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스압] 수천만 년 동안 지구에는 두 개의 달이 떠 있었다?




달.jpg
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과학이 어렵다는 기존의 생각을 깨드리는 시간, ‘신나는 과학뉴스’입니다. 

달5.jpg
오늘은 달에 대한 새로운 연구결과가 준비돼 있습니다. ‘수천만 년 동안 지구에는 2개의 달이 떠 있었다’고 하는데요. 
연구결과를 발표한 미국 캘리포니아대의 에릭 애스포그(Erik Asphaug) 박사와 스위스 베른대의 마틴 젓지(Martin Jutzi) 박사를 모셨습니다. 

달3.jpg
에릭 : 안녕하세요? 에릭 애스포그라고 합니다.

달4.jpg
마틴 : 마틴 젓지입니다. 반갑습니다.

지난 8월 4일자 ‘네이처’에 ‘달이 2개였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우선 이 연구를 어떻게 시작하게 됐는지 말씀해주실 수 있을까요? 





달3.jpg
에릭 : 네, 정말 깜짝 놀랄 결과입니다. 달을 자세히 살펴보면 앞면과 뒷면이 무척 다르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달의 앞면은 우리가 ‘달의 바다(마리아)’라고 부르는 낮고 평평한 땅이 많아요. 이곳은 마치 용암이 흘러내린 것처럼 보이죠. 
반면 달의 뒷면에는 평지가 적어요. 또 높고 거대한 산지로 이뤄져 있고요. 달이 왜 이렇게 생겼을까를 연구하다 결론을 얻게 됐습니다.

우리가 주로 보는 부분이 달의 앞면이죠? 
달의 자전주기(달이 스스로 한 바퀴 도는 시간)와 공전주기(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시간)가 같다 보니 지구에서 달의 한쪽 부분만 볼 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달4.jpg
마틴 : 그렇습니다. 지구에서 보이는 부분이 달의 앞면입니다. 
우리가 달의 뒷면에 대해 알게 된 건 아폴로15호가 만든 달 지형도 덕분이죠. 
달의 모습을 이해하려면 먼저 달이 어떻게 태어났는지 알아야 합니다. 여러 가설이 있지만 이중 가장 유력한 건 ‘대충돌설’이에요.

달6.jpg
대충돌설이라면? 어떤 행성들끼리 부딪치는 것 말인가요? 

달4.jpg
마틴 : 맞습니다. 태양계 초기, 지구는 화성만 한 크기를 가진 행성과 부딪혔는데요. 
두 행성이 합쳐져서 지금의 지구가 됐고, 나머지 물질이 지구를 돌다가 다시 뭉쳐서 달이 됐다는 겁니다.
대충돌 때 생긴 영향이 워낙 커서 지구뿐 아니라 달 전체에도 마그마가 바다처럼 넓게 퍼졌을 겁니다. 
이 마그마가 식으면서 딱딱해지고 달의 맨틀과 표면을 이루게 됐고요.

그렇다면 달 전체에는 마그마가 굳어서 만들어진 물질이 많겠네요.

달3.jpg
에릭 : 네, 하지만 실제로 마그마가 식으면서 생긴 물질들은 달 전체가 아니라 달의 앞면에 주로 퍼져 있습니다. 신기하지 않으세요? 

달4.jpg
마틴 : 결국 달의 앞면과 뒷면에서 발견되는 물질이 다르다는 건데요. 
이것도 두 개의 달이 부딪쳤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각각을 이루고 있던 물질이 달랐을 테니까요! 와우! 지금 생각해도 심장이 뛰네요!

충돌하고 남은 물질들은 지구나 달로 끌려들어갔을 것 같은데요. 달이 하나 더 있는 게 가능한가요?

