 듣습니까? 전혀요!

 

No, we’re just supposed to suck it up and work endlessly, building their cars and their guns and their shells, while the nobility gets to sit in their fancy houses, send their kids to a fancy school, get a fancy job arguing fancy nonsense in their fancy house.

아니, 우리는 그냥 참고 끝없이 일하며 그들의 자동차와 총과 포탄을 만드는 동안, 귀족들은 멋진 집에 앉아서 아이들을 멋진 학교에 보내고 멋진 집에서 멋진 헛소리를 하며 멋진 직업을 얻습니다.

 

And who could even blame them?

누가 그들을 비난할 수 있을까요?

 

If they’re never exposed to what life is really like here, why would they care?

이곳의 삶이 어떤 것인지 전혀 접하지 못한다면 왜 신경을 쓰겠습니까?

 

We should go to Vienna and make our voices heard!

빈에 가서 우리의 목소리를 듣도록 해야 합니다!

 

We are with many.

우리는 수가 많습니다.

 

We can grind the gears of the Empire to a halt, and it’s been enough!

우리는 제국의 톱니바퀴를 멈추게 할 수 있고,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Brothers of Budapest, brothers of Prague!

부다페스트의 형제들이여, 프라하의 형제들이여!

 

Will we let the elites dictate what our lives are like?

엘리트들이 우리의 삶을 결정하도록 내버려둘 것입니까?

 

Or will we finally, after all these years, do what the councils never managed to do?!

아니면 오랜 세월이 지난 후 마침내 의회가 하지 못한 일을 우리가 할 것입니까?!

 

Will we at last free the working man of Austria from this Aristocratic yoke?!

우리는 마침내 오스트리아의 노동자들을 이 귀족의 멍에에서 해방시킬 것입니까?!

 

Enough! Brothers, let us lay down our tools!

됐습니다! 형제들이여, 우리의 도구를 내려놓읍시다!

 

I call for a strike, a general strike!

나는 파업, 총파업을 요구합니다!

 

-

 

The general strike of 1918, better known as the Jännerstreik, could have been the death knell for the struggling Empire.

야너스트라이크로 더 잘 알려진 1918년 총파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던 오스트리아 제국의 운명을 결정지을 수도 있었다.

 

Instead, Vienna was on the cusp of an early spring, at least politically.

대신 빈은 적어도 정치적으로는 이른 봄의 정점에 있었다.

 

By this point, Russia and Romania had been knocked out of the war, and Italy was already on the backfoot.

이 무렵 러시아와 루마니아는 전쟁에서 이탈했고 이탈리아는 이미 후퇴하고 있었다.

 

The frontlines of the Weltkrieg were moving even farther away from the borders of Austria-Hungary, and the country was in high spirits.

세계대전의 전선은 오스트리아-헝가리 국경에서 훨씬 더 멀어지고 있었고, 나라는 활기를 띄고 있었다.

 

In Vienna, victory was in the air.

빈에서는 승리가 눈앞에 다가왔다.

 

Quick concessions to the workers would extend the lifeline of the Empire once more.

노동자들에게 빠르게 양보함으로서, 제국의 생명줄이 다시 한 번 연장될 수 있었다.

 

Under the Redlich ministry, municipal electoral law was democratized, as local diets of the Empire’s many crown lands introduced universal suffrage.

레들리히 내각 하에서 제국의 여러 주에서 지방 선거법이 민주화되면서 보편적 참정권이 도입되었다.

 

Democratic elections were announced for 1919, and a reformist mood overtook the Austrian part of the Empire.

1919년 민주적 선거가 발표되고 개혁주의 분위기가 제국의 오스트리아 지역을 뒤덮었다.

 

It was not just Austria, however, that experienced a swing towards reformism.

그러나 오스트리아만이 개혁주의를 향한 변화를 경험한 것은 아니었다.

 

In the whole Empire, the status quo was rapidly changing.

제국 전체에서 현상 유지가 빠르게 변화하고 있었다.

 

Already in 1918, the Prime Ministers of Austria and Hungary had agreed to create a new constituent kingdom, Illyria.

이미 1918년에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총리는 새로운 구성 왕국 일리리아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This kingdom consisted of the lands inhabited by Slovenes, Croats, Bosnians, and Serbs from both Austrian and Hungarian territory.

이 왕국은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영토의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땅으로 구성되었다.

 

Although the new Kingdom was nascent and troubled, the introduction of a Yugoslav Kingdom in personal union with Hungary did much to ease Slavic tensions.

새 왕국은 초기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헝가리와 동군연합인 유고슬라브 왕국의 출현은 슬라브족의 긴장을 완화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In the north, too, Slavic reformists would get their wish.

북쪽에서도 슬라브 개혁가들은 소원을 이루었다.

 

A constituent Bohemian kingdom would be re-established to appease the Czech people.

체코 국민을 달래기 위해 보헤미아 구성 왕국이 재건되었다.

 

While German nationalists remained staunchly opposed to Bohemia's creation, they had become politically marginalized following the election of 1919.

독일 민족주의자들은 보헤미아 건설에 완강히 반대했지만, 그들은 1919년 선거 이후 정치적으로 소외되었다.

 

The Land of the Crown of Wenceslas, as Bohemia was formally known, crowned Karl its king on September 28th, 1920.

보헤미아로 공식적으로 알려진 바츨라프 왕가의 땅은 1920년 9월 28일 카를을 국왕으로 즉위시켰다.

 

After this wave of progressive reform, the political pendulum would swing again.

이 진보적 개혁의 물결이 지나간 후 정치의 시계추가 다시 흔들리게 된다.

 

In outrage, reactionary and conservative Germans conspired to take down the Redlich ministry.

이에 분노한 반동적이고 보수적인 독일인들은 레드리히 내각을 무너뜨리기 위해 음모를 꾸몄다.

 

The radical right-wing of the Empire attempted a reversal of the reforms that had empowered Bohemia and Illyria.

제국의 급진 우익은 보헤미아와 일리리아에 힘을 실어준 개혁의 반전을 시도했다.

 

Although the nationalist bloc succeeded in taking down the governing coalition, they soon found out they had overplayed their hand.

비록 민족주의자들이 집권 연합을 무너뜨리는 데 성공했지만, 그들은 곧 그들이 손을 너무 많이 썼다는 것을 깨달았다.

 

When the general public came to the vote, it was the nationalists that were blamed for causing yet another round of political squabbling.

일반 대중이 투표에 참여했을 때, 또 다른 정치적 다툼을 일으켰다는 비난을 받은 것은 민족주의자들이었다.

 

The election that followed produced a surprise victor.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는 깜짝 승자가 탄생했다.

 

Popular support had not gone to the conservatives, nor even the progressives, but rather the rising Social democratic front.

대중의 지지는 보수당이나 진보당이 아니라 떠오르는 사회민주주의 전선에게로 향했다.

 

The Emperor, in his elation, assigned Karl Renner to form a left-leaning cabinet, despite the Syndicalist revolutions that had shocked France and Italy some time before.

얼마 전 프랑스와 이탈리아에 충격을 준 노조주의 혁명에도 불구하고, 황제는 기뻐하며 카를 레너에게 좌파 성향의 내각을 구성하도록 지시했다.

 

This swing to the left was to the chagrin of the German Kaiserreich, which had grown paranoid of Syndicalist incursion into her own language sphere.

노조주의가 자국 언어 영역에 침입하는 것에 대해 편집증에 걸린 독일 카이저라이히의 입장에서는 좌파 성향의 내각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Relations between Austria-Hungary and Germany had become polite at best, and the idea that Vienna would seek closer cooperation with France made the German nobility nervous.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독일의 관계는 기껏해야 소원해졌고, 빈이 프랑스와 긴밀한 협력을 모색할 것이라는 생각은 독일 귀족들을 긴장하게 만들었다.

 

In German newspapers, the Austrian Emperor was mockingly called ‘Camarade Karl’, or sordidly, ‘the Socialist Emperor’.

독일 신문에서는 오스트리아 황제를 '카를 동무' 또는 '사회주의 황제'라는 조롱 섞인 별명으로 불렀다.

 

-

 

At the time, it seemed like the chaotic years that followed the Jännerstreik and the Great War had solidified Austria-Hungary’s evolution into a democratic federation of equals.

당시에는 야너스트라이크와 1차 세계대전 이후 혼란스러운 시기를 거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가 평등한 민주 연방으로 발전한 것처럼 보였다.

 

In many provinces Austrian and Hungarian chauvinism had given way to the popular social-democratic party, riding a wave of reformist fervour.

