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민주주의를 요구하는 학생들의 낙서에서 시작되어 대대적인 반정부시위와 내전, 테러단체 IS의 출현으로 전세계에 큰 파급을 끼쳤던 시리아 내전은 장장 13년이 지난 2024년 12월 반군의 승리로 막을 내렸음.
그 결과 시리아 내전에서 몇몇 국가는 승리하였고 몇몇 국가는 패배했는데 다음과 같음.
-승리-
이번 내전 최대의 승리자.
터키는 시리아 내전 발발 당시 아사드의 퇴진과 반군 지지를 선언하며 적극적으로 개입했고, 시리아 난민을 대거 받아들여 300만이 넘는 난민이 유입되었음.
너무 많은 난민이 유입되면서 터키 국내에서는 반난민 여론이 불을 붙었고 설상가상으로 리라화 폭락까지 겹치며 에르도안은 존망의 위기를 맞이하였음. 그럼에도 IS 패망 후 괴멸직전에 몰린 시리아 반군을 러시아, 이란과 교섭하면서 유지시키고 지원했는데 결과적으로 에르도안의 도박은 대성공하여 잭팟을 터뜨림.
시리아 내 터키의 영향력을 확대해 에르도안의 야심인 오스만 제국의 부활에 한걸음 나아갈 수 있게 되었으며 눈엣가시 같은 쿠르드족을 손봐줄 기회를 얻었음.
시리아 내전의 두 번째 승리자.
이스라엘은 시리아 내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 않았지만 시리아를 지속적으로 공습하면서 시리아 정부군 및 친이란 민병대, 특히 이스라엘의 숙적인 레바논의 헤즈볼라를 견제해주었음. 특히 헤즈볼라는 시리아 내전에서 정부군을 도와 아사드를 승리직전까지 이끈 일등공신 중 하나라 헤즈볼라 공격은 반군 입장에서는 숨통이 트인 것.
특히 지난 9월 이스라엘-헤즈볼라 전쟁으로 헤즈볼라의 수장인 나스랄라가 이스라엘의 공습에 사망하자 시리아 반군 점령지역에서는 대대적인 축제를 벌이며 무려 '히브리어'로 이스라엘에게 감사 인사를 보낼 정도였음.
수니파 반군이 승리한 이상 이스라엘은 시아파 벨트(이란-이라크-시리아-레바논)의 한 축을 끊을 수 있게 되었고, 헤즈볼라는 더 이상 시리아를 통해 이란의 지원을 받기 어려워 조직 재건이 한층 더 힘들어졌음. 거기에 시리아와 영토분쟁 중인 골란고원을 자국령으로 확고히 굳힌 건 덤.
시리아 내전의 세 번째 승리자.
카타르 또한 이번 내전의 승리자 중 하나임. 카타르는 시리아 내전 발발 초기부터 아사드 퇴진을 요구하고 반군을 대대적으로 지원했는데 내전이 격화되면서 반군이 이슬람 극단주의 성향을 띄자 미국을 비롯한 많은 서방국은 반군 지원을 끊었지만 카타르는 계속 자금과 무기를 지원하였음.
2020년대 들어 러시아와 이란을 등에 업은 시리아 정부군이 승기를 잡으면서 사우디를 비롯한 수니파 국가들도 반군을 손절하고 아사드 정권과 관계개선을 모색했는데 카타르는 이에 동참하지 않음. 심지어 아사드 대통령이 아랍 정상회의에 참석해서 연설할 때도 그냥 나가버림.
이제 반군이 승리하면서 카타르 또한 반군을 지원한 보답을 받게 되었음. 시리아 반군의 주요 축인 HTS(타흐리르 알 샴, 알카에다 계열)가 카타르 정부 인사와 만난 것도 그렇고 카타르의 숙원 사업인 러시아, 이란을 거치지 않고 카타르를 출발해 사우디와 이라크, 시리아, 터키, 유럽을 잇는 송유관 건설이 현실화되었음.
-패배-
시리아 내전의 최대 패자 1.
러시아는 2015년 9월 반군의 총공세로 몰락 직전이던 아사드 정권을 구하기 위해 IS 격퇴를 명분으로 대규모 군사개입을 벌였고 러시아 덕분에 아사드 정권은 기사회생할 수 있었으며 반군 세력을 괴멸 직전까지 몰고 감.
특히 미국 대통령으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IS 격퇴의 일등공신인 쿠르드를 팽하는 모습을 보이자 중동 독재정권 사이에서 러시아에 대한 신뢰가 올라갔고 이는 러시아의 중동 영향력 강화로 이어짐. 시리아 내부에 해군기지(타르투스)와 공군기지(흐메이님)를 보유한 러시아는 시리아 정권의 든든한 뒷배가 되었고 시리아를 통해 중동 및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음.
