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속보] "먼저 하늘나라 간 딸은 집에" …딸 잃은 슬픔 속 엄마도 숨진채 발견

48개의 댓글

아이고오 ㅠㅠ

0
25 일 전

하.. 씨 이런거보면 왜케 먹먹허냐..

1
25 일 전

보편적 복지보다 복지사각지대를 줄이는데 힘썼으면 좋겠다

20
25 일 전
@너의아들

아이러니 하게도 보편복지가 복지사각지대를 줄이는 제일 효과적인 방법중 하나라는거지..

34
25 일 전
@와타메헠농쭠

국가 재정이 무제한이냐?

 

실제로 하지도 못하지만

그렇게 한다고 해도 지원수준이 의미없는 수준으로 떨어져버림

결국 도움 받아야하는 사람들한데 그만큼 도움을 못 주게됨

7
25 일 전
@nlyxxx

그니까 보편복지와 선별복지의 절충점을 잘 찾아야지

3
25 일 전
@nlyxxx

이미 여러 연구에서 보편적 복지(모든 국민을 대상으로 한 복지)는 선별적 복지(저소득층 등 특정 계층만 지원)보다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함.

복지 국가의 과제 - 김연명 중앙대 사회복지학부 교수

보편적복지와선별적복지의조화적발전방안에관한연구 - 유근춘·서문희·임완섭

12
25 일 전
@nlyxxx

AI:

"보편적 복지가 선별적 복지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는 주장은 직관에 반하는 것처럼 들리지만, 실제로 여러 사회정책 연구에서 그럴 수 있다는 근거가 제시된 바 있습니다. 다만, 이 주장은 총비용보다는 효율성, 행정비용, 사회적 신뢰와 같은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타당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핵심 요점 정리:

1. 행정비용 측면

선별적 복지(예: 저소득층만 지원)는 자격심사, 자료 확인, 사기 방지 등의 행정 절차가 복잡해서 행정비용이 많이 듭니다.

 

반면 보편적 복지는 (예: 모든 아동에게 아동수당 지급) 자격 검증 없이 자동 지급이 가능하므로 행정비용이 적습니다.

 

2. 복지 수급자에 대한 낙인 효과

선별적 복지는 수급자가 사회적으로 **낙인(labeling)**을 받을 수 있어 신청을 꺼리는 경우가 많고, 이는 정책의 실효성을 낮춥니다.

 

보편적 복지는 이러한 낙인 효과가 없기 때문에 참여율이 높고, 결과적으로 정책 목표를 더 잘 달성할 수 있습니다.

 

3. 정치적 지속 가능성

보편적 복지는 중산층 이상의 지지도 확보할 수 있어 정책이 더 오래 지속되며, 복지 제도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반대로 선별적 복지는 예산 삭감이나 정권 변화에 따라 쉽게 축소될 위험이 큽니다.

 

4. 사회적 신뢰 및 연대 강화

보편적 복지는 "모두가 함께 혜택을 받는다"는 인식을 통해 사회적 연대와 신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사회 전반의 거버넌스 비용 감소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연구 사례

Gøsta Esping-Andersen (복지국가 유형론의 대표 학자)는 북유럽형 복지국가(보편적 복지 중심)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강조합니다.

 

OECD 보고서에서도 장기적으로 보편적 복지가 더 건강한 사회적 결과를 도출하며, 불평등 완화와 생산성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고 평가했습니다.

5
25 일 전
@nlyxxx

생각보다 도움이 간절한 사람들은 당장 내일 먹을 밥이나 몇천원 항생제 약값이 없어서 치료를 못하는 등의 사유로 위태로워지는 경우가 많으니.

안정적인 직장인들의 경제논리로 보면 이해가 안될수도 있음

3
25 일 전
@nlyxxx

도둑놈들꺼 제대로 환수하면 무제한 맞음

0
25 일 전
@와타메헠농쭠

아이러니하게 이런 사실을 말하지 않으면서 복지사각지대니 이딴소리하면서 복지에 신경쓰는척 하는 사람들이 있단 소리지

3
25 일 전
@와타메헠농쭠

저게 보편 복지로 되겠냐?

1
25 일 전
@liquid

기초생활수급자면 보편복지의 가장 수혜를 크게 받을 사람들이 맞으니까 하는 소리지.

4
25 일 전
@와타메헠농쭠

기초생활수급자가 보편 복지냐? 보편 복지는 정부에서 25만원 전국민 나눠주겠다는게 보편복지임.

