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말에 너무 공감함.. 직장 오래 다녀보니 저런 개또라이들 간혹 있음. 특히 책에 있는 지식은 죽은 지식이다, 스스로 연구하고 만들어낸다 이 지랄을 자랑스럽게 하는 애도 1명 봄 ㅋㅋㅋㅋㅋㅋㅋ 하는 말마다 이미 수십년전에 연구하고 개발된 건데 지가 생각해낸 것처럼 말함 ㅋㅋ 기초 이론을 모르니까 엉뚱한 개소리를 아이디어랍시고 내뱉고 남들이 자기보다 멍청하고 시기질투로 반대한다고 ㅋㅋㅋ
수많은 천재들의 과정을 공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들과 비슷한 의문을 제기해보려고 시도할 수 있지 않나? 그런 의문을 가질 수 있는 틀만 제공하고 그런 생각을 하는 버릇을 들이는게 창의성 교육인거 같은데. 물론 천재들의 모든 과정을 짧은 일생 동안 혼자서 다 해결할 수는 없을테니 문제 제기 후 도전해보고 실패하면 그때 천재들의 방식을 답습하면 되잖아. 창의성을 추구하는 행위가 남들은 나보다 못해서 그런 생각을 못 해냈을 것이다 와 동치라는건 좀 비약인듯...
수돗물
원래 피카소도 이미 10대때 기본기 다 마스터 하고 30대쯤 되서부터 입체파 미술을 시작했다지..
뀨웅뀽
결국 쉐복인게
1.창의성의 자각은 남들은 나보다 못하다는 생각의 동치가 맞는가?
2.과거 업적을 이해하려 하지 않는것이 창의성에 기대는것과 동치라고 할 수 있는지?
전제에서 상대를 설정해놓고 패면 논리비약이 생길 수 밖에 없고 전제에서 무리해놓은 것들이 발화내용을 비판할때 고스란히 되돌아옴
사견과 편견의 범벅이지 논리적이라 할 수있는지?
오히려 역편향으로 획일화에 일조하고 있진 않은지?
타자를 비판하는 글인데 도리어 되돌아오는 비판을 감딩해낼 수 있는지?
ㅡㅡㅡㅡ
결국 어조와 논리 정제 유무와 별개로
기본기를 중시하자는 논조인데
창의성을 중시하기에 기본기를 중시히는 논리로더 이끌 수 도 있음
거인들의 업적을 대강으로나마 알고는 있어야 있는것과 없는것을 구별하고 새로운 접근을 할 수 있다.
저 글은 창의성을 중시하는 사람을 오만한 사람으로 무리하게 동치시켜놨고 사견이고 편견임
그래서 글이 지닌 정당한 논리에도 해악을 미침
퍄퍄존슨
정확히는 스스로 창의적이라고 자부하는 사람이 그런 자만심을 가지고 있다는 이야기이고, 그런 사람은 이제 다른 사람으로부터 배움이 필요 없다라고 생각한다는 거지.
창의적이었다고 평가받는 사람들은 그냥 꾸준히 공부하고 노력해왔던 사람이지 스스로 창의적이라고 생각한 사람은 없음
뀨웅뀽
님말도 다시 읽어보셈
자체가 논의가 필요한말임
죄다 타자를 규정하는 말이잖아 사실이다 쳐도 사견이고 편견이라 해도 할말없지
퍄퍄존슨
나는 본문을 그대로 다시 읽어준거임. 물론 내 경험상도 동의하지만 말야.
저는 똑똑해요, 제가 이 분야 전문가입니다. 이걸 스스로 말하는 사람을 진짜 머리 좋은 사람이라고 너가 믿을 수 있겠음? 진짜 똑똑한 사람은 이렇게 말하고 다니는 시간에 차라리 책한권 더 읽음. 똑같은거임.