하지만 러우전으로 더 이상 시리아에 신경을 쓸 여력이 없던 러시아는 반군의 공세에 공습 말고 다른 지원을 할 수가 없었고 이로 인해 아사드 정권은 10일 만에 붕괴함. 만일 러시아가 타르투스 해군기지와 흐메이님 공군기지를 잃는다면 더 이상 중동과 아프리카에 영향력을 행사하기가 어려워질 전망임.
결과적으로 러시아는 시리아에 개입하지 않는 게 나았고, 설령 개입했더라도 어떻게든 아사드 정권을 살렸어야 했는데 러우전쟁으로 시리아를 돕지 못하면서 시리아 내 러시아 군기지 및 주둔한 러시아군은 이제 터키와 수니파 반군의 자비에 기대는 처지가 되었음.
그나마 다행인 점은 시리아 신 정부 또한 러시아와 관계를 척지고 싶어하지 않고, 이스라엘과 터키가 시리아를 둘러싸고 각축전을 벌이면서 러시아 군기지 유지를 위한 협상이 진행중이라는 것. 하지만 푸틴 입장에서는 그냥 철군하고 우크라로 보내는 게 더 이득일 수도 있음
시리아 내전의 최대 패자 2.
시아파 벨트(이란-이라크-시리아-레바논)의 한 축이었던 시리아가 허망하게 무너지면서 이란은 더 이상 레바논 무장세력인 헤즈볼라 지원이 어려워졌음. 특히 시리아 반군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수니파는 친이란 민병대 및 헤즈볼라에 악감정이 쌓일 대로 쌓여서 이란 입장에서는 아무리 반군과 대화를 하려고 해도 좋은 결과를 얻기 힘든 상황임.
특히 이스라엘 견제의 한 축인 시리아 정권이 허무하게 무너지고 헤즈볼라가 이스라엘과의 전쟁으로 괴멸 직전에 몰리면서 이란에게 남은 우호세력은 이라크와 예멘의 후티 반군만 남게 됨. 결국 경제 실패로 인한 국민들의 분노와 시아파 벨트의 약화로 인해 이란 정권은 북한처럼 핵개발에 매달릴 가능성이 높음.
시리아 내전의 뜬금없는 패자 3.
북한도 시리아 정권 붕괴의 피해자 중 하나인데 중동에서 한국과 유일하게 국교를 맺지 않은 나라가 시리아였음. 특히 바샤르 알 아사드의 아버지인 하페즈 알 아사드가 김일성과 형동생 하는 사이였고 다마스쿠스에는 김일성 공원까지 존재할 정도임.
또한 시리아의 핵개발을 북한이 몰래 지원해주기도 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 스파이들이 북한에 파견된 시리아 과학자들을 암살할 정도였음. 내전 당시에는 당연히(!) 아사드 편을 들면서 시리아에 자국 군대를 보내면서 무기를 지원했고 아사드 또한 김정은에게 축전을 보내는 등 북한의 유일한 중동 창구였는데 이게 완전히 박살나버림.
그동안 아사드 정권 치하의 시리아는 북한을 배려해 한국과 수교를 맺지 않았는데 아사드가 망한 이상 수교할 가능성이 높아졌고 그렇게 되면 북한의 유일 수교국은 팔레스타인 말고는 남지 않게 됨.
-애매-
미국은 내전 초창기에는 아사드의 퇴진을 주장하며 시리아 반군을 지원했지만 2013년 아사드 정권이 화학무기로 자국민을 학살했음에도 개입에 머뭇거리다 결국 IS와 같은 이슬람 극단주의자들이 득세하는 계기를 만들었음. (하지만 이건 애당초 반군중에 세속주의 세력이 단 한번도 존재한적이 없다는 반론도 있음.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세속주의 진영은 정부군 밖에 없었기 때문.)
이로 인해 오바마 정권은 시리아에 IS 격퇴를 목적으로 마지못해 개입했고 아사드를 상대할 수가 없으니 반군 대신 쿠르드족과 손을 잡았는데 IS가 망하면서 쿠르드족 또한 미국한테 통수를 맞았고 바이든 정권이 들어서면서 그나마 현상유지를 하는 상황이었음.
하지만 미국한테 테러단체로 찍혔던 알카에다 계열 반군인 HTS가 시리아 정부를 전복시키면서 미국 입장에서는 기뻐할 수도 슬퍼할 수도 없는 어쩡쩡한 상황이 되었음. 다행인 점은 HTS가 4년의 휴전 기간 동안 노선을 바꾸어 알카에다와 관계를 단절하고 서방에 우호적으로 접근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미국 입장에서는 잘만 하면 친미 국가 하나 만들 기회를 얻게 된 셈.
