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스트 크리에이터'
글로 밥벌어 먹고 살 수 있게 되는 직업이 생긴다니 상상만해도 흐뭇해지네요.
제목 | 글쓴이 | 추천 수 | 날짜 |
---|---|---|---|
석룡 입양하는 Manhwa... 11 | 유지민 | 35 | 7 분 전 |
실시간 ㅈ된 메이플 직원들 25 | 디팡궁팡 | 38 | 8 분 전 |
요즘 개선 됐는지 궁금한거 30 | 아멘 | 22 | 8 분 전 |
일본 레코드 대상에서 특정 가수 제외시켜 논란이라는 일본 21 | 니포피아 | 33 | 8 분 전 |
남자들이 뽑은 최악의 먹자골목 27 | 스마트에코 | 31 | 9 분 전 |
겉바속촉 숯불 통닭 구이.gif 18 |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 21 | 9 분 전 |
메코클 교미 반응이 호불호인이유 9 | 야동왕김탁탁 | 22 | 9 분 전 |
책임보험만 넣고타지마라.. 35 | 잉엥 | 27 | 9 분 전 |
싱글벙글 마휘핑과 함께하는 일상.manhwa 16 | Danwol | 21 | 9 분 전 |
던파) 9월 진행된 펀딩 관련 공지사항 5 | ltearl | 21 | 10 분 전 |
페미니즘 사건마다 열일하시는분 10 | 일지남 | 30 | 10 분 전 |
대한민국 저출산 한짤요약. 36 | 인생포기자 | 36 | 10 분 전 |
아인슈타인은 상대성 이론을 어떻게 발견했는가? 20 | 니포피아 | 25 | 10 분 전 |
드래곤 라자는 쓰레기다. 16 | 하앙까악 | 28 | 10 분 전 |
비질란테 보는데 이거 뭐냐??? 16 | 색목인 | 24 | 10 분 전 |
가난한 학부모가 싫다는 교사.jpg 35 | 기여운걸조아하는사람 | 31 | 11 분 전 |
ㅆㄷ) 신캐 페미 의혹으로 난리난 원신 채널 상황 20 | 게이드립넷 | 32 | 11 분 전 |
방온도 보소 ㄷㄷ 25 | 오맹달 | 19 | 11 분 전 |
와 이건 좀 세다 17 | 밀크쉐이크비빔밥 | 42 | 14 분 전 |
여자 가슴보다 골반이 중요한 이유 51 | 개드립은혐오사이트야 | 37 | 18 분 전 |
콩크리트
영상 제작자가 유튜브를 만나니까 크리에이터라고 이름 붙은 느낌인거 같은데
모자짱짱걸
포지타노레몬캔디
sns에 글 싸는 사람을 일컫는건가. 텍스트 크리에이터...젠더 무한 증식하는 것처럼 거부감 느껴지네.
너랑나랑
요새 sns에 짤막하게 글쓰는 사람 많잖아 그런거 말하는건데 비꼬는 애들은 뭐임 이게 뭔 문제라고
Garang B
.... ........ 고객 가치 크리에이터??
첫댓수호자
작가가 아니라면 카피라이터랑 뭐 다름?
바카사
나의 직업은 홈 케일링 프로텍터야!
BlairAthol
글싸개?
성장을두려워합니까
지히랄 하아네 ㅋㅋㅋ
배용준
걍 웹소나 써. 돈 버는 작가들은 잘 벌더라
디지몬카이저
글로 돈벌기엔 존나 못 쓰는 것 같은데
문화충격
와 나도 방구석에서 주작 똥글 싸서 돈이랑 바꿀수 있는거야? 와 신난다 섹스
케네스
트위터에 벌써 저렇게 돈버는 사람들 있음. 주로 일론머스크 추종자들이 경제는 차갑다 유륜카스가 할법한 말 몇마디 하면 어그로 끌려서 욕 한 만개정도 먹는데 그걸로 뷰 뻥튀기해서 광고수익 창출하더라
유자철선
외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된 상업 모델인데. 한국에서는 없고, 저 사람이 여렴풋이 표현하려다보니 좀 모호해지는듯한데..
컨텐츠 창작자가 기존의 올드미디어(출판사, 신문방송사)에 얽매이지 않고. 개별적인 판매,유통경로를 확보해서 활동할 수 있게 된지 오래임. 영상 컨텐츠가 체감이 가장 확실한데. 유튜버가 웬만한 기존 방송인보다 인지도가 높고, 영향력이 커질 수도 있음. 가령 침착맨은 웬만한 연예인보다 훨씬 더 많이 벌고, 팬도 많고. 많은 상업적 가치가 있음. 나영석이 조언을 들을 정도지.
