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의외로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것.JPG

monte-rosa-massif-8184014_640.jpg

 

aletsch-glacier-1755098_1280.jpg

 

빙하

 

빙상 빙붕 이런건 잘 아는데 빙하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는 친구들이 많아

빙하는 얼음 강이란 뜻인데, 말그대로 얼음이 '고체'상태로 흐르는 것을 뜻해.

 

 

ice-cubes-3506781_640.jpg

 

아하! 그럼 얼음이 녹았다 얼었다 하면서 계속 움직이니까 빙하가 흐르는 거구나?

하고 생각하겠지만 빙하는 더 놀라운 방식으로 움직여.

 

빙하는 '고체'인 상태에서 '흐르는' 강이야.

 

 

question-mark-2309040_640 (1).jpg

 

???

고체가 왜흘러요

 

뭔 소리인지 감이 안올 수도 있지만

의외로 예시를 들어보면 간단해.

 

 

barbed-wire-3419548_640.jpg

 

철사를 구부리면 두 가지 결과를 예측할 수 있어.

하나는 철사가 휘어지는 것이고

하나는 철사가 끊어지는 것이야.

 

즉, 고체도 응력에 의해 모양이 변형되기도 한다는 점을 우리는 경험적으로 알고 있어.

 

ice-cubes-3506781_640.jpg

 

그럼 얼음을 생각해보자.

 

얼음을 상하좌우앞뒤 모든 방향에서 압력을 가한다고 생각해보자.

여기서 해당 압력이 위치에 따라서 상당히 불균형하게 가해지면 얼음이 깨지겠지만

 

모든 방향에서 균일하게 압력이 가해진다면 얼음이 깨지지 않을거야.

 

애초에 얼음이 깨진다는게 얼음의 잔해가 튀어나갈 공간이 필요한데,

그럴 공간도 없이 균일하게 압력을 받고있으면 튀어나갈 수가 없지.

 

monte-rosa-massif-8184014_640.jpg

 

빙하도 마찬가지야

 

동네 자체가 추워 뒤질만한 곳이니 얼음이 녹을 일은 없는데,

중력에 의해 빙하 하부는 계속해서 강한 응력을 꾸준히 받고있어.

 

그렇다고 돌보다 얼음이 단단하진 않으니 얼음이 돌을 깨고 나갈수도 없지.

 

그러니까 얼음은 깨지는 것 보다는 오랜 기간 물컹한 상태로 계속해서 흐르는거야.

 

 

 

 

 

 

 

71개의 댓글

2024.10.13
@20200917

너랑 나랑 같은 말을 하고 있는 것 같은데. 위에 파괴점을 파괴응력이라고 말한 줄 안듯.. 헷갈리게 쓰기는 했네. 내 첫 댓글은 빙하의 모든 부분이 흐른다가 아니지 않냐는 말이었음. 액체가 흐르는 것은 상(분자의 운동상태 활발성)이 아니라 분자들이 자중에 의해 눌리는 것이랑 그에 대한 반력과 변형이 계속되는 것이니까. 강이 끝나거나(하중이 사라지거나) 공기와 닿는 빙하의 끝부분은 깨지겠지.

0
2024.10.13
@파카사탕

니 첫댓글은 그런 의미를 갖지 않아.

0
2024.10.13
@20200917

맞아.. 사실 변명한거야

0
2024.10.13
@파카사탕

빠른인정이 멋진 개붕이구만!

0
2024.10.13
@20200917

댓글 길게 써주는게 재밌길래

0
2024.10.13

샤베트가 흐르는거네

0

빙봉 빙봉

0
2024.10.13

재밌네 그럼 돌도 조건이 맞으면 흐를수 있는건가?

0
2024.10.13

저러면서 밑에 있을 돌도 같이 굴리면서 갈아버림

돌에 따라 다르겠지만 석회질 많은 곳은 물이 파란색이 아니라 하늘색이 됨. 진짜 하늘색이란게 아니라 석회질이 섞여서 물이 뿌옇게 변한다는거

 

뉴질랜드 남쪽섬에 강물들이 그래서 다 하늘색임

예쁘지만 마시면 좆되고, 빙하물이라 물이 존나 차가움

 

요세미티도 빙하물 흐르는데 맑음.

3
2024.10.13

먼소리노

0
2024.10.13
0
2024.10.13

물컹빙하

0
2024.10.13

니가 물컹하다고 써서 애들이 오해하잖아

2
2024.10.13

면뽑는 기계예 얼음넣고 존나 세게 누르면

얼음면이 생긴다는거?

0
2024.10.13

빙하가 흐르는 영상도 있으면 이해하기 쉬울듯

0
2024.10.13

그럼 둘리가 타고 내려온게 빙하가 아닌 거지?

0
2024.10.13

빙하기때 빙하가 흐르면서 돌을 깍아놔서 산맥이 U자형으로 바다까지 쭉 깍였다가 빙하가 다 녹고 물이 찬 지형이 피오르임

0
2024.10.13

설명 드럽게 못하네

0
2024.10.13

https://youtu.be/TWGR6FxFlt8?si=LOZJfGGPeDm1uBlx

요런 식으로 흐르는구나

빙하가 녹아서 흐르는 것만 생각했지 왜 강하 자가 쓰이는지 생각해본 적 없는데 새로 알았다

0
2024.10.13

빙~하하하하하

0
2024.10.13

다시 읽어봐도 설명 개 좆같이 못하긴 하네

아는 내용인데도 이런 느낌 드는 걸 보면 ㄹㅇ ㅋㅋ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