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현재 AI 재귀개선 가능성이 보인다고 난리난 구글 딥마인드 발표

dccapture_20250515_023618.jpg

 

Screenshot_20250515_023239.jpg

 

 

41개의 댓글

2025.05.15

이거 특이점이잖아

19
2025.05.15
@ki1147521

아직은 무리지만 곧 특이점 오긴 할듯 비웃던놈들 많았는데 뭐라 생각하려나..

2
2025.05.15
@에휴ㅋㅋ

"이렇게 될 줄은 몰랐다"

5
@에휴ㅋㅋ

솔까 진짜 특이점이 오고나면 받아들이던 애들이나 비웃던 애들이나 어차피 AI앞에서 미물들이 될 거라 ㅋㅋ 인간이 의미 있을때나 인간사이의 우열이 의미가 있는거지.

3
2025.05.15
@에휴ㅋㅋ

몰랐으니까! 특이점이 올지 몰랐으니까

0
2025.05.15
@바위처럼

렌 포트가 두개지요!!

1
2025.05.15
@ki1147521

특이점이 불타오르는거라고 보면

지금 불피우는데 연기나기 시작한셈임

2
2025.05.15

특이점 가속화 레스고!

2
2025.05.15

와 모델에다가 적용하는거라고? 지리네..

0
2025.05.15

이거 해결하면 AI가 사라는 주식 다 사면 되는거지?

0
2025.05.15

막상 얘네 플래그십 모델은 촤신 업데이트 이후 성능 떨어져서 욕먹고있는데

3
2025.05.15

한달 내내 겨울이다

이지랄하다가

떡밥ㅋㅋㅋㅋ

0
2025.05.15

호킹 박사님..

0
2025.05.15

로코의 바실리스크가 온다

0
2025.05.15
1
2025.05.15

근데 이게 추론 모델이랑 다른게 뭐야? 추론 모델들도 가능한 경우의 수들을 떠올리고 답이 맞는지 여러번 확인히잖아

4
2025.05.15
@쿄코

새로운 방식이라기 보다 기존 방식의 개선판으로 보임

3
2025.05.15
@쿄코

걍 늘 하던 호들갑임

0
2025.05.15

애플 땜에 주가 꼴아박히니 입 털어야지

0
2025.05.15

ai가 할루시네이션을 일으키는게 유효숫자 문제 때문이라고 하더라고

0
2025.05.15

특이점 25~26년도에 온다고 이미 떠들썩하긴 했는데 벌써...

1
2025.05.15
@나메크인.

정말 곧 이네

0
2025.05.15

학습과정에 점수데이터가 없어도 되는 사례용 강화학습 모델을 만들었는데 그 모델 자체가 해당사례가 된다는건가

0
2025.05.15

챗지피티보다 재미니가 별로라고 생각했던 적이 꽤 얼마 전이었는데 이제는 재미니가 더 좋은 것 같아서 재미니를 기본으로 쓰고 챗지피티를 부수적으로 쓰는 중

0
2025.05.15
@K084401

어떤 면에서??

0
2025.05.15
@게오르그

다른 쪽으로는 나도 써본 적이 많이 없어서 모르겠고 고쳐쓰기나 번역할 때 쓰고 있음. 외국어로 작문했을 때 단어 차이나 늬앙스를 잘 몰라서 원어민이 봤을 때 어색해보일 만한 문장이 많은데 같은 글을 챗지피티에도 넣어보고 재미니에도 넣어보면 확실히 다름.

 

챗지피디도 유용한 툴인 건 맞는데 고쳐야 할 우선순위가 낮거나 하면 고쳐지긴 하는데 이유 설명을 건너 뛰는 경우가 있고, 왜 그런지 모르겠는데 가장 중요한 몇 개만 설명하고 나머지는 설명을 안 함.

 

챗지피티는 결과창이

수정 요약 1. ... 2. ... 3. ...

수정 이유 1. ... 2. ... 3. ...

결론 ...

 

이런 식인데 난 몇 개만 제안을 받고 싶은 게 아니라 전체적으로 세부적으로도 알고 싶은데 그걸 안 알려줌. 문장 하나하나 섬세하게 고쳐야할 우선 순위에 따라 고쳐달라고 해도, 건너 뛰는 경우가 생김.

 

재미니가 고쳐쓰기 제안을 줄 때 실제로 받았던 제안인데

 

수정 이유: 結局 (결국) 보다는 結論として (결론으로서) 가 한국어 결론적으로에 더 가깝습니다. だとしても 보다는 であっても 가 조금 더 문어적입니다. 文化的脈絡 (문화적 맥락) 도 가능하지만, 文化的背景 (문화적 배경) 이 더 일반적으로 쓰입니다. 変わっていった 보다는 変化していった (변화해 갔다) 가 앞의 '変化'와 통일성을 줍니다.

 

이런 식으로 니가 쓴 단어도 가능은 한데 왜 B로 쓰는 게 좋은지 짤막하게나마 설명을 해주고 넘어감. 조금 더 세부적인 문장까지도 봐주는 느낌. 근데 재미니도 삽질할 때가 가끔 있고 마음에 안 드는 경우도 있어서 그럴 때는 챗지피티랑 같이 쓰고 있음.

2
2025.05.15
@K084401

그정도임..?

챗지피티 자꾸 하라는 대로 안하고 뻘짓하길래 갈아탈까 생각중인데..

2
@채수빈

제미나이 2.5pro 많이 좋아져서 써볼만함 병신같이 말해도 내 의도를 제대로 캐치하고 답을 내줌

2
2025.05.15
@병신을보면짖는시바개

오 굳굳

똥피티 끊고 제미나이 가야것다. 고마우

0
2025.05.15

제발 특이점 와서 세상이 뒤집어지길

0
2025.05.15

ai도 결국 마케팅 다됐네 ㅋㅋㅋ o3 o4 나올때 강인공지능으로 세상 뒤집어지는 것 처럼 말하더만

9
2025.05.15

뻔한 띵킹 난리 안나는 발표

1
2025.05.15

제미나이 건방진 새키 자꾸 틀린 답 뱉어 놓고 나의 로직은 완벽하므로 내 답이 맞다 우김 챗지피티는 말투라도 공손하지

빡쳐서 욕하니까 모욕을 자제하라 ㅋㅋㅋ함

5
2025.05.15

셀이네

0
2025.05.15

어 그러니까 기출 많이 풀어보는게 중요하다는 소리지?

0

교과서 위주로 공부했어요

0
2025.05.15

AI 간에 서로 내가 맞다 싸우다가 지배 피지배 구조 생기면 정말 ㅈ돼는건데.. 나라마다 밀고 있는 모델이 있을거고 이게 뭐 미래전쟁이겠지

0

복리

0
2025.05.15

질문은 사람이 한다. 필요는 인간에게 있고 수단으로서 작용하는 AI를 받아 들이지 못하면 이미 특이점은 온걸지도

0

개쩐다

0
2025.05.15

ai가 발달하면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리는 미래를 상상하지만

실제로는 일부의 특권층만 누릴 가능성이 큼

지금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것도 일종의 데이터 수집기간이라 그렇고

지금 구독제 자체도 수익을 위한것보단 일종의 트래픽 제어 장치임

데이터 수집 하드캡이 오면 구독료를 엄청나게 올리거나

b2b 위주로 전환할 가능성이 아주 높음

설렁 기술혁신으로 유지비용이 획기적으로 줄더라도

지금만큼 대중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일은 안생길듯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