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전교 1등아이가 0점 처리됐습니다

888.jpg

334개의 댓글

2025.05.17

교수들이 교사가 맞대!

0
2025.05.17

소송 했나 궁금해서 찾아봤는데, 글삭엔딩임

2
2025.05.17

주입식 교육의 선두주자ㅋㅋㅋㅋㅋㅋ

1
2025.05.17

촘촘 ㅋㅋㅋㅋㅋㅋㅋㅋ

 

저건 서술이아니고 단답이지

0
2025.05.17

정답처리해줘도 다른 애들 부모가

다시 이의제기할거임ㅋㅋ

이러이러한 이유로 오답이 맞지 않느냐고

0
2025.05.17

한국어든 영어든 결국에는 객관적인 문제에 주관적인 문제로 답해버리면

저딴식으로 광역 어그로 핑퐁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애들 과외 했을 때도 식으로 가르쳐줌.

 

 

0
2025.05.17

문제가 간이전동기를 빨리 돌아가게 하는 방법을 물어보는건데 많이감든 촘촘히감든 어쨋든 좀 더 감아서 빨라지기만 하면 정답으로 해줘라.... 뭐 시발 빨리 돌아가라고 진심을 다해 응원한다 라고 적은것도 아니구만

0
2025.05.17

내가 중2 때인가. 그때 시험문제의 정답이 '폭발'인게 있었은데 내가 '폭팔'로 적은거임. 근데 이렇게 적은 애들이 몇몇 있었던거. 그래서 결국 '폭팔'도 부분 점수 처리를 해줬던걸로 기억하는데, 이 경우는 애초에 맞춤법이 틀려서 틀렸다고 하는게 맞는걸까. 아님 의도는 정확했으니 부분 점수라고 주는게 맞았을까.

 

내가 생각했을 땐 내가 적은 문제는 주관식 단답형이었으니 엄밀히 말하면 오답 처리가 맞는것 같다. 근데 서술형이었다면 부분 점수라도 주는게 맞는것 같다.

 

저 문제도 서술형이랍시고 내놓고 처리 자체는 단답형처럼 처리해버린게 문제 같다. 문제 자체를 떠나서 논란이 발생하는 이유가 사람들의 기본적인 인식에는 '많이'라는 형용사 혹은 부사보다는 '촘촘히'라는 단어가 뭔가 더 정답에 '촘촘하게' 적합한것 같다는 인식을 준거거든.

 

결국 언어에 따른 인식의 문제가 발생한건데, 애초에 서술형이라는 형식 자체가 잘못된거라고 봄.

0
2025.05.17
@까드득까드듥

네 경우는 글씨 개판이라 부분 점수라는 말이랑 사실 차이가 없음. 자기들이 인간이 아니라 원칙적인 부조리 마저 구현하는 채점 기계라고 생각해야만 가능한 일임. 원리 원칙 중에서 원리는 배제하고 원칙만 따진 셈.

 

다만 저 시험에서는 촘촘하다가 엄밀하게 보면 틀린 게 맞다고 생각함. 좀 더 촘촘하게가 아니라 단순히 촘촘하게면 코딩이라고 생각하면 다르게 작동하는 게 맞긴 함.

 

그러나 학생의 의도가 뻔한데 그가 말한 의미를 뻔히 알면서도 왜곡해서 좌절을 주는 게 과연 교육적인 태도로서 옳을까 싶음.

 

부분적으로 촘촘한 거면 많이도 부분적으로만 많이일 수도 있는 거니 이런 원칙이 존재했던 거면 비교 어휘가 무조건 들어가는 사람들만 답이 되어야 함.

 

교과서만 맞다고 한다면 그냥 암기 시험인건가 싶어지고 교육의 목표랑은 거리가 멀어지는 것 같음.

0
2025.05.17

부분적촘촘히처럼 될수있다라고 오답처리하면

 

많이감는다도

한부분만 많이감는다가 될수있으니

전체적으로 많이감는다가 정답이되어야하는거아닌가?

2

나도 가르치는 사람인데 촘촘하다는 굳이 따지자면 틀린게 맞음..