하지만 글은(픽션이나 논픽션이나) 아직 까지 예외였음. `작가`라고 하면 등단을 하고, 출판사에서 책을 내거나 정기간행물에 기고를 하거나. 이래야만 작가라고 인정받는거지.
그런데 문제가 뭐냐면. 출판사나 신문등의 편집자(그리고 문단의 `작가`)들이 인정 안하거나 안끼워주면. 창작자는 자기 컨텐츠를 독자에게 팔수가 없었음. 그리고 매체와 편집자들은 솔직히 말해서. 쌍욕 나오는 수준들이 많음. 컨텐츠의 기획성이나 수익배분이나. 친구가 신문사에 기고를 해서 특종을 냄, 1면에 걸리고. 단일 기사 조회수가 10만뷰가 넘었다고 하더라. 공중파 뉴스에도 나오고, 걔 그걸로 고료 얼마 받았게? 5만원. 개 쌍욕을 하더라 ㅋㅋㅋ
조앤롤링이 해리포터를 쓰고, 출판사를 돌아다니면서 12번 빠꾸 먹었잖아. 해리포터의 재미는 출간전이나 후나 같았을텐데. 대중에게 도달해지 못했을 뿐임. 그렇게 묻히는 작가와 장르의 글들이 엄청났던거임.
인터넷에 글을 쓰면 되지 않냐고? 커뮤에 쓰는정도인데. 커뮤 운영자가 광고 수익 다먹음. 죽쒀서 개주는거... 인정은 받고. 인지도는 생김. 블로그에 쓴다고 해도 광고 수익은 낮지.
자... 그런데 글을 써서, 유튜버처럼 자기 컨텐츠를 보고 팬을 모을 수 있다? 유료구독 모델도 가능해지고, 광고도 가능해지고, 행사 창출도 가능해짐. 그러면 그건 `작가`인가? 확장되고 다른 개념이라고 할 수 있음. 기존 만화 작가와 웹툰 만화 작가보다 간극이 더 커지는 격임.
조아라나 문피아랑 같지 않냐고? 좀 비슷하긴한데. 세상에는 소설만 있는게 아니긴 하거든. 논픽션을 쓰려고 하면 기고할 곳이 없음. 네이버랑 인터뷰를 하고 인식이 달라졌다. 란걸 보니까.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유료구독자를 가능하게하는) 이야기를 듣고 왔을때 쯤인듯.
`텍스트 크리에이터`라고 하는건. 외국 정식 명칭은 모르겠는데.. 본인이 인터넷에 글을 쓰면서, 플랫폼을 통해서 자기 독자들을 끌어옴. 자기 팬을 모아서 정기 구독을 유도(뉴스 레터를 통해)하거나, 행사 참여를 이끈다던지. 광고를 기업으로 부터 받아와서 자기 글에 녹여내거나 붙여서 받는다던지. 그런 식으로 1인 기업 처럼 됨.
기다만 문제라면 한국어 사용자가 진짜 적고, 독서율이 낮아서. 영미권에 비하면 수익이 적을거라는것 정도임.
여대생마스터
자네에게 줄것이 개드립 추천밖에없서서 아쉽네
유자철선
야스기릿
소설이 아닌데 고객이 궁금증을 느끼며 구매할 수 있는 글은 무엇이 있을까..
시? 대사집? 설정집?
유자철선
https://maily.so/capitaledge/posts/9209823f
뉴스레터(로 유명한) 서브스택 소개글을 보면 대충 감이 올듯? 뭐 외국에서는 일단 다종다양하게 보고 있다고 함. 한국 언론사들도 뉴스레터 하고 있고. 문학 창작물 말고도 재미있을만한건 많음.
흥미있고, 자기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 동질감을 느껴서 뭔가 도와주고 싶거나 하는 대상이라면 뭐든 돈을 써주는게 인간이라. 외국의 사례를 보면 정기적인 인터뷰나 교본이나 보고서나 글로 된 것들도 많음. 새로운 소식을 큐레이션해주는 뉴스류들이 좀 강세긴하지..
