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어마어마한 출세가도를 달린 대전

원래 대전 일대는 지금의 유성+서구+중구에 해당하는 유성현과 테크노밸리에 해당하는 덕진현, 대덕구+대청호에 해당하는 부분인 회덕현 3개로 나누어져 있었음

 

이 일대에서 유명한 토박이들이 은진 송씨인데 은진현(지금의 논산시 은진면)과 회덕현(지금 대청호로 수몰된 지역)에 집성촌을 이루고 살아서 은진 송씨의 이명이 회덕 송씨이기도 했음

 

그러다가 유성현과 덕진현이 공주부에 흡수되어 공주부와 회덕현으로 나뉜 채 살았음

 

11.jpg

1895년 갑오개혁으로 인해 전국이 군 단위로 일원화되어 공주군과 회덕군이 됨(윗 짤처럼 1895년에 회덕군으로 땅이 넘어간 것은 아님)

 

1904년 공주군 산내면 대전리에 경부선 대전역이 설치됨(전설의 시작)

 

1906년에 너무 비대한 공주군에서 튀어나온 옛 유성현(에서 지금의 유성지역을 뺀 나머지)과 덕진현 지역을 위 지도처럼 회덕군에 넘겨주게 됨

이 때부터 덕진이라는 지명은 역사에서 없어져버림

따라서 회덕군 산내면 대전리가 되어버림

 

그런데 계속 역 주변에 사람들이 모여들고 건물을 짓고 하니까 점점 어어어 하고 커져버림

 

222.jpg

1914년 일제는 행정구역을 정리하면서 기존의 진잠군+공주군 유성면+회덕군을 싹 합쳐서 대전군으로 만들어버림(1차 출세)

이 때 진잠군은 진잠면으로 축소

기존의 대전리는 대전면이 되어버림(가운데 조그마한 부분이 무려 면이라는 행정구역을 부여받음)

회덕은 그 지명이 없어졌다가 지속적으로 사람들이 요구를 했는지 1917년 내남면이 회덕면으로 다시 개칭되어 살아남음

원래는 회덕군 산내면 대전리였는데 이제는 대전군 회덕면이 되어버린 역전세계가 된 것

 

333.jpg

1935년 더욱더 커져버린 대전면+외남면이 대전부로 승격되면서 기존의 나머지 대전군 지역은 대전+회덕으로 대덕군으로 개칭됨(2차 출세)

일제는 역 이름인 대전을, 지역사람들은 지속적으로 회덕이라는 지명을 밀면서 근본없는 짬뽕지명이 탄생

이후 대전은 더더욱 커져버리고

해방 이후 1949년 대전부를 대전시르 승격(3차 출세)

 

444.jpg

1963년 유천면이 대전시에 편입됨(4차 출세)

원래 대전리를 휘하에 두고 있던 산내면은 대덕군 아래의 외딴 면에 머물고 있음

1973년 유성면이 온천빨로 유성읍으로 승격하고 북면이 신탄진역 빨로 신탄진읍으로 승격. 이번에도 기차역 이름 따라 출세.

1977년 대전시에 구제가 실시되어 중구와 동구로 나뉨

 

555.jpg

1983년 대전시는 더더더더더더욱 커져버리고 유성읍과 회덕면이 먹힘(5차 출세)

근본의 회덕은 이제 대전시 동구 회덕동이 되어버림

1988년 중구에서 서구가 분리됨

이미 대덕군은 완전한 대전시의 따가리로 시골 지역을 처리하는 정도였으며 누가봐도 뻔한 운명.

 

그리고 1989년 대전시는 충청남도로부터 독립하여 대덕군을 흡수하고 대전직할시(6차 출세)로 승격

동시에 지금의 유성구 대덕구 서구 중구 동구 체제를 구축

 

이쯤에서 다시 원래의 지명들을 되짚어보자면

덕진 : 소멸

진잠 : 진잠군 > 진잠면 > 진잠동으로 축소되어 현재 대전시 유성구의 행정동으로 존재. 그나마 행정동이라서 진잠이라고 부르는 사람이 많음.

유성 : 유성현 > 유성면 > 유성읍 > 유성구로 온천버프를 받은 덕에 그나마 체급을 잘 유지하는 중. 유성구가 되면서부터는 과거 덕진현과 진잠군 지역까지도 먹어버리면서 거대 행정구역이 되었다.

