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단결근은 당연히 하면 안되는거고
팀 내 퇴사율 0%는 좀 대단해 보이네
승진을 하면할수록 조직관리쪽 능력을 더 많이 필요로함
실적이 크게 빵구나는게 아닌데 조직관리는 확실히 잘하는것같다? 2번이 적임이 맞음
조직관리능력이 없는데 실적으로 관리자 된 케이스 겪어봤는데
관리자도, 부서원도 서로 고통임
1. 실무능력 개쩌는 사람이 관리직되면 리소스 낭비임
2. 실무능력 개쩌는 사람이 관리직되어서 실무 안뛰게 되면, 회사 입장에서는 그 사람 사라지는거나 다를 거 없음
3. 고로 관리능력 좋은 사람 관리자 자리 올리고 실무 능력 좋은 사람은 실무자로 남기되 돈으로 보상이 회사입장에서는 더 좋음
맞다. 근데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연차 올라가는데 관리직 안하면 도태 취급함. 뛰어나다고 관리직 모자라서 실무가아닌데, 권력이 관리 쪽에 있으니 실무라인 고수하다가 정치로 밀려나기도 하고. 뛰어난 개발지보다 뛰어난 마케팅이나 세일즈가 주목받기도하고 좀 불합리한점이 있지.
1번은 일잘하는데 괜히 관리자직줘서 리스크를 지는것보다 인센을 더주고 계속 굴리지않을까 싶음
2번은 퇴사율0%만봐도 팀원들 관리를 잘하는게 맞으니 더높은관리직을 시키는듯?
다 그런건 아니지만 나중에 잘못하면 1번같은 케이스들은 회사에서 엄청 거들먹거리고 사장 잡아먹을라들라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사장 입장에서 견제한듯…
전 인사총무쟁이가 생각하기엔 2번이 씹넘사임.
1번은 대표나 임원이든 직원 인맥이나 돈으로 어떻게든 대체할 수 있으나
2번은 그냥 사기 스킬 급임. 퇴사율 0퍼? 진짜 존나 대단한 거임.
부장으로 올리는거면 관리직인데 2번 관리스킬이 더 안낫나? ㅋㅋㅋㅋ
hr에서 나온말 어디서 봤는데
2같은 사람이 좀더 높은 직책을 맡게되면 거기서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경우가 있다고함
반대로 1같은 사람이 자기 자리에서 잘하는데 승진시켜버리면 관리에 적응을 못하고 업무능력이 오히려 퇴화되버린경우가 빈번하다고 함
그래서 1같은 사람에게 보너스 같은 방식으로 독려하고 2를 승진시키는게 오히려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함
나도 비슷한거 본것같은데
잘하는 사람만 승진시키면 최종적으로 모든 직원은 능률이 떨어지는 직책에 머무르게된더였나
잘하는사람을 승진시켜 다른 직급에서 못할수도있는 리스크를 갖고
못하거나 평범한 사람을 올리면 잘하거나 중간이거나 못하거나라고
퇴사율 0%
퇴사가 일못해서 짤리는경우는 보기 힘들고
보통 더 좋은 조건으로 이직하는 경우인데
어떤집단이래도 우수한놈은 적어도 하나래도 있긴마련이고
더 좋은조건 받을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재가 붙잡고 있는거임
인력 관리 개잘한다는 뜻 아님?
나라도 2번올림. 대개 사회생활 오래한 사람들은 2번이다.
본문에 써져있네. 승진이 실적과 일잘하는걸로 단순 평가되는게 아님. 그것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지. 일은 성실한사람 아무나 데려와도 모자란놈, 뺀질거리는놈 아니고서야 기본은 다 함. 1번이 거래처에서 호불호가 갈린댔는데 결국 1번의 그 불호가 승진이 안된 크리티컬 요소가 됐을거임. 결국 그게 승진되서도 문제가 더 커질테니까..
어릴때는 나도 글쓴이처럼 생각했는데 일잘한다는게 만능은 아님. 나이먹으면 다른걸 좀 많이 보게되는거같다.
보이지 않는것들이 2번이 더 나았던거겠지.
댓글중에 사람을 부품으로 생각해서 항상 대기중인 2번을 써야한다고 얘기하는데
다른 관점에서는 오히려 반대임.
1번같은 능력있는 사람은 그냥 자기 능력펼칠 수 있고 매출만 보는곳으로 가면 그쪽쓰임대로 잘 쓰이는거라고 봄.