달2.jpg
▲ 달과 같은 궤도를 돌던 트로이 달이 달과 부딪치고, 달의 뒷면에 산지를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① 트로이 달이 초속 약 2.4㎞의 느린 속도로 달과 부딪힌다. ② 완전히 굳지 않았던 달 표면의 마그마가 트로이 달과 충돌해 일그러진다. 
③ 트로이 달은 달과 합쳐져 혹처럼 보이는 높은 지형을 만들었다. ④ 시간이 지나면서 달은 다시 공 모양에 가깝게 변했다.  ⓒ네이처



달3.jpg
에릭 : 물론 대충돌 후 나머지 물질은 중력 때문에 지구나 달로 끌려갔죠. 
하지만 달과 지구의 중력이 균형을 이루는 곳은 어떨까요? 이곳에 있던 작은 천체들은 어느 쪽으로도 끌려가지 않겠죠. 
덕분에 이런 지점에 있던 머무르는 천체들은 오랫동안 살 수 있습니다. 
여기를 ‘라그랑주 지점’이라고 하고, 여기에 머무는 천체를 ‘트로이 소행성’이라고 해요. 
우리 연구 결과 과거 지구와 달 사이에도 이런 ‘트로이 달’이 있었어요. 
지름은 달보다 3배 작고 질량도 달의 4% 밖에 안 되는 작은 녀석이었답니다.

아하! ‘트로이 달’이라고 하니까 잘 이해가 되네요. 
그게 ‘달의 뒷면’이나 달의 앞면과 뒷면을 이루는 물질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달4.jpg
마틴 : 두 개의 달이 충돌했다는 걸로 그걸 설명할 수 있습니다. 
트로이 달은 달고 따로 지구를 돌고 있었는데요. 아주 느린 속도로 달과 부딪치게 됩니다. 
그래서 달의 뒷면에는 산지가 있고, 달의 앞면과 다른 물질이 된 거죠.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 보니 트로이 달과 달의 충돌속도가 초속 2.4km 정도일 때 지금의 지형이 나타났어요.

초속 2.4km라면 1초에 2.4km를 간다는 건데 그게 느린 편인가요? 


달3.jpg
에릭 : 일반적으로 소행성이 지구나 달에 부딪치는 속도는 초속 7~20km입니다. 여기에 비하면 아주 느린 편이죠. 
보통 빠른 속도로 떨어진 운석은 커다란 구덩이(크레이터)를 만들고, 녹아서 없어집니다. 
하지만 아주 느리게 충돌한 트로이 달은 녹지 않고 그대로 달에 합쳐졌어요.

그대로 합쳐졌다고요? 천천히 부딪쳐서 그런 효과가 나타난 건가요? 



달4.jpg
마틴 : 맞아요. 트로이 달은 아마 충돌한 부분에 빈대떡처럼 납작하게 들러붙었을 거예요. 
그리고 이 부분에 높은 산이 만들어진 거죠. 또 트로이 달이 부딪치면서 원래 달에 있던 마그마는 옆으로 밀려나게 됐어요. 
그래서 달의 마그마가 굳어진 물질은 주로 달의 앞면에 있는 거죠.

그러니까 달의 뒷면에 있는 높은 산지는 트로이 달이 천천히 붙어서 생긴 지형이라는 설명이네요. 
또 달의 앞면과 뒷면을 이루는 물질이 다른 것도 충돌 때문에 마그마가 밀려갔던 거고요.


달3.jpg
에릭 : 만약 달에서 찾은 암석이 만들어진 시기가 다르다면 우리 연구의 좋은 증거가 될 겁니다. 
트로이 달은 달보다 크기가 작아서 마그마가 일찍 굳었을 겁니다. 먼저 암석이 됐다는 이야기죠. 
하지만 달의 앞면은 트로이 달이 부딪칠 때까지도 완전하게 굳지 않았어요. 
트로이 달이 부딪친 달의 뒷면에는 먼저 만들어진 암석이 있고, 달의 앞면에는 마그마가 늦게 굳으면서 만들어진 물질이 있겠죠. 



달4.jpg
마틴 : 달의 뒷면에서 찾은 암석이 달의 앞면에서 발견된 암석보다 먼저 만들어졌다면 우리의 가설을 증명하는 것이죠. 
하지만 아쉽게도 아직 달의 뒷면에서 가져온 암석은 없답니다. 

