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지식

19세기에 유럽에 영향을 준 일본 문화

7cea8276b08069f536e681ed449f2e2d0f289acb134a06e55ed1257a99

 

<자포니즘>

 

19세기 중-후반 유럽에서 유행하던 일본풍의 사조를 지칭하는 말로써 필립 뷰르트 가 최초로 사용하였다. 이는 단순한 “일본취미 ”에 그치지 않는 일본 취미를 예술 안에서 살려내고자 하는 새로운 미술운동을 지칭한다.




 

 

7cea8276b08069f536e680e14e9f2e2d5c6637f07a99cd194eff010564

 

19세기 중반 만국박람회 열풍에 휩싸인 세계는 상상도 할 수 없던 속도로 엄청난 물량의 교역이 이뤄졌다.

 

일본 역시 메이지유신 이후 재빠르게 유럽에 진출, 서양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자신들의 전통문화를 소개하는 데 심혈을 기울였다.

 

 

7cea8276b08069f537ef85e24e9f2e2df4b85486f94f85801b87fc2a

 

이때 일본은 과거 조선에서 넘어온 도공들에게 전수받은 기술로 도자기를 만들어 수출했는데




 

 

7cea8276b08069f537ef82e7449f2e2d6f3578f04c4442ee3b39d8da2d

 

오히려 유럽인을 매료시킨건 도자기를 포장했던 포장지였다.

 

오랜 항해 동안 도자기가 깨지지 않게 하는 데 쓰인 질 좋은 그림 종이가 눈을 사로잡았고

 

회화적 작품성이 높다고 평가한 인상파 화가들은 이 포장지를 수집하기에 이른다.




 

 

7cea8276b08069f537ef83e0459f3338435d94fab890cd8994272ae28c55

 

이 포장지 그림은 일본 에도 시대(1603~1867년) 고유의 채색목판화인 '우키요에(浮世繪)'이다.

 

 

7cea8276b08069f537ef86e0479f2e2dad8031ace17091a5d399b6f9c2

 

7cea8276b08069f537ef84ed4f9f2e2d9e31f31325482f84453409584c

 

7cea8276b08069f537ef84e14e9f2e2d625dedd9c0943c80320165c9

 

7cea8276b08069f537ef87ec429f2e2da2bfbf1ef10408868eaeac2a1c

 

7cea8276b08069f536e68fe6449f2e2d8df673c5fb706237f629388f

 

일본의 목판화인 우키요에는 그 특유의 평면성과 과감한 구성, 과장된 표현을 통해서 유럽인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image.png

에두와르 마네, 에밀 졸라의 초상, 146.5cm x 114cm, 1868년, 오르세미술관

 

당시 우키요에가 얼마나 인상파 화가들의 눈과 마음을 사로잡았는지는

이들의 그림에 강렬하게 남아있는 우키요에의 흔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네(Edouard Manet)의 그림 ‘에밀 졸라의 초상’에는

일본 무사도 그림들이 배경에 그려져 있다.

 

그림 오른쪽에는 세 점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맨 오른쪽에는 ‘올랭피아’가 있고, 그 뒤에는 스페인화가 벨라스케스의 ‘바쿠스의 승리’가 보인다.

그리고 올랭피아 왼쪽에 일본 스모선수를 그린 우키요에가 있다.

 

화면 중심부에는 앉아 있는 에밀 졸라 등 뒤에는 일본 병풍이 세워져 있는데,

병풍 속 그림은 전형적인 동양의 ‘화조화(花鳥畵)’다.

이로써 마네가 우키요에에 얼마나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

 

image.png

 

Claude Monet;Madame Monet en costume japonais

끌로드 모네, 기모노를 입은 까미유, 1876년, 231,6cm x 142.3cm, 보스톤 미술관

 

 

모네(Claude Monet) 역시 19세기 우키요에의 영향에 깊이 빠져들었다.

그는 아내인 까미유를 모델로 일본 여인을 그렸다.

이 작품이 ‘일본 여인(La Japonaise)’이라는 그림이다.

 

모네는 1876년에 개최된 두 번째 인상파전에 ‘일본풍(La Japonaise)’이라는 제목으로

화려한 빨간색 기모노를 입고 춤을 추는 듯한 아내 카미유를 그려 출품했다.

그림 속 벽과 바닥에는 우키요에가 그려진 부채로 가득 차 있다.

 

당시 파리에 있는 미술품 가게나 골동품 가게에서는 기모노가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갔고

부채와 같은 소품들이 큰 인기를 끌었는데,

이 그림에는 그런 일본풍 소품들이 모두 그려져 있다.

 

파리에서 이처럼 일본 문화가 유행한 덕분에

이 그림은 인상파 전에 출품되어 좋은 평판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높은 가격에 팔렸다.