우선 중2 과학 저 파트 각론을 보면 많이 감는다 라는 표현이 명시적으로 나와있다

왜냐하면 전류의 세기, 전자기 유도는 다양한 변수들이 있는데 중2 수준에선 자세히 가르치질 못함..

그래서 전류의 세기를 높이는 가장 단순하고 우선적인 방법인 많이 감는다만 언급이 됨

선행학습을 했거나 저 학생의 지식 수준이 높다면 할 수 있는 발상임

생각보다 저런 문제들이 전 과목에 아주 많다.. 맞긴한데 아직 안 배웠으니 오답인 문제들..

물론 교사가 융통성 있게 맞게 해줘도 되겠지만.. 문제의 수준, 배점 분배를 보아하니 많이 하급지의 학교..

재판에서 승소해봤자 너무 늦어서 시험 점수가 바뀌진 않을거임.. 너무 안타깝습니다

1
2025.05.17

댓글 내용만 봐도 이건 선생이 문제 출제를 잘못한거임

고등학교 수준의 문제인데 대학교수들이 나와서 주장해야할 정도로 의견이 갈리는 수준인데

정답의 여부보다 난이도 조절이 잘못되었다란 소리잖음

1
2025.05.17

여기까지만 보면 고집부리는 교사가 좀 문제가 있어보이는데..

그래야만 하는 우리가 모르는 배경이 더 있나? 교사입장에서의 이유가 있을거 같은데

9
2025.05.17
@Literaly

자존심 때문에 ㅠ

3
@Literaly

진짜 우리가 모르는 배경이 있어도

전교1등하던 학생을 3,4등급의 격차나게 떨어뜨리는건데 이걸 학교측이 무시한다?

그리고 임용이 어려워도 지식수준으로 보면 교수 발언을 교사가 무시한다?

1등학생한태 원한있거나 2등 부모한테 뭐 먹었거나 그정도가 아니면 이해하기 힘든 행동임

0
2025.05.17

서울대 교수.. 검사.. ㅋㅋㅋ 허언이 촘촘하신듯

2
2025.05.17

교사 병신임?

1
2025.05.17

많이든 촘촘이든 둘다 중의적으로 해석될수 있는거 아닌가?

1
2025.05.17

이거 걍 부분점수주고 끝냈어야될 사안인데 선생이 기싸움하다 일 존나커진거지 ㅋㅋ 학교선생중에 쓸데없는걸로 기싸움하는새끼들 항상 있음

3
2025.05.17

ㅋㅋ 번복을 하면 본인이 잘못한게 되기때문에 기싸움 ON

0

촘촘하게 감으려면 많이 감아야되잖아

0
2025.05.17

촘촘하게 세바퀴 감기

vs 덜촘촘하게 열바퀴감기

 

다른사람들도 언급했지만 촘촘하게랑 많이는 뜻이 달라서 나도 교사의견에 손들어주고싶음

0
2025.05.17
@무료변호사

솔직히 억지 아님? 권수를 늘리기 위한 방법으로 촘촘히 하는 것도 맞지 않음?

같은 길이 기준으로 더 촘촘하게 만든다는 의미인데 어떻게든 틀렸다고 하는 건 너무한 거 아님?

그럼 많이 감았는데 솔레노이드 지름이 더 작은 경우도 있을텐데 그럼 많이도 틀린 경우잖아

0
2025.05.17
@종갓집맛김치

많이 감는다는 그냥 '많이 감는다'인데

'같은 길이 기준으로' '솔레노이드 지름이' 같은 수식어가 필요한 시점에서 애초에 이상함을 못느낌?

