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xkcd What-if? : 상대성 야구공

원본 http://what-if.xkcd.com/1/

번역 http://www.joysf.com/forum_sf/4477249


NASA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과학에 관한 각종 질문에 대답해주는 Q&A 시리즈


--------------------------------------------------------------------------------------------

광속의 90%로 날아오는 야구공을 치려고 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 엘렌 맥매니스

 일단, 어떻게 야구공이 그렇게 빠르게 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는 잠시 제쳐둡시다. 따라서 투수가 평범하게 공을 던졌으나, 공을 던지는 순간 마법에 의해 광속의 90%, 즉 0.9c로 가속했다고 가정합시다. 그 뒤로는 모든 것이 일반 물리학을 따릅니다.

 001.png
이전 : 0.00000012c(시속 80마일)                         이후 : 0.9c(시속 604000000마일)


 이후로는 아주 복잡한 사건이 아주 짧은 시간 안에 일어납니다. 타자나 투수 둘 다에게 별로 좋은 일도 못 됩니다. 물리학 책과 놀란 라이언(유명 야구 투수) 피규어, 핵 실험에 관한 비디오테이프 몇 개를 가지고 정리를 해봤습니다. 그 추론을 한 번 나노초 단위로 표현해봅시다.

 공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다른 모든 것은 정지한 것이나 다를 바가 없습니다. 대기 중의 공기 분자조차도 멈춰 있습니다. 분자들은 시속 수백 마일의 속도로 앞뒤로 진동하지만, 공이 그들을 통과하는 속도는 시속 6억 마일에 달합니다. 그러므로 공의 관점에서 보자면 공기는 그냥 멈춰 있습니다.

 이 공에 공기역학은 적용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공기는 그것을 가르고 지나가는 물체 주변을 돌아서 흐르겠지만, 이 경우는 공 앞의 공기 분자는 공 옆으로 피할 시간이 없습니다. 너무나도 빠르게 공이 접근해오기 때문에 이들은 공 표면의 원자들에 그대로 고속으로 충돌해 핵융합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 결과로 감마선과 새로 탄생한 입자들이 사방으로 흩어집니다.

002.png
공기(질소, 산소) + 야구공(탄소, 수소, 산소) = 핵융합

003.png
핵융합 구역                 거의 진공 상태


 이 감마선과 파편들은 투수 마운드를 중심으로 구를 그리며 퍼져나갑니다. 이들은 공기 분자를 뜯어 핵에서 전자를 분리해내며 스타디움 내의 공기를 잠식해나가는 백열하는 플라즈마를 형성합니다. 이 구는 공보다 약간 빠른 속도인 광속으로 사방으로 퍼져나가, 타자를 향해서도 접근해갑니다.

004.png  

         30 나노초 뒤 

                                                               엑스선                                 플라즈마화된 공기

        아무 것도 모르는 타자                             야구공                     퍼져나가는 화염구     분해되는 투수


  야구공 앞에서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핵융합으로 인해, 마치 추진구를 앞으로 향하고 분사하며 날아가는 로켓처럼 공의 속도가 느려지기 시작합니다. 하지만 공의 속도가 너무나도 빠르기 때문에 이 정도 규모의 열핵융합 폭발이 갖는 어마어마한 힘에도 공의 속도는 별로 느려지지 않습니다. 다만 공의 표면이 핵융합에 잠식되면서 사방으로 공을 구성하는 분자가 분해된 파편들이 날아갑니다. 그 파편들조차도 너무나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주변의 공기 분자와 충돌하면서 더 많은 핵융합을 일으킵니다.

 70나노초가 경과하면 공이 홈플레이트 위에 도달합니다. 공을 던졌다는 정보는 공보다 조금 빠른 광속으로 타자를 향해 날아오고 있으므로, 아직 타자는 투수가 공을 던지는 것조차도 보지 못했습니다. 이 시점에서 공은 거의 완전히 파편화되어, 주로 탄소, 산소, 수소, 질소로 이루어진 뾰족한 총알과 흡사한 형태의 플라즈마 구름더미가 되어서 공기와 충돌하며 더 많은 핵융합을 일으킵니다. 곧 광속도의 엑스선이 타자를 먼저 때리고, 몇 나노초 뒤에 플라즈마가 타자를 덮칩니다.

 타자에 도달하는 순간에도 이 야구공이었던 플라즈마의 속도는 광속도에 어느 정도 비견할 만합니다. 야구방망이, 타자, 홈플레이트와 포수가 모두 이 충격으로 뒤로 밀려나 야구공을 막기 위해 뒤에 쳐놓는 그물에 처박히면서 동시에 분해되기 시작합니다. 엑스선과 초고온의 플라즈마는 바깥으로 퍼져나가며 그물과, 다른 팀원들, 스탠드, 관중들까지 1마이크로초 내에 집어삼킵니다.

 만약 도시 밖에의 언덕에서 이 광경을 본다면, 태양보다 훨씬 더 밝은 눈이 멀 것 같은 빛부터 보입니다. 몇 초 동안 이 빛이 천천히 희미해지며 화염구가 버섯구름을 형성합니다. 그리고 엄청난 폭음과 함께 충격파가 나무와 집을 파괴합니다. 야구장 주변 1마일 정도가 초토화되며, 도시를 불길이 삼킵니다. 홈플레이트가 있던 수백 피트 뒤쪽에 거대한 크레이터가 생겨납니다.

