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 영상보면 좀 더 빠릿빠릿한거 같긴 한데 저게 유의미한 차이인지는 모르겠음... 난 레이어 많이 쌓는거 안 좋아해서 작업 중간중간 raw로 한번 묶고 불러와서 또 작업 하는데 9950x3d면 굳이 이럴 필요가 없으려나
퀵싱크 쓰는 사람들 어케 생각함
8개의 댓글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비교 영상보면 좀 더 빠릿빠릿한거 같긴 한데 저게 유의미한 차이인지는 모르겠음... 난 레이어 많이 쌓는거 안 좋아해서 작업 중간중간 raw로 한번 묶고 불러와서 또 작업 하는데 9950x3d면 굳이 이럴 필요가 없으려나
퀵싱크 쓰는 사람들 어케 생각함
Nei
작업 시간은 큰 차이 없고 프리뷰 볼때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는걸로 알고 있음
무쌩겨써
프리뷰 말한거였음
Nei
예전엔 거의 2배 이상 시간차이가 났었음
그런데 작년인가 업데이트 되면서 NVIDIA나 AMD 글카 써도 될 정도로 충분히 빨라진걸로 알고 있음
국방사이버지식정보방
인텔이 필요없을 정도로 따라왔다구요?
엄청 발전했네 ㄷㄷ
Nei
인텔이 필요 없을 정도는 아니고 그냥 예전처럼 엄청 차이 나는 정도는 아니라는 뜻
그냥 인텔보다 조금 느리네 하는 수준까지 따라옴
닉네임변경215
프리뷰
뽀이
10비트 422/8비트 420, hevc/h264, 4k/fhd, 단일 영상 컷편집/멀티캠 5개 이상 올렸을 때 등 여러 조건에 따라 다름.
fhd, hevc 8비트 420 단일 파일, 10비트 422 단일 파일 컷편집
-> nvidia(nvdec)로 해결됨. 글카 좋은 것도 필요 없음. 1660super 정도로도 괜찮음. 그리고 5600 정도 6코어 cpu 빨로도 할만함. 대신 타임라인 옮길 때마다 cpu 100% 찍음.
hevc 8비트 420 파일 여러 개 올리면(5개 이상?)
-> 프리뷰 재생했을 때 프레임 드롭은 없음. 그런데 타임라인 긁을 때 nvidia보다 퀵싱크가 많이 부드러움. 8코어 cpu 따리로 버거움. 16코어는 안써봐서 모름.
퀵싱크 미지원 코덱
-> 말 그대로 미지원이니까 퀵싱크 뭐 따질 거 없음. 그냥 cpu 깡성능빨로 ㄱㄱ
퀵싱크가 모든 영상 코덱을 지원하는 게 아님. 여전히 cpu 깡성능이 필요한 영역이 있음.
예전처럼 퀵싱크가 꼭 필요하지 않음. nvdec/nvenc만으로도 편집할만 함. 폰카 기본 hevc 4k 코덱, 단일 영상 컷편집 정도는 nvidia로 프리뷰 가속 잘 됨.
fhd, 4k 단일 영상은 5600, 12400 같은 현재 기준 보급형 6코어 cpu 깡성능으로도 돌릴만함.(로드율 100% 찍기는 함.)
그럼에도 여전히 퀵싱크가 강려크한 것도 맞음. 멀티캠 올렸을 때 차이남.
내보내기(인코딩)은 nvidia 쿠다코어가 빠름.
이런 점 고려해서 정하면 될 것 같음.
윈도우 데탑은 147k/146k 4070s랑 573d 4070ti a380(인텔 아크) 이렇게 세 대를 가장 많이 다루는데, 작업에 따라서 573d랑 147k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은 것도 있음.
뭐가 필요한지 따져보고 결정하셈.
라이트하게 폰카 기본 세팅(hevc 8비트)으로 찍은 4k 영상 편집이나 fhd 게임 영상 녹화한 거 편집하는 정도는 막 쾌적하고 여유있지는 않지만, 5600 1660s로도 할 수 있는 정도임.
4k 영상 5~8개 올려서 편집하는 거면 nvdec 프리뷰 가속이 안되는 건 아닌데(프리뷰 재생시 프레임 드롭 없음), 퀵싱크를 쓰는 게 더 부드럽고 쾌적함.(퀵싱크 없으면 없는대로 씀.)
그 외, 퀵싱크만 프리뷰 가속 지원하는 코덱(hevc 10비트 422)이라면 무조건 퀵싱크 써야함.
퀵싱크가 의미 없는 코덱이라면 무조건 cpu 깡성능 좋은 게 맞음.
기존에는 nvidia 글카가 h265 10비트 422 가속 미지원이었는데 5000번대에서 된다 함.
그리고 h264 10비트 422도 nvidia 5000번대에서 가속 지원 된다고 함. 인텔 b580이랑.
무쌩겨써
이런 장문의 피드백이라니 너무 ㄱㅅㄱㅅ 지금은 일단 서브 글카로 아크 b580을 박으려고 계획중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