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겨찾기
최근 방문 게시판

한국 의사가 미국가기 힘든 이유.jpg

Internet_20240303_012656_1.jpeg

Internet_20240303_012656_2.jpeg

Internet_20240303_012656_3.jpeg

Internet_20240303_012656_4.jpeg

Internet_20240303_012656_5.jpeg

74개의 댓글

2024.03.03
@poe빡빡이

미국은 한국의사수입하고 한국은 증원 후 공백기간동안 동남아 의사 수입하면 되겠네 ㅇㅇ

0
2024.03.03
@jikjikjik

ㅇㅇ 그러면댐

1
2024.03.03
@jikjikjik

이분 말이 정답인데, 결론은 우리나라에서 전문의를 따야 쉽게 나감

 

0

저기는 족보 못써서 니들 다 떨어져

8
2024.03.03

기본적으로 언어가 크지

2
2024.03.03
@새로만들기

브레인들이신데그정도야 다 하시겠지

0
2024.03.03

미국의사 준비하는 애들은 학생때부터 시작하는 애들 있음. 그런 친구들은 미국에 잘 가더라.

의사면허따고 인턴 레지던트때부터 시작하면 생각나는게 지금까지 힌게 생각나서 가성비 떨어지고 외국어 문제도 그렇고.

 

일본 의사는 주변에 간 사람들 보면 군대 3년 기간동안만 준비해도 다들 잘 가고 돌아오는 사람도 없네. 여자중에 일본 간 사람은 주변엔 없고..

7
2024.03.03
@수도권

개드립은 국평오를 넘어선듯

5
2024.03.03

한국은 언어장벽이 커서 들어오기도 힘들고 나가기도 힘듬

1

뷸가능 한 건 아니지만, 여러 현실적인 문제점이 있음.

 

이런 현실적인 단점을 뛰어넘을만한, 개인의 욕망이 있어야 한다고 봐.

 

이민자들에게 따듯한 곳은 세상 어디에도 없으니까, 잘 생각해보고 가야지..

1
2024.03.03

의대 근처도 못가본 개붕이들 이 글 보고 신나서 가상의 의사에게 일침 날리는거 ㅈㄴ 웃기네ㅋㅋㅋ

8
2024.03.03
@갤놋10플오너
0
2024.03.03

진짜 다른 건 몰라도 영어는 끌어올리기 쉬울거 같은데. 언어장벅 이러고 있네. 대학병원에서 외국인 환자 본 적 있는데 전공의로 보이는 의사가 그냥 영어로 설명 다해주던데.

0
@포헤리안

다들 어지간히 똑똑해서 시험은 잘 통과 할 것 같은데, 영어가 의외로 엄청 큰 벽 일거임.

 

언어 장벽이 비교적 낮은 엔지니어로 넘어가서도,

 

종종 못 알아 듣는 경우가 있고, 발음 지적도 종종 당하는데,

 

서비스 업종인 의사는 아마 상상 초월이겠지?

0
2024.03.03
@초코파운드치즈

발음 정말 중요한 문제임

유학파 교수라는 사람들 전문용어 맨날 보그체로 얘기하는데

그 발음을 원어민한테? 인도도 아니고 미국에서?

1
2024.03.03
@포헤리안

외국에서 외국인 의사가 한국어로 설명해주는 거랑. 한국에서 외국인 의사가 한국어로 설명해주는 거랑 느낌이 많이 다르지 않겠니....??

0
2024.03.05
@포헤리안

미국에서 의사는 서비스 겸업임. 왜냐면 환자가 바꾸지 않으면 대부분 한번 매칭된 의사가 그 환자의 해당 부분 진료를 쭉 맡거든

0
2024.03.03

Usmle 시험은 쉽냐? ㅡ 의사 베이스로 풀타임 공부시 6개월~1년이면 다들 붙음

 

레제던시 매칭은 쉽냐? ㅡ 엄청 어려움. 외국의대 졸업자용 티오로 IMG 가 따로 나오는데, 보통 미국 내에서 의대 가고싶은데 성적 딸려가지고 중남미의 캐리비안 의대 간 자국인들이 티오 대거 차지함.

 

그리고 남은 티오는 캐나다인, 영국인 등 같은 영어권 앵글로색슨계통, 그리고나서 남은 티오를 가지고 중국인 인도인 동남아인 등등과 박터지게 싸워야 함

 

레지던시 매칭 시 리서치페이퍼나 전문의 수련여부도 고려사항인데, 인도 애들은 펠로우에 박사까지는 기본으로 갖춰놨고 영어까지 유창함. 게다가 숫자도 너무 많음

 

중국 애들은 서로 밀어주고 끌어주고가 강해서 레지던트 선발권 있을 시 중국애들 위주로 뽑음

 

그래서 한국인들은 보통 수련병원 레쥬메 수십개씩 보내고 그 중에 인터뷰 겨우 3~4개 붙어서 기다리다가 다 떨어진 후 재도전 하는 경우가 부지기수

 

레지던트 매칭되면 끝이냐? ㅡ 레지던트 동안에는 J-1 비자가 나오니 괜찮음. 근데 레지던트 끝나고 나면 영주권이 없는 한 돌아가야 함. 한국에서 NIW를 노리든, 아니면 경쟁률은 조금 낮지만 깡촌에서 5년 가까이 썩어야 하는 PNIW로 중서부에서 총먖을 각오로 살든 하지 않는 한 미국에서 의사로 일할 수 없음. 그냥 개원가에서 약력에 ‘미국의사 면허 취득’ 적어놓고 끝임

 

영주권 따고 나면 천국이냐? ㅡ 워라벨은 좋은데 물가대비 소득 보면 우리나라가 나은 경우가 꽤 됨. FM이니 IM이니 한국인들이 레지던시 매칭을 위해 현실적으로 고르는 비인기과 기준으로 1주일 일하고 1주일 쉬는 업무 체계로 30만달러 가량 받음

 

근데 세금 떼고 맬프랙티스 보험 끼면 세후 월 2000 전후임. 근데 한국에서도 내시경 잡거나 경남 전남 가면 비슷하게 받거나 더 많이 받음. 물가가 2~3배 차이나는데 소득 금액이 비슷함 ㅋㅋㅋ 물론 외과계열 고르면 70만불 100만불 받지만 이쪽 과는 미국의대 졸업한 애들조차 경쟁해서 겨우 가는 곳이다 보니 애초에 레지던시 매칭이 불가능에 가까움.

 

한국의사 중에서 가는 사람이야 있겠지만 원래 미국 영주권 보유 + 미국 대학원 진학해서 몇년간 연구해야 겨우겨우 될까말까

6
2024.03.03
@뜨끈한국밥
0
2024.03.03
@뜨끈한국밥

미국에서 무조건 산다, 이런 확신 없고서야 가성비가 안맞는 거 같음ㅋㅋㅋㅋ

0
2024.03.05
@뜨끈한국밥

ㄹㅇ 게다가 요즘은 인도계도 많아서 밀끌 심함

0
2024.03.03

한국 의사는 한국에서 떵떵거리지 미국가면 깡패짓 못함

1
2024.03.03
0
2024.03.03

의주빈들 미국가서 바닥좀 딲고 쓸고 핥아먹다 다시 돌아와라ㅋㅋ

 

비슷한 등급인 변호사들이 미국이서 어떤 취급인지 알면ㅋㅋㅋ

1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