참고로 매출 많이 보는곳은 오히려 사람으로 안본다 ㅋㅋㅋ 그냥 얘가 능력이 얼마고 언제까지 쓰겠거니 보지
좃소에선 찐빠 안내고 대표 앉아서 돈만 벌게 해주는 사람이 1순위지
성과도 그 사람이 일을 잘 하는게 아니라
대표의 병신같은 아이디어 하는 시늉이라도 하는 애들을 좋아라 함
실적은 그때마다 다름 ㄹㅇ 실력으로 실적 만든건지
분위기가 좋을 때 탑승한건지 여러 요인들이 있을 수 있음
근데 퇴사율 0% 이건 확실히 관리능력 미친거임
퇴사 0이면 내부영업의 신이라는 소린데 당연히 이쪽을 관리직으로 올려야지 뭔소리야 ㅋㅋㅋㅋㅋ
1번팀은 팀 실적이나 회사 상황 안좋을때 그대로 풍비박산 나버릴거같음
1번은 팀장 나가도 팀은 남아
2번은 팀장 나가면 팀이 나감
중소기업에서 퇴사율 0퍼 찍고 평타 치는거면 신 아님?
1은 반대로 밑에 애들 쥐잡듯이 잡고 갈아대서 올린 성과인가보네. 그러니 평판 호불호 갈리지
여의도 같은데 10인 이하 부띠끄 운용사 같은데면 이해 갈 법도 하긴한데
지역기반 중소-중견쯤 위치라는거 보니 그런건 아닌거 같고
원글 작성자끝까지 이해 안가고 궁금하다는게 이해안감 ㅋㅋㅋㅋㅋㅋ
지는 낙하산이니까 이해가 안 되것지
퇴사율 0프로는 진짜 쩌는거다.. 대기업도 아닌데
실적을 내는건, 실무자
팀을 관리하는건, 관리자
관리자가 되는건 관리적 역량이 좋아야지.
궁금하면 형에게 물어봐야지 왜
무릎팍에 도가니 같은 사람도 있어야 조직이 굴러간다
사람 문제없이 잘굴러가게하는게 엄청 큰거임 진짜
2가 꼭 좋은건 아님 그 사람의 능력이 아니라 운좋게 좋은사람, 잘맞는 사람이 모인걸수도있음
1도 해당되는 얘기지
물론 운적인 요소가 껴있을 수 있지.
그렇다고 1도 해당안될리 없고.
아예 진급이 필요없는 시즌이라 진급자체가 없던 일로 됐을 수도 있는,
운이 아예 작용 하지 않는 경우는 없었다고봄
0%는 2번 팀장이 사실 최면어플을 갖고 있는 거임. 그래서 임원도 최면 걸어서 승진했음. ㅇㅇ
인력관리도 능력이라면 능력인데 글쓴애는 그걸 잘 모르네
뭔가를 운영하는데에 안정성만큼 중요한건 없음. 그래야 계산이 되고 계획을 세울 수 있거든. 사업 초기에나 1번에 가치를 둘 수 있겠다만 어느정도 자리 잡혔으면 뭐...
팀장급이면 조직관리 능력도 실적으로 봐야지 븅신들인가...
1. 항우
2. 유방
정리 끝
디아2 봇돌려본 유저는 알거다
벌이는 그때그때 다를수 있지만, 봇 40마리씩 돌리게 세팅해둔 유저들 입장에서는 템은 덜 집어오더라도 중간에 봇 오류로 튕기거나 셧다운되서 봇들 다 뻗어 있는게 템 버는것보다 더 큰 문제임
대표이사의 경영 이념이 제일 영향이 클텐데, 현상유지 조직 안정화에 더 가치를 두는 대표라면 저런결정 내리는거임
모든 회사의 가치가 성장에만 있는게 아니라는걸 인지하면 저 결정이 그다지 이상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을듯
퇴사 0이란게 생각보다 대단한거더라고. 직장다녀보니
중견도 안되는 ㅈ소에 퇴사율0프로 무단결근0 이면 sss급 직원이지
굳이 둘중 하나 골라야됨?
둘다 올리면 되는거 아닌가.
부서가 하나임?
관리지 트랙이랑 실무자 트랙이랑 조금 다르게 봐야하는데, 승진 = 관리자라… 흠..
개발하다 보면 개발실력은 쥰내 쩌는데 전반적 플젝관리, 팀원 관리는 좀 아쉬운 시니어도 있음.