많은 지역에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쇼비니즘은 개혁주의 열기를 타고 대중적인 사회민주당에 자리를 내주었다.

 

Renner, who had become prime minister in the electoral upset of 1921, wasted no time trying to solve many core issues that plagued the Empire.

1921년 선거의 이변으로 총리가 된 레너는 제국을 괴롭히는 여러 핵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다.

 

Many were worried that the socialist Renner ministry would inevitably drive the Empire into Syndicalist arms.

많은 사람들은 사회주의자 레너 내각이 제국을 필연적으로 노조주의의 품으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In truth however, the Social-Democrats mostly shied away from major political reforms.

그러나 사실 사회민주당은 대부분 주요 정치 개혁을 외면했다.

 

The only true break with tradition Renner achieved was the enfranchisement of women.

레너가 이룩한 유일한 전통과의 단절은 여성 참정권 부여였다.

 

The ministry focused mostly on socio-economic reforms.

내각은 주로 사회경제적 개혁에 집중했다.

 

The accessibility to social housing in cities like Vienna, Salzburg and Graz was expanded, schools and kindergartens were secularized, and the taxation system underwent a major overhaul to better suit Austria’s new finances.

빈, 잘츠부르크, 그라츠와 같은 도시에서 사회주택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고, 학교와 유치원을 세속화했으며, 오스트리아의 새로운 재정에 더 적합하도록 조세 제도를 대대적으로 개편했다.

 

In Hungary, too, a reformist mood set had overtaken the country.

헝가리에서도 개혁주의 분위기가 나라를 뒤덮었다.

 

After years of conservative-progressive domination, the failure of the coalition to meet popular expectations led to a victory of the social-democratic party under Mihály Károlyi.

수년간의 보수-진보 연립정부 집권 이후, 연립정부가 대중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자 미하이 카로이가 이끄는 사회민주당이 승리하게 되었다.

 

Similar to Austria in earlier years, Hungary greatly democratized after the election of 1922, with universal suffrage finally introduced.

초기의 오스트리아와 마찬가지로, 헝가리도 1922년 선거 이후 민주화가 크게 진전되어 마침내 보통 선거권이 도입되었다.

 

Furthermore, Károlyi began undercutting the long-held power of the aristocracy by introducing major land reforms, which would dwindle the power of the landholding class.

또한 카로이는 지주 계급의 권력을 약화시키는 대대적인 토지 개혁을 도입하여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귀족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시작했다.

 

Under Karolyi, the so-called Apponyi laws were repealed.

카로이 치하에서는 이른바 어포니 법이 폐지되었다.

 

These had been a prominent aspect of the pro-hungarian Magyarization policy of the last decade.

이는 지난 10년간의 친헝가리파의 헝가리화 정책에서 두드러진 측면이었다.

 

They were a series of laws that had severely oppressed non-Hungarian minorities in its half of the Empire.

이 법은 헝가리 제국의 절반에 해당하는 비헝가리계 소수민족을 심각하게 억압하는 일련의 법이었다.

 

Removing the Apponyi laws extended an olive branch to minorities inside the Hungarian crown lands.

어포니 법의 폐지는 헝가리 왕국 영토 내 소수민족에게 올리브 가지를 뻗어주었다.

 

Additionally, both Vienna and Budapest pushed back against militarist traditions which had severely undermined civilian rule and peace before and during the Weltkrieg.

또한 빈과 부다페스트는 세계대전 전후로 민간 통치와 평화를 심각하게 훼손한 군국주의 전통에 반발했다.

 

Seeing the military budget as increasingly unnecessary, a sense of peace and prosperity under responsible and representative government washed over the Danubian monarchy.

군사 예산이 점점 더 불필요해지자 책임 있는 대의제 정부 하에서 평화와 번영을 누릴 수 있다는 낙관론이 다누비아 군주정을 뒤덮었다.

 

But this era of optimism would, in the end, prove mostly gilded.

그러나 이 낙관주의의 시대는 결국 대부분 허황된 것으로 판명되었다.

 

Károlyi’s ambitious government overstretched itself, and quickly faltered against conservative resistance.

카로이의 야심찬 정부는 무리하게 사업을 확장했고, 보수적인 저항에 부딪혀 빠르게 무너졌다.

 

In Austria, the death blow for the socialist experiment came quickly, and unexpectedly.

오스트리아에서 사회주의 실험에 치명타를 가한 것은 예기치 않게 빠르게, 그리고 예상치 못하게 찾아왔다.

 

When in 1926 a general strike in the United Kingdom turned violent, wildcat strikes throughout Austria-Hungary sprung up in sympathy with British workers.

1926년 영국에서 총파업이 폭력적으로 변하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전역에서 영국 노동자들과 동조하는 비공인 파업이 일어났다.

 

While the government both silently and explicitly condoned the strikes, they faced increasing backlash from anti-syndicalist voices in the Empire, which united under the conservative parties of the Empire’s constituent realms.

정부는 파업을 조용히 또는 노골적으로 묵인했지만, 제국 내 반노조주의파의 반발이 거세졌고, 이들은 제국을 구성하는 보수 정당들 아래에서 단결했다.

 

It would not be long until the British strikes had turned into a full-blown revolution.

영국의 파업이 본격적인 혁명으로 변하기까지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As British aristocrats and royalists fled to holdouts across the Empire, panic swept the conservative ranks of the Habsburg domain.

영국 귀족과 왕당파가 제국 전역에 걸쳐 저항 세력으로 피신하자 합스부르크 영토의 보수파는 공황에 휩싸였다.

 

Led by the devout Catholic Ignaz Seipel, Austrian conservatives started to pressure the Emperor to dismiss Renner, fearing that Austria’s fate was soon to share Britain’s.

독실한 가톨릭 신자였던 이그나츠 자이펠이 이끄는 오스트리아 보수파는 오스트리아의 운명이 곧 영국과 같을 것을  우려하며 황제에게 레너를 해임하라고 압력을 가하기 시작했다.

 

The Emperor, although startled by the revolt, refused to dismiss Renner.

황제는 반란에 놀랐지만 레너의 해임을 거부했다.

 

He had fought hard to restore the Parliamentary System in his early reign, and he was unwilling to undo years of progress by interfering now.

그는 재위 초기에 의회 제도를 복원하기 위해 열심히 싸웠고, 지금 그것을 간섭하여 수년간의 진전을 되돌리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Despite the Emperor’s support, Renner’s government collapsed quickly after British Syndicalists proclaimed the Union of Britain.

황제의 지원에도 불구하고 레너의 정부는 영국 노조주의자들이 브리튼 연방을 선포한 후 빠르게 무너졌다.

 

Swept up in their victory in Britain, some factions within Syndicalist France and Britain dared utter the words ‘world revolution’.

영국에서의 승리에 도취된 프랑스와 영국 내 일부 노조주의 파벌은 감히 '세계 혁명'이라는 말을 입에 올리기도 했다.

 

In truth, those factions were political fringe movement at best.

사실 이러한 파벌은 기껏해야 정치적 변두리 운동에 불과했다.

 

Despite this, the conservative newspapers and radios ran with the story, with enthusiastic support of the German Kaiserreich.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신문과 라디오는 독일 카이저라이히의 열렬한 지지를 받으며 이 이야기를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The wildcat strikes in Austria were dispersed, and in a tide of anti-Syndicalist sentiment, the Conservatives swept to power.

오스트리아의 비승인 파업은 해산되었고, 반노조주의 정서의 흐름 속에서 보수당이 집권했다.

 

Syndicalism was now the unifying enemy, and the Austro-Hungarian pendulum had swung again.

이제 노조주의는 통합의 적이 되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정세의 추는 다시 흔들리기 시작했다.

 

In Hungary, Károlyi’s government collapsed with an even bigger bang.

헝가리에서는 카로이 정부가 더 큰 폭풍을 일으키며 무너졌다.

 

While Renner had largely remained silent on the wildcat strikes, Károlyi explicitly endorsed the British revolutionaries.

레너는 미승인 파업에 대해 대체로 침묵을 지키고 있었지만, 카로이는 영국 혁명가들을 명시적으로 지지했다.

 

After calling for a general strike in sympathy with the Syndicalists in the United Kingdom, his coalition shattered almost immediately.

영국의 노조주의자과 동조하여 총파업을 촉구한 후, 그의 연정은 거의 즉시 무너졌다.

 

As chaos erupted in the streets of Budapest, the Prime Minister was ousted in a vote of no-confidence.

부다페스트 거리에서 혼란이 일어나자 총리는 불신임 투표를 통해 축출되었다.

 

The Hungarian gendarmerie battled with pro-syndicalist strikers in the streets of the Hungarian capital.

