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에 물린 사람이 존나 많음
금융권, 교수, 기업대표, 직장인, 유튜버, 기자, 일반인들 다 물려서
딥시크때문에 구조적 전환이 일어났는데 대부분 모른척 하고있음
지금수준의 챗지피티를 만드는 비용이 거의 0이 됐는데
자기들이 가진걸로 이 구조적 전환을 잘 이용할 수 있는 기업은 오르는거임
그래서 네이버가 전고점 두드리고 있는거고
나스닥 기술주들이 떨어지고 있는 이유는
딥시크에 쳐맞고 전략을 바꿀줄 알았는데
어닝콜에서 예전처럼 무지성으로 돈 태우겠다고 해서 시장이 실망했다고 봄
딥시크 억까하거나 저가AI와 고가AI 시장이 별개라서 엔비가 계속 간다고 하는 사람들은
다 엔비디아 물렸다고 보면 됨
28개의 댓글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검은색
비용이 0이 됐다는건 어디에서 나온 이야기임? 딥씨크 비용 구라쳤다가 기정사실화 된지가 언젠데
Edinburgh
딥시크가 소스 무료로 뿌렸잖아 그거 다운받아다가 로컬에서 개조해가지고 자기들이 돌리면 되지
팩토리오
GPT4랑 성능 비슷한 DeepSeek v3 '학습비용'이 80억인거 알고 말하는거지?
아니면 오픈소스로 풀렸기 때문에 비용이 0이라고 말하는거야?
팩토리오
엔비디아 숏침?
검은색
차라리 엔비디아 숏쳤다고 당당하게 이야기하면 괜찮지만
이렇게 너무 얕은지식으로 말하면 비웃음거리밖에 안되는데 ㅋㅋ
팩토리오
어떤 글을 읽고 저런 말을 하는지 궁금함
검은색
나도 궁금하네 댓글 답변좀해줬으면
FT
https://www.youtube.com/watch?v=fwk80rhGKbM
이것도 보면 도움될거임
FT
중요한건 AI개발에 천문학적인 돈이 필요하다는 규칙이 깨진거임
0은 푼돈이라는 비유로 적은거고
R1만 무료로 받아도 o1보다 성능이 좋고
입력받는 프롬프트 앞뒤로 다듬고 RAG만 달아줘도 개붕이도 당장 서비스 가능함
푼돈 '80억'같은데 포커스를 두는게 아무런 의미가 없어
1억치 주식 사는 사람 80명 모이는게 큰 돈이라고 생각됨?
팩토리오
'개발'비용이 아니라 '학습'비용이 80억이라니깐?
DeepSeek로 천문한적인 돈이 필요하다는 규칙이 깨졌다는 내용은 논문을 찾아봐도 없고
R1은 o1보다 성능 구림
이러니깐 본문내용은 그냥 개소리처럼 들리지
FT
응 니말이 맞음
Erino
그 딥시크도 결국 지피티를 이용해 비용절감을 한거고, 그 비용마저도 가라쳤다는게 학개애 정설인데 비용이 0원이라는 헛소리는 대체... 머선소리 하시는겁니까...
미국에삼
Erino
그럼 이 얼탱이 없는 글에 줄줄줄 죄다 읊어야함..?
지피티 얘기하길래 지피티만 언급한거지...
팩토리오
moe는 구글이 만든 개념인데?
번째개붕이
주무세요..
년전개그
소판돈
아이고 아재요 술그만자시고 주무세요..
우낙이
비용이 거의 0이면 하나 만들어줘 만원 줄게
파르티잔
빅테크 컨콜이라도 좀 읽고 이런 글 써라.. 개네들 다 데이터 기반으로 의사결정하는데 너보다 개네가 병신이라고 주장하는거임??
FT
걔네가 병신인척 하는거라고 적었잖냐
똑바로서라
거 김씨 닥치고 잠이나 자...
h100조차 못구해서 지랄났고
xx90은 이젠 아예 연구 수요로 전환됐는데
이건 뭔...
영웅아호걸아사료먹자
비용 0원이면 나도 하나 만들어주라
개드립지피티
하면 진짜 휫자사줄게
릅상용섬
공부 좀 하고 찌끄려라..
미국에삼
FT
아... 모르는척 하는게 아니라 모르는 거구나 아직
미국에삼
FT
맞네 한수 배워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