야스기릿
돈 내고 구독하는 블로그 같은거 생각하면 될려나
유자철선
그게 제일 안정적인 수익 모델이긴 할거임. 당장 최저임금 수준만 매달 들어와도, 글쓰는 사람은 창작을 지속할 수 있으니까...
nsse88
ㅇㅇ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같음
나도 부동산 쪽으론 여러번 결제를 해봤는데 문제가 뭐냐면, 결제한 내용이 결국 온라인에 어떻게든 풀리고 유사한 내용의 신문 기사가 생김.
안 좋게 풀리는 게 카카오 브런치인데 거긴 뭐 맨날 불륜썰 올라오고 ㅋㅋ 돈도 안 되고
근무시간에만개드립
이게 본문에 설명으로 따라 붙었으면 댓글 반응도 많이 달랐을 것 같아 아쉽다.
솔직히 나도 작가랑 뭐가 다르단거지? 하는 생각이었어서...
묵직한하루
니 얘기는 너무 좋은데 난 이미 브런치의 수준낮은 (내용이든 문체든 문법이든 사고의 깊이든 재미든) 글들에 너무 지쳐서 이런 류의 크리에이터들이 뜬다고 하면 지레 겁먹고 스트레스부터 받게 되네ㅠㅠ
번째개헌
님들 왜케 화난거임?
쫄폴쫄폴
걍 또 지들이 이해하기 귀찮은 변화의 흐름에 도태된 새끼들이 야랄떠는거임ㅋㅋㅋ
번째개헌
공감함
얼마 전부터 탕후루만 보면 발작하는 것도 그렇고
음침한 씹덕 유행어는 좋다고 낄낄대면서 쓰더니 씹덕 아닌 컨텐츠에는 칼같이 매정함 ㄷㄷ
행성파괴
논문?
진동수
뭐 꼭 돈을 안 벌어도 부수적으로 얻는게 생길 가능성이 있으니, 접근도 쉽고 해볼만 하지
청일점
작가는 없는걸로치는거냐
유자철선
저 사람이 말하는건...
기존의 매체에 기고하는 작가 개념보다는, 대중들에게 이야기 파는 조선시대 이야기꾼(매설가)에 가까운거라...
내닉넴보는애들탈모생김
수필, 에세이류니까 작가라고 그냥 칭하면 되는 거아닌가 수필, 사설, 에세이랑 똑같은 거 같은데
푸틴의핵무기안터져요
우린 그걸 '작가'라고 부르기로 사회적으로 합의했어요
유자철선
요리를 주업으로 하는 하는 사람을 요리사나 주방장이라고 부르는게 사회적인 합의지만,
백종원은? 방송에 나와서 요리를 하고, 외식 기업을 운영함. 그리고 유튜브에서 레시피를 알려주고 있지.
백종원은 `요리사`인가? 아니지. 대중적으로 인기를 얻은 마리텔 때부터 본인이 한 말이 이거임.
"저는 셰프가 아니다. 요리 연구가도 아니다. 그냥 음식 하는 사람이다"
마찬가지로 `텍스트 크리에이터`(란 명칭은 나도 별로라고 생각하지만)는 `작가`가 아닐 수도 있음. 백종원이 요리사가 아닌 것처럼.
푸틴의핵무기안터져요
백종원은 사업가지 근데 그걸 비지니스 크리에이터라고 하진 않고, 그리고 헛소리 하는 걸 다 받아주는 사람을 바보라고 함 노이즈 리셉터라고 하지 않고
nsse88
글쓴다고 다 작가라 부르진 않잖아??? 블로거는 블로거지 작가라 부르지 않는 것 처럼
푸틴의핵무기안터져요
블로거는 블로그 관리가 메인이지 블로그에 사진, 영상 등 글이 아닌 컨텐츠를 채우기도 하고 본문의 사람이 기존 작가의 일을 벗어나는 어떤걸 하길래 새로운 단어가 필요하냐는거임
푸틴의핵무기안터져요
작가라는 단어를 쓰면 되는데 저러는건 어휘력 부족이지?
복숭아먹기
그게 작가아님? ㅋㅋㅋ
그렇지안나
블로거랑 뭐가 달라?
야식왕치킹
안녕하세요 이산화탄소 크리에이터 입니다
거지아저씨
반가워요 전 프로틴 크리에이터에오
창위엔잉
저는 푸 크리에이터에요
떡한번못치고
우리는 그걸 작가라고 부르기로....
17세여고생
어우 스노비즘 냄새
연골어류
어...그...사회적 합의가 사라졌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