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화 될려면 아직 남았지만 최초로 지원된다는 점에서 카베리는 나름 의미가 있지. 인텔이 베이트레일로 저전력 아톰 성능을 대폭 끌어올렸는데 AMD 카비니가 그걸 그냥 뛰어넘어 버리는거 보고 AMD가 옛날의 AMD가 아니구나 싶었기도 했어. 울트라씬 급 저전력인데 딱히 데스크탑 대용으로 써도 나쁘지 않더라고. 저 만화도 카비니로 그린 거고.
비마랑 멀린스는 아는데 카비니가 전성비 씹망이라는 이유를 잘 모르겟다. 탐스에서 CPU 16종 벤치 두개 빼고 다 5~20% 좋은게 간신히 이기는 거야? 성능에서 거의 모든 부분이 앞서고 소모가 풀로드 10W 많으면 오히려 전성비가 비슷비슷한거 아닌가? 그럼 그래픽코어가 20프레임 앞지르고 소모전력은 5W 많은데 22nm 베이트레일은 전성비 씹망인 28nm 카비니보다 더 전성비가 안좋다는 거야? http://www.tomshardware.com/reviews/athlon-5350-am1-platform-review,3801-5.html 너가 말하는 TDP는 써멀 디자인 포인트가 아니고 SDP (시나리오 디자인 포인트)겟지. 이건 홍보할려고 만든거임. 아이들~풀로드도 20~40W 나오는 놈이 어떻게 TDP가 그렇게 내려가겟어 ㅎㅎ
나는 96년도에 산 펜티엄 프로부터 MMX 펜티엄, 펜3, 펜4, 펜4HT, E2180, Q8400, i5-2500쓰는 테크라서... 즐텔만 써왔음..
근데 AMD의 문제점은 TDP당 성능과 코어당 성능이 별로라는거... TDP는 데탑이면 문제 없는데, 코어당 성능이 낮은탓에 멀티코어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문제가됨. 코어갯수당 성능증가는 log그래프가 그려지지.. 그래서 일정 수준이 되면 성능이 잘 안올라감. 그 이유중 하나가 컴퓨터에서 하는 모든 작업이 쪼개질수가 없음.
늬윺
부정적사고
늬윺
데빌스 캐니언은 수율이 좋은 하스웰을 선별해 놓은거.
you06037
늬윺
인텔이 베이트레일로 저전력 아톰 성능을 대폭 끌어올렸는데 AMD 카비니가 그걸 그냥 뛰어넘어 버리는거 보고
AMD가 옛날의 AMD가 아니구나 싶었기도 했어. 울트라씬 급 저전력인데 딱히 데스크탑 대용으로 써도 나쁘지 않더라고.
저 만화도 카비니로 그린 거고.
잉텔
GPGPU처럼 CPU랑 메모리를 공유해서 편하긴하지...
you06037
늬윺
블랙옵스 최하옵으로 꽤 돌릴 만함.
you06037
늬윺
탐스에서 CPU 16종 벤치 두개 빼고 다 5~20% 좋은게 간신히 이기는 거야?
성능에서 거의 모든 부분이 앞서고 소모가 풀로드 10W 많으면 오히려 전성비가 비슷비슷한거 아닌가?
그럼 그래픽코어가 20프레임 앞지르고 소모전력은 5W 많은데 22nm 베이트레일은 전성비 씹망인 28nm 카비니보다 더 전성비가
안좋다는 거야?
http://www.tomshardware.com/reviews/athlon-5350-am1-platform-review,3801-5.html
너가 말하는 TDP는 써멀 디자인 포인트가 아니고 SDP (시나리오 디자인 포인트)겟지. 이건 홍보할려고 만든거임.
아이들~풀로드도 20~40W 나오는 놈이 어떻게 TDP가 그렇게 내려가겟어 ㅎㅎ
붉악
늬윺
기업 내부에서 구조적 개혁을 해서 성능향상의 속도는 최근 AMD가 더 빠르지만 아직 따라잡을려면 좀 남았다.
잉텔
즐텔만 써왔음..
근데 AMD의 문제점은 TDP당 성능과 코어당 성능이 별로라는거...
TDP는 데탑이면 문제 없는데, 코어당 성능이 낮은탓에 멀티코어 지원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이 문제가됨.
코어갯수당 성능증가는 log그래프가 그려지지.. 그래서 일정 수준이 되면 성능이 잘 안올라감.
그 이유중 하나가 컴퓨터에서 하는 모든 작업이 쪼개질수가 없음.
잉텔
늬윺
다음편에 다~설명할께 ㅋㅋ
Everdream
늬윺
철퇴를가진자
늬윺
초보개드립퍼
우리 암드찡은 실험적인 아키텍쳐를 주력으로 밀구나가부렸어....
근데 암드 앞으로 어떻게될까??
미래의고자
근데 발열을 못잡아서 프레스캇급이되서 망한걸로 아는데...
다음 버전에서는 다시 인텔을 역전 가능한가;;;
그러면 지금 내 컴의 샌디 업글을 어디로 가야하냐;;
닉네임이라고치면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