그러나 정작 모네 자신은 자포니즘이 유행하던 당시

일본풍 그림을 하나의 습작 정도로 그렸을 뿐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한다.

 

 

 

image.png

 

클로드 모네(Claude Monet)의  수련 연못과 일본식 다리(Water Lilies and Japanese Bridge)

 

모네는 말년에 지베르니 집에 수련이 있는 연못을 꾸미고는

일본식 다리를 만들어 그 풍경을 즐겨 그렸다.

 

 

 

 

 

image.png

 

 

반 고흐, 탕기영감의 초상, 92cm x 75cm, 유화, 1887년, 로댕미술관

 

후기 인상파의 대표적 화가인 빈센트 반 고흐(1853~1890)는 열정적인 일본 미술품 수집가였으며, 특히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작품에 깊은 경의를 표했습니다.

 

 

그는 우키요에의 대담한 구도, 평면적인 색면, 강렬한 색채에 깊이 매료되었습니다.

 

네덜란드에서 파리로 건너온 고흐는 짧은 파리 생활을 마친 후 남프랑스의 아를(Arles)로 옮겨 정착했습니다. 아를로 이주한 여러 이유 중 하나는 그곳의 밝은 햇살과 강렬한 자연의 빛깔이 그가 우키요에에서 본 이국적인 풍경과 유사하다고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는 아를을 '일본' 같다고 표현하며 새로운 예술적 영감을 찾고자 했습니다.

 

반 고흐는 1887년 여러 우키요에 작품들을 모사하며 자신의 화풍에 적용했습니다. 같은 해 그린 물감 가게 주인 ‘탕기 영감’의 초상화 배경에는 후지산, 벚꽃, 기녀 등 다양한 우키요에 작품들을 그려 넣어 일본적인 분위기를 연출했습니다. 또한, 그는 자신을 일본 수도승처럼 묘사한 자화상을 남기기도 했습니다.

 

그는 우키요에 화법을 연구하기 위해 안도 히로시게의 대표작인 ‘오하시와 아타케의 소나기’를 자신의 방식으로 모사한 ‘비 내리는 다리’를 그렸습니다. 이 작품은 원작의 구도를 따르면서도 고흐 특유의 강렬한 붓 터치와 색채 표현이 더해져 그만의 독창적인 해석을 보여줍니다.

 

image.png

우키요에 판화의 대가 안도 히로시게의 ‘오하시와 아타케의 천둥’

(왼쪽 그림, 1857년, 34㎝×22.5㎝, 미국 브루클린 미술관 소장)을

모사한빈센트 반 고흐의 ‘빗속의 다리’

(오른쪽 그림, 1887년, 73㎝×54㎝, 네덜란드 반 고흐 미술관).

 

 

image.png

 

  히로시게: 카메이도의 매화정원, 1985년,                    반 고흐: 꽃이 핀 자두나무, 1887년,     

 

image.png

 

반 고흐, 1887년, '탕기 영감의 초상' 배경에 있는 일본 목판화의 모사본(Courtesan (after Eisen))

 

 

 

7cea8276b08069f537ef87e1459f2e2d0d02badf17638c11acb2e177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걸작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 아래'

 

 

7cea8276b08069f537ef83e4419f2e2dd99d73fce0128389040d541de1

 

고흐가 '별이 빛나는 밤에'를 그리는데 영감을 줬다

 

 

“……어쨌든 내 모든 작품은 일본 미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일본 미술은 일본 자국에서는 퇴폐해졌어도

프랑스 인상주의 작가들 사이에서 다시 그 뿌리를 박고 있구나.

내게 자연적으로 관심을 끄는 것은 일본 물건의 거래적인 가치보다는

예술가를 위한 그 실질적인 가치에 있단다…….”

 

(반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 中)

 

 

이렇듯 반 고흐는 자포니즘에 큰 영향을 받았다.

 

 

 

 

7cea8276b08069f536e683e1479f2e2d5a16c82fa848647a73f2647632

 

화가를 뛰어넘어 작곡가들에게 까지 영감을 줬는데 대표적인게 바로 드뷔시의 "바다"이다. 그는 고흐와 마찬가지로 호쿠사이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image.png

 

지라르의 '일본 화장실'

 

image.png  image.png

 

 메라커셋의 '편지'(왼)/ 주카 세이조의 '편지를 쓰는 유녀'(오)

 

image.png

 

제임스 휘슬러(미국) 가 그린 도자기의 나라에서 온 공주, 1865년

 

 

12개의 댓글

12 일 전

그림 문외한이라 그런지 교토 박물관에서 호쿠사이 작품들 보고 감명은 크게 못 받았는데 일단 작품이 작기도 하고 현대엔 그 영향이 파다하니 익숙해져서 그런가 싶음

19세기 서양인의 눈으로 봤으면 충격적이었을 거 같긴 함

0
12 일 전

우키요에의 단순하지만 과장된 표현법이 세밀하고 사실적인 표현에 집중된 19세기 유럽회화판에선 굉장히 인상적일수밖에 없긴 할듯해.