헝가리 헌병대는 헝가리 수도의 거리에서 친노조주의 파업 참가자들과 전투를 벌였다.

 

Following the chaos, numerous prominent Hungarian leftists fled the country for the Commune of France, in the hope of mounting syndicalist resistance from abroad.

혼란 이후 수많은 저명한 헝가리 좌파들은 해외에서 노조주의자들의 저항이 거세질 것을 기대하며 프랑스 코뮌으로 도피했다.

 

The progressive days of the Danubian monarchy were numbered, as new Conservative, highly anti-Syndicalist cabinets were formed throughout the realm.

다누비아 군주정의 진보적 시대는 막을 내렸고, 반노조주의 성향이 강한 새로운 보수 내각이 제국 전역에 형성되었다.

 

-

 

It was summer I think, or at least a very warm spring.

여름이었거나 적어도 아주 따뜻한 봄이었던 것 같소.

 

I was preparing the fields for the sowing when I spotted a large column of trucks speeding towards the capitol.

파종을 위해 밭을 준비하고 있었는데 국회의사당을 향해 질주하는 트럭 행렬이 보였지.

 

It was quite the sight, I can tell you that.

정말 대단한 광경이었소.

 

Even during the Weltkrieg, I'd never seen that much armour near the estate.

세계대전 중에서도 저렇게 많은 장갑차는 본 적이 없었다오.

 

The fighting was always far away, in Poland, Transylvania and the Alps.

전투는 항상 폴란드, 트란실바니아, 알프스 산맥 등 멀리 떨어진 곳에서 벌어졌지.

 

Now, it seemed like the war had come to Hungary!

이제 전쟁이 헝가리에 온 것 같았소!

 

I wouldn’t have given it much thought, were it not for the terrifying national address the Emperor had given the day before.

전날 황제가 행한 끔찍한 대국민 연설이 아니었다면 난 별다른 생각도 안 했을 거요.

 

Riots in Budapest, he had said!

부다페스트에서 폭동이 일어났다더군!

 

The socialists had taken to the streets, that no-good, jobless rabble!

사회주의자들이 거리로 뛰쳐나왔다고, 일자리를 잃은 폭도들이라고!

 

That’s what you get for allying yourself with the reds, I remember thinking.

그게 바로 빨갱이들과 동맹을 맺은 대가라고 생각했소.

 

Our fool of an Emperor, Comrade Karl, who gladly accepted the ‘reforms’ of these snakes in the grass!

풀숲의 뱀 같은 놈들의 '개혁'을 기꺼이 받아들인 우리의 바보 같은 황제, 카를 동무!

 

The local pastor was right, I tell you, never trust a socialist!

동네 사제의 말이 맞았소, 사회주의자는 절대 믿지 말라고!

 

They promised us they were nothing like the French or British Syndicalists.

그들은 프랑스나 영국의 노조주의자들과는 전혀 다르다고 약속했소.

 

Nooo, their aim was not Revolution, but reform, you see!

아니, 그들의 목표는 혁명이 아니라 개혁이었지!

 

And all the good it did us!

그리고 그게 차라리 잘된 일이었지.

 

The minute that leftist rabble saw the winds turn against them, they reached for rifles all the same!

좌파 폭도들은 바람이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돌아가는 것을 본 순간 모두 똑같이 소총을 들었소!

 

No-good jobless loft socialists, Syndicalists, Marxo-watchamacallit anarchists, Jacobins.

일자리가 없는 다락방 사회주의자, 노조주의자, 마르크스-어쩌고저쩌고 아나키스트, 자코뱅.

 

Rats, the whole lot of them! Rats who deny the Hungarian way, the true way!

쥐새끼들이지, 전부 다! 헝가리의 방식, 진정한 방식을 부정하는 쥐새끼들!

 

We are a simple people, who have no interest in these Western European fancies of socialism.

우리는 사회주의에 대한 서유럽의 환상에 관심이 없는 단순한 국민들이오.

 

One people, one nation, and only God can give the right to rule.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오직 하느님만이 통치권을 주실 수 있지

 

That’s the creed I live by.

그게 바로 내 신조요.

 

I heard the leftists learned that lesson well that day.

그날 좌파들이 그 교훈을 잘 배웠다고 들었소.

 

The city kids from Budapest, Pozsony, Kolozsvár got the hard end of a baton, the cold inside of a cell, and their entire government collapsed and fled.

부다페스트, 포조니, 콜로주바르에서 온 도시 애새끼들은 곤봉과 감방 안의 추위를 견디지 못하고 정부 전체가 무너지고 도망쳤지.

 

Now, Hungary is once again led by god-fearing men.

이제 헝가리는 다시 한 번 신을 두려워하는 사람들이 이끌게 되었소.

 

And the socialist experiment is over!

그리고 사회주의 실험은 끝났다네!

 

Good riddance I say.

잘 치워버린 거지.

 

Long live Hungary, and long live the old ways!

헝가리 만세, 그리고 옛 방식도 만세!

 

-

 

The Syndicalist Revolution had upset the political trajectory of the Habsburg Empire.

노조주의 혁명은 합스부르크 제국의 정치적 궤도를 뒤흔들었다.

 

After conservatives had regained their power in both halves of the Empire, a veritable Red Scare swept across the nation.

제국의 양쪽 절반에서 보수파가 권력을 되찾은 후, 진정한 '붉은 공포'가 전국을 휩쓸었다.

 

Conservatives and Reactionaries refused to cooperate with the Social-Democrats in nearly all matters, fearing that any concession would pave the way for another Syndicalist revolution.

보수파와 반동파는 양보가 또 다른 노조주의 혁명의 길을 열어줄 것을 우려해 거의 모든 사안에서 사회민주당과의 협력을 거부했다.

 

The groundbreaking progressive reforms of the social democrats had ground to a halt.

사회민주당의 획기적인 진보적 개혁은 중단되었다.

 

In Hungary, the chaotic collapse of the socialist Károlyi regime had left a bitter taste, and Hungary turned instead to the old establishment.

헝가리에서는 사회주의 카로이 정권의 혼란스러운 붕괴가 씁쓸한 맛을 남겼고, 헝가리는 그 대신 기존 체제로 돌아섰다.

 

And did so quite literally.

말 그대로 그렇게 된 것이다.

 

In 1926, at the age of 81, Albert Apponyi rose to power again.

1926년, 81세의 나이에 얼베르트 어포니가 다시 권력을 잡았다.

 

The aging conservative led a cabinet stacked to the brim with anti-socialists and Hungarian nationalists.

노쇠한 보수주의자는 반사회주의자와 헝가리 민족주의자들로 가득 찬 내각을 이끌었다.

 

Despite this, Apponyi returned to the political stage to reshape his legacy into that of a moderate conservative.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포니는 정치 무대로 돌아와 자신의 유산을 온건 보수주의로 재구성했다.

 

In the closing chapter of his life, Apponyi wanted to become the architect of a new political consensus.

인생의 마지막 장에서 어포니는 새로운 정치적 합의의 설계자가 되기를 원했다.

 

Such ambition was met with derision from the realm’s many minorities.

하지만 이러한 야망은 헝가리의 많은 소수민족들로부터 조롱을 받았다.

 

To minorities in Hungary, Apponyi was an architect indeed.

헝가리의 소수 민족에게 어포니는 정말 건축가였다.

 

The architect of the hated Apponyi laws.

증오의 대상이 된 어포니 법의 설계자.

 

These repressive Hungarisation laws were removed by the previous regime, though true to his word, Apponyi did not reinstate them.

이 억압적인 헝가리화법은 이전 정권에 의해 철폐되었지만, 어포니는 자신의 말대로 이를 다시 복원하지 않았다.

 

Perhaps the wisdom of age had indeed softened the Grand Old Man of Europe.

아마도 세월의 지혜가 유럽의 위대한 노인을 부드럽게 만들었을 것이다.

 

The new Hungary was much like the old Hungary, but bolstered by the public fear of Syndicalism.

새로운 헝가리는 옛 헝가리와 매우 흡사했지만, 노조주의에 대한 대중의 공포가 더 강했다.

 

Those not with the Consensus, it was said, were with the Internationale.

합의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인터내셔널에 속해 있었다고 한다.

 

Apponyi enjoyed wide popular support as he began rolling back much of the reforms of the Hungarian socialists.

어포니는 헝가리 사회주의자들의 개혁을 상당 부분 되돌리기 시작하면서 대중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다.

 

Hungary was returned to its pre-1921 state.

헝가리는 1921년 이전의 국가로 돌아갔다.