산내 : 원래 대전의 직속상사였으나 지금은 대전광역시 동구 산내동으로 까마득한 부하. 기껏해야 산내분기점 정도로 사람들에게 알려졌으며 그나마 행정동이라서 인식은 있는 편.

회덕 : 성씨까지 유래하는 근본의 지명이지만 회덕현 > 회덕군 > 회덕면 > 회덕동으로 축소되어 현재 대전시 대덕구의 법정동으로 존재. 법정동이라서 존재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음. 회덕분기점이 그나마 전국민에게 유명한 지명으로 명절마다 회자되며 잔존중. 개인적으로는 대덕구라는 근본없는 지명 말고 회덕구라고 해야 마땅하다 생각함.

대전 : 조선시대에는 큰밭골, 한밭골 정도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되던 대전리는 대전면 대전부 대전시 대전직할시 대전광역시등 대한민국 행정구역에 다시없을 화려한 출세의 역사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재미없는 도시로 유명해졌다.

 

세상 참 오래 살고 볼 일.

58개의 댓글

2022.02.21

우리집 역사 개추

0
2022.02.21

노잼이라는 소리가 과거에 시골이라서 유명한 유적지나 문화가 발달되지 않아서 그런가

0
2022.02.21
@르라칙소

내가 생각하기에는 대전이 커진 것 자체가 철도 교통이 좋다보니 정부에서 지금의 혁신도시처럼 대전에 연구원이나 정부청사, 인근의 계룡시에 삼군청사를 지어서 수도기능을 분담하면서 커진 것이라서 진짜 부자들이 많은 동네가 아님.

시민들이 버는 돈 자체는 많은데 그게 다 그냥 월급쟁이들 월급이라는 얘기. 그러다보니 문화예술유흥에 상대적으로 돈을 덜쓰는 풍조가 있음. 당연히 그런 풍조에서는 노잼이 될 수밖에.

더군다나 개붕이가 쓴 것처럼 역사와 전통이 있는 도시(이쪽은 공주)가 아니라 말 그대로 기차역 끼고 큰 도시라서 역사 그런 게 없는 것도 큼. 전주는 역사가 있다보니까 도시가 대전보다 작아도 상대적으로 유잼도시인데

2
2022.02.22
@년째하는중

오.....대전노잼설이 이런 점에서 유래됐구나....하나 또 배워간다

0
2022.02.21

대전은 역이랑 구 충남도청 지으면서 일제가 의도적으로 밀어줄 때가 잼슴.

1
2022.02.21
@세기노비

당시에는 지방행정을 수월히 관리하기 위해서 철도가 가장 손쉬운 방법이었기 때문에 당연한 선택이었다고 보임.

다만 장항선이 생기고 나서도 지금의 내포지역에 도청을 옮기지 않은 건 왜그랬나 싶음.

0
2022.02.21
@년째하는중

재지세력 관리 문제도 있다고 봄. 당시 충청권의 핵심지역은 내포, 공주, 충주, 청주 정도로 보면 되는데 천안, 대전을 의도적으로 밀면서 견제했다는 느낌이 들더라. 내 갠적 생각으로는ㅋㅋ

0
2022.02.21
@세기노비

ㅇㅇ 그래서 경부선이 청주 공주 다 안지나고 이상하게 내려왔다는 얘기는 본 적 있음

0
2022.02.22
@세기노비

러일 전쟁 때문에 공주, 청주 지주들 피해서 급하게 건설하느라 대전으로 경부선이 건설되었다더라

대전 초반에는 한국인보다 일본인이 더 많기도했던적이 있고, 일본인 단체가 충남도청 대전이전에 큰 힘을 썼다고 본적이 있어

0
2022.02.21

와 재밌네 ㅋㅋㅋ 이 동네 역사를 몰라서 대전이란 지명이 이렇게 작은 마을에서 온건지 몰랐어

근데 바로 옆에 또 세종시 생기고 이 동네는 다 이러네 ㅋㅋㅋㅋㅋ

0
2022.02.21
@헬테이커

과학의 도시답게 전통은 모두 파괴하는 중

0
2022.02.21

유천동 진잠동이 의외로 꽤 역사가 있었구나

회덕도 사실 잘 모르고 회덕분기점으로만 익숙한 이름인데

0
2022.02.21
@마니딱바낙스

유천동은 유등천 때문에 생긴 지명이라서 그렇고

진잠은 조선시대부터 진잠현감이 부임하는 어엿한 행정구역이었음 서구 이런 식으로 행정편의주의적인 지명을 안붙였으면 진잠구 유성구 중구(혹은 유천구) 회덕구 산내구가 됐어야 마땅함

0

도시가 너무 쪼끄만해

산좀 싹 다 밀어버리고 개발했으면...