물론 이래도 이해 못하겠다면 할 수 없고. 내가 배우고 경험한 걸 바탕으로 하는 이야기인건 맞으니까.
뀨웅뀽
그니까
전제를 사견 편견으로 하면
주된 주장이 옳았어도
잘못된 전제로설정으로 공격받는다고요
기억력강퇴
ㅇㅈ
ㄹㅊㅊㄹㄹ
수학과ㄲㅈ
질문
스티브잡스: 기존 컴퓨터 개념 다 ㅈ까고 다 우겨넣어
9854070284
수학과잖아 수학 잘할려면 수학자들이 만들어놓은 정리나 그런거 이해가 필순데 뭔
교수도 이상한게 걍 얌전히 열심히 가르치는게 자기 일이면서 뭔 창의성 극딜을 초장부터 하는지원
한국 수학교육의 문제점은 그놈의 시험 이고 시험 점수 잘 나올라고 애들이 공부하다가
수학의 진정한 재미를 알지 못하기 때문임 수학에 관심이 생길 수 있는 나이에 다들
어려워만 하니까 문제지
삭사사삭사사사사삭
어디서 나도 비슷한거 봤는데 결국 창의성이 필요해지는 시점은 교수부터지 석사 이하는 기본기채우기가 더 급하다고 기반없는 창의성은 이미했거나 실현가능성 없다는소리지
킴소위
저 말에 너무 공감함.. 직장 오래 다녀보니 저런 개또라이들 간혹 있음. 특히 책에 있는 지식은 죽은 지식이다, 스스로 연구하고 만들어낸다 이 지랄을 자랑스럽게 하는 애도 1명 봄 ㅋㅋㅋㅋㅋㅋㅋ 하는 말마다 이미 수십년전에 연구하고 개발된 건데 지가 생각해낸 것처럼 말함 ㅋㅋ 기초 이론을 모르니까 엉뚱한 개소리를 아이디어랍시고 내뱉고 남들이 자기보다 멍청하고 시기질투로 반대한다고 ㅋㅋㅋ
닉네임뭐할까
최신 연구논문 보면 그런거 ㅈㄴ 많음
아직 인터넷 보급안된 50년대 논문에 이미 해놓은 실험과 데이터를 거의 비슷하게 도출해 놓고
엄청난 업적이라면서 하이저널에 게재되어는거 정말 많이 봄
먹구렁이기차
그런건 if 1~2점대 잔잔바리 저널에서도 리뷰단계에서 다 걸러내는데 하이저널에 올라간다고?
닉네임뭐할까
너무 오래된건 검색이 잘 안되서 그런가
네이쳐 본지에서도 몇몇 본적 있음...
정말 어이가 털린거는 Wiley계열 IF 15-30 저널에서
굉장히 신뢰도가 높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료를
교과서에 실릴정도의 일반적인 분석 수단을 이용해서 해석한게 논문 실린거 본적도 꾀 있음
당연히 많은 실험 데이터를 올리고 ㅈ나 깔쌈하게 피규어랑 본문 작성되어 있음
논문 수십편 내보면 알겠지만 생각보다 하이저널은 운, 정치질, 접대, 인맥, 똥꼬집 부리면 통과하는 경우가 꾀 됨....
RhPlusMinus
뭔가 새로운 포인트가 있었겠지...
닉네임뭐할까
나도 내가 못본 그런 포인트가 있었길 빌었기 떄문에 그러러니 하고 그냥 넘어갔지
하지만, 일단 적당히 읽어 봤을때 왜 이런논문이 통과했지? 란 첫인상을 쎄게 느낀 경우라서 기억에 오래 남더라...