그렇군요. 앞으로도 연구할 게 많아 보입니다. 


마틴 : 2009년부터 활동 중인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달 궤도 탐사선(LRO)의 자료와 이번 9월에 발사될 달 중력장 탐사선(GRAIL)에게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에릭 : 언젠가 달의 뒷면에 사람이 가서 암석 표본을 가져온다면 더 정확한 답을 얻을 수도 있겠죠!

두 박사님의 이야기를 듣다보니 달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를 한 편 보는 것 같았습니다. 
왠지 이번 추석에 보름달을 보게 되면 색다른 느낌일 것 같네요. 
앞으로도 달의 비밀을 멋지게 풀어주시길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카리스쿨’(www.karischool.re.kr) |박태진 과학칼럼니스트

저작권자 2011.09.05 ⓒ ScienceTimes

달7.jpg





14개의 댓글

2013.08.15
재밋네
빨리 달 뒤 암석좀 가져와봣으몀
0
2013.08.15
그것보단....

달이 한쪽면만 바라보니까 운석이 달 뒤편으로만 떨어지고 오랜시간동안 그 일이 일어나다보니까 달의 앞뒷면의 지형과 성분이 달라진듯한데....
0
2013.08.15
@☆김치포터☆
생각보다 행성이랑 운석이랑 얻어맞을확률은 낮아 ㅋㅋ;; 달조차도..
흔히 우주이야기할때 마치 운석이 행성이랑 충돌하는게 아무때나 마구마구 일어나는것처럼 설명하는데
사실 그건 종나게 긴 거시적인시간동안이라 그런것처럼보이는거지 막 몇천,몇만년사이에 그렇게 많이일어나는게"아니야"
0
2013.08.15
@Ratler ㅠㅠ
그래도 달같은경우는 수십,수백만년을 한면만을 보고 돌았었을테니까.....
0
2013.09.28
@Ratler ㅠㅠ
지구에만도 하룻동안 실제 도달하는 운석 개수가 꽤 많다고 하지 않아? 하지만 대기때문에 타서 없어지는 거라고
달도 비슷하다고 보면 보호해줄 대기가 없으니까 운석들이 떨어지는 횟수가 상당히 많지 않을까 싶은데
0
2013.08.17
근데 아폴로 13호가 달에 갔다는게 루머라는 말도 있던데 그건 뭐죠..;; 뻥인가//
0
2013.08.17
@대딸러
우주에 관한 모든것엔 루머가있음
0
2013.08.17
@대딸러
닐 암스트롱이 달에 착륙했던 때는 냉전시대로
당시 소련이 세계 최초로 인공위성(스푸트니크 1호)을 쏘아 올린 것에 대해 미국은 충격을 받았음.
또한 이 사건을 계기로 우주과학기술 경쟁이 본격화 됨. 심지에 불을 붙이게 된 거지 뭐.

그래서 결국 미국은 달 탐사를 거행하게 되고, 닐 암스트롱이 달을 밟게 됨. 하지만 일부 사람들의 말에 따르면
" 닐 암스트롱은 달에 가지 않았다. 당시 촬영된 동영상이 그 증거이다. " 라고 하는데 그들의 주장은 다음과 같음.

1. 달 위에 꽂은 성조기가 펄럭임 - 달엔 거의 대기가 없어 성조기가 펄럭일 수 없다.
내 생각 : 당시 우주비행사가 깃대를 건드려서 펄럭인 것 처럼 보임. 다른 사람들은 태양풍이나 관성 때문이라고 하기도..

2. 우주의 하늘에 별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다
내 생각 : 태양빛이 강할 때, 카메라 렌즈의 노출량을 적게 설정하고 촬영한 듯. 그럼 별이 안 보일 수 있음.

3. 달의 일교차가 200도 이상 나는데 이것을 우주인이 견딜 수 있을리가 없다.
내 생각 : 달은 중력이 약해 대기가 많이 없음. 즉 열을 저장하고, 전달 할 매질이 약소하다는 얘기임.
따라서 일교차가 크더라도 열전도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타격이 미미함.