0
2022.02.21
@꼴리는대로살자

지금 대전은 세종으로의 블랙홀효과 때문에 발전이 정체되어서 있는 개발계획도 다 진행이 안되는 상태입니다

0
2022.02.23
@꼴리는대로살자

그렇다고 하기엔 광주보다 크고 서울보다 조금작음 꾀나 큰도시네

0
2022.02.21

대전시민추

0
2022.02.21
@포항게이

어 엄밀히 말하면 대전시민은 아닙니다 대전태생이긴 하지만 지금은 멀리 살음

0
2022.02.21
@년째하는중

내가대전시민이라는건데..

0
2022.02.21
@포항게이

닉행일치좀 하세요 제발

3
@포항게이

대전에 2년 살았는데 오히려 조용하고 아기자기해서 좋았음

0
2022.02.21
@회원정보조회수정

인싸들이나 살기힘들어하지 나같은 아싸한테는 살기 좋을거같음 눈도 많이오고

1
2022.02.21

한반도 역사에서 대전이 들어간 내용이 있읍니까?

0
2022.02.22
@키이읍

몰?루

0
2022.02.22
@키이읍

망이, 망소이의 난이 대전 탄방동에서 시작했다, 6.25때 대전 전투 정도?

0
2022.02.21

대덕구서 30년을 살다가 청주로 갔는데, 이건 흥미롭네 ㅋㅋ

0
2022.02.22
@푸히힛

의외로 재밌어들 하시는군요 ㅋㅋ

0
2022.02.21

유성구가 저리 생긴 이유가 있었구나 북쪽부터 시작해서 서남쪽 까지 내려오길래 왜 저러나 싶었음

0
2022.02.21
@냥냥왈왈

역사적으로나 행정적으로나 유성구는 적어도 진잠권은 서구에게 넘겨주는 것이 맞다고 생각함

지금도 사실상 진잠권은 서구 관저동 중심이고, 서구 구역만 도로구역 나눠져 있는 걸 보면 애초에 유성구에서는 진잠권 개발에 관심이 없음

0
2022.02.22
@년째하는중

이거 맛다. 고로 1989년 옳그떠 이전과 이후 중구 서구 유성구 발전사도 '써줘'

0
2022.02.21

크으 산내 회덕 진잠

0
2022.02.22
@배똘

산내는 몰라도 회덕 진잠은 동보다는 구 이름으로 대접해줘야하는데

0
2022.02.22

서대전역과 서대전네거리가 그렇게 불릴만했네요..

0
2022.02.22
@나로바꾸자

당시엔 대전의 서쪽이 맞았다는.....

0
2022.02.22

고향추

0
2022.02.22
@천사할려

ㅊㅊ

0
2022.02.22

사실상 일제가 만들어준 도시지

옆의 공주, 청주같은 근본도시를 제쳐두고 저리 됐으니

1
2022.02.22
@Nuocmam

일제놈들 계획적으로 노잼도시를 만들어내다니 역시 간악하다

0
2022.02.22
@Nuocmam

러일 전쟁때 급하게 지으니까 지주들 피해서 건설한겨

0
2022.02.22

엄청 잘 아네 뭐하시는 분인가요?

0
2022.02.22
@콘푸라이트

내고향 역사에 관심이 조금 있읍니다

0
2022.02.22

따까리 대덕구 우러욧

1
2022.02.22
@미운오리

대덕구같은 근본없는 이름 갖고 있어서 그럽니다 회덕구로 개칭하면 근본과 전통의 지역구 될 수 있음

0
2022.02.22
@년째하는중

회덕구는 더 구린데 ㅅㅂ

0
2022.02.22
@미운오리

어허 지금 조상님들 네이밍센스 무시하시는 건가욧?

0
2022.02.22

본인이 직접 그린거임?