 

A highly nationalistic, aristocratic and pro-Hungarian realm.

고도로 민족주의적이고 귀족적이며 친헝가리적인 왕국.

 

Fearing the Syndicalists more than their own elite, many welcomed the sense of normalcy the government seemed to offer.

자국 엘리트보다 노조주의를 더 두려워했던 많은 사람들은 정부가 제공하는 것처럼 보이는 정상성을 환영했다.

 

The Conservative government was further bolstered by steady economic growth.

보수당 정부는 꾸준한 경제 성장으로 더욱 힘을 얻었다.

 

Both in Austria and Hungary, the standard of living had been rising and business was booming.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모두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비즈니스가 호황을 누리고 있었다.

 

Radios, vacuum cleaners, and electronic lighting became increasingly common in the vast nation.

라디오, 진공청소기, 전기 조명은 이 광활한 나라에서 점점 더 보편화되었다.

 

Although the Conservative ministries took the credit for the prosperity of the late 1920s, much of it was only possible thanks to the reforms of the years prior, and such progress would prove to be rather fragile, indeed.

1920년대 후반의 번영에 대한 공로를 보수당 내각이 차지했지만, 그 대부분은 그 이전 수년간의 개혁 덕분에 가능했던 것이었고, 그러한 발전은 실제로 다소 취약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Dark clouds were gathering outside of the Empire, as well.

제국 밖에서도 먹구름이 몰려오고 있었다.

 

By the 1920s, cracks were forming in the fragile sphere of influence Austria-Hungary has gained from victory in the Weltkrieg.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계대전에서 승리하여 얻은 취약한 영향권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

 

To understand the Dual-Monarchy’s precarious position on the world stage, we must dial back to 1919, and the end of the Great War.

세계 무대에서 이중 군주제의 불안정한 위치를 이해하려면 1919년, 대전쟁이 끝난 시점으로 다이얼을 돌려야 한다.

 

When the Habsburg Domain emerged from the Weltkrieg, it was not in any condition to annex vast swathes of land as the Kaiser had done.

합스부르크 제국은 세계대전에서 승리했을 때 카이저처럼 광대한 영토를 합병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었다.

 

The Empire chose to only minimally adjust the border with Romania and annexed some territory in Montenegro.

합스부르크 제국은 루마니아와의 국경을 최소한으로 조정하고 몬테네그로의 일부 영토를 병합하기로 결정했다.

 

While the Bulgarian Empire to its south vastly overstretched itself, Austria-Hungary took a more careful approach.

남쪽에 있는 불가리아 제국이 영토를 크게 확장하는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좀 더 신중한 접근 방식을 취했다.

 

Like the famous Metternich had done just over a century before, Austria-Hungary would find its power not through military, but through diplomatic, dynastic, and economic ties.

한 세기 전에 유명한 메테르니히가 그랬던 것처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군사력이 아닌 외교, 왕조, 경제 관계를 통해 힘을 찾으려 했다.

 

To understand the Empire’s approach, we must turn back to 1914.

제국의 접근 방식을 이해하려면 1914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

 

The Habsburgs had spent most of the 19th century gradually being pushed out of their Italian holdings.

합스부르크 왕가는 19세기 대부분을 이탈리아 영토에서 서서히 밀려나는 데 보냈다.

 

The Austrian Empire had reached her zenith in 1815, but her territory had been in decline ever since.

오스트리아 제국은 1815년에 전성기를 맞이했지만, 그 이후로 영토는 계속 쇠퇴하고 있었다.

 

Even before the Great War, consistent defeats at the hands of France, Sardinia-Piedmont and other Italian factions saw Austrian dominion of Italy reduced to just minor territorial possessions in Southern Tirol and the Austrian Littoral, around Trieste.

1차 대전 이전에도 프랑스, 사르데냐-피에몬테 및 다른 이탈리아 세력에게 계속 패배하면서 오스트리아의 이탈리아 지배권은 남부 티롤과 트리에스테 주변의 오스트리아 리토랄에 있는 작은 영토로 축소되었다.

 

The keenness of the Kingdom of Italy to incorporate these rich Italian territories into the nation had led to one of the bloodiest fronts in the Weltkrieg.

이 풍부한 이탈리아 영토를 국가에 편입하려는 이탈리아 왕국의 열망은 세계대전에서 가장 피비린내 나는 전선 중 하나로 이어졌다.

 

The Italian Field Marshall, Luigi Cadorna, had sent wave after wave of soldiers in futile attempts to take the strategic city of Gorizia.

이탈리아 야전 사령관 루이지 카도르나는 전략 도시인 고리치아를 점령하기 위해 수많은 병사를 진군시켰지만 헛수고였다.

 

The Habsburgs held firm, and after the decisive victory at Caporetto in 1917, their armies were poised for a general push into the Po Valley.

합스부르크 왕가는 굳건히 버텼고, 1917년 카포레토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둔 후 군대는 포 계곡으로 진격할 준비를 마쳤다.

 

In August 1919, that exact push would lead to the armistice with, and subsequent collapse of, the Kingdom of Italy.

1919년 8월, 바로 그 진격으로 이탈리아 왕국은 휴전하고 이후 붕괴하게 된다.

 

Eager on reversing the centuries prior, Austria-Hungary would occupy Venetia and Lombardy until a full settlement was reached.

지난 세기를 되돌리고 싶었던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베네치아와 롬바르디아를 점령했다.

 

Shortly after the armistice was signed however, Republican-led revolts broke out against the House of Savoy.

그러나 휴전이 체결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사보이 왕가에 대항하는 공화파 반란이 발발했다.

 

Although the uprising made rapid headway in the north of the country, unity proved elusive for the new, young Italian Republic.

봉기는 북부에서 빠르게 진전되었지만, 신생 이탈리아 공화국은 통합을 이루기 어려웠다.

 

Syndicalists instigated their own revolt within the Republican ranks, who were quickly pushed back to a small strip of land in Emilia-Romagna.

노조파는 공화파 내부에서 자체 반란을 일으켰고, 이들은 곧 에밀리아 로마냐의 작은 땅으로 밀려났다.

 

The Italian civil war forced an Austrian response.

이탈리아 내전은 오스트리아의 대응을 강요했다.

 

Both Republican and Socialist forces had been contesting Austrian occupation in the country’s northeast, as neither accepted the 1919 armistice.

공화파와 사회주의 세력 모두 1919년 휴전을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에 이탈리아 북동부에서 오스트리아의 점령을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었다.

 

It would be the fear of the Scarlet specter that would drive the various anti-Syndicalist factions into Austro-Hungarian arms.

다양한 반노조파 세력들이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세에 합류하게 된 것은 바로 '적색 유령'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Under the Treaty of Trieste in 1920, the fractured anti-Syndicalist Italian states were nominally unified under the pro-Austrian Italian Federation.

1920년 트리에스테 조약에 따라 분열된 반노조주의 이탈리아 국가들은 명목상으로는 친오스트리아 이탈리아 연방으로 통일되었다.

 

However, in practice, only the directly occupied Republic of Lombardy-Venetia in the north would truly follow Vienna.

그러나 실제로는 직접 점령된 북부의 롬바르디아-베네치아 공화국만이 진정으로 빈을 따르게 된다.

 

-

 

Like Italy, Romania had entered the Weltkrieg with major territorial ambitions on Habsburg lands.

이탈리아처럼 루마니아도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토에 대한 큰 야망을 품고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Ever since the Principalities formally united in 1878, Austria-Hungary bordered yet another hostile state that desired the incorporation of one of the Empire’s many ethnic territories.

1878년 공국이 공식적으로 통합된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제국의 여러 민족 영토 중 하나를 통합하고자 하는 또 다른 적대 국가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다.

 

In the case of Romania, that was the prestigious and coveted Transylvania.

루마니아의 경우, 그것은 명성이 높고 탐나는 트란실바니아였다.

 

After the 1916 Russian Brusilov Offensive had pushed Vienna to the brink, Romania eagerly joined the Weltkrieg on the side of the Entente.

1916년 러시아가 브루실로프 공세로 빈을 벼랑 끝으로 몰고 간 후, 루마니아는 협상국 편에 서서 열심히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Her goals were clear. A crushing Hungarian defeat would secure the annexation of Romanian Transylvania.

목표는 분명했다. 헝가리를 대파하고 루마니아인의 트란실바니아를 합병하는 것이었다.

 

The decision would turn out to be costly.

이 결정은 대가를 치르게 되었다.

 

The Central Powers unexpectedly bounced back, and a force of Germans, Austro-Hungarians, Bulgarians and Ottoman troops swiftly overwhelmed the country.