달 착륙에 대한 이의는 이보다 훨씬 많고, 이에 따른 반론도 무수히 할 수 있으나 가장 유명한 것 몇 가지를 소개해봤음.
달착륙설이 거짓인지, 진실인지는 개인이 동영상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함.
http://www.youtube.com/watch?v=RMINSD7MmT4
1
2013.08.18
@이과
http://mirror.enha.kr/wiki/%EC%95%84%ED%8F%B4%EB%A1%9C%20%EA%B3%84%ED%9A%8D%20%EC%9D%8C%EB%AA%A8%EB%A1%A0

아폴로 계획 음모론에 대한 글이야. 천천히 읽어봐. 결론부터 말하면 음모론은 개뻥구라ㅋ 진실이란거지.
0
2013.08.18
@대딸러
http://mirror.enha.kr/wiki/%EC%95%84%ED%8F%B4%EB%A1%9C%20%EA%B3%84%ED%9A%8D%20%EC%9D%8C%EB%AA%A8%EB%A1%A0

잘 정리되어 있으니 천천히 읽어봐. 일단 음모론은 개뻥구라야.
0
2013.08.19
@샤비
헐 형들 정성에 오줌지릴뻔ㄷㄷ
0
@대딸러
닉값
0
2014.05.22
@김정균따먹고싶다
언제적 댓글에 댓글달기냐
0
2014.05.21
여러가지 의문중에 가장 큰 한가지.

인류가 반엘런대바깥(지구자기장)의 공간에서 우주방사선을 무시하고 살아남을수가 있을까?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66 [과학] 현직 AI분야 교수님이 말하는 AI 트렌드 근황 34 nesy 23 6 일 전
565 [과학] [수학 시리즈] 무한보다 더 큰 무한이 있다? 무한의 크기 비... 25 0년째눈팅중 16 8 일 전
564 [과학] [수학 시리즈] 왜 0.999...=1 인가? 수학의 오래된 떡밥에 대... 67 0년째눈팅중 37 9 일 전
563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2 2024.04.14
562 [과학] 번역)새들은 왜 알을 많이 낳는가? - 후투티의 형제살해 습성... 7 리보솜 3 2024.03.23
561 [과학] 학계와 AI, 그리고 Bitter Lesson (쓰라린 교훈) 26 elomn 36 2024.02.17
560 [과학] 지구의 속삭임, 골든 레코드의 우주 9 Archaea 10 2024.02.16
559 [과학]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1> 절망의 구덩이 18 개드립하면안됨 37 2024.02.15
558 [과학]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이 땡기는 이유 12 동식 16 2024.02.10
557 [과학] 지능은 모계유전이 아니다. 40 울릉특별자치도 35 2024.01.26
556 [과학] 진화를 생각할 때 고려할 것들 23 날씨가나쁘잖아 12 2024.01.17
555 [과학] 학문적(과학적) 접근과 유사 진화심리"학" 26 날씨가나쁘잖아 19 2024.01.15
554 [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야릇한 은폐된 배란에 대한 남녀 학자의 다... 14 개드립하면안됨 15 2023.12.29
553 [과학]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읽고 느낀 점 (스포있음) 21 장문주의 2 2023.11.28
552 [과학] 제4회 포스텍 SF 어워드 공모전 ( SF 단편소설 / SF 미니픽션 ) 2 따스땅 1 2023.11.25
551 [과학] 펌) CRISPR 유전자 가위 치료제 "최초" 승인 12 리보솜 7 2023.11.25
550 [과학] 러시아는 기술산업을 어떻게 파괴시켰는가(펌) 9 세기노비는역사비... 15 2023.11.18
549 [과학] 고양이에 의한 섬생태계 교란과 생물 종의 절멸 (펌) 2 힘들힘들고 6 2023.11.16
548 [과학] 번역)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12 리보솜 10 2023.11.15
547 [과학] 『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이 왜곡인 이유 (펌) 47 힘들힘들고 10 202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