대학은 커녕 고3 고2도 아니고 고1문제임

0
2025.05.17
@무료변호사

내가 억지라고 말하는 게 그거임

촘촘하게 하지만 권수가 적은 경우는 구리선의 길이가 다른 경우를 뜻하는 거고 구리선의 길이가 다른 경우는 촘촘함과는 관계없이 당연히 짧은 쪽이 권수가 적을 수 밖에 없음

같은 길이의 구리선인 경우에는 촘촘하게 하면 당연히 권수가 높잖아

네가 말한 경우도 촘촘하게 세 바퀴는 구리선의 길이가 짧은 경우임 서로 다른 구리선으로 촘촘하게 한 코일이 전류가 작은 경우가 있으므로 아니라고 하는 게 억지라고 생각함

0
2025.05.17
@종갓집맛김치

촘촘하게가 정답이 되게 하려고 또 '같은 길이일때'같은 조건을 추가해야 되잖아

그냥 많이 감는다가 정답임

촘촘하게는 봐줘봐야 부분점수고

 

고1수준 문제에서 무슨 권선수니 솔레노이드같은 복잡한 개념 안넣음

그냥 많이 감으면 세다 / 적게 감으면 약하다

이정도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의 전부인데 선행학습하다가 헷갈려서 제일 중요한 포인트인 '많이'를 빼먹고 촘촘하게만 적은거임

오답이 맞음

0
2025.05.17
@무료변호사

나도 많이가 가장 명확한 정답이라는 건 동의함 그리고 계속 똑같은 말의 반복인데 네가 말하는 "조건" 때문에 억지라고 말하는 거임 내가 "같은 길이"라는 조건을 말하는 건 네가 세 바퀴, 열 바퀴라는 예시로 촘촘함이 틀렸다고 말했기 때문임

그냥 일반적으로 촘촘하게 했다는 말을 틀리게 만들려고 길이가 다르다는 조건을 만든 거잖아

네가 말했듯 고1이기 때문에 글에 있는 세 번째 그림과 같은 [도선을 촘촘하게 감은 전자석]을 뜻한다고 나는 생각함

교사가 정말로 의도한 문제라면 해당 문제에 조건을 써두겠지 적어도 산기, 기사 시험에서도 적어도 단위는 적어주잖아...

0
2025.05.17
@종갓집맛김치

저거는 아마 원 글 작성자가 촘촘하게도 정답이라고 주장하려고 가져온거같은데

그림 바로 위에 문단에는 촘촘하게 여러번 감으라고 잘 설명되있고 여러번이 중요한건데

그림에서 촘촘하게만 이라고 되있어서 굳이 따지면 저 책이 약간 잘못됬다고 봄

 

저 그림같은 이미지가 꽂혀있어서 안에있는 못의 길이가 한정적인 상황만 생각하는데 저렇게 한정적일때만 촘촘하게도 맞는거고

많이는 전제조건이 없어도 모든 상황에서 맞는 말임

 

길이가 다르다고 하는데 많이 감는다가 당연히 더 많이 감았다는 뜻이니까 당연히 더 길지...

0
2025.05.17

촘촘히는 틀렸다고 생각함 나도

많이 감는다는 코일의 총 길이가 늘어난다고 생각이 드는데

촘촘히는 그냥 간격의 차이라서

0
2025.05.17

근데 고등학교면 상식적으로 1등한테 점수몰아주기 해줘야 아웃풋 잘나올텐데 왜 저걸 오답처리함?

내가 교사면 무조건 1등애 정답처리되게 할것같은데

0
2025.05.18

내 기억에 이 사건 몇년 된건데

그후로 아무 소식도 못봤다 ㅋㅋ

0
2025.05.18
@YOASOBI

예전에 이 글 올라왔을때만해더 많이감는다가 정답이라고 저 엄마가 이상한 사람 취급 받았는데

오늘 보니까 교사가 병신 취급받네 ㅋㅋ

0
2025.05.18

긱블에서 실험했음

위상차가 생기는 구간에서 전압이 걸리므로

'많이' 감아봐야 중간에 0v 구간만 길어짐

같은 양의 도선을 '촘촘하게' 감으니 전위차가 커져서 전압이 커짐

그래서 저 이의제기는 합당하다는 의견

0
2025.05.19

교사 말이 맞음.

촘촘하게라는건 단순하게 높은 밀도를 말하는거임

 

10cm 길이의 봉에 1mm 두께의 선을 1cm 간격으로 10번을 감은걸

10cm 봉의 길이 중 1cm안에 촘촘하게 몰아두는것과

 

10cm 길이의 봉에 1mm 두께의 선을 1cm가 아닌 더 많이 감아서 0.5cm 간격으로 많이 감는건 다른 이야기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