동맹국은 예상치 못하게 반격했고 독일군, 오스트리아-헝가리군, 불가리아군, 오스만 군으로 구성된 연합군이 순식간에 나라를 압도했다.

 

It would take only three months for this allied force of nations to take Bucharest.

이 연합군이 부쿠레슈티를 점령하는 데는 불과 3개월밖에 걸리지 않았다.

 

Romania, however, refused to surrender.

그러나 루마니아는 항복을 거부했다.

 

Instead, the government retreated to Iasi, where it fought closely alongside Russia and France.

대신 루마니아 정부는 이아시까지 후퇴하여 러시아, 프랑스와 함께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When Russia faltered due to the outbreak of revolution, Romania was left isolated in the East.

혁명의 발발로 러시아가 흔들리자 루마니아는 동부에 고립된 채로 남겨졌다.

 

Her fate was sealed when Germany negotiated Russia out of the war with the Treaty of Brest-Litovsk.

독일이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러시아를 전쟁에서 제외시키면서 루마니아의 운명은 결정되었다.

 

Alone and outmatched, Romania was forced to accept the humiliating Treaty of Bucharest.

홀로 열세에 몰린 루마니아는 굴욕적인 부쿠레슈티 조약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Austria-Hungary ended up demanding only minor border concessions from Romania.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결국 루마니아에 약간의 국경 양보만을 요구했다.

 

This was contrasted by the fury of Bulgarian irredentists, who demanded the new 'lion of the Balkans' claim much of southern Romania.

이는 새로운 '발칸 반도의 사자'가 루마니아 남부의 대부분을 차지할 것을 요구한 불가리아 분리주의자들의 분노와 대조를 이뤘다.

 

The real winner was Germany however, that secured considerable influence in the eastern Balkan states with the treaty.

그러나 진정한 승자는 이 조약으로 동부 발칸 국가들에 상당한 영향력을 확보한 독일이었다.

 

Despite its relatively gentle treatment by the Central Powers, a sentiment of national humiliation quickly gained hold of the country.

중앙 강대국들의 비교적 온화한 대우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굴욕감이 루마니아를 빠르게 장악했다.

 

Rather than turning to Syndicalism, however, Romania’s population turned to the Iron Guard.

그러나 루마니아 국민은 노조주의 의지하는 대신 철위대에 손을 들어주었다.

 

Led by the young and charismatic Corneliu Zelea Codreanu, this was an ultranationalist, radically anti-socialist, populist and xenophobic movement.

젊고 카리스마 넘치는 코르넬리우 젤레아 코드레아누가 이끄는 이 단체는 초국가주의, 급진적 반사회주의, 포퓰리즘, 외국인 혐오 운동이었다.

 

To anyone witnessing the marches of the Legionnaires in Bucharest, this much was apparent.

부쿠레슈티에서 군단의 행진을 목격한 사람이라면 이 정도는 누구나 알 수 있었다.

 

Romania had neither accepted the results of the Weltkrieg, nor let go of her dream to unite all Romanians under one banner.

루마니아는 세계대전의 결과를 받아들이지도 않았고, 모든 루마니아인을 하나의 깃발 아래 통합하려는 꿈도 버리지 않았다.

 

Nationalism in the Balkans was an old headache for European diplomats.

발칸 반도의 민족주의는 유럽 외교관들에게 오래된 골칫거리였다.

 

Such nationalism had, after all, started the Weltkrieg in Serbia not ten years earlier.

결국 이러한 민족주의는 10년 전 세르비아에서 세계대전의 시작을 알렸기 때문이다.

 

-

 

As the Germans would later have it, it was Serbian ambitions on the Habsburg Lands that would be the direct cause of the Weltkrieg.

훗날 독일이 알게 되겠지만,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세르비아의 야망이 1차 세계대전의 직접적인 원인이었다.

 

After rejecting Danubian demands following the assassination of Franz-Ferdinand, Serbia kicked off a network of alliances that would end up radically changing the world order.

프란츠 페르디난트 암살 이후 다누비아 군주정의 요구를 거부한 세르비아는 세계 질서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동맹 네트워크를 시작했다.

 

Although it had initially survived bravely against the Austro-Hungarian onslaught at its borders, Bulgarian and German interventions would overwhelm the country in late 1915.

처음에는 국경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맹공격에 맞서 용감하게 살아남았지만, 1915년 말 불가리아와 독일의 개입으로 세르비아는 압도당하게 된다.

 

As the Serbian government fled into exile, the fate of the combative Kingdom fell to the occupying Austro-Hungarians and Bulgarians.

세르비아 정부가 망명길에 오르자 전투적인 왕국의 운명은 점령군인 오스트리아-헝가리군과 불가리아군에게 넘어갔다.

 

Although the Bulgarians enforced their vision for their Serbian lands boldly and violently, the Austro-Hungarian occupation was as directionless as the nation itself.

불가리아는 대담하고 폭력적으로 세르비아 영토에 대한 비전을 강요했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은 그들 국가만큼 방향성이 없었다.

 

The belief of the military was that only a permanent and harshly enforced occupation could deal with Serbia as a direct threat to imperial integrity.

군부의 믿음은 영구적이고 가혹한 점령만이 제국의 존립을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세르비아를 다룰 수 있다는 것이었다.

 

This vision would also see small Austro-Hungarian expansion into key strategic strong points.

이 비전은 또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소규모 영토 확장을 주요 전략적 요충지로 보는 것이었다.

 

This view, however, was not shared at home by either Budapest or Vienna.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부다페스트나 빈에서 공유되지 않았다.

 

Then-Prime Minister István Tisza vehemently opposed any incorporation of Slavic lands into the Austro-Hungarian Empire, fearing it would only serve to further destabilize the domain, and reduce Hungarian influence.

당시 총리 이스트반 티자는 슬라브 지역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편입이 영토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고 헝가리의 영향력을 감소시킬 것을 우려해 강력하게 반대했다.

 

Budapest would only support the incorporation of a minor strategic bridgehead into the Kingdom of Hungary.

부다페스트는 헝가리 왕국에 작은 전략적 교두보를 편입하는 것만 지지했다.

 

Vienna took an even more hands-off approach, preferably seeing Serbia as an aligned, but independent state that would be bound to Austria-Hungary by economic means.

빈은 세르비아를 오스트리아-헝가리에 경제적으로 묶여 있지만 독립된 국가로 간주하는 훨씬 더 소극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

 

In the end, amidst the internal chaos, the Austro-Hungarian army pursued its own policy.

결국 내부 혼란 속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독자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Serbia was being prepared for permanent military occupation.

세르비아는 영구적인 군사 점령을 준비당하고 있었다.

 

The country was demobilized, the education reformed and civilian government was frustrated at any given opportunity.

국가는 동원이 해제되고 교육이 개혁되었으며 민간 정부는 주어진 기회마다 좌절했다.

 

The annexationist policies of the armed forces would lead to a direct conflict with Tisza’s Hungary, in which Budapest would eventually end up on top.

군부의 합병주의 정책은 티자의 헝가리와 직접적인 충돌로 이어졌고, 결국 부다페스트가 정상을 차지하게 된다.

 

After this tumultuous early occupation, Serbia would slowly be restructured in an Austro-Hungarian image.

이 격동의 초기 점령 이후 세르비아는 서서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이미지로 재편된다.

 

Pro-Austrian politicians, united under Vojislav Veljkovic, started working with the Austro-Hungarian occupiers to restore any semblance of a functional Serbian state.

보이슬라프 벨리코비치 아래 단결한 친오스트리아 정치인들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점령군과 협력하여 세르비아 국가로서의 모습을 회복하기 시작했다.

 

That said, the road to peace was long and arduous.

하지만 평화를 향한 길은 멀고 험난했다.

 

Vienna had sworn a blood vengeance on Serbia, while the suffering of the Serbian people by years of economic exploitation had kept the population hostile to the Central Powers.

오스트리아는 세르비아에 피의 복수를 맹세했고, 세르비아 국민은 수년간의 경제적 착취로 인한 고통으로 동맹국에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다.

 

By the time that Karl had ascended to the Austro-Hungarian throne, Austria-Hungary and the Serbian government in exile began searching for a diplomatic solution.

카를이 오스트리아-헝가리 황위에 올랐을 무렵,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망명 중인 세르비아 정부는 외교적 해결책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The long and strenuous negotiations would eventually result in the Treaty of Wartholz.

길고 치열한 협상 끝에 결국 바르톨츠 조약이 체결되었다.

 

Serbia would be united with Montenegro, and the Karadordevic dynasty would be allowed to stay.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와 통합되었고 카라조르데비치 왕조는 계속 존속할 수 있게 되었다.