사실 더 큰 문제는 미국보다는 쿠르드임. 시리아 쿠르드는 PKK와 연계가 강해 이를 눈엣가시처럼 여기던 터키와 적대관계를 유지했고 터키 지원 반군인 SNA(시리아 국민군) 또한 전쟁을 벌일 만큼 사이가 안 좋음. 오히려 정부군과는 중립을 유지하였고 극단주의 이슬람 군대인 HTS도 더 큰 적인 아사드를 상대해야 해서 쿠르드군을 자극하지 않았지만
이제 터키를 견제해주던 아사드 정권이 몰락한 이상 터키는 기를 쓰고 쿠르드를 조지려고 할 것이고 트럼프 또한 시리아 반군이 승리하자마자 시리아에서 손을 떼겠다고 발표함. 이제 쿠르드 입장에서는 생존을 위해 터키에게 굴복하던지, 아니면 터키를 상대할 새로운 동맹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임.
-최후의 승리자-
최후의 승리자.
결국 시리아 수도를 수복하고 정권을 장악한 HTS야 말로 사실 이 전쟁의 진정한 승리자라 말할 수 있을듯.
다만, 현재 세속주의를 하겠다며 국제사회에 호소를 하고는 있지만
반군 수장부터 지도부 전원이 근본주의 테러리스트 출신들이라
국제사회 눈치를 보고 정권을 잡기위해 초반에 요식행위로 하는거라는 이야기가 많음.
곧 대통령(?)이 될 아부 무함마드 알졸라니부터가 "유일신과성전", "알카에다"등 각종 테러단체의 핵심멤버로 활동하던 잔뼈굵은 테러리스트.
CleanSwabA
중동은 얽힌게 참 많아서 어렵네
의미는딱히없다
디게 복잡하네 ㅋㅋ
milim
종교가 엮인 정치는 참 어렵구나
조홍감
사막여우란 사람이 중동 관련한거 쓰던거 재밌었는데
개드립접었나
양진이
테러리스트 윈
Avekgiks
정부군에 저항하며 민주주의를 외치던 반군들이 사실은 가면 쓴 이슬람극단주의자들이었다는거임~ <- 이게 상황 여기까지 꼬이게 만든듯
람머스
민주주의를 외쳐도 그 민주주의할 일반국민이 죄다 이슬람이니까 민주주의의 폐해인
Avekgiks
근데 민주화된 서방권이나 우리 입장에서는 정말 민주주의 반군인줄 알았는데 막상 가보니 그런 사람들은 한줌이고 래디컬, 테러리스트가 지원 얻어낼라고 한 가면무도회걸 알려지고 내전 해결가능한 세력은 아무도 없이 진짜 붕 떠버림 ㅋㅋ
람머스
걍 세속주의 표방하는 독재자 냅두라고~ 싶음
영하
7세기 어드메가 목표점인 민주적 종교 광신 보다는 휴대폰 쓰고 사는 21세기 독재가 낫다 싶긴하지.
이무소득고
이런 글 직접 써보면 생각보다 시간 엄청 걸리던데 ㄳㄳ 잘 읽었음
싱하형왔다
테러리스트가 대통령이 된다고 테러하는 대통령이 되는건 아님...
이제 입장이 바뀌는거지...
Wa0
저 정부 대빵이 뭐하는 놈인가 궁금하면 '세드나야 교도소' 검색해봐라, 혐짤 각오하고
케켈운동
얘네는 역사어케배우냐 ㅋㅋ 알려주는 사람마다 다를듯
년후살자
오스만 부활은 ㅋㅋㅋ 에르도안은 하츠 오브 아이언 만시간 플레이 유저입니까?
번째방구석존문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랑 전쟁하면서 제일 중요한게 터키인데, 결국 터키가 시리아내에서 영향력 확대하는걸 용인한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듦. 터키는 우크라이나 전쟁 처기부터 이쪽 저쪽 간보면서 필여한건 다챙겨갔으니까.
시리아에 기지만 유지하게 해주는 조건으로 터키가 시리아에 영향력확대
etf
한국이 터키같은 입지였으면 외교하기 졸라 쉬웠을텐데ㅋㅋㅋ 진짜 국제정치는 부동산이 짱임
x0은0
24년판 "성공하면 혁명"이네.
스즈무라아이리
근데 이스라엘이 폭격한거면 적극적인 개입 아님?
민두는만두가좋다
끝까지 지상군은 절대투입안하고 미사일이랑 공군만 가지고 폭격만해대서 손실이 거의 없었음.
복숭아먹기
어지럽네
코알라의마술봉
아랍은 세속주의 국가가 계속 줄어가네
클로티드크림과스콘
이제 터키가 러시아랑 미국 사이에서 관계를 어떻게 하냐가 믄제
호옹이게뭐야
이런 정보글은 진짜 개추다 고맙다
김팽달
중동은 세속적 권위주의냐 종교적 대중주의냐의 죽음의 이지선다임
이번 시리아에선 전자에서 후자로 권력이 넘어갔지만 언제 또 바뀔지 아무도 모르지
댓글와드용계정
시리아 반란 ㅇㄷ
IlIIIIIIIll
모사드가 북한 땅 안에서 시리아 과학자를 죽였다고?
대단한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