축구선수와 감독
송둘리
승진을 하면할수록 조직관리쪽 능력을 더 많이 필요로함
실적이 크게 빵구나는게 아닌데 조직관리는 확실히 잘하는것같다? 2번이 적임이 맞음
조직관리능력이 없는데 실적으로 관리자 된 케이스 겪어봤는데
관리자도, 부서원도 서로 고통임
아가개붕
1. 실무능력 개쩌는 사람이 관리직되면 리소스 낭비임
2. 실무능력 개쩌는 사람이 관리직되어서 실무 안뛰게 되면, 회사 입장에서는 그 사람 사라지는거나 다를 거 없음
3. 고로 관리능력 좋은 사람 관리자 자리 올리고 실무 능력 좋은 사람은 실무자로 남기되 돈으로 보상이 회사입장에서는 더 좋음
소의나라
맞다. 근데 우리나라 기업에서는 연차 올라가는데 관리직 안하면 도태 취급함. 뛰어나다고 관리직 모자라서 실무가아닌데, 권력이 관리 쪽에 있으니 실무라인 고수하다가 정치로 밀려나기도 하고. 뛰어난 개발지보다 뛰어난 마케팅이나 세일즈가 주목받기도하고 좀 불합리한점이 있지.
호콩동키
1번은 일잘하는데 괜히 관리자직줘서 리스크를 지는것보다 인센을 더주고 계속 굴리지않을까 싶음
2번은 퇴사율0%만봐도 팀원들 관리를 잘하는게 맞으니 더높은관리직을 시키는듯?
월남검객
다 그런건 아니지만 나중에 잘못하면 1번같은 케이스들은 회사에서 엄청 거들먹거리고 사장 잡아먹을라들라고 하는 경우도 있어서 사장 입장에서 견제한듯…
개의 조각
전 인사총무쟁이가 생각하기엔 2번이 씹넘사임.
1번은 대표나 임원이든 직원 인맥이나 돈으로 어떻게든 대체할 수 있으나
2번은 그냥 사기 스킬 급임. 퇴사율 0퍼? 진짜 존나 대단한 거임.
시마노댕댕이
부장으로 올리는거면 관리직인데 2번 관리스킬이 더 안낫나? ㅋㅋㅋㅋ
진동안마기
hr에서 나온말 어디서 봤는데
2같은 사람이 좀더 높은 직책을 맡게되면 거기서 능력을 발휘하게 되는경우가 있다고함
반대로 1같은 사람이 자기 자리에서 잘하는데 승진시켜버리면 관리에 적응을 못하고 업무능력이 오히려 퇴화되버린경우가 빈번하다고 함
그래서 1같은 사람에게 보너스 같은 방식으로 독려하고 2를 승진시키는게 오히려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함
유실라리라따
나도 비슷한거 본것같은데
잘하는 사람만 승진시키면 최종적으로 모든 직원은 능률이 떨어지는 직책에 머무르게된더였나
잘하는사람을 승진시켜 다른 직급에서 못할수도있는 리스크를 갖고
못하거나 평범한 사람을 올리면 잘하거나 중간이거나 못하거나라고
UVD
퇴사율 0%
퇴사가 일못해서 짤리는경우는 보기 힘들고
보통 더 좋은 조건으로 이직하는 경우인데
어떤집단이래도 우수한놈은 적어도 하나래도 있긴마련이고
더 좋은조건 받을수 있는 우수한 인재를 재가 붙잡고 있는거임
seok
인력 관리 개잘한다는 뜻 아님?
밤맛빵
나라도 2번올림. 대개 사회생활 오래한 사람들은 2번이다.
본문에 써져있네. 승진이 실적과 일잘하는걸로 단순 평가되는게 아님. 그것보다 커뮤니케이션 능력이지. 일은 성실한사람 아무나 데려와도 모자란놈, 뺀질거리는놈 아니고서야 기본은 다 함. 1번이 거래처에서 호불호가 갈린댔는데 결국 1번의 그 불호가 승진이 안된 크리티컬 요소가 됐을거임. 결국 그게 승진되서도 문제가 더 커질테니까..
두치
어릴때는 나도 글쓴이처럼 생각했는데 일잘한다는게 만능은 아님. 나이먹으면 다른걸 좀 많이 보게되는거같다.
보이지 않는것들이 2번이 더 나았던거겠지.
댓글중에 사람을 부품으로 생각해서 항상 대기중인 2번을 써야한다고 얘기하는데
다른 관점에서는 오히려 반대임.
1번같은 능력있는 사람은 그냥 자기 능력펼칠 수 있고 매출만 보는곳으로 가면 그쪽쓰임대로 잘 쓰이는거라고 봄.