 

Some territory would also change hands.

일부 영토의 주인이 바뀌기도 했다.

 

The country would lose Macedonia and the lands to the east of the Morava to the Bulgarian Tsardom.

불가리아는 마케도니아와 모라바 강 동쪽의 땅을 불가리아 차르국에게 빼앗기게 된다.

 

Austria-Hungary seized the Montenegrin coast.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몬테네그로 해안을 점령했다.

 

More importantly to Vienna, however, was that Serbia would fall almost entirely under their economic hegemony.

그러나 빈에게 더 중요한 것은 세르비아가 거의 전적으로 그들의 경제적 패권 아래 놓이게 된다는 것이었다.

 

Like Romania, its people had suffered at the hands of the victorious Central Powers, and like Romania, it had been thoroughly economically subjugated to the victors around it.

세르비아는 루마니아와 마찬가지로 승전한 동맹국들 손아귀에서 고통을 겪었고, 루마니아처럼 주변 승전국들에게 경제적으로 철저히 종속되어 있었다.

 

Again like Romania, Serbia felt humiliated and spiteful.

세르비아도 루마니아와 마찬가지로 굴욕감과 분노를 느꼈다.

 

The monarchy held an authoritarian and pro-Austrian position, which made it highly unpopular throughout the country.

군주제는 권위적이고 친오스트리아적인 입장을 취했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인기가 매우 낮았다.

 

But as dissent grew, so did the government's crackdowns.

하지만 반대 여론이 커지면서 정부의 탄압도 거세졌다.

 

By 1921, Serbia functioned for all intents and purposes as a royal dictatorship, under the iron fist of King Alexander II.

1921년까지 세르비아는 알렉산다르 2세 국왕의 철권 통치 아래 왕정 독재 체제로 운영되었다.

 

Almost immediately however, secret societies dedicated to the anti-Habsburg, Greater Serbian cause rose up.

그러나 거의 즉시 반합스부르크, 대 세르비아 대의에 헌신하는 비밀 단체들이 생겨났다.

 

The most notable of these, the so-called Konspiracija, would indeed end up tearing down the monarchy.

이 중 가장 주목할 만한 단체인 콘스피라치야는 실제로 군주제를 무너뜨렸다.

 

In 1925, rising bread prices would turn the Serbians from dissent to open revolt.

1925년, 빵값이 오르자 세르비아인들은 반대 의견에서 공개적인 반란으로 돌아섰다.

 

Mass strikes sprung up with a demand to end the royal dictatorship.

왕정 종식을 요구하는 대규모 파업이 일어났다.

 

The governments’ reaction to the strikes only increased the violence that swept through the country.

파업에 대한 정부의 대응은 전국을 휩쓴 폭력 사태를 더욱 키웠을 뿐이었다.

 

In response, the King returned from his winter residence to Belgrade on December the 3rd.

이에 대응하여 국왕은 12월 3일 겨울 별장에서 베오그라드로 돌아왔다.

 

The monarch arrived in the capital to deal with the worsening crisis, but his efforts were to no avail.

국왕은 악화되는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수도에 도착했지만 그의 노력은 아무 소용이 없었다.

 

As the king entered the Royal Palace in Belgrade, he would be assassinated by one of his trusted royal guards, who presumably had close ties to the Konspiracija.

국왕은 베오그라드의 왕궁에 들어서자마자 콘스피라치야와 밀접한 관계를 맺은 것으로 추정되는 왕실 근위대원 중 한 명에게 암살당했다.

 

Following the Revolution of 1925, Serbia quickly declared itself a Republic.

1925년 혁명 이후 세르비아는 빠르게 공화국을 선포했다.

 

The new Republican leadership, although far less-pro Austrian than the late King, would abide by the treaty of Wartholz.

새로운 공화국 지도부는 고 국왕보다 훨씬 덜 친오스트리아적이었지만 바르톨츠 조약을 준수했다.

 

The Austro-Hungarian Empire was, thanks to its own internal divisions and chaos at the time, in no way able to exert much power, let alone intervene in the Serbian crisis.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내부 분열과 혼란으로 인해 세르비아 위기에 개입하기는커녕 큰 힘을 발휘할 수 없었다.

 

Germany, far to the North, was occupied with fever dreams of Syndicalism, and so the Balkans slipped further away from the grasp of the dissolving Central Powers.

북쪽에 있는 독일은 노조주의의 열병에 사로잡혀 있었기 때문에 발칸 반도는 해체되는 동맹국의 손아귀에서 점점 더 멀어져 갔다.

 

Begrudgingly, Vienna agreed to work with the new Republic.

마지못해 빈은 새 공화국과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Although a new status quo was reached, Serbia would remain ever restless.

새로운 현상 유지가 이루어졌지만 세르비아는 여전히 불안한 상태였다.

 

The growing Konspiracija movement continued to stoke the fires of Serbian revanchism.

콘스피라치야 운동의 성장은 세르비아 보복주의의 불씨를 계속 지폈다.

 

For Serbian nationalists, and their allies in the government and military, the dream of a Greater Serbian state was far from dead.

세르비아 민족주의자들과 정부 및 군부의 동맹자들에게 대세르비아 국가에 대한 꿈은 결코 사라진 것이 아니었다.

 

Merely on hold.

단지 보류 중이었을 뿐.

 

-

 

Ever since her independence, Albania had remained an oddball within the complicated tangle of Balkan politics.

독립 이후 알바니아는 복잡한 발칸 반도 정치의 틈바구니에서 변방으로 남아있었다.

 

Contrary to the quarrelsome Serbs, Romanians, Bulgarians and Greeks, Albania’s road to independence had been, at best, reluctant.

다투는 세르비아,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와 달리 알바니아의 독립 여정은 기껏해야 마지못해 걸어온 길이었다.

 

Albania had wanted autonomy, sure, but only declared independence as a result of the ambitions of her neighbours.

알바니아는 물론 자치권을 원했지만 이웃 국가들의 야망 때문에 독립을 선언했을 뿐이다.

 

Rather than be absorbed by other Balkan powers, Albania sought international mediation.

알바니아는 다른 발칸 열강에 흡수되는 대신 국제사회의 중재를 요청했다.

 

Plagued with anarchy and lawlessness, the European powers declared that Wilhelm, prince of the protestant German principality of Wied, would be the sovereign of the strange nation.

무정부 상태와 무법에 시달리던 유럽 열강은 개신교 국가인 독일 비드 공국의 왕자 빌헬름이 이 낯선 나라의 통치자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

 

However, upon his arrival, he was met with indifference at best, and outright hostility at worst.

그러나 그가 도착하자마자 그는 기껏해야 무관심, 최악의 경우 노골적인 적대감에 직면했다.

 

Wilhelm’s administration faced another crisis when Austria-Hungary demanded Albanian soldiers to fight among them at the start of the Weltkrieg.

빌헬름 정부는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세계대전이 시작될 무렵 알바니아 군인들에게 참전을 요구하면서 또 다른 위기에 직면했다.

 

Wilhelm refused on the basis that Albania was bound to neutrality by treaty.

빌헬름은 알바니아가 조약에 의해 중립을 지킬 의무가 있다는 이유로 이를 거부했다.

 

Having lost the support of one of his major backers, the Protestant German simultaneously faced several Islamic and pro-Ottoman revolts against his rule.

주요 후원자 중 한 명의 지원을 잃은 개신교 독일인은 동시에 그의 통치에 반대하는 여러 이슬람 및 친 오스만 반란에 직면했다.

 

The German prince quietly left the same year he had arrived.

독일 왕자는 도착한 해에 조용히 떠났다.

 

Wilhelm of Wied joined the Imperial German Army, but officially kept the title of Albanian sovereign.

비드의 빌헬름은 독일 제국 군대에 입대했지만 공식적으로는 알바니아의 군주라는 칭호를 유지했다.

 

This put the young nation in the strange situation where it itself was neutral in the war, while its sovereign was not.

이로 인해 이 젊은 국가는 전쟁에서 중립을 지키고 있는 반면 주권자는 그렇지 않은 이상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Albania remained in a state of lawless turbulence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the Weltkrieg, as it became torn by various warlords who aligned themselves with different national factions.

알바니아는 세계대전 초기 2년 동안 여러 군벌들이 각기 다른 국가 파벌에 동조하면서 무법천지의 혼란스러운 상태를 유지했다.

 

Despite Albanian neutrality, it was invaded twice.

알바니아는 중립을 지켰음에도 불구하고 두 차례 침략을 받았다.

 

First by Serbian troops in 1915, and less than a year later by the Austro-Hungarian troops pursuing them.

