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심심한데 공학관련된거 올려야징.-어셈블리어


내가 메카트로닉스과이고 걍 심심해서 글이나 싸지를까해.


어셈블리어 라고 들어 봤나 ? 


에셈블리어가 무엇이냐

 기계어는 0과 1만 있는거 알지  불이 켜지고 꺼지고, 실린더 같은 경우 전진 후진만 되고, 이런거인데.

0과 1로만 하면 머리가 쥐어 터지거든 그래가지고 기억에 남는 편리한 니모닉 이란 기억용 약호를 사용해서

프로그램 하게 만든게 어셈블리어라그래. 그나마 내 느낌에는 이게 제일 편한 프로그래밍 같어. 어떤사람은 C언어가 편하다는 사람도 있긴하지만...

결론은 기계어와 1:1로 대응하는 언어로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만든 언어야.  물론 이것도 기계어이기 때문에 이해하기에는 존나게 빡실겨..



우선 어셈블리어를 알기전에 컴퓨터를 먼저 이해해 보자고.


컴퓨터는 산술논리 연산부, 제어부, 메모리, 입출력 장치로 되어 있어 , 그런데 이들을 연결 시켜줘야 뭔가 작동이 되겠지?

이것들을 BUS 버스라고해, 


BUS의 종류는 - address bus, data bus, control bus 가 있어 . 이 버스들은 중앙처리 장치 메모리 그리고 입출력 장치 사이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


어드레스 버스 - 데이터를 읽어 오거나 데이터를 보낼 위치를 지정할때 쓰는거.

데이터 버스 - 정보가 전달되는 통로 로써 컴퓨터의 성능에 중요한 역할을 해, 이게 존나 좋아야 컴퓨터로 뭐든 하는겨


중앙처리 장치 - CPU 알지? 인간의 뇌라 보면 되는거. 그럼 중앙처리 장치를 해부하면 뭐가 나오는지 볼까?


레지스터- 정보를 잠깐만 저장하는거

산술 논리장치 - 정보에 대한 연산 ㅇㅇ.

명령 디코더와 제어창치 - 명령의 인출, 해독, 실행

프로그램 카운터- 실행할 명령이 저장된 기억 장소의 주소를 보유...


말이 존나 어렵네 시발.


메모리 - RAM ROM 이 있자나 램은 휘발성 존나 잘까먹는 새끼임 데이터를 읽거나 쓰는것 다되. ROM이 제일 기억잘함 그런데 읽기만 가능한 새끼임..

님들 야동이 다 롬으로 저장되는거 ㅋㅋ



자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서,


기계어, 0 과 1만으로 쓴다 그랬지? 그런데 이게 0 1 만 쓰면 개 빡친단 말이야 그래서 이걸 조금이나마 완화하기 위해

16진법 을 쓰는 거야. 이진 법을 16진법, 16진법을 2진법으로 만드는 방법은 매우 쉬워.


2진법 - 0 1

16진법 -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이라는 건 누구나 알겠지?

             A=10 B=11 C=12 D=13 E=14 F=15


0111 1010 (2) 를 16진법으로 바꾸면 7A (H) H는 16진법이라는 표시야.


빨리하는 방법을 알려줌 ㅋㅋ


각 자리 에 8 4 2 1 이라는 숫자를 부여해줘


8  4  2  1  /   8  4  2  1 <- 이렇게

0  1  1  1  /   1  0  1  0 <-방금 위에 쓴 이진수야.


이렇게 0 이 있는곳을 제외한 1 이 있는 곳만 더해주는것, 즉, 부여해 준 숫자만 더해주면되.


그러면 4 + 2 + 1 하고 8 + 2  이렇게 나오지?


그래서 7A (H)가나오는 거야 ,  이해 갔는지 모르겠다 ....


자그럼 오늘은 여기 까지하고 이어지는 8051 마이크로 콘트롤러 을 설명할거야.