005.png



 그리고 메이저리그 야구 규칙 6.08(b)에 따라 이 공은 데드볼로서, 타자가 1루로 진루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17개의 댓글

MRCIO
2013.04.21
여기서 상대성이론잘못이해하는사람이 생길까..해서 남김
-공의 속도가 너무 빠르기 때문에, 다른 모든 것은 정지한 것이나 다를 바가 없습니다-
이 부분은 상대적인 시간을 말한거지 정말로 시간이 정지했다거나,시간에 영향을 줬다거나 그런의미가아님
그러니까 속력이 빨라지면 정말로 시간이느려지나요? 이런소리는 하지말자.
상대성이론에서 말하는시간은 상대시간이야,인식하는시간,실제로 흐르는실제시간이아니라.
0
ㅁㄴㅇ
2013.04.21
@MRCIO
그렇게 해석하는거 자체가 이상한거같은데
존나 빨리움직이니 존나느린새끼는 멈춘거처럼 보입니다 라는 요지의 글을 누가 시간멈춤으로 보냐
0
MRCIO
2013.04.21
@ㅁㄴㅇ
위 글에서는 문맥상 상관없겠지만 정말로 속력에따라 시간이 느려지고빨라지고한다고 믿는애들이있어서 적는거야
요컨데 물체의 속력이 30만km/s가되도 시간은 정지하지않는다 이말임
0
2013.04.22
@MRCIO
그래서 공의 관점이라고 써놨잖아
근데 공에 시계를 달아놨을때때
공의 시간이 다른 시간보다 느리게 측정되면
그거도 상대성이론임?
0
@MRCIO
그야말로 쓸데없는 노파심
0
.
2013.04.21
진짜 데드볼이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다죽음 ㅋㅋㅋㅋ
0
2013.04.22
분해되는 투수.. ㅋㅋ

그리고.. 죽은뒤(생명이 운명하신뒤, 삼진이 아니라) 1루 진루하는 타자.. ㅋㅋ
0
2013.04.22
결국 실투네
0
레알 폭(爆)투
0
na2647236
2013.04.23
좆문가방지선
0
2013.04.23
그래서 실투라는거 아니여
0
2013.04.23
하지만 타자가 사망했기때문에 1루에는 대주자가 나가게되고
경기장이 파괴되었기때문에 경기장이 다시 생긴뒤에 대주자가 진루하게 되겠네 ㅋㅋㅋㅋㅋㅋ
0
2013.04.26
단지 속도가 빠르단것만으로도 저런 폭발이 ㄷㄷ..
0
파워폭투
2013.04.26
나가야할 대주자는 2군에서 긴급공수해야하나
0
2013.04.28
혹시 누구였나 제논의 역설이던가 이름은 정확히 기억안나는데

왜 이런 재미있는 가정있잖아

선생님이 조는 학생에게 분필을 던졌는데 이때

분필은 학생과 선생님 사이의 거리를 지나가 학생을 맞추게 되지.

하지만 이 과정에서는 분필은 거리를 무수히 많은 점으로 나뉘었을 때 분필은 그 모든 점을

다 거쳐야한다는

재미있는 가정을 둔 역설이 있는데 그거에 대한 글좀 써줄수 없을까 ?
0
2013.05.05
이거다른거는없어?
0
2013.05.21
그거생각나노
디아2소서기술 프로즌오브였나?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66 [과학] 현직 AI분야 교수님이 말하는 AI 트렌드 근황 34 nesy 23 6 일 전
565 [과학] [수학 시리즈] 무한보다 더 큰 무한이 있다? 무한의 크기 비... 25 0년째눈팅중 16 8 일 전
564 [과학] [수학 시리즈] 왜 0.999...=1 인가? 수학의 오래된 떡밥에 대... 67 0년째눈팅중 37 9 일 전
563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2 2024.04.14
562 [과학] 번역)새들은 왜 알을 많이 낳는가? - 후투티의 형제살해 습성... 7 리보솜 3 2024.03.23
561 [과학] 학계와 AI, 그리고 Bitter Lesson (쓰라린 교훈) 26 elomn 36 2024.02.17
560 [과학] 지구의 속삭임, 골든 레코드의 우주 9 Archaea 10 2024.02.16
559 [과학]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1> 절망의 구덩이 18 개드립하면안됨 37 2024.02.15
558 [과학]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이 땡기는 이유 12 동식 16 2024.02.10
557 [과학] 지능은 모계유전이 아니다. 40 울릉특별자치도 35 2024.01.26
556 [과학] 진화를 생각할 때 고려할 것들 23 날씨가나쁘잖아 12 2024.01.17
555 [과학] 학문적(과학적) 접근과 유사 진화심리"학" 26 날씨가나쁘잖아 19 2024.01.15
554 [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야릇한 은폐된 배란에 대한 남녀 학자의 다... 14 개드립하면안됨 15 2023.12.29
553 [과학]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읽고 느낀 점 (스포있음) 21 장문주의 2 2023.11.28
552 [과학] 제4회 포스텍 SF 어워드 공모전 ( SF 단편소설 / SF 미니픽션 ) 2 따스땅 1 2023.11.25
551 [과학] 펌) CRISPR 유전자 가위 치료제 "최초" 승인 12 리보솜 7 2023.11.25
550 [과학] 러시아는 기술산업을 어떻게 파괴시켰는가(펌) 9 세기노비는역사비... 15 2023.11.18
549 [과학] 고양이에 의한 섬생태계 교란과 생물 종의 절멸 (펌) 2 힘들힘들고 6 2023.11.16
548 [과학] 번역)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12 리보솜 10 2023.11.15
547 [과학] 『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이 왜곡인 이유 (펌) 47 힘들힘들고 10 2023.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