1915년에는 세르비아 군대가, 그리고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가 알바니아를 침공했다.

 

Only with the Treaty of Versailles in 1919 would the status of Albania be restored to any semblance of normalcy.

1919년 베르사유 조약이 체결된 후에야 알바니아의 지위는 어느 정도 정상성을 회복할 수 있었다.

 

As a concession to both Germany and Austria-Hungary, Wilhelm would return, and the principality would be closely aligned with Vienna.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양국의 양보로 빌헬름은 돌아왔고 공국은 빈과 긴밀히 연계되었다.

 

For Albania, the settlement was doomed from the very beginning.

알바니아의 경우, 이 합의는 처음부터 파멸되었다.

 

Wilhelm continued to face Islamic, anti-foreign revolts, which eventually culminated in the Albanian Revolution of 1924.

빌헬름은 계속해서 이슬람 반외세 반란에 직면했고, 결국 1924년 알바니아 혁명으로 절정에 달했다.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litant Avni Rustemi and the flamboyant Ahmet Zogu, the revolt took advantage of the permanent turbulence in Austria-Hungary to rid itself of Habsburg influence, and establish an Albanian republic.

무장 세력인 아브니 루스테미와 화려한 아멧 조구의 지도 아래,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영구적인 혼란을 틈타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향력을 제거하고 알바니아 공화국을 수립한 반란이었다.

 

Although Albania had rid itself of its foreign monarch, the nation remained under considerable Austrian influence.

알바니아는 외국 군주를 제거했지만 여전히 오스트리아의 상당한 영향력 아래 있었다.

 

Tirana’s desire to remain independent, and Vienna’s need of a reliable ally in the Balkans would continue to keep the nations aligned in the interwar years.

독립을 유지하려는 티라나의 열망과 발칸 반도에서 신뢰할 수 있는 동맹이 필요했던 빈의 필요성은 전간기에도 두 나라를 계속 조율하게 만들었다.

 

Strange times made for strange bedfellows, indeed.

이상한 시대가 이상한 동반자를 만드는 법이다.

 

-

 

The Weltkrieg had only deepened Austria’s massive economic dependence on the German Empire.

세계대전은 오스트리아의 독일 제국에 대한 막대한 경제적 의존도를 심화시켰을 뿐이다.

 

Without the Kaiser’s massive economic and especially military aid, the survival of the Empire would have been doubtful.

카이저의 막대한 경제적, 특히 군사적 원조가 없었다면 제국의 생존은 의심스러웠을 것이다.

 

But while posters during the Weltkrieg showed the great Empires of Central Europe side by side, under the surface, there was trouble in paradise.

그러나 세계대전 당시 포스터에는 중부 유럽의 대제국들이 나란히 서 있는 모습이 그려졌지만, 그 이면에는 낙원에도 문제가 있었다.

 

The German’s demand not to name the progressive reformer Josef Redlich, Prime Minister in 1917, was a major cause of friction between the two kindred nations, and in the Austrian press, Germany was ever the bogeyman.

1917년 총리였던 진보적 개혁가 요제프 레들리히를 지명하지 말라는 독일 측의 요구는 두 동족 국가 간 마찰의 주요 원인이었고, 오스트리아 언론에서는 독일이 항상 골칫거리였다.

 

Many went as far as to blame various political crises on German agents.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정치적 위기를 독일 요원 탓으로 돌리기까지 했다.

 

The fall of the Austro-Hungarian socialists had been awfully convenient for Germany, after all…

오스트리아-헝가리 사회주의자들의 몰락은 결국 독일에게 끔찍하게 편리했다.

 

After Russia was forced to give up vast swathes of land at the end of the Weltkrieg, Germany and Austria-Hungary struggled to determine where borders should be drawn, and how the new states would be influenced.

세계대전이 끝나고 러시아가 광대한 영토를 강제로 포기한 뒤,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국경을 어디에 그을지, 새로운 국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결정하기 위해 고심했다.

 

Particularly Poland and Ukraine became contentious issues, with the two Emperors frequently meeting to find a satisfactory solution.

특히 폴란드와 우크라이나는 논쟁의 대상이 되었고, 두 황제는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 자주 만났다.

 

The Empire had desperately wanted to bring Poland into its fold, but had found that in the end, the Empire could hardly leverage their influence against the overwhelming military and economic dominance of the Kaiserreich.

제국은 폴란드를 제국 안으로 끌어들이기를 간절히 원했지만, 결국 카이저라이히의 압도적인 군사적, 경제적 지배력에 대항해 자의 영향력을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Despite Germany’s protestations, Austria-Hungary managed to exert some influence over Poland, by planting pro-Austrians in the King’s advisory privy council.

독일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국왕의 자문 민간 위원회에 친오스트리아 인물을 심어 폴란드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Nonetheless, the presence of the German Kaiser's son on the Polish throne proved who was really pulling the strings.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카이저의 아들이 폴란드 왕좌에 오르자 누가 진짜 실세인지가 드러났다.

 

Austria-Hungary thus continued to play second fiddle in the new Eastern bloc.

따라서 오스트리아-헝가리는 새로운 동부 블록에서 계속해서 차위를 차지했다.

 

They had gained some economic concessions, sure, but the new states danced to the Kaiser’s tune, not a Habsburg one.

물론 경제적 양보를 일부 얻기는 했지만, 새로운 국가들은 합스부르크가 아닌 카이저의 장단에 맞춰 춤을 췄다.

 

The Kaiser's new Eastern map shifted Austrian influence to Galicia-Lodomeria.

카이저의 새로운 동방 지도는 오스트리아의 영향력을 갈리시아-로도메리아로 옮겼다.

 

This was a majority Polish and Ukrainian constituency inside the Federation.

이 지역은 연방 내에서 폴란드인과 우크라이나인이 다수인 선거구였다.

 

It swiftly became a haven for Polish and Ukrainian dissidents.

이곳은 순식간에 폴란드와 우크라이나 반체제 인사들의 안식처가 되었다.

 

Vienna harboured these rebels openly in a bid to increase her influence, much to the chagrin of Germany.

빈은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이 반란군을 공공연하게 포용했고, 독일은 이를 매우 불쾌하게 여겼다.

 

Economically, Austrian desire to free itself from the Kaiser’s firm grasp and be a great power in its own right led it to pursue a course of economic nationalism.

경제적으로 오스트리아는 카이저의 확고한 지배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강대국이 되고자 하는 열망으로 인해 경제적 국가주의를 추구하게 되었다.

 

First, Vienna restricted German access to Austro-Hungarian markets by letting the Treaty of Salzburg expire in 1926.

우선, 오스트리아는 1926년 잘츠부르크 조약이 만료되도록 함으로써 오스트리아-헝가리 시장에 대한 독일의 접근을 제한했다.

 

While these policies caused a mild rift between the two former allies, relations between Berlin and Vienna remained cordial.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동맹국이었던 두 나라 사이에 약간의 균열이 생겼지만 베를린과 비엔나의 관계는 여전히 우호적이었다.

 

Whether the Central Powers could stand united against the rising threat of Syndicalism remained to be seen, however.

그러나 동맹국들이 노조주의의 위협에 맞서 단결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였다.

 

During the early interwar years, Austria-Hungary refused membership of both Mitteleuropa and the Reichspakt, steering an independent course.

전간기 초기에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미텔에우로파와 제국조약 가입을 거부하고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The Empire was struggling, however, and the price of autonomy in a German-dominated continent was high.

그러나 제국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독일이 지배하는 대륙에서 자치권을 얻는 대가는 컸다.

 

-

 

Austria’s future was never certain.

오스트리아의 미래는 결코 확실하지 않았다.

 

Countless times, the country had tried to rebound and rebuild.

오스트리아는 수없이 재기와 재건을 시도했다.

 

The tumult of 1926 had shown how fragile the Empire truly was.

1926년의 소동은 오스트리아 제국이 얼마나 취약한 상태였는지 여실히 보여주었다.

 

The economic problems of the realm were alleviated, but never solved.

제국의 경제 문제는 완화되기는 했지만 결코 해결되지 않았다.

 

The Social-Democratic, and later Conservative policies had accrued a staggering amount of national debt.

사회민주당, 이후 보수당의 정책으로 인해 국가 부채가 엄청나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With her economy leveraged to the breaking point, Vienna and Hungary were always a minor setback removed from a full-blown financial crisis.

경제가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에서, 빈과 헝가리는 본격적인 금융 위기에서 벗어난 사소한 장애물일 뿐이었다.

 

The day of reckoning would come in 1931.