 

특히 온갖 음영법이나 색조합으로 물체의 경계선을 묘사하는 똥꼬쇼를 하다가 그냥 까만색으로 "히히 경계선!"이래버리는데 그렇다고 그림의 입체감을 무너뜨리지도 않으니 얼마나 충격이었겠어ㅋㅋ

3
@혼세마왕

아하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0
12 일 전

고흐가 한자 흉내내서 그려놓은거 귀엽네

1
12 일 전

후쿠사이와 고흐의 관계는 놀라운걸

0
12 일 전

오리엔탈리즘이 결국에는 "서양이 더 우월하고 역시 동양은 미개하다" 라는것을 정당화 할라고 했다는데 이거 주워들었는데 맞는내용임?

0
12 일 전
@Montmartre

어디서 들었음?

0
12 일 전
@oxox

몰루? 어디 유튜브서 본거같은데 근거없는 개소린가

0
11 일 전
@oxox

https://www.skkuw.com/news/articleView.html?idxno=20516

 

나도 어디선가 들었는데 일단 위 기사 같은 논조였던걸로 기억함

0
11 일 전
@냐하하하하

유럽애들이 동양 문화에 관심을 가진게 훨씬 오래전이었을텐데?

 

물론 산업혁명 이후로 서구문명이 동양문명을 압도하고 자신들이 우월하다고 한건 알겠는데

 

오리엔탈리즘이란건 결국 자신과 다른 문화에 대한 호기심에서 시작된거지

 

자신들의 문화를 정당화 하려고 했다는건 좀 말이 이상하다

0
11 일 전
@oxox

시작이야 그랬겠지만 결국 제국주의에 이용된 것도 맞지.

0
11 일 전
@charlote

전체적으로 싸잡아서 오리엔탈리즘이 결국 서구우월주의 정당화로 이용했다고 말하는건 이상한거지

 

https://www.dogdrip.net/643699936

 

17세기 18세기 시누아즈리라고 중국풍 문화가 유행했는데

0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12985 [기타 지식] 당신의 신용카드를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 1 수호천사 2 2 시간 전
12984 [호러 괴담] 도둑질로 체포된 남성. 그의 집에서 사람의 두개골이 발견되는데... 그그그그 0 6 시간 전
12983 [유머] 극 N의 멍 때리기.jpg 1 칸도 1 8 시간 전
12982 [유머] 역사학자가 말하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제일 큰 문제 28 oxox 40 2 일 전
12981 [역사] 19세기, 일본 지방정부와 영국과의 전쟁 4 oxox 10 2 일 전
12980 [기타 지식] 카드 결제와 QR 결제에 대해 알아보자. 17 수호천사 15 2 일 전
12979 [호러 괴담] 캣피싱(Catfishing)으로 2명을 죽음으로 몬 여성 4 그그그그 5 2 일 전
12978 [과학] 포비돈 요오드의 역사와 원리, 그리고 상처에 직접 바르면 안된다는 ... 7 dagdha 4 2 일 전
12977 [기타 지식] 인테리어 업체 선정법 27 돌관공사전문 14 3 일 전
12976 [기타 지식] 좋은 유무선 공유기 고르는 방법 41 수호천사 4 3 일 전
12975 [자연] 300년 안에 인류의 99%가 사라질 것이다 13 식별불해 10 3 일 전
12974 [기타 지식] 멀티탭 구매 요령 40 수호천사 23 4 일 전
12973 [기타 지식] 케이팝 데몬 헌터스 2탄 시나리오 좀 만들어줘라고 AI에게 지시했다. 10 미구 7 4 일 전
12972 [기타 지식] 브라질의 룰라와 보우소나루의 끝나지 않은 전쟁 (feat. 트럼프) 6 dagdha 8 5 일 전
12971 [과학] 수면과 건강의 상관관계 - 하루 7시간은 꼭 자야 하는 이유 9 dagdha 6 5 일 전
12970 [호러 괴담] 왜 경찰은 사건 조사에 소극적이었나? 18년 만에 밝혀진 충격 고백 7 그그그그 7 5 일 전
12969 [역사] 왜 인구 몇억 되는 국가들이 병사 숫자 최대 100만 정도만 가지고잇음? 27 사노라면 0 5 일 전
12968 [기타 지식] 복 있는 자들 - 2025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작 10 음앗 7 5 일 전
12967 [기타 지식] 일본의 민폐 철덕. 토리테츠 10 dagdha 19 6 일 전
12966 [호러 괴담] 가석방 8개월 만에 다시 시작된 범행. 그는 아무런 죄책감이 없었다. 4 그그그그 4 7 일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