정성추

0
2022.02.22
@바이든

아니요 렉카읍니다

0
2022.02.22

분명 일제때 한국역사 아는 인간이 대전을 키운게 분명하다고 생각함

공주나 청주 등 주변 도시를 키우면 의미가 부여될 확률이 높다고 판단했을거고

지금이야 교통편의 중앙으로서 위치하지만 1800년대만 해도 특색없는 도시였고

광복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럼

 

대전은 앞으로 20년은 발전을 못할 도시라더라

 

여기저기 이거저것 만들고 올리긴 하는데 그게 전부고. 재개발도 하고 도로정비도 해야하는데

대전엑스포 이후로 도로정비를 한번도 못했다는게 말이되나? 싶었는데 상인들 힘이 쌔서 지들끼리 구역재개발도 찬반 나뉘어서 피터지게 싸우는 중이라고 하더라

재개발도 쉽게 못하는데 거기에 텃세도 있음

대전 거주하는 사람들도 세종으로 이전하는게 더 합리적이라더라

0
2022.02.22
@Ultragear

???대전은 지금 재개발 열풍이지 말입니다

지금 얼핏 생각나는 재개발단지만 해도 중촌 선화 용운 도마....

 

도안 학하 개발 계획도 짜여져있는데 세종이 인구빨아가서 쉽게 진행을 못하는 거고 그나마도 최근에 아이파크 트리풀시티 대형단지 3개 생길 정도로 꾸준히는 진행중임

 

최근에는 세종 집값은 떨어지는데 대전 집값은 오름세라서 세종이전이 합리적이란 말은 한 2~3년 전 얘기입니다

 

유통단지도 굵직굵직하게 현대프리미엄 아울렛, 신세계 아트사이언스 2개가 연달아 생겼고 잘 발전하는 중입니다

 

오히려 광주가 발전가능성이 좀 없죠 신세계도 광주에서 지역상권 여론에 빠꾸당해서 대전 간거 아닌가여

2
2022.02.22

세종시 개발 전후로 공주시에서 수도이전 계획때 세운

수도이전시 토지개발을 꺼내가면서 세종시랑 연결+도시개발 한타는 카더라가 요즘 다시 스물스물 올라오던데

그거까지 되면 대전은 뭐.. 걍 ktx 기차타러 들리는 도시일뿐. 볼것도 구경할것도 없는 도시임..

12년거주했는데 ㄹㅇ 놀거리가 한화가 유일함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30 [역사] 한국어) 지도로 배우는 삼국통일전쟁 3 FishAndMaps 0 5 일 전
1229 [역사] 광신도, 근본주의자, 사기꾼 2 김팽달 7 9 일 전
1228 [역사] 지도로 보는 삼국통일전쟁 12 FishAndMaps 5 11 일 전
1227 [역사] 장진호 전투 트리비아. "모든것이 얼어붙었다" 4 잔다깨우지마라 10 15 일 전
1226 [역사] 한국의 성장과 서울의 성장 14 쿠릭 4 16 일 전
1225 [역사] 지도로 보는 올초 겨울까지의 우크라이나 전쟁 13 FishAndMaps 22 19 일 전
1224 [역사] 중화인민공화국 의외의 금기-6.25전쟁(5) 2 綠象 4 21 일 전
1223 [역사] 중화인민공화국 의외의 금기-6.25전쟁(4) 綠象 3 21 일 전
1222 [역사] 중화인민공화국 의외의 금기-6.25전쟁(3) 1 綠象 3 21 일 전
1221 [역사] 중화인민공화국 의외의 금기-6.25전쟁(2) 4 綠象 11 25 일 전
1220 [역사] 중화인민공화국 의외의 금기-6.25전쟁(1) 4 綠象 14 25 일 전
1219 [역사] 네안데르탈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2부 3 식별불해 13 26 일 전
1218 [역사] 네안데르탈인은 어떻게 생겼을까? 11 식별불해 29 27 일 전
1217 [역사] American Socialists-링컨대대의 투쟁과 최후(下) 2 綠象 5 2024.04.30
1216 [역사] American Socialists-링컨대대의 투쟁과 최후(中) 1 綠象 3 2024.04.30
1215 [역사] American Socialists-링컨대대의 투쟁과 최후(上) 5 綠象 4 2024.04.29
1214 [역사] English)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3 FishAndMaps 6 2024.04.27
1213 [역사] 인류의 기원 (3) 3 식별불해 8 2024.04.24
1212 [역사] 지도로 보는 정사 삼국지 ver2 19 FishAndMaps 15 2024.04.18
1211 [역사] 군사첩보 실패의 교과서-욤 키푸르(完) 1 綠象 1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