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알 만한 자들은 알고 있다.
조금 정리한다.
[ 유한게임과 무한게임 ]
온라인 게임은 현실과 경계를 넘나드는 방향으로 발전 중이다.
예시 - 그래픽 실사화. 실제같은 감각. 현실로 알고 있던 세계와 가상이라고 인식하던 게임간 화폐 통용.
이 지점에서 일부 플레이어들은 이미 자각했다.
궁극의 게임은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는 방향으로
진화해야 한다.
현재 현실은
시간 개념 마저도 게임내에서 실사화 된
가상 게임 전작들의 차기작 또는 독립작 이다.
또는
무한히 계속되는 게임 진화 과정에서
좁게 보면 일정 기간은 유한한 게임일 뿐이다.
시작, 빅뱅, 원소, 수소, 핵융합,
단세포, 다세포, DNA 염기서열 분자,
공룡, 생물 분류 기준, 선사시대, 중세, 근대,
인간 멸종 이후 생명 시대,
그리고 다양한 문명, 농구, 축구, 온라인, 보드 게임,
천체물리학에서는 무한히 계속되는 관측과 발견,
희노애락, 전쟁, 기술발전, 종교 등등
알 수 없는 창조 기원에서 스토리, 게임이 계속된다.
그 기원을 경계라고 볼 때
경계 내에 있는 개체는 그 경계를 인지 할 수 없거나
너무 당연하게 여기므로
그 기원, 시작, 경계를 있다 라고만 할 수 있다.
경계 내 플레이어, 참가자는 그 경계를 넘나들 수 없다.
유한게임은 게임 안의 설정 된 물리법칙, 그래픽 값, 규칙으로
작동한다.
무한게임은 계속되는 경계, 시작, 불연속, 띄엄띄엄 유한 게임들로 작동한다.
무한게임은 다시 무한게임 내에서 작은 유한게임에 불과하다.
현 게임 내에서 언어의 한계로 표현하면
이 세상은 수학, 게임 이다.
Avekgiks
글쓴 사람이 평소에 어떤 게임을 했는지가 궁금해지네
2월의달
메이플스토리
Avekgiks
q0o0p
프리큐어
Avekgiks
Bellingcat
지뢰찾기, 테트리스
버번좋아
그 널리 통용되고 사회적 합의가 진행되지 않은 신조어를 말하려면,
언어의 정의에 대해서 신중하게 고민하고 명확한 정의를 이야기해주는게 맞음.
본문을 보면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려는지는 알 수 없고, 그냥 멋져보이는 단어를 죄다 줏어온 것으로 보이는데,
그게 아니라 진짜 본인의 독자적인 아이디어가 있고,
그걸 바탕으로 생산적인 이야기를 하고싶다면 용어의 합의부터 신경쓰는게 맞을듯.
유한/무한이라는 키워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거 같은데,
게임이라는 장르에서의 유한성은 무엇인가? 수학에서 이야기하는 유한성과 유사한가?
왜 다른 단어가 아니라, 꼭 유한/무한으로서만 서술해야만 햇는가? 널리 사용되는 언어여섯 잘못된 선입견으로 인도할 수 있는 부작용이 있는데.
이런거부터 하나하나 따지자면 진짜 끝이 없네..
Bellingcat
고마워요. 무플보다 낫네요.
텐문
시뮬레이션 이론을 흉내냈지만, 조악한 논리 비약의 향연
Bellingcat
고마워요. 무플보다 좋아요.
grane
쓸모없는 단어 나열로 중언부언이 많습니다. 문장을 좀 더 간결하게 수정해보세요.
논리의 비약이 보입니다. 비유적인 것보다는 명확한 표현으로 써주세요.
전체적으로는 그냥 있어 보이는 척하기 위한 글이네요.
Bellingcat
고마워요. 무플보다 좋아요.
텐문
님 nt?
Bellingcat
NT 가 뭐에요?
2자리덧셈못함
개똥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