Literaly
'바퀴를 다시 발명하지 말라'
제육볶음맛있다
같은 것은 같다
부등변다면체
전공안해보고 갈데없어서/쉬워보이니 함해볼까하고 예대가는 놈들도 제발 저거 대가리에 새겼으면ㅋㅋ 기본기도 없는애들이 20년가까이 그거만 해온 애들 사이에서 전공들은 유초딩때 했던 발상 이제야 하면서 창의성타령할때 개패고싶음
닭갈비닭
창의성이란 결국 현대에는 결국 아는것의 재배열인 거 같어
닉네임뭐할까
존나게 공감가는 말이다
모방하고 재현하고 이해의 끝에서 아이디어는 피어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함
나섹시여고생임
창의성교육은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방식이라고 늘 생각했는데
기존의 닥치고 외워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기존 교육방식의 틀에서 벗어나 체험적인 습득이 가능할까 하는 그런거지
우릉크릉
기업면접때도 툭하면 창의성창의성하는데 창의가 뭔지도 모르는놈들이 면접을 보는게 웃김
찬슬르아담
ㅋㅋㅋㅋㅋㅋㅋ
광어튀김
추천 영상
https://youtu.be/em7hwLutvHg?si=_S6jPAfh7wMaSEHx
무분별하게 창의성을 추구하는것의 폐해.
재수생인데개드립함
발아도 결국 씨앗을 심고 물을 뿌려야 가능한 것
shipsaekki
와ㅋㅋㅋ맨날 기초 가르치는데 똑바로 안 따라하고 이거 이렇게 하는게 더 좋은거 아니에요? 하면서 말 안 듣는 놈들 간혹 있는데
아니 수백년 동안 사람들이 그걸 몰라서 안 했겠냐고 그렇게 하면 안 되는 이유를 아무리 설명해도 안 들어 처먹음ㅋㅋ
앞으로는 스스로 똑똑한 줄 아는 멍청이들한테 입 아프게 설명하지 말고 걍 이거 보여주고 치워야겠다.
글렌모렌지시그넷
이해가 안되다가 어느순간
아 이게 이런거였구나
근데 어떻게 이런게 된거지?
이 순간이 제일 기분 좋음 그때부턴 모든게 귀에 다시 들어오는 느낌
하얀배
정말 압도적인 창의성이면 또 모를 일이긴 한데
그 피카소도 기본기의 극을 달하고 추상화를 그려냈으니...
알프스
창의적 사고를 하는 습관과 머릿속에 기존의 지식을 쑤셔넣는 작업이 같이 병행되어야 함.
대치동 초딩들은 케파 이상으로 쑤셔넣기만 해서 문제고,
그게 싫다는 초딩들은 창의력 학습만 하려다보니, 기초가 너무 부실해서, 약간의 오만함에 빠짐.
Ausfaller
이해가 배제된 과학습은 창의성에 오히려 방해가 되기도 하지
반대로 충분히 이해를 거친 학습은 그 자체로 창의성의 발판이 됨
다만 난 저 교수의 말에는 일부 반대하는게, 스스로 창의성을 발휘할 시기는 딱 정해져있지 않으니 언제고 창의성을 끄집어내보고 그걸 크로스체크하면서 방향성을 조율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생각함
개포동다이슨전문털이범
수많은 천재들의 과정을 공부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들과 비슷한 의문을 제기해보려고 시도할 수 있지 않나? 그런 의문을 가질 수 있는 틀만 제공하고 그런 생각을 하는 버릇을 들이는게 창의성 교육인거 같은데. 물론 천재들의 모든 과정을 짧은 일생 동안 혼자서 다 해결할 수는 없을테니 문제 제기 후 도전해보고 실패하면 그때 천재들의 방식을 답습하면 되잖아. 창의성을 추구하는 행위가 남들은 나보다 못해서 그런 생각을 못 해냈을 것이다 와 동치라는건 좀 비약인듯...
수프연구자
살아가면서 느끼는거네 이거 어떤 일에 익숙해지면 다른 아이디어가 떠오르고 이러드라
빈센트반호구
어떤 아이디어가 떠오를때 실현하면 창의성 실현불가능하면 망상이라고 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