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ㅆㄷ) 똑똑한 사람과 멍청한 사람의 사고방식 차이 manhwa

e3d7ef8c481de794f4a461318025f16158569a94cdb4fd22626c850309e1f628.webp

d1f315ffa3bc8cf45cd20cac0617c5ab90a5d01b9ca383ff78f0f9887bf094a8.webp

 

 

 

 

a0238052b75e9e9b7350c443d6c19c976b4eea81b88bb74cd3ad7e3ba180e7b4.jpg

58990b9e30bb8eed4b63d8d4450e4a5940f9d4b8dd0c3ec4f642d1dcdb0f4e42.webp

 

결국 보빔엔 거스를 수 없다

 

24개의 댓글

0
27 일 전
@공두개터뜨리기
0
27 일 전

머리가 나쁘고 동성을 좋아하는 사람... 해병 유니버스 속의 해병이 아닌지...?

20
27 일 전
@참다랑어
0
27 일 전
@참다랑어
0
27 일 전
@참다랑어

아뿔싸! 해-병 1급기밀이 유출되고 말았으니!

 

이 참상을 감지한 1q2w3e4r! 해병의 경보와 함께 감히 군사정보를 유출한 기-열 참 다라이라이차차차 아쎄이를 처벌하러 오도봉고가 출동하고 말았다!

6
27 일 전
@참다랑어
2
27 일 전
@불보기고지

악! 견창섭 해병님!

0
27 일 전
0
27 일 전

실제로는 연관성있는걸 한거번에 떠올린다는 느낌보다는

그렇게 되는 원리에 대해서 탐구심이 강하고 끈질김

예를들어서 사과를 본다 하면 보통사람은 사과구나 하고 넘어가지만

고지능자들은 사과를 보고 사과는 왜 빨개지는거지? Polyphenol Oxidase 가 산소랑 결합하면 페놀성 화합물이 만들어져서 그렇구나

그럼 익을수록 당도의 브릭스는 왜 높아지는거지?

이런식으로 연쇄적으로 문제를 도출하고 그 도출된 문제를 해결해나감

보통사람들은 귀찮고 머리아프고 힘드니까 본질에 대한 의문이나 당연한 것에 대한 의문을 제시하면서 살지 않지만

고지능자들은 주어진 문제에 대해서 여러 방향성의 "해결방안"에 접근 하는 방법이 여러갈래로 펼쳐지는거임

수학문제도 마찬가지이지 저지능인애들은 그냥 대충 답지에서 설명해주는거 방식대로 달달 외우는데도 벅차고 주도적으로 문제를 바라보지 못하니까 재미도없고 흥미도 잃고 하는데

고지능 학습자들은 지들이 그 문제 붙잡고 여러방향으로 돌려깎이하듯 씹고 뜯고 맛봄 그리고 그 탐구과정을 흥미로워함

단순한 문제 하나 풀어도 저지능자들은 대충넘기는거 고지능자들은 2개 3개 10개 알고 넘어감

그래서 결국 시간이 지나면 결과물이 다른거고

4
27 일 전
@질문

똑똑한 애들은 호기심이 남다른 것 같지 않음? 유명한 학자들 어릴 적 에피소드 보면 호기심이 뛰어나서 남들이랑 구별되는 무언가가 있었음

0
27 일 전
@recurrence

모르는 사실을 아는 무지의 지를 느끼는 것

자체가 난 지능이 높은 증거 중 하나라고 보는데

이게 개붕이가 말하는 호기심 이라고 생각함

이 호기심이

알고자 하는 욕구로 강해지고 공부하고 책을 보고 검색해보는 등 학습으로 이어 지기에 지성이 채워지고 사람들이 말하는 똑똑한 사람이 되는 느낌?

0
27 일 전
0

지능이 좋은 것도 유형이 다양할텐데 ㅋ

0

하하 방심했구나 북극곰

0
0
27 일 전

2024년이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이전 대비 1.5℃를 초과하는 첫해로 기록될 것이란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국제 과학계는 이를 중대한 경고 신호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일(현지 시각) 과학저널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된 연구 결과입니다. 독일 헬름홀츠 환경연구센터(UFZ) 연구진은 2024년 1.5℃ 초과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장기적 기후변화의 시작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1
27 일 전
@광고

오늘 밤 북극곰이 생존에 참가한다

0
27 일 전
0
27 일 전
0
27 일 전
0
27 일 전
0
27 일 전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