1931년 심판의 날이 다가왔다.

 

That year, the Creditsanstalt, the largest bank of the Danubian Monarchy, defaulted one final time.

그해 다누비아 군주정 최대 은행이었던 크레디찬슈탈트가 최후의 부도를 냈다.

 

It had reported a loss of 140 million Kronen on May 8, and was forced to declare insolvency three days later.

5월 8일 1억 4천만 크로네의 손실을 보고하고 사흘 뒤 파산을 선언할 수밖에 없었다.

 

What followed was a complete collapse of the Vienna Stock Exchange.

그 후 빈 증권 거래소는 완전히 붕괴되었다.

 

People scrambled to rid themselves of their economic assets and shares, as a run on the banks pushed the already fragile financial institutions over the edge.

은행에 대한 투매가 이미 취약한 금융 기관을 벼랑 끝으로 몰고 가자 사람들은 자신의 경제적 자산과 주식을 처분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In what seemed like just three days, an era of stability and progress had come crashing down.

불과 사흘 만에 안정과 진보의 시대가 무너져 내린 것이다.

 

In an attempt to alleviate the financial crisis, the Austrian government stepped in and restructured Creditsanstalt.

금융 위기를 완화하기 위해 오스트리아 정부가 나서서 크레디찬슈탈트의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Unwilling to commit to radical economic measures, the conservative government split the shareholding between the State and the wealthy Rothshild firm in Vienna.

급진적인 경제 대책을 원치 않았던 보수당 정부는 국가와 빈의 부유한 로스차일드의 지분을 분할했다.

 

While this prevented crisis from turning into recession, it made Austria-Hungary even more reliant on German loans.

이로 인해 위기가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것은 막았지만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독일 차관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졌다.

 

The fiscal strain of the crisis proved too much for Austria-Hungary to hold on her influence in neighbouring nations.

위기로 인한 재정적 부담은 오스트리아-헝가리가 주변 국가에 대한 영향력을 유지하기에는 너무 큰 부담이 되었다.

 

The revanchist Serbia, Romania and Southern Italy acted swiftly to remove bankrupt Habsburg institutions from their territory.

보복주의 세르비아, 루마니아, 남부 이탈리아는 파산한 합스부르크 왕가의 기관을 자국 영토에서 철수시키기 위해 신속하게 행동했다.

 

In friendlier states like Northern Italy and Albania, economic ties simply dwindled into insignificance.

북부 이탈리아와 알바니아와 같은 우호적인 국가에서는 경제적 관계가 미미한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By 1931, Austria-Hungary’s fall from Great Power status was complete.

1931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강대국 지위에서 완전히 몰락했다.

 

Such a fall from grace would have been a crisis in the best of times.

이러한 강대국의 몰락은 가장 좋은 시기에는 위기였을 것이다.

 

Unfortunately for Vienna, it came in the darkest days of the European 1930s.

불행히도 빈에게는 1930년대 유럽에서 가장 암울했던 시기에 찾아온 것이었다.

 

-

 

In Europe, the 1930s saw the rise of revanchist Syndicalism and the resurgence of Russian nationalism.

유럽에서는 1930년대에 보복적 노조주의가 부상하고 러시아 민족주의가 부활했다.

 

In Berlin, Budapest and Vienna, the words 'Second Weltkrieg’ were never far from anyone's lips.

베를린, 부다페스트, 빈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단어가 사람들의 입에서 떠나지 않았다.

 

If there were to be a Second Weltkrieg, the Empire’s position would, cynically, be much like during the first.

만약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난다면 냉소적이게도 제국의 입장은 1차 세계대전 때와 비슷할 것이다.

 

Austria-Hungary would be divided, unstable, and alone.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분열되고 불안정하며 외톨이가 될 것이다.

 

Internally, Austrians, Hungarians, Czechs, Galicians and Illyrians vied over the direction of the Austrian Empire.

내부적으로는 오스트리아인, 헝가리인, 체코인, 갈리치아인, 일리리아인이 오스트리아 제국의 방향을 놓고 경쟁했다.

 

Despite all its reforms, the dualist system was still largely intact.

모든 개혁에도 불구하고 이원론적 체제는 여전히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다.

 

The Empire was as brittle as it was two decades prior, and its neighbours were even more eager for revenge.

제국은 20년 전과 마찬가지로 취약한 상태였고, 이웃 국가들은 복수를 더욱 열망했다.

 

Once again, Austria-Hungary arrived at the same crossroads.

다시 한번, 오스트리아-헝가리는 같은 기로에 서게 되었다.

 

Would it be able to resolve the issues inherent to the dual monarchy?

과연 오스트리아는 이중군주제에 내재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Would the nation stand bright as a beacon of democracy?

국가가 민주주의의 등불로 우뚝 설 수 있을까?

 

Or would it once again falter, weak and divided, and be driven back into Germany’s arms?

아니면 다시 한 번 흔들리고 약해지고 분열되어 독일의 품으로 돌아갈까?

 

Darker tongues saw the turmoil in Vienna and Constantinople and thought otherwise.

어둠의 세력은 빈과 콘스탄티노플의 혼란을 목격하고는 다르게 생각했다.

 

To them, the aging Austro-Hungarian and Ottoman empires were irrelevant relics of the past, living only on time granted them by Germany.

이들에게 노후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은 독일이 부여한 시간에만 살았던 과거의 유물일 뿐이었다.

 

The new world order that had emerged at the end of the Weltkrieg had already begun to falter.

세계대전이 끝나고 등장한 새로운 세계 질서는 이미 흔들리기 시작했다.

 

There was only one power in Europe still strong enough to hold back the Syndicalists and Russians alike.

유럽에서 노조주의자들과 러시아를 모두 견제할 수 있을 만큼 강력한 세력은 단 하나뿐이었다.

 

According to such defeatists, there was no hope.

패배주의자들에게는 희망이 없었다.

 

There was no future.

미래도 없었다.

 

There was only… the Kaiserreich.

있는 것은 오직… 카이저라이히일 뿐.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245 [기타 지식] 중국에서 안드로이드 폰을 사면 안되는 이유? 5 대한민국이탈리아 11 10 시간 전
5244 [기타 지식] 최근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국내 항공업계 (수정판) 15 K1A1 23 3 일 전
5243 [기타 지식] 도카이촌 방사능 누출사고 실제 영상 21 ASI 2 7 일 전
5242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2부 21 Mtrap 8 7 일 전
5241 [기타 지식] 100년을 시간을 넘어서 유행한 칵테일, 사제락편 - 바텐더 개... 5 지나가는김개붕 1 9 일 전
5240 [기타 지식] 오이...좋아하세요? 오이 칵테일 아이리쉬 메이드편 - 바텐더... 3 지나가는김개붕 2 11 일 전
5239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지구 1부 31 Mtrap 13 10 일 전
5238 [기타 지식] 칵테일의 근본, 올드 패션드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이야기 15 지나가는김개붕 14 11 일 전
5237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2부 22 Mtrap 14 11 일 전
5236 [기타 지식] 웹툰 나이트런의 세계관 및 설정 - 인류 1부 13 Mtrap 20 11 일 전
5235 [기타 지식] 서부 개척시대에 만들어진 칵테일, 카우보이 그리고 프레리 ... 3 지나가는김개붕 5 16 일 전
5234 [기타 지식] 모던 클래식의 현재를 제시한 칵테일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4 지나가는김개붕 2 17 일 전
5233 [기타 지식] 브라질에서 이 칵테일을 다른 술로 만들면 불법이다, 카이피... 5 지나가는김개붕 1 19 일 전
5232 [기타 지식] 럼, 라임, 설탕 그리고 다이키리 편 - 바텐더 개붕이의 술 이... 2 지나가는김개붕 6 19 일 전
5231 [기타 지식] 1999년 도카이촌 방사능누출사고 대량 방사능 피폭 피해자들 ... 9 ASI 5 20 일 전
5230 [기타 지식] 진짜 레시피는 아무도 모르는 칵테일 싱가포르 슬링편 - 바텐... 3 지나가는김개붕 2 20 일 전
5229 [기타 지식] 통계로 보는 연애 상황에서 외모의 중요성 8 개드립에서가장긴... 11 23 일 전
5228 [기타 지식] 추울 수록 단맛이 유행한다, 위스콘신 스타일 올드 패션드편 ... 1 지나가는김개붕 8 24 일 전
5227 [기타 지식] '얼마나 걸릴까?'를 찾는데 걸린 시간은.. 1 동부전선이상무 5 24 일 전
5226 [기타 지식] '누구나 아는' 노래에 대한 이야기 9 동부전선이상무 20 28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