0
25 일 전
@liquid

소득이 없는 사람에게 25만원과 400 버는 사람의 25만원이 갖는 의미 차이가 크잖아? 그것만으로 이미 선택적 복지도 달성이 되는거임.

2
25 일 전
@와타메헠농쭠

저처럼 소득없는 사람한테 200을 몰아주는게 맞지 않겠냐?

0
25 일 전
@liquid

소득없는 사람을 찾는 비용이란게 있으니까.

사각지대를 없애는 비용이지.

4
25 일 전
@와타메헠농쭠

중요한 건 보편 복지를 하면 그 만큼 물가도 귀신 같이 올라서 의미 없다는 게 문제..

0
25 일 전
@검정고문실

그게 참 어려운 문제지.

그런대 우리나라 물가는 외부 요인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또 내부 요인만으로는 별 영향이 없을거란 말도 있고 그래.

0
@와타메헠농쭠

그냥 내 생각인데 복지 사각지대 줄이는 문제에 대해 힘쓰려면 보편적 복지 선별복지가 문제가 아니라 사회복지공무원 맨파워가 더 중요한 문제 일거 같음

0
25 일 전
@남남수수학학원원장장남남남수

그 맨파워를 늘리는 비용이 무시무시하게 커질꺼임 ㅋㅋㅋ

그건 확실함.

늘어나는 복지 공무원 = 경제활동 가능 인구가 복지업무에 세금을 받아 투입됨.

3
25 일 전
@너의아들

그럼 복지를 핑계로 가구단위로 감시하는 통제사회가 완성되는거지

1
25 일 전

신은 없다

0

모녀 둘다 취업불가능한 병적 조건이면 의료급여 유지가 됐을텐데.. 그런 진단 인정안되고 의료비만 높은 질병이였나 보네..

1
25 일 전
@개드립신고기능있으나마나

연락 끊긴 큰딸이 취업으로 소득이 생겨서 끊겼다고함

2
25 일 전
@딱좋네

세대 분리되어있으면 상관 없지 않나? 설마 전입신고 안해도 되는 싼 방 구하고 일한건가...

0
25 일 전
@티벳여우

단순 세대 분리는 인정이 안되는것도 있고 이게 좀 증명 하는게 복잡함

0
@티벳여우

세대 분리되도 부양의무자라 큰 딸소득에 따라 영향받음. 아직 의료급여랑 생계급여는 부양의무제 걸려 있음. 부양의무자 소득이 어느 수준되면 탈락시킴. 그 제한이 일반 직장인들이 경력 쌓이면 쉽게 넘어버릴 수 있는 수준

0
25 일 전

지급 기준이 바뀐건가....

0
25 일 전

20대가 집에서 죽을정도면 심각한 질병이었을텐데 왜 제외된거지...

2
25 일 전

지급 기준이 왜 바뀐거지..

0
25 일 전
@겨울눈

큰딸이 소득이 생겨서 그랬다고 하던데

큰딸은 연락두절

10
25 일 전
@djhsk

어렵네.. 계속 주기에는 악용하는 사람들도 있을 거 같고

0
@닉네임변경901

집행하는 부처는 연락두절인지 아닌지 검증하기 어렵고

수급자도 객관적인 자료도 제공하기 어렵고

0

신을 만들자

0
25 일 전

마음이 너무 아프다...

0
25 일 전
0

개걸래씹창년지원금 주는거 아끼고 허벌걸래부 세금 ㅈ같이 쓰는거만 아껴도 충분히 케어할수 있는 사람들인데...

12
25 일 전

일은 못하는데 돈은없고 그렇다고 존엄사도 금지고, 저렇게 죽는것 말고 아무 방법이 없네

0
25 일 전

안타깝다...

0
25 일 전

이런곳에 제발 기부금이 가야한다...

 

우리 주변의 이웃부터 돕자...진짜

1
25 일 전

이러면 원칙이 문제

저러면 사람이 문제

하 ㅅㅂ 세종대왕님 오면 해결 가능하시려나

0

모두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법으로 약한사람들 1차로 당하고 기득권은 조커카드 무제한 발사. 똑같이 목숨은 하나인데.

0
25 일 전

멀쩡히 일할 수 있는 사람들한테 계속 돈 주기 이전에 저런 사람들부터 챙겨야 하는 건데...

0
25 일 전

여성가족부 뭐함??

0
25 일 전
@년째부자중

창녀들 돈 줌

1
25 일 전
@년째부자중
0
25 일 전

얼마나 막막 하셨을지 가늠이 안되네

삼거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