참고로 매출 많이 보는곳은 오히려 사람으로 안본다 ㅋㅋㅋ 그냥 얘가 능력이 얼마고 언제까지 쓰겠거니 보지
로보트
좃소에선 찐빠 안내고 대표 앉아서 돈만 벌게 해주는 사람이 1순위지
성과도 그 사람이 일을 잘 하는게 아니라
대표의 병신같은 아이디어 하는 시늉이라도 하는 애들을 좋아라 함
제로제로
실적은 그때마다 다름 ㄹㅇ 실력으로 실적 만든건지
분위기가 좋을 때 탑승한건지 여러 요인들이 있을 수 있음
근데 퇴사율 0% 이건 확실히 관리능력 미친거임
굴국은한글자로뀱
퇴사 0이면 내부영업의 신이라는 소린데 당연히 이쪽을 관리직으로 올려야지 뭔소리야 ㅋㅋㅋㅋㅋ
크롸롸롸롸
1번팀은 팀 실적이나 회사 상황 안좋을때 그대로 풍비박산 나버릴거같음
습관성데드립
1번은 팀장 나가도 팀은 남아
2번은 팀장 나가면 팀이 나감
더나
중소기업에서 퇴사율 0퍼 찍고 평타 치는거면 신 아님?
동탄
1은 반대로 밑에 애들 쥐잡듯이 잡고 갈아대서 올린 성과인가보네. 그러니 평판 호불호 갈리지
우디아빠
여의도 같은데 10인 이하 부띠끄 운용사 같은데면 이해 갈 법도 하긴한데
지역기반 중소-중견쯤 위치라는거 보니 그런건 아닌거 같고
원글 작성자끝까지 이해 안가고 궁금하다는게 이해안감 ㅋㅋㅋㅋㅋㅋ
dodon
지는 낙하산이니까 이해가 안 되것지
하냥나꼬허니
퇴사율 0프로는 진짜 쩌는거다.. 대기업도 아닌데
qwer12312312
실적을 내는건, 실무자
팀을 관리하는건, 관리자
관리자가 되는건 관리적 역량이 좋아야지.
초선차전
궁금하면 형에게 물어봐야지 왜
몬스터에너지제로슈거
무릎팍에 도가니 같은 사람도 있어야 조직이 굴러간다
스팀패배자
사람 문제없이 잘굴러가게하는게 엄청 큰거임 진짜
콩기스
2가 꼭 좋은건 아님 그 사람의 능력이 아니라 운좋게 좋은사람, 잘맞는 사람이 모인걸수도있음
돈돼지
1도 해당되는 얘기지
마젠타
물론 운적인 요소가 껴있을 수 있지.
그렇다고 1도 해당안될리 없고.
아예 진급이 필요없는 시즌이라 진급자체가 없던 일로 됐을 수도 있는,
운이 아예 작용 하지 않는 경우는 없었다고봄
Mion
0%는 2번 팀장이 사실 최면어플을 갖고 있는 거임. 그래서 임원도 최면 걸어서 승진했음. ㅇㅇ
놀고싶다
인력관리도 능력이라면 능력인데 글쓴애는 그걸 잘 모르네
돈돼지
뭔가를 운영하는데에 안정성만큼 중요한건 없음. 그래야 계산이 되고 계획을 세울 수 있거든. 사업 초기에나 1번에 가치를 둘 수 있겠다만 어느정도 자리 잡혔으면 뭐...
DrMushroom
팀장급이면 조직관리 능력도 실적으로 봐야지 븅신들인가...
오리손바닥
1. 항우
2. 유방
정리 끝
FireCorpse
디아2 봇돌려본 유저는 알거다
벌이는 그때그때 다를수 있지만, 봇 40마리씩 돌리게 세팅해둔 유저들 입장에서는 템은 덜 집어오더라도 중간에 봇 오류로 튕기거나 셧다운되서 봇들 다 뻗어 있는게 템 버는것보다 더 큰 문제임
대표이사의 경영 이념이 제일 영향이 클텐데, 현상유지 조직 안정화에 더 가치를 두는 대표라면 저런결정 내리는거임
벨리사리우스
모든 회사의 가치가 성장에만 있는게 아니라는걸 인지하면 저 결정이 그다지 이상하다고 생각되지는 않을듯
잘마른낙엽
퇴사 0이란게 생각보다 대단한거더라고. 직장다녀보니
토마토별똥별인도인
중견도 안되는 ㅈ소에 퇴사율0프로 무단결근0 이면 sss급 직원이지
특정키워드에집착
굳이 둘중 하나 골라야됨?
둘다 올리면 되는거 아닌가.
부서가 하나임?
뽀롱뽀롱뾰로로
관리지 트랙이랑 실무자 트랙이랑 조금 다르게 봐야하는데, 승진 = 관리자라… 흠..
개발하다 보면 개발실력은 쥰내 쩌는데 전반적 플젝관리, 팀원 관리는 좀 아쉬운 시니어도 있음.
인사담당자
축구선수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