굿바이 하기전에 어셈블리어 맛뵈기


MOV A,#0F7H -  A에 F7H 저장

MOV P1,A - P1에 A에 저장된 데이터를 저장.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A와 P1이 뭔지는 나중에 설명해줄게 ㅋㅋ


시간날 때 쓸거니 언제 쓸지 몰라 ㅋㅋ 다음에 봐










11개의 댓글

2013.06.08
rom이 읽기만 가능하고 야동이 저장되어있다는데 우린 야동을 지우기도 하잖아 이건 어떤 개념임?
0
2013.06.08
@아오빡쳐요
롬은 부팅등 필요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다가 실행시켜주는고거 니가 가지고있는 ㅇㄷ은 하드에 저장되어있다가 니가 실행시켰을때

로더가 파일을 렘에 올려 대기시키고 시피유로 읽는거
0
그건
2013.06.08
@아오빡쳐요
지울리가 없으니까 ROM이라고 한거지
0
메카트로닉스공돌이 나와라 얍!
0
그래서 메카는 밀링돌리우?
0
2013.06.08
프로그래밍좀 하는데 프로그래밍의 관점에서 보는거랑 공돌이의 관점에서 보는게 살짝 다른가보다
0
2013.06.08
요즘 이거 배우다가 화나서 접음 ㅡㅡ
0
공돌이
2013.06.09
C언어가 백배천배 낫겟구먼요
0
123
2013.06.09
어셈블리어는 하나도 설명안해줬네?

그저 16진법만 설명해준꼴 뷁
0
어셈블리어 컴구때 코딩하다가 개토...
0
2013.06.09
리버싱하다가 어셈땜에 토나와 뒤지는줄...
물론 x86이 아닌 arm 인스트럭션... ㅅㅂ..
0
무분별한 사용은 차단될 수 있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추천 수 날짜
566 [과학] 현직 AI분야 교수님이 말하는 AI 트렌드 근황 27 nesy 22 1 일 전
565 [과학] [수학 시리즈] 무한보다 더 큰 무한이 있다? 무한의 크기 비... 22 0년째눈팅중 11 3 일 전
564 [과학] [수학 시리즈] 왜 0.999...=1 인가? 수학의 오래된 떡밥에 대... 66 0년째눈팅중 35 4 일 전
563 [과학] 경계선 지능이 700만 있다는 기사들에 대해 34 LinkedList 12 2024.04.14
562 [과학] 번역)새들은 왜 알을 많이 낳는가? - 후투티의 형제살해 습성... 7 리보솜 3 2024.03.23
561 [과학] 학계와 AI, 그리고 Bitter Lesson (쓰라린 교훈) 26 elomn 36 2024.02.17
560 [과학] 지구의 속삭임, 골든 레코드의 우주 9 Archaea 10 2024.02.16
559 [과학] 잔혹한 과학실험 이야기 <1> 절망의 구덩이 18 개드립하면안됨 37 2024.02.15
558 [과학] 스트레스를 받으면 술이 땡기는 이유 12 동식 16 2024.02.10
557 [과학] 지능은 모계유전이 아니다. 40 울릉특별자치도 35 2024.01.26
556 [과학] 진화를 생각할 때 고려할 것들 23 날씨가나쁘잖아 12 2024.01.17
555 [과학] 학문적(과학적) 접근과 유사 진화심리"학" 26 날씨가나쁘잖아 19 2024.01.15
554 [과학] 호모 사피엔스의 야릇한 은폐된 배란에 대한 남녀 학자의 다... 14 개드립하면안됨 15 2023.12.29
553 [과학] 김영하의 작별인사를 읽고 느낀 점 (스포있음) 21 장문주의 2 2023.11.28
552 [과학] 제4회 포스텍 SF 어워드 공모전 ( SF 단편소설 / SF 미니픽션 ) 2 따스땅 1 2023.11.25
551 [과학] 펌) CRISPR 유전자 가위 치료제 "최초" 승인 12 리보솜 7 2023.11.25
550 [과학] 러시아는 기술산업을 어떻게 파괴시켰는가(펌) 9 세기노비는역사비... 15 2023.11.18
549 [과학] 고양이에 의한 섬생태계 교란과 생물 종의 절멸 (펌) 2 힘들힘들고 6 2023.11.16
548 [과학] 번역) 알츠하이머병 유전자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 12 리보솜 10 2023.11.15
547 [과학] 『우영우』의 자폐 스펙트럼 장애 개념이 왜곡인 이유 (펌) 47 힘들